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37B1 -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37B1
KR101831237B1 KR1020170038515A KR20170038515A KR101831237B1 KR 101831237 B1 KR101831237 B1 KR 101831237B1 KR 1020170038515 A KR1020170038515 A KR 1020170038515A KR 20170038515 A KR20170038515 A KR 20170038515A KR 101831237 B1 KR101831237 B1 KR 10183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frame
boundary
horizont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Original Assignee
권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석 filed Critical 권오석
Priority to KR102017003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새로운 미감과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본 발명은 제1철골조; 및 상기 제1철골조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제1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제1철골조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지며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2개의 수평골조; 및 상기 두 수평골조를 상호 연결하도록 두 수평골조의 양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수평골조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마감판재; 및 상기 두 수평부를 연결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단부는 수평부의 상부로 돌출되고, 타측단부는 수평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수평골조의 수직부는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에 대응하는 외측면이 경계석의 전면 및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마감판재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우 측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 마감판재에는 경계석의 전면이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와이어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Concrete boundary stone and street tree protection assembly using th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경계석과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조를 내부에 포함하여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콘크리트 경계석과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획하거나,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을 구획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연석,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있다.
한편, 자연석으로는 화강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강암 경계석은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이 가지며 미관이 뛰어난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값이 비싸고,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플라스틱으로 된 경계석은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고, 폐합성수지를 활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므로 자재의 수급이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내화성의 결여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도 갖고 있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로 된 경계석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많은 양의 경계석을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내구성이 약해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계석은 밋밋한 표면을 갖는 육면체의 블록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른 경계석이나 주변 구조물과의 사이에 결속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콘크리트 경계석을 시공함에 있어서,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을 단순히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경계석의 배열상태가 쉽게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642호(2015.02.11.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미감과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손쉽게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제1철골조; 및 상기 제1철골조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제1철골조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제1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제1철골조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앵글로 이루어지되, 경계석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구조를 갖는 2개의 수평골조; 및 상기 두 수평골조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두 수평골조의 양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수평골조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마감판재; 및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상기 두 수평부를 연결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단부는 수평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두 수평부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의 제1영역에 매립되고, 타측단부는 수평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평부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의 제2영역에 매립되면서 제1콘크리트층과 제1철골조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수평골조의 수직부는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에 대응하는 외측면이 경계석의 전면 및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마감판재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우 측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 마감판재에는 경계석의 전면이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와이어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두 마감판재의 하단부에는 밑단이 개방된 구조의 제1바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제1바닥홈에 대응하는 제1삽입공간에 형성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블록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연속되며 제1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의 배치 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간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간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을 둘러싸는 4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 및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이 형성하는 4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호 직교하게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연결석은, 제2철골조와, 상기 제2철골조의 주위에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철골조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에 형성된 마감판재와 마주하면서 밀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마감판재에 형성된 결속돌기와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도록 돌출된 또 다른 결속돌기가 형성된 제1,2판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경계석을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경계석의 내부에 철골조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경계석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계석의 외부로 철골조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므로, 콘크리트 경계석의 디자인을 개선하여 도시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 경계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속돌기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웃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하게 되면, 시공 후 콘크리트 경계석의 배열구조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최초 시공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철골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철골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콘크리트층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배치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8 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이 와이어 및 자석의 인력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영구자석 및 결속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영구자석 및 결속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결속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의 평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의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석의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철골조의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콘크리트층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10)은 제1철골조(100)와 제1콘크리트층(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철골조(100)가 제1콘크리트층(200)의 내부에 포함되되, 제1철골조(100)가 부분적으로 제1콘크리트층(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콘크리트 경계석의 미감을 변화시키고, 제1콘크리트층(200)의 손상을 방지하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의 결속구조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은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조하기 위하여 준비된 거푸집의 내부에 제1철골조(100)를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철골조(100)와 제1콘크리트층(2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철골조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철골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철골조(100)는 2개의 수평골조(110,120)와, 2개의 마감판재(130,14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골조(110,120)는 수평부(111,121)와 수직부(112,122)를 갖는 공지의 앵글로 구성되며, 콘크리트 경계석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콘크리트 경계석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콘크리트 경계석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앵글로 구성되는 두 수평골조(110,120)는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되, 두 수평골조(110,120)의 수평부(111,121)가 수직부(112,122) 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경계석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수직부(112), 수평부(111), 수평부(121), 수직부(122)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두 수평골조(110,120)의 수직부(112,122)는 외측면(112a,122a)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 및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두 수평골조(110,120) 중 어느 한 수평골조(110)의 수직부(112)는 외측면(112a)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한 수평골조(120)의 수직부(122)는 외측면(122a)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재(130,140)는 평판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되, 두 수평골조(110,120)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두 수평골조(110,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측면을 폐쇄하고, 더불어 두 수평골조(110,120)의 하부로 돌출되어 두 수평골조(110,120)의 하부에 제1콘크리트층(200)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감판재(130,140)는 두 수평골조(110,12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폐쇄하도록 2개로 구성되며, 2개의 마감판재(130,140)는 수평골조(110,120)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판재(130,140)의 하단부에는 밑단이 개방된 구조의 제1바닥홈(131,1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홈(131,141)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블록(300:도 6에 도시됨)이 삽입되는 홈으로써, 마감판재(130,140)의 하단부에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감판재(130,140)는 수평골조(110,120)와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입체적인 형태를 갖는 골조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두 마감판재(130,140)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각각 노출된다.
