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132B1 -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Google Patents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0132B1 KR100910132B1 KR1020070061459A KR20070061459A KR100910132B1 KR 100910132 B1 KR100910132 B1 KR 100910132B1 KR 1020070061459 A KR1020070061459 A KR 1020070061459A KR 20070061459 A KR20070061459 A KR 20070061459A KR 100910132 B1 KR100910132 B1 KR 100910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upport
- road
- ecological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group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5 cold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21 plant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3—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made of stacked or staggered elements, e.g. hollow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이고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며, 지주대로부터 메인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상부에 솔라셀을 넓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태양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을 제공한다.
방음벽, 생태, 친환경, 힌지부, 솔라셀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음벽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의 설치된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에 솔라셀이 부착된 형태의 방음벽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옹벽 200: 지주대
220: 힌지부 300: 지지벽
400: 도로 500: 메인블록
550: 메인플레이트 600: 지지패널
700: 충전재 800: 솔라셀
900: 식물
본 발명은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이고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며, 지주대로부터 메인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상부에 솔라셀을 넓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태양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소음 때문에 도로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차량 소음에 따른 피해가 크다. 따라서, 대부분 국가에서는 도로 주변 지역에서의 소음이 일정 한도 미만이 되도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규정에 따라 도로를 설계할 때 통상적으로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반사형, 흡음형 등의 형태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반사형 방음벽은 소음이 일정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반사시키는 것으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만 방음효과가 낮아서 요구되는 소음 기준을 만족하기가 어렵다.
흡음형 방음벽은 소음을 흡음함으로써 소음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구조체에 흡음재가 삽입된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음벽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를 따라 가장자리에 콘크리트 옹벽(10)이 시공되고, 콘크리트 옹벽(10)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대(20)가 고정 설치된다. 지주대(20)는 양측면에 방음패널(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21)이 형성되는데, 복수개의 방음패널(30)이 상기 홈(21)에 적층 삽입되어 인접하는 지주대(20) 사이에 결합 고정된다. 방음패널(20)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외측면에 다수개의 요철 형태의 슬릿(31)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석면 등 유리섬유 소재의 흡음재가 충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의 외측이 사면(41)인 경우에는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의 사면(41)으로 차량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알루미늄 방음벽은 미관상 알루미늄의 금속성으로 인해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현대 생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녹지환경 조성의 측면에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방음벽의 내부에 충전된 흡음재는 대부분 석면이 사용되고 있는데, 석면에는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산 먼지의 발생으로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토양을 이 용하여 식재가 가능한 생태 방음벽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생태 방음벽은 식생토에 대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수분 공급 문제 및 냉해 피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식재된 식물들의 뿌리가 깊게 고착되지 못하여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음벽이 도로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방음벽에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 경우 도로의 외측이 사면(41)을 이루는 경우에 방음벽이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콘크리트 옹벽(10) 및 방음패널(30) 등 방음벽의 구조가 차량의 충격을 전혀 흡수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차량이 방음벽에 가벼운 충돌을 하는 경우에도 차체의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 정도가 매우 심각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이고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며, 지주대로부터 메인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상부에 솔라셀을 넓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태양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200);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대(20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벽(300); 상기 지주대(200)의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20); 일측단부가 상기 힌지부(220)와 결합하며 상기 지주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블록(500); 상호 인접하는 상기 메인블록(50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블록(50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600); 식재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벽(300)과 상기 지지패널(600)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주대(200) 및 상기 지지벽(300)의 상부 측에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솔라셀(8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의 설치된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도로(40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0)의 외측이 사면(410)을 이루는 경우나 교량의 경우와 같이 도로(400)의 외측이 도로와 단절되어 생태 방음벽의 폭이 상대 적으로 좁게 한정된 형태의 도로 및 철로 주변 등에 설치하는데 더욱 적합한 형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200)와, 상호 인접하는 지주대(20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벽(300)과, 지주대(200)의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20)와, 힌지부(220)에 결합되는 메인블록(500)과, 상호 인접하는 메인블록(50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패널(600)과, 지지벽(300)과 지지패널(600) 사이에 식재가 가능하도록 충전되는 충전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블록(500)은 일측단부가 힌지부(220)에 결합함으로써, 힌지부(220)를 통해 지주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메인블록(500)의 타측단부에는 지지패널(60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지지벽(300)과 지지패널(600)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이 공간으로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700)가 충전되어 조경 및 방음을 위한 식물(900)이 식재된다.
