KR200401175Y1 -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75Y1
KR200401175Y1 KR20-2005-0024874U KR20050024874U KR200401175Y1 KR 200401175 Y1 KR200401175 Y1 KR 200401175Y1 KR 20050024874 U KR20050024874 U KR 20050024874U KR 200401175 Y1 KR200401175 Y1 KR 200401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oundary block
panel
driveway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외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5-0024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이루어진 평판재를 이용 보도시설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충격흡수구조로 개선하여 보도시설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십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37a)(37b)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35a)(35b)(36a)(36b)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차도경계블록(30)과;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45)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43)(44)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도경계블록(40)과; 상기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을 가로질러서 그 위에 얹혀지고, 이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에 형성된 끼움홈(31)(41)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형의 절곡부(52a)(52b)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폐타이어논슬립층(5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화분구멍(51a)(51b)이 형성된 보도패널(50)과; 보도패널(50)과 모래층(8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기(6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Knockdown Footway Facility Structure for Roadway}
본 고안은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평판재를 이용 보도시설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충격흡수구조로 개선하여 보도시설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의 보도시설물 구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경계블록(22)과 보도경계블록(23) 사이에 모래(24)를 일정한 두께로 깔고 그 위에 보도블록(25)을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보도시설물은 벽돌형태로 된 작은 보도블록(25) 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도블록(25)을 앞뒤로 정렬하고 동시에 모래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이 어렵고, 공기가 연장되어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행량이 증가하면 보도블록(25)간에 발생하는 충돌에 의해 보도블록(25)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보도시설물에 구비된 차도경계블록(22)과 보도경계블록(23)은 하부 기초콘크리트(26)(27)를 타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공정이 복잡하여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보도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도경계블록과 보도경계블록의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측에 측면지지부를 갖는 십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차도경계블록과;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도경계블록과; 상기 차도경계블록과 보도경계블록을 가로질러서 그 위에 얹혀지고, 이 차도경계블록과 보도경계블록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형의 절곡부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폐타이어논슬립층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화분구멍을 갖는 보도패널과; 상기 보도패널과 모래층 사이에 설치되어 보도패널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로 구성하여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측면지지부(33)(34)를 갖는 십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37a)(37b)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35a)(35b)(36a)(36b)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차도경계블록(30)과;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45)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43)(44)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도경계블록(40)과; 상기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을 가로질러서 그 위에 얹혀지고, 이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에 형성된 끼움홈(31)(41)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형의 절곡부(52a)(52b)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폐타이어논슬립층(5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화분구멍(51a)(51b)을 갖는 보도패널(50)과; 상기 보도패널(50)과 모래층(80) 사이에 설치되어 보도패널(50)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60)로 구성한다.
여기서 완충기(60)는 스터드(62)에 의해 보도패널(50)에 형성된 관통구멍(54)으로 삽입되어 보도패널(50)의 저면에 고정되는 패널고정부(61)와, 스터드(6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66)와, 모래층(80) 속으로 박히는 기초삽입부(65)와, 이 기초삽입부(6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모래층(80)의 표면에 면접촉하여 기초삽입부(65)를 지지하는 플랜지(64)와, 패널고정부(61)와 기초삽입부(65)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63)으로 구성한다.
상기 보도패널(50)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성형되며, 그 상면에 도포되는 폐타이어논슬립층(53)은 보도패널(5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폐타이어분말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후 표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만들어지게 되며, 폐타이어논슬립층(53)의 두께를 더 크게 하는 경우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폐타이어분말을 도포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72는 화분을 나타낸 것이며, 90은 도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에 의해 보도패널(50)에 수직하중이 반복하여 작용 되면, 보도패널(50)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52a)(52b)가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에 걸려서 지지되어 있고 보도패널(50)이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보도패널(50)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보도패널(50)과 모래층(80) 사이에 위치된 완충기(60)로 충격이 전달된다.
이때 완충기(60)를 구성하고 있는 가동부(61)가 충격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기초삽입부(65)에 지지되어 있는 완충스프링(63)이 압축하게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후 보행자가 이동하여 보도패널(50)에 작용하던 하중이 제거되면, 완충스프링(63)의 탄성복원력과 보도패널(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도패널(50)이 수평한 상태로 복원되며, 보도패널(50)과 완충스프링(63)이 갖고 있던 탄성에너지는 소멸된다.
