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94U -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 Google Patents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94U
KR20110010594U KR2020100004758U KR20100004758U KR20110010594U KR 20110010594 U KR20110010594 U KR 20110010594U KR 2020100004758 U KR2020100004758 U KR 2020100004758U KR 20100004758 U KR20100004758 U KR 20100004758U KR 20110010594 U KR20110010594 U KR 201100105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upper cover
road
aid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중
Original Assignee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국제공항공사 filed Critical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594U/ko
Publication of KR20110010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그레이팅(10)의 테두리부 하면과 측면을 감싸주는 받침부(41)와, 측면부(43), 그리고 상기 측면부(43)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그레이팅(10)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44)를 포함하며, 고무재질의 씨줄과 날줄이 교차하는 망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그레이팅과 걸림턱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배수구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며, 보행자의 신발이나 유모차, 휠체어, 인라인스케이트, 카트 등 작은 휠이 빠지거나 걸리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an assist instrument for grating of the drains of a road}
본 고안은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그레이팅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배수구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이는 노면을 요철 없이 평평하게 하고, 우천시 또는 해빙기에 진창길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보나 차량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포장 도로는 비가 와서 노면이 젖으면 매우 미끄러운 바, 특히 차도의 경우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도로가에는 일정 거리마다 배수로로 연결된 배수구를 설치하여 노면으로 내린 빗물이 배수구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는 노면으로 열려 있는 단순 개구부이므로 돌, 나무가지, 낙엽, 다양한 쓰레기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것들은 배수구 및 배수로의 막힘을 초래하므로 상기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에는 빗물의 유입은 허용하면서도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들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격자상의 그레이팅(grating)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에 그레이팅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와 보차도경계석(2) 사이에는 일정 거리마다 배수구(3)가 형성되고, 그 배수구(3)의 입구에는 격자 형태의 그레이팅(10)이 설치된다.
상기 그레이팅(10)은 도로(1)와 보차도경계석(2) 사이의 부분 즉, 측구에 형성된 받침턱(4)에 단순히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측구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그레이팅(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그레이팅(10)에 비하여 상기 측구의 받침턱(4)은 치수 정밀도가 높지 못하여 면의 편평도가 양호하지 못하고, 그레이팅(10)과 받침턱(4)의 수직부 사이에 틈(5)이 존재함으로써 사람이나 차량이 그레이팅(10) 위를 통행할 때 그레이팅(10)이 받침턱(4)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이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받침턱(4)이 훼손되며,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서 상기 받침턱(4)의 파손이 심해지고 이로 인해 보행 또는 차량통행시 상기 그레이팅(10)이 이탈하게 되어 보행자 또는 통행차량의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10)은 수직으로 세워진 얇은 철편이 가로 세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고 빗물의 유입을 원활히 하는 장점은 있으나 철편 사이에 형성된 구멍의 면적이 과도하여 잡석, 나뭇가지와 낙엽, 그 외 쓰레기 등이 걸러지지 않고 배수구(3) 내부로 침투하는 정도가 크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들로 배수구(3)가 막히는 현상이 종종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같은 이유에 의하여 보행자의 신발 앞코, 뒷축(특히 여성용 구두일 경우)이나 유모차, 휠체어, 인라인스케이트, 카트 등 작은 휠이 철편 사이의 틈에 끼어 보행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부상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레이팅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그레이팅의 변형과 받침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배수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발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레이팅의 테두리 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틀 형태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내측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전체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외측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부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상부덮개부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의 씨줄과 날줄은 상기 그레이팅의 철편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와 측면부에 의하여 그레이팅과 받침턱의 충돌이 차단되고,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레이팅의 변형과 받침턱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 안전도가 향상된다.
또한, 망 형태의 상부덮개부가 제공됨으로써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어 배수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에 의하여 보행자의 신발이나 유모차, 휠체어, 인라인스케이트, 카트 등 작은 휠이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보행 편의성과 보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그레이팅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1실시예로서, 그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2실시예로서, 그의 사용 상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3실시예로서, 그의 사용 전 상태와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1실시예로서, 그레이팅 보조구(2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이팅 보조구(20)는 그레이팅(10)의 네 테두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사각틀 형태의 받침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21)의 내측 부분은 그레이팅(10)의 전면적을 통한 빗물 통과를 허용하도록 그레이팅(10)의 최외곽 철편의 하단부에 인접한 1~2cm 정도의 여유길이를 제외하고는 개구부(22)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1)는 그레이팅(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1~2cm 정도의 충분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그레이팅 보조구(20)가 제공됨으로써 사람이나 차량이 그레이팅(10)을 밟고 지나갈 때 상기 받침부(21)에 의하여 그레이팅(10)과 받침턱(4)과의 직접 접촉이 차단된다.
따라서, 그레이팅(10)과 받침턱(4)의 충돌이 방지되고, 그레이팅(10)으로부터 받침턱(4)으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이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덜거덕거리거나 쿵쾅거리는 충돌소음이 방지되고, 또한 그레이팅(10)의 변형 및 상기 받침턱(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받침턱(4)이 파손되지 않아 그레이팅(10)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이므로 그레이팅(10)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에 보행자와 차량의 통행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2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보조구(30)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그레이팅(10)의 네 테두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부(31)와, 상기 받침부(31)의 외측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10)의 최외곽 철편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측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31)의 내측에는 빗물 유입을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31)에 의하여 그레이팅 보조구(30)와 받침턱(4)과의 충돌이 방지되고 충격하중이 흡수됨으로써 충돌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레이팅(10)의 변형과 받침턱(4)의 파손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측면부(33)에 의해서 받침턱(4)과 그레이팅(10) 사이의 틈(5)이 메꾸어짐으로써 그레이팅(10)의 유동을 더욱 확실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소음 특히 덜그럭거리는 소리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상기 받침턱(4)의 파손과 그레이팅(10)의 변형 방지성능이 한층 향상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보조구의 제3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보조구(40)는 상기 그레이팅(10)의 네 테두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부(41)와 , 상기 받침부(41)의 외측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10)의 최외곽 철편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측면부(43)와, 상기 측면부(43)의 상단을 모두 연결하여 상기 그레이팅(10)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41)의 내측에는 빗물 유입을 위한 개구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44)는 씨줄과 날줄이 교차되어 이루어진 망(net)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44)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부(41)와, 측면부(43)를 모두 포함하여 즉, 그레이팅 보조구(40) 전체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망(ne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41)와 측면부(43)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덮개부(44)만 망 형태로 제작된 경우 상기 받침부(41)와 측면부(43)의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고, 그레이팅 보조구(40) 전체가 망 형태로 제작된 경우는 상기 받침부(41)와 측면부(43) 및 상부덮개부(44)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레이팅 보조구(40)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 보조구(40)는 그레이팅(10)에 덮어씌워졌을때 상기 상부 덮개부(44)의 씨줄과 날줄이 상기 그레이팅(10)을 이루는 철편들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그레이팅 보조구(40)는 상기 받침부(41) 및 측면부(43)를 잡아당겨 그레이팅(10)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조합한 뒤, 이를 배수구 입구에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41)와 측면부(43)에 의하여 그레이팅(10)과 걸림턱(4)의 바닥면 및 측면과의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충돌 소음 방지, 그레이팅 변형 방지, 걸림턱(4)의 바닥면과 측면의 파손 방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망 형태의 그레이팅 보조구(40)는 상기 상부덮개부(44)가 그레이팅(10)의 상부 전체를 덮고 있게 된다.
따라서, 그레이팅(10)의 가로,세로 철편에 더하여 그레이팅 보조구(40)의 씨줄과 날줄이 서로 겹쳐져서 배수구(3)를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차단함으로써 빗물의 배수는 여전히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허용하면서도 돌, 나무가지, 낙엽, 쓰레기 등의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들의 침투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44)에 의해 그레이팅(10)에 형성된 구멍이 보다 작아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그 위를 걷는 보행자의 신발이나 유모차, 휠체어, 인라인스케이트, 카트 등 작은 휠이 끼이는 것이 감소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보행 편의성이 향상되고, 부상 위험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44) 역시 고무재질이므로 쿠션감이 있어서 이를 밟는 보행자의 보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 : 도로 2 : 보차도경계석
3 : 배수구 4 : 걸림턱
5 : 틈 10 : 그레이팅
20,30,40 : 그레이팅 보조구 21,31,41 : 받침부
22,32,42 : 개구부 33,43 : 측면부
44 : 상부덮개부

