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792A -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 Google Patents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792A
KR20090045792A KR1020070111785A KR20070111785A KR20090045792A KR 20090045792 A KR20090045792 A KR 20090045792A KR 1020070111785 A KR1020070111785 A KR 1020070111785A KR 20070111785 A KR20070111785 A KR 20070111785A KR 20090045792 A KR20090045792 A KR 2009004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road
landscaping
preventio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629B1 (ko
Inventor
박병찬
박병훈
Original Assignee
박병찬
박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찬, 박병훈 filed Critical 박병찬
Priority to KR102007011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6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무단 횡단 방지 조경물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블록 사이에 지지패널을 삽입하고 지지패널의 사이에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도심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인도 돌진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하고, 충전재가 충전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포장부재를 제거하여 집중 호우시에 빗물이 배수구를 통하지 않고 대지로 직접 흡수 및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에 관한 것이다.
횡단 방지, 충전재, 차도, 인도

Description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Architecture for Preventing Jaywalking}
본 발명은 도로 무단 횡단 방지 조경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블록 사이에 지지패널을 삽입하고 지지패널의 사이에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도심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인도 돌진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하고, 충전재가 충전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포장부재를 제거하여 집중 호우시에 빗물이 배수구를 통하지 않고 대지로 직접 흡수 및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에 형성된 도로는 각종 차량이 다니는 차도와 사람이 다니는 인도가 동시에 마련되어 있으며, 차도와 인도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차도와 인도가 동시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가 차도로 갑작스럽게 뛰어들거나 횡단보도를 통하지 않고 차도를 무단 횡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 부위에 보행자의 도로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 횡단 방지 펜스가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도로 횡단 방지 펜스가 도로에 설치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는 일반적으로 차도(11)의 양측으로 인도(12)가 마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차도(11)는 통상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부재(40)로 포장되고, 인도(12)는 보도블록 등의 포장부재(40)에 의해 포장된다. 또한, 차도(11)의 가장자리에는 도로(10)의 빗물 등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30)가 별도로 마련된다.
이때, 도로 횡단 방지 펜스(20)는 일반적으로 차도(11)와 경계를 이루는 인도(12)의 가장자리 부분에 도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횡단 방지 펜스(20)는 통상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 재질의 일반적인 울타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도로 횡단 방지 펜스(2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차가운 느낌이 들어 도심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하여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인도로 돌진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도 차량이나 보행자를 전혀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블록 사이에 지지패널을 삽입하고 지지패널의 사이에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도심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인도 돌진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하고, 충전재가 충전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포장부재를 제거하여 집중 호우시에 빗물이 배수구를 통하지 않고 대지로 직접 흡수 및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로(100)에 형성된 차도(110)와 인도(120)의 경계 부위에 도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블록(210); 인접하는 상기 지주블록(2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패널(220); 및 상기 지지패널(220)의 사이 공간에 식재가 가능하도록 충전되는 충전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 블록 사이에 지지패널을 삽입하고 지지패널의 사이에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도심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인도 돌진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하고, 충전재가 충전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포장부재를 제거하여 집중 호우시에 빗물이 배수구를 통하지 않고 대지로 직접 흡수 및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로(100)에 형성된 차도(110)와 인도(120)의 경계 부위에 도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블록(210); 인접하는 상기 지주블록(2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패널(220); 및 상기 지지패널(220)의 사이 공간에 식재가 가능하도록 충전되는 충전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220)은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며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은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크도록 상기 지지패널(220)이 각각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로(100)는 포장부재(400)에 의해 포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포장부재(400)는 상기 충전재(230)가 충전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상기 충전재(230)가 대지의 토양과 생태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의 설치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도로(100)에 형성된 차도(110)와 인도(120)의 경계 부위에 도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지주블록(210)이 설치되고, 상호 인접한 지주블록(210)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패널(220)이 도로(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삽입되어 지지패널(220)의 사이 공간에 식재가 가능한 충전재(230)가 충전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충전재(230)에는 조경을 위한 식물(240)이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패널(220)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다양한 미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쉽게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관상 방부목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철거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는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지지패널(220)을 