한편, 보도패널(50)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폐타이어논슬립층(53)은 보행중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보도패널(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화분구멍(51a)(51b)에 삽입된 화분(70)(72)은 친환경적인 인도를 조성하여 보도시설물을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우천시 화분(70)(72)에 의해 빗물을 흡수하여 보도패널(50)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그리고, 차도경계블록(30)에 형성된 측면지지부(33)(34)는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여 별도의 기초콘크리트 작업 없이 차도경계블록(30)만으로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핀구멍(35a)(35b)(36a)(36b)(43)(44)에 핀(45)을 각각 끼운 다음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면, 핀(45)에 의해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완충기가 이미 조립완료된 보도패널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를 차도경계블록과 보도경계블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에 끼우는 것으로 현장에서의 패널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므로, 보도시설물의 시공이 빠르고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보행중에 보도패널에 작용하는 충격을 보도패널 자체의 탄성력과 완충기에 의해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보행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보도패널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보도패널의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보도패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폐타이어논슬립층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처리가 곤란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효과도 있고, 보도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화분에 의해 보도시설물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보행에 즐거움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보도패널과 모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차도경계블록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의 도움없이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차도경계블록 31,41 : 끼움홈
33,34 : 측면지지부 35a,35b,36a,36b,43,44 : 핀구멍
37a,37b : 핀 40 : 보도경계블록
45 : 핀 50 : 보도패널
51a,51b : 화분구멍 52a,52b : 절곡부
53 : 폐타이어논슬립층 54 : 관통구멍
60 : 완충기 61 : 패널고정부
62 : 스터드 63 : 완충스프링
64 : 플랜지 65 : 기초삽입부
66 : 고정너트 80 : 모래층

Claims (2)

  1. 좌우측에 측면지지부(33)(34)를 갖는 십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37a)(37b)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35a)(35b)(36a)(36b)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차도경계블록(30)과;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의 끼움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45)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핀구멍(43)(44)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도경계블록(40)과;
    상기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을 가로질러서 그 위에 얹혀지고, 이 차도경계블록(30)과 보도경계블록(40)에 형성된 끼움홈(31)(41)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형의 절곡부(52a)(52b)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폐타이어논슬립층(5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화분구멍(51a)(51b)이 형성되어 있는 보도패널(50)과;
    상기 보도패널(50)과 모래층(80) 사이에 설치되어 보도패널(50)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60)는 스터드(62)에 의해 보도패널(50)에 형성된 관통구멍(54)으로 삽입되어 보도패널(50)의 저면에 고정되는 패널고정부(61)와, 상기 스터드(6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66)와, 모래층(80) 속으로 박히는 기초삽입부(65)와, 이 기초삽입부(6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모래층(80)의 표면에 면접촉하여 기초삽입부(65)를 지지하는 플랜지(64)와, 패널고정부(61)와 기초삽입부(65) 사이에서 예압을 갖고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KR20-2005-0024874U 2005-08-30 2005-08-30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KR200401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74U KR200401175Y1 (ko) 2005-08-30 2005-08-30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74U KR200401175Y1 (ko) 2005-08-30 2005-08-30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75Y1 true KR200401175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874U KR200401175Y1 (ko) 2005-08-30 2005-08-30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96B1 (ko) 2008-08-04 2009-03-16 오리코스포텍(주)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KR100911795B1 (ko) * 2007-09-19 2009-08-12 김문모 친환경 다목적 자전거도로
KR101983085B1 (ko) * 2018-11-29 2019-05-30 주식회사 폴리원 시트형 탄성포장재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95B1 (ko) * 2007-09-19 2009-08-12 김문모 친환경 다목적 자전거도로
KR100888896B1 (ko) 2008-08-04 2009-03-16 오리코스포텍(주)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KR101983085B1 (ko) * 2018-11-29 2019-05-30 주식회사 폴리원 시트형 탄성포장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75Y1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CN107237232B (zh) 一种高耐久性水泥混凝土路面胀缝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KR20170030170A (ko) 블록 포장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블록 포장 방법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100879160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KR200387387Y1 (ko) 도로 경계석
KR200451407Y1 (ko) 충격흡수 볼라드
KR100629427B1 (ko) 교량 난간의 식재박스용 보강구조
CN206815185U (zh) 一种带缓冲件的组合式桥梁面板结构的桥梁
KR200428410Y1 (ko) 조립식 바닥블록용 완충스페이서
KR100910132B1 (ko)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KR100966851B1 (ko) 탄성 보도블록
KR200385479Y1 (ko) 보ㆍ차도용 경계블록
KR200330826Y1 (ko) 조경용 보도블럭
KR100212952B1 (ko) 도로 경계석 조립판
KR200310957Y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CN204435145U (zh) 塑构高架路
KR100621695B1 (ko) 도로보강구조물
CN214033236U (zh) 一种仿石pc侧石
KR200348729Y1 (ko) 도로 경계 블록
KR100443620B1 (ko) 차도 인도 경계석
KR200248495Y1 (ko) 차도 인도 경계석
KR200375616Y1 (ko) 조립식 포장블록
KR100462902B1 (ko) 조립식 콘크리이트 블럭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