충전재(700)는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산흙, 마사토, 부엽토 등의 식재가 가능한 일반적인 식재토가 사용될 수 있으나, 흡음효과를 증대하고 질소, 인 및 유기질 성분의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유기성분을 함유한 덩어리 형태의 하수슬러지 건조체를 더 추가하여 식재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수슬러지 건조체는 생활하수 등을 재활용하여 고온에서 건조하여 성형된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하수 슬러지 건조체는 재활용 제품이란 점에서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알갱이와 같이 불규칙한 덩어리 형태로서 형상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식재토와 함께 충전되는 경우 하수슬러지 건조체 사이사이에는 작은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흡음효과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식상태의 다공성 세라믹 조성물을 더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건식상태의 세라믹 조성물은 고상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소결 형성된 다공성 세라믹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중량이 가볍고 다공성의 물질로서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1-0079979 호에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세라믹 조성물은 다공성 물질로서 자체 흡음효과가 우수하고 하수슬러지 건조체와 마찬가지로 불규칙한 덩어리 형태로서 충전시 세라믹 조성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에 의해 흡음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세라믹 조성물은 충전재(700)의 충전 공간 내에서 상층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층부에 위치함으로써 빗물 등에 의해 식재토가 흙탕물 상태로 외부로 튀어 방음벽이 지저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600)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타일, 아크릴,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 노출에도 부패되지 않도록 미관상 방부목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철거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는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지지패널(600)을 제작하는 방법은 PE(Polyethylene) 등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분쇄한 후 소정 온도에서 압축 고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폐플라스 틱 재활용 부재는 공지된 기술로서 제작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친환경적이고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차량의 충돌시 충전재(700)에 의한 차량의 충격 흡수가 우수하며 또한 메인블록(500)이 고정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지주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다시 한번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200)의 하부에는 옹벽(100)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옹벽(100)은 도로(400)의 외측이 사면(410)으로 형성된 도로의 가장자리나 교량의 가장자리 등에 방음벽이 설치되는 경우 차량이 도로(400)로부터 추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힌지부(220)가 옹벽(100) 부분까지 하향 연장되고, 이에 따라 메인블록(500) 또한 옹벽(100) 부분까지 하향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힌지부(220)와 메인블록(500)의 결합 방식은 힌지축이 지주대(2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즉, 도로(400)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행 차량의 충돌시 메인블록(500)이 차량의 충돌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며 충격이 흡수된다. 이때, 지주대(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힌지부(220)가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지주대(200)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지주대(200)의 일측면에 힌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지주대(200)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블록(500)은 각각 폭이 다른 다수개의 메인플레이트(550)가 수직 적층되어 형성되고, 이때 메인플레이트(550)는 상층으로 갈수록 폭이 작은 메인플레이트(550)가 위치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메인플레이트(550)에 따라 형성되는 계단식의 충전재(700) 각각의 층에 식물(900)이 식재된다. 이때, 메인플레이트(550)의 도로(400) 내측을 향하는 일측단부에는 메인플레이트(55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0)가 형성되고, 지지패널(600)은 이러한 돌출부(530)에 밀착된 상태에서 충전재(700)의 압력에 의해 돌출부(530)에 밀착 결합되는 방식으로 메인플레이트(55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충돌시 지지패널(600)이 지지벽(300) 측으로 용이하게 밀려 들어가며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계단 형태의 방음벽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지주대(200)의 홈(210)에 지지벽(300)을 삽입하고, 지주대(200)에 구비된 힌지부(220)에 최하층의 메인플레이트(550)부터 순차적으로 메인플레이트(550)를 적층 결합한 후, 최하층 메인플레이트(550)의 돌출부(530)에 지지패 널(600)을 밀착시키고, 최하층 메인플레이트(550)의 높이까지 충전재(700)를 충전한다. 