제작하는 방법은 PE(Polyethylene) 등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분쇄한 후 소정 온도에서 압축 고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부재는 공지된 기술로서 제작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식물(240)이 식재되어 친환경적이고 도심의 미감을 살릴 수 있으며, 인도(120)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포장부재(400)에 의해 포장된 도로(100)의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230)가 충전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포장부재(400)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충전재(230)가 대지의 토양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생태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생태적 연결에 의해 충전재(230)에 식재된 식물의 발육 상태가 더욱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충전재(230)를 통해 빗물 등이 배수구(3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대지로 흡수 및 배수될 수 있으므로 집중 호우시 배수구(300)의 역류 현상이 방지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최근 기상 이변 등에 의해 집중 호우가 내리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집중 호우로 인해 요구되는 배수량이 증가하여 배수구(300)의 배수 용량을 초과함으로써 배수구(300)를 통해 빗물이 모두 배수되지 못하고 도로(100) 위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이러한 침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충전재(230)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포장부재(400)가 제거됨으로써, 인도(120)에 고인 빗물이나 충전재(230) 위에 고인 빗물이 배수구(300)를 통하지 않고 충전재(230)를 통해 직접 대지로 흡수 및 배수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230)는 투수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재가 가능하도록 산흙, 마사토, 부엽토 등의 일반적인 식재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질소, 인 및 유기질 성분의 공급원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충전재(230)의 투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유기성분을 함유한 덩어리 형태의 하수슬러지 건조체를 더 추가하여 식재토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식상태의 다공성 세라믹 조성물을 더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건식상태의 세라믹 조성물은 고상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소결 형성된 다공성 세라믹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중량이 가볍고 다공성의 물질로서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1-0079979 호에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세라믹 조성물은 다공성 물질로서 하수슬러지 건조체와 마찬가지로 불규칙한 덩어리 형태로서 충전시 세라믹 조성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전재(230)의 투수성 향상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세라믹 조성물은 충전재(230)의 충전 공간 내에서 상층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층부에 위치함으로써 빗물 등에 의해 식재토가 흙탕물 상태로 외부로 튀어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이 지저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블록(210)의 사이에 지지패널(220)이 결합되는 형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20)은 도로(100)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며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쌍을 이루는 지지패널(220) 중 적어도 한 쌍 이상은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보다 상부측이 크도록 지지패널(220)이 각각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때, 각각의 쌍을 이루는 지지패널(220)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층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층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지지패널(220)이 지주블록(210)의 사이에 결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20)이 삽입되는 방향의 지주블록(210)의 양측면에는 지지패널(220)이 안착될 수 있는 고정돌기(211)가 형성되는데, 이때 고정돌기(2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20)의 하면 및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지지패널(220)의 측면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패널(220)의 하면은 하층의 충전재(230)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230)는 지지패널(220)에 대해 외측 방향 즉,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지지패널(220)은 고정돌기(211)에 밀착 결합되며 지주블록(210)의 사이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지지패널(220)이 충전재(230)의 압력에 의해 고정돌기(211)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인도(120)로 차량 이 돌진하며 차량이 지지패널(220)에 충돌하는 경우 지지패널(220)이 고정돌기(211)로부터 이탈되며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블록(210)의 내부 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챔버(212)가 형성되고, 지주블록(210)의 상부면에는 이러한 저장챔버(212)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2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213)을 통해 저장챔버(212)에 빗물 등이 유입되어 저장되면, 저장된 물이 저장챔버(212)로부터 충전재(2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저장챔버(212)와 충전재(230)를 서로 연결하는 급수파이프(214)가 지주블록(210)을 관통하며 장착된다. 이때, 급수파이프(214)의 일측 끝단부는 충전재(230)의 상층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충전재(23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원활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파이프(214)의 내부에는 부직포(미도시)가 구비되어, 이러한 부직포를 통해 저장챔버(212)에 저장된 물이 흡수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충전재(23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비가 오지 않는 건조한 시기에도 저장챔버(212)에 저장된 물이 급수파이프(214)를 통해 충전재(23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급수를 하지 않더라도 식물(240)의 발육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의 설치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은 지지패널(220)이 경사진 형태로 지주블록(210)에 결합되지 않고 수직한 상태로 결합되는데, 지지패널(220)은 도로(100)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며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패널(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이 상층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의 측면에 식재된 식물(240)에 대한 채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및 효과 이외의 부분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도로 횡단 방지 펜스가 도로에 설치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의 설치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의 설치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로 210: 지주블록
220: 지지패널 230: 충전재
300: 배수구 400: 포장부재

