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95Y1 - 차도 인도 경계석 - Google Patents

차도 인도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95Y1
KR200248495Y1 KR2020010018522U KR20010018522U KR200248495Y1 KR 200248495 Y1 KR200248495 Y1 KR 200248495Y1 KR 2020010018522 U KR2020010018522 U KR 2020010018522U KR 20010018522 U KR20010018522 U KR 20010018522U KR 200248495 Y1 KR200248495 Y1 KR 200248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idewalk
piece
fixed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국실업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국실업, 최광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국실업
Priority to KR2020010018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95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시설공사에 있어서 차도와 인도를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계석을 개량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도(步道)를 경계 짓기 위하여 보도쪽이 약간 높게 단(段)을 형성시켜주는 경계석은 주로 콘크리트 성형물이나 석재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도로용 경계석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계석 소재를 일정두께의 철판재로 포밍가공하여 하부측에는 날개편(2)을 외향돌출되게 형성하고 양단의 개구부에는 외주면이 절곡된 뚜껑편(5)을 씌워 고정하며 날개편(2)의 양단에는 결합 구멍(4a)이 뚫린 고정편(4)을 고정 설치하여 볼트 너트로서 연속 조립되게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차도 인도 경계석{Boundary stone between a sidewalk and a driving road}
본 고안은 도로 시설공사에 있어서, 차도와 인도를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계석을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도(步道)를 경계 짓기 위하여 보도쪽이 약간 높게 단(段)을 형성시켜주는 경계석은 주로 콘크리트 성형물이나 석재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경계석은 제작 단가가 저렴한 잇점은 있으나 차량 바퀴와의 충돌 등이 빈번히 발생하여 파손율이 높고 도시미관을 중요시하는 시설 공사에서는 이의 조형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콘크리트 또는 석재로 된 경계석의 문제점을 개량하여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철판재로서 조립하기 쉽고 시공이 용이한 경계석(재질이 철판재이나 이하에서는 경계석으로 통칭한다)을 구성한 것이다.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는 경계석은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보도의 통행자를 보호하는 기능과 보호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구획하는 경계 기능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경계석을 종래의 콘크리트나 석재 재질과 달리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철판으로 구성하되, 이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입체적 형상으로 제작하여 규격화 하므로써 시공시 조립 시공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경계석의 내부 공간에적정한 충진물을 내장하여 일정한 압축강도를 유지시켜 차량 바퀴등의 외부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지지력을 부여하면서 이의 외관이 깨끗하고 시공 후 가로(街路)나 도시미관을 개선하도록 한 구성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편 연결부 단면도
도 4는 연결조인트의 연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A: 차도 B: 보도
1: 본체 2: 날개편
3: 절곡부 4: 고정편
4a: 구멍 5: 뚜껑편
6: 돌기부 7: 요입부
8: 볼트 9: 너트
도 1은 본고안의 구성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이다.
경계석 본체(1)는 두께 3~5m/m정도의 강판재로 구성되고 이를 좌우벽면이 약간 경사지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한 상태가 되도록 포밍(forming)가공한다.
그리고 본체(1)의 판면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벽면에는 힘살부를 이루는 절곡부(3)를 길이방향으로 절곡형성시키고, 저면에는 받침부를 이루는 날개편(2)을 절곡 형성한다.
한편 본체(1)의 양측 개구부에는 뚜껑편(5)을 같은 두께의 철판재로 가장자리가 절곡되게 포밍가공하고 뚜껑편(5)의 측면은 돌기부(6)와 요입부(7)를 교차(交差) 상태로 형성하여 상대되는 뚜껑편(5)이 접합 연결될 시에 이들 돌기부(6)와 요입부(7)의 결합에 의해서 정확하게 일열선상으로 연속조립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체(1)의 양단 날개편(2)에는 쪽으로는 결합 구멍(4a)이 뚫린 고정편(4)을 용접 고정하여 시공시 볼트(8)와 너트(9)를 연쇄적으로 끼워서 다수의 본체(1)가 일열선상으로 연속 조립되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경계석 본체(1)를 차도(A)와 보도(B)의 경계에 설치하여 차도쪽은 낮게, 보도쪽은 높게 되도록 날개편(2) 부분이 내부에 매설되도록 연속 설치하는 것이다.