다음으로 최하층의 인접 상층에 적층된 메인플레이트(550)의 돌출부(530)에 지지패널(600)을 밀착시키며 동시에 최하단의 충전재(700)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지지패널(600)을 삽입하고 해당 메인플레이트(550)의 높이까지 충전재(700)를 충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지지패널(600)을 삽입 안착시키며 충전재(700)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계단 형태의 방음벽을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패널(600)은 각 지지패널(600)의 하단에 충전된 충전재(70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동시에 해당되는 각 단의 돌출부(530)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메인블록(500)의 양측단부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각 지지패널(600)이 각 돌출부(530)에 밀착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메인블록(500)의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단부에 각각 결합된 지지패널(600)과 지지벽(300) 사이에 충전된 충전재(400)의 압력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작용하고, 이러한 압력은 지지패널(600)과의 관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지지패널(600)이 돌출부(530)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 및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형태의 방음벽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록(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메인플레이트(550)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단부가 계단 형태로 형성된 일체형의 메인블록(500)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록(500)에는 메인블록(500)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게 위치하는 충전 재(700) 간의 생태적 연결을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생태연결홀(5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연결홀(540)을 통해 방음벽 전체의 모든 충전재(700)가 생태적으로 연결되어 양분 및 수분 등이 공유되고 이에 따라 식물의 발육에 매우 좋은 환경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음벽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주대(20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벽(300) 및 지주대(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20)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수직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220)는 메인블록(500)을 구성하는 메인플레이트(5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메인플레이트(550)와 결합된 상태로 지주대(200)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0)의 외측을 향하는 방음벽의 미관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벽(300)은 소정 범위 절개되어 도로(40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부(3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부(310)에도 충전재(700)가 충전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부(310)에 충전된 충전재(700)는 지지벽(300)을 중심으로 도로(400)의 내측에 충전된 충전재(700)와 지지벽(300)을 관통하며 연결된 구조이므로 식물이 잘 자랄수 있는 환경이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에 솔라셀이 부착된 형태의 방음벽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지주대(200) 및 지지벽(300)의 상부 측에 도로(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태양광을 집속할 수 있는 솔라셀(Solar Cell)(8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솔라셀(800)은 최상층 충전재(700)의 상부 측에 부착되기 때문에 태양광을 용이하게 집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방음벽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 걸쳐 솔라셀(800)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집속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최상층에 형성되는 공간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방음벽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솔라셀(8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200)의 상부 측에 경사지게 솔라셀(800)이 설치되고, 이러한 솔라셀(800)이 지탱될 수 있도록 별도의 솔라셀 지지바(810)가 지주대(200) 또는 메인블록(500) 등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솔라셀(800)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최상층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식재가 가능한 구조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그 구조상 폭이 넓은 솔라셀(800) 및 이를 지탱하는 솔라셀 지지바(810)가 설치되더라도 도로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800)은 폭이 넓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태양광을 집속할 수 있는 면적이 커서 태양광 집속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한편, 이와 같은 솔라셀(800)은 태양에너지 집속장치로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솔라셀(800)에 의해 집속된 태양 에너지는 별도의 충전장치 등 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가로등을 밝히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이고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며, 지주대로부터 메인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상부에 솔라셀을 넓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태양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200);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주대(20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벽(300);상기 