Claims (5)

  1. 그레이팅의 테두리 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틀 형태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내측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전체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외측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부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상부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상부덮개부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5. 청구항 3과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의 씨줄과 날줄은 상기 그레이팅의 철편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KR2020100004758U 2010-05-06 2010-05-06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KR201100105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58U KR20110010594U (ko) 2010-05-06 2010-05-06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58U KR20110010594U (ko) 2010-05-06 2010-05-06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94U true KR20110010594U (ko) 2011-11-14

Family

ID=7288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758U KR20110010594U (ko) 2010-05-06 2010-05-06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5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182A (ko) 2020-05-28 2021-12-07 (주)플러버 배수 그레이팅 덮개용 탄성 롤시트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배수 그레이팅 덮개
KR200494965Y1 (ko) 2021-04-20 2022-02-08 여종승 배수구 덮개용 탈부착이 용이한 거름망 결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182A (ko) 2020-05-28 2021-12-07 (주)플러버 배수 그레이팅 덮개용 탄성 롤시트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배수 그레이팅 덮개
KR200494965Y1 (ko) 2021-04-20 2022-02-08 여종승 배수구 덮개용 탈부착이 용이한 거름망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218Y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JP4704874B2 (ja) U字溝を備えた舗装路の構造
KR100892419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20110010594U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KR101282914B1 (ko)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55519B1 (ko) 가로수 보호 보도 블럭 시공 방법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JP3931971B2 (ja) 雨水枡蓋
KR100593258B1 (ko) 배수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보차도용 경계블록 시스템
KR20080103747A (ko) 배수로그레이팅
JP3127873U (ja) 側溝及び枡の蓋構造
JP5535793B2 (ja) 蓋装置
KR100661270B1 (ko) 공원용 펜스형 도로 경계석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KR102300996B1 (ko) L형 배수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배수구조물
KR200378200Y1 (ko)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JP2004346701A (ja) 排水溝構造
JP2003253744A (ja) 排水性舗装の側溝構造
KR200351164Y1 (ko) 습지지역 도로의 빗물튀김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구조
JPH10183729A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KR100816305B1 (ko) 배수성 포장도로 노면 배수시스템
JP6830123B2 (ja) 透水性構造体
JP3876155B2 (ja) 歩車道境界用側溝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