설치시공시 본체(1)의 내면은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이 공간부에는 흙을 채워 넣거나 아니면 폐자재 이를테면 주물공단등에서 배출되는 폐 주물사(鑄物沙)나 폐 건축자재, 아스콘폐자재 등 공해물을 충전하여 매립하면 폐기물의 처리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조립시공시 양단 개구부의 뚜껑편(5)은 외측으로 수개의 돌기부(6)와 요입부(7)가 교차상태로 형성되어 이를 일열 선상으로 조립하면 도 3과 같이 상대되는 돌기부(6)와 요입부(7)가 상호 결합되므로 다수의 경계석 본체(1)를 연속 조립할 시 직선상의 배열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만일 이러한 돌기부(6)와 요입부(7)의 설치가 없다면 다수의 본체(1)는 일직선상으로 배열시공하는데 있어 눈대중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므로 시공 상태가 불규칙하게 되어 시공 작업의 능률성을 기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뚜껑편(5)을 상호 마주보게 결합시킨 다음 양측의 날개판(2)에 고정한 고정편(4)에 볼트(8)를 끼워서 너트(9)로 체결 조립시키면 도 4와 같이 다수의 경계석 본체(1)는 일열선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보도측에는 흙을 덮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 시킨다음 그 위에 보도블록을 깔아주고 차도 측에는 보도측보다 낮게 아스팔트 시공을 하면 경계석의 설치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설치시공후에는 본체(1)의 상면부측이 보도측쪽으로 노출되고 차도측에는 본체(1)의 측면이 일정한 높이로 노출된다. 수직벽면부의 보강 절곡부(3)는 본체(1) 전체의 판면 강도를 높여주는 보강기능을 수행하여 차량 바퀴의 빈번한 충돌등에도안전하게 일정한 판면 강도를 유지할 수가 있고 내부에는 별도로 충진물이 내장되므로 파손등의 우려가 없어 장기적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차도, 보도 경계석을 철판구조물로 개량하므로서,
첫째, 생산 코스트가 종래 석재에 비해 크게 불리하지 않으면서 석재가 갖는 내구력이상으로 충분한 충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경계석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둘째, 시공 후 외관미가 깨끗하며 특히 노출면에 특수 유석도료를 자유자재로 페인팅할 수 있어 부식이 방지되면서 기존의 장식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어 도시미관 개선에 크게 일조할 수 있으며,
셋째, 장기 사용 중 파손부위가 발생할 경우 해당부위를 해체하여 볼트,너트를 풀고 새것으로 교체하면 간단히 재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넷째, 각종 운동경기장이나 공원, 도시가로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할 시 외관장식미가 우수하게 되어 환경 개선 효과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용 경계석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계석 본체(1)를 일정두께의 철판재로 포밍가공하여 하부측에는 날개편(2)을 외향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양단 개구부에는 외주면이 절곡된 뚜껑편(5)을 끼워 고정하며, 날개편(2)의 양단에는 결합 구멍(4a)이 뚫린 고정편(4)을 고정 설치하여 볼트(8), 너트(9)로 연속 조립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인도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본체(1)에는 길이 방향으로 보강 절곡부(3)를 포밍가공으로 형성하고 뚜껑편(5)에 조립용 돌기부(6)와 요입부(7)를 교차되게 형성하여서 된 차도 인도 경계석.
KR2020010018522U 2001-06-20 2001-06-20 차도 인도 경계석 KR200248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522U KR200248495Y1 (ko) 2001-06-20 2001-06-20 차도 인도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522U KR200248495Y1 (ko) 2001-06-20 2001-06-20 차도 인도 경계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433A Division KR100443620B1 (ko) 2002-06-11 2002-06-11 차도 인도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95Y1 true KR200248495Y1 (ko) 2001-10-31

Family

ID=7310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522U KR200248495Y1 (ko) 2001-06-20 2001-06-20 차도 인도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237B1 (ko) * 2017-03-27 2018-02-22 권오석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237B1 (ko) * 2017-03-27 2018-02-22 권오석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328B1 (ko) 가로등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매립박스
US9398996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KR200248495Y1 (ko) 차도 인도 경계석
KR100443620B1 (ko) 차도 인도 경계석
JPH0258610A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KR200387387Y1 (ko) 도로 경계석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JP5893577B2 (ja) 境界ブロック
KR200401175Y1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JP6144319B2 (ja) 境界ブロック
KR101135350B1 (ko)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CN217678783U (zh) 预制装配式防撞护栏
JP3067453U (ja) 縁石部を備えた排水溝ブロックの蓋
KR200165807Y1 (ko) 철재 도로경계석
CN220394651U (zh) 一种骑跨车行道边线的井盖结构
KR200320465Y1 (ko) 도로 경계석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213559Y1 (ko) 금속판으로 보강한 건설용 블록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JP3066227U (ja) コンクリ―ト製排水溝ブロックの蓋
KR200305711Y1 (ko) 지하 보행자 도로의 소음공해방지를 위한 안전보호시설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KR100592184B1 (ko)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