지주대(200)의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20);일측단부가 상기 힌지부(220)와 결합하며 상기 지주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블록(500);상호 인접하는 상기 메인블록(50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블록(50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600);식재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벽(300)과 상기 지지패널(600)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부(220)와 상기 메인블록(500)은 힌지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블록(500)은 각각 폭이 다른 2개 이상의 메인플레이트(550)가 수직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550)는 상층으로 갈수록 폭이 작은 메인플레이트(550)가 위치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플레이트(550)는 도로 내측을 향하는 일측단부에 상기 메인플레이트(55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600)은 상기 충전재(7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530)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플레이트(550)의 소정 위치에는 생태연결홀(5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주대(200)의 하부에는 옹벽(100)이 설치되고,상기 힌지부(220) 및 상기 메인블록(500)은 상기 지주대(200)로부터 상기 옹벽(100)까지 하향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벽(300)은 소정 범위 절개되어 도로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부(3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충전재(700)가 상기 경사부(310)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벽(300) 및 상기 힌지부(220)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주대(200) 및 상기 지지벽(300)의 상부 측에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솔라셀(8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459A KR100910132B1 (ko) | 2007-06-22 | 2007-06-22 |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459A KR100910132B1 (ko) | 2007-06-22 | 2007-06-22 |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711A KR20080112711A (ko) | 2008-12-26 |
KR100910132B1 true KR100910132B1 (ko) | 2009-07-31 |
Family
ID=4037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1459A KR100910132B1 (ko) | 2007-06-22 | 2007-06-22 |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01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43000B (zh) * | 2017-01-23 | 2024-03-15 | 正升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吸隔声单元以及运用该吸隔声单元的绿化声屏障 |
CN114592448A (zh) * | 2022-03-30 | 2022-06-07 |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景观钢桥绿植区的结构槽及维护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430Y1 (ko) | 2000-10-25 | 2001-04-16 | 김달환 | 다공질 콘크리트 방음패널 |
JP2005341905A (ja) * | 2003-06-26 | 2005-12-15 | Shinichiro Hayashi | 壁面緑化部材および壁面緑化方法 |
KR100649364B1 (ko) | 2006-08-29 | 2006-11-29 | 주식회사 동호 | 친환경적인 도로 중앙 분리대의 차량 측면 충돌 흡수장치 |
-
2007
- 2007-06-22 KR KR1020070061459A patent/KR1009101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430Y1 (ko) | 2000-10-25 | 2001-04-16 | 김달환 | 다공질 콘크리트 방음패널 |
JP2005341905A (ja) * | 2003-06-26 | 2005-12-15 | Shinichiro Hayashi | 壁面緑化部材および壁面緑化方法 |
KR100649364B1 (ko) | 2006-08-29 | 2006-11-29 | 주식회사 동호 | 친환경적인 도로 중앙 분리대의 차량 측면 충돌 흡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711A (ko) | 2008-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83956A (en) | Noise reduction barrier | |
KR100839566B1 (ko) |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 |
KR100910132B1 (ko) | 차량 충격 흡수용 생태 방음벽 | |
CN204435248U (zh) | 一种市政道路吸音隔离带 | |
KR100580925B1 (ko) | 조립식 식생 방음벽 | |
CN204023435U (zh) | 市政道路降噪隔离带 | |
CN211036805U (zh) | 一种市政道路隔离带 | |
KR101157194B1 (ko) | 흡음형 경관 지주를 겸비한 방음벽 | |
KR100870468B1 (ko) | 차량의 충격 흡수를 위한 조립식 생태 방음벽 | |
KR200386842Y1 (ko) | 돌출형 방음판 | |
KR20090045792A (ko) |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 |
CN212426874U (zh) | 防撞防水排洪绿色生态隔离墩体系 | |
KR100821730B1 (ko) | 조립식 생태방음벽 | |
KR20080042424A (ko) | 건식 흡음재 방음벽 | |
JP2006249760A (ja) | 保水ブロック | |
CN207405543U (zh) | 一种道桥防护栏 | |
KR100384351B1 (ko) |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 |
KR200398018Y1 (ko) | 옹벽격자블록 | |
KR100865518B1 (ko) |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 |
KR100663727B1 (ko) | 친환경적인 단지 조성용 방음벽 설치구조 | |
KR101281759B1 (ko) | 방음패널 | |
CN212582334U (zh) | 装配式防涝排水防撞道路隔离墩 | |
KR950006774Y1 (ko) | 흡음벽과 투광차음벽의 동시 설치를 겸한 방음벽지주 | |
KR200437359Y1 (ko) | 도로 방음벽용 흡음판 | |
CN103669156A (zh) | 绿化资材与绿化停车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