Claims (7)

  1. 도로(100)에 형성된 차도(110)와 인도(120)의 경계 부위에 도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블록(210);
    인접하는 상기 지주블록(2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패널(220); 및
    상기 지지패널(220)의 사이 공간에 식재가 가능하도록 충전되는 충전재(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20)은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며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패널(220) 중 적어도 한 쌍 이상은 상기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보다 상부측이 크도록 상기 지지패널(220)이 각각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20)은 상기 도로(100)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며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패널(220)은 쌍을 이루는 지지패널(220) 사이의 간격이 상층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230)가 대지의 토양과 생태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20)이 삽입되는 상기 지주블록(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패널(220)이 안착될 수 있는 고정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220)은 상기 충전재(230)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211)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블록(210)의 내부 공간에는 저장챔버(212)가 형성되고, 지주블록(2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저장챔버(212)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213)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챔버(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충전재(230)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파이프(2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214)의 내부에는 부직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챔버(212)에 저장된 물은 상기 부직포를 통해 흡수되며 상기 충전재(23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KR1020070111785A 2007-11-02 2007-11-02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KR10112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85A KR101127629B1 (ko) 2007-11-02 2007-11-02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85A KR101127629B1 (ko) 2007-11-02 2007-11-02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92A true KR20090045792A (ko) 2009-05-08
KR101127629B1 KR101127629B1 (ko) 2012-03-23

Family

ID=4085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85A KR101127629B1 (ko) 2007-11-02 2007-11-02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066A (zh) * 2017-01-20 2017-06-13 温州弘大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安全防护栏
CN107503288A (zh) * 2017-08-27 2017-12-22 李红星 一种具有绿化结构的桥梁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636A (zh) * 2017-11-26 2018-04-17 魏爱玲 一种具备种植容器的生态绿化隔离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351B1 (ko) * 2000-12-21 2003-05-16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KR100580925B1 (ko) * 2004-01-19 2006-05-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조립식 식생 방음벽
KR20050105874A (ko) * 2004-05-03 2005-11-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플랜터형 식생방음벽
KR100661303B1 (ko) * 2006-09-14 2006-12-27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케이블보호기능이 구비된 화단식용 도로의 중앙분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066A (zh) * 2017-01-20 2017-06-13 温州弘大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安全防护栏
CN106836066B (zh) * 2017-01-20 2019-01-18 温州弘大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安全防护栏
CN107503288A (zh) * 2017-08-27 2017-12-22 李红星 一种具有绿化结构的桥梁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629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8686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KR101127629B1 (ko)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KR20130064192A (ko)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KR20120022381A (ko) 자갈 및 토사의 도로 유실 방지용 화단
JP4648129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KR100647061B1 (ko) 도로 배수박스 그레이팅 구조
KR20090000187U (ko) 식재가 가능한 도로 경계석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723646B1 (ko) 옹벽격자블록
KR100528051B1 (ko)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KR101877858B1 (ko)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CN214423035U (zh) 一种软土区防沉降高速公路路基结构
US11761152B2 (en) Soil form system supporting hardscape thereover
JP5100163B2 (ja) 潅水システム
KR20120013623A (ko)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JP3796383B2 (ja) 舗装構造
KR200418592Y1 (ko) 잔디보호용 블록
KR101950585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KR100865518B1 (ko)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JP3851473B2 (ja) 舗装構造
KR101042563B1 (ko) 고정시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268963Y1 (ko) 도로 경계용 블럭
KR200413607Y1 (ko) 타이어 재생품을 이용한 측구블록
KR20110010594U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1108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