이처럼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우측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두 마감판재(130,140)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돌기(132,14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돌기(132,142)는 마감판재(130,14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언급된 마감판재(130,140)의 양측면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에 대응하는 측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돌기(132,142)는 마감판재(130,1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의 양단부에 결속돌기(132,142)가 위치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와이어로 묶어 결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재(130,140)에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33,14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33,143)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결속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마감판재(130,140)에 각각 형성되되,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두 콘크리트 경계석에 형성된 마감판재(130,140)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경우, 두 마감판재(130,140)에 각기 형성된 제1체결공(133,143)들이 일치하여 하나의 연속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공(133,143)은 각 마감판재(130.14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철골조(100)에 있어서, 두 수평골조(110,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수평골조(110,120)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200)에 매립되어 수평골조(110,120)와 제1콘크리트층(200)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150)는 직경 2㎜ 이상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부가 두 수평골재의 수평부(111,12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두 수평부(111,121)를 연결하며, 일측단(150a)은 수평부(111,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수평부(111,121)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200)에 매립되고, 타측단(150b)은 수평부(111,1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평부(111,121)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200)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1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경계석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두 수평부(111,121)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콘크리트층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콘크리트층(200)은 제1철골조(100)의 주위에 형성된 콘크리트층으로,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조하기 위하여 준비된 거푸집에 제1철골조(1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방식으로 제1철골조(100)의 주위에서 제1철골조(100)와 일체화된 제1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200)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두 수평골조(110,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수평부(111,121)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영역(201)과, 수평부(111,121)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2영역(202)과, 두 수평부(111,121)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영역(201,202)을 연결하는 제3영역(2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영역(202)에는 마감판재(130,140)에 형성된 제1바닥홈(131,141)와 함께 결속블록(30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삽입공간(210,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간(210,220)은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의 내부에 제1삽입공간(210,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블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층(200)에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간(230,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간(230,240)은 마감판재(130.140)에 형성된 제1체결공(133,14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체결공(133,143)에 연속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제1체결공(133,143)에 삽입되는 볼트의 배치 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제1체결공간(230,240)은 제1콘크리트층(200)의 좌우측 양단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배치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10)은 제1철골조(100)의 일부분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외부로 노출되어 콘크리트 경계석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경계석과는 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제1철골조(100)는 직접 충격을 전달받거나 제1콘크리트층(200)을 견고히 잡아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경계석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10)을 일렬구조로 배치하여 도로의 경계석을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으로 돌출된 결속돌기(132,142)를 와이어(W)로 묶어주게 되면,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이 물리적으로 결속됨에 따라 콘크리트 경계석의 최초 시공상태를 장기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결속돌기(132,142)와 와이어(W)에 의해 구현되는 결속구조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에서 와이어(W)를 묶는 작업을 통해 손쉽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경계석의 시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재(130,140)에 형성된 제1체결공(133,143)과 제1콘크리트층(200)에 형성된 제1체결공간(230,240)을 이용하여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하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체결공(133,143)과 제1체결공간(230,240)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경계석의 부피를 증가시키거나 구조를 복합하게 하지 않고도 두 콘크리트 경계석간에 추가적인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콘크리트 경계석이 와이어 및 자석의 인력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132,142) 및 와이어(W)와 별도로 인접한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의 결속구조를 구현하여 추가적인 결속구조에 의해 두 콘크리트 경계석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영구자석(161,162)이 제1철골조(100)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구자석(161,162)은 제1철골조(100)를 구성하는 두 마감판재(130,14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처럼 두 마감판재(130,140)에 제1영구자석(161,162)을 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경계석의 일측 마감판재(130)에 설치되는 제1영구자석(161)은 N극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콘크리트 경계석의 타측 마감판재(140)에 설치되는 제1영구자석(162)은 S극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영구자석(161,162)은 마감판재(130,140)에 제1영구자석(161,162)을 자력으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제1콘크리트층(20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제1영구자석(161,162)을 감싸는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마감판재(130,140)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영구자석(161,162)을 포함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을 인접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어느 한 콘크리트 경계석(10)에 구비된 제1영구자석(161)의 N극이 다른 한 콘크리트 경계석(10)에 구비된 제1영구자석(162)의 S극에 마주하도록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을 인접하게 배치할 경우,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의 사이에 제1영구자석(161,162)에 의한 인력이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결속구조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평면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영구자석 및 결속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영구자석 및 결속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13은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결속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10)에 구비되는 두 마감판재(130,140) 중, 어느 한 마감판재(140)에는 제2영구자석(171)과 결속홈(172)이 더 구비되고, 다른 한 마감판재(130)에는 제3영구자석(173)과 결속편(174) 및 레버(1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영구자석(171)은 콘크리트 경계석에 구비된 두 마감판재(130,140) 중, 일측 마감판재(14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결속홈(172)은 제2영구자석(171)이 설치된 마감판재(140)에 형성되되, 제2영구자석(17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영구자석(173)은 제2영구자석(171)이 설치된 마감판재(140)의 반대쪽에 위치한 마감판재(130)에 설치되되, 제2영구자석(171)과 마주하는 경우, 제2영구자석(171)과 반응하여 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제2영구자석(17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콘크리트 경계석의 안쪽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3영구자석(173)의 이동과 상기 결속편(174)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180)가 해당 마감판재(1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편(174)은 제3영구자석(173)의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175)를 통해 제3영구자석(173)의 움직임을 전달받아 이동하되, 제3영구자석(173)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경계석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결속홈(17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175)는 제3영구자석(173)와 결속편(174)을 연결하여 제3영구자석(173)의 움직임을 결속편(174)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단이 제3영구자석(173)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결속편(174)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구조(180)에 마련된 회전축(181)에 결합되어 회전축(18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3영구자석(173)의 움직임을 결속편(174)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3영구자석(171,173)과 결속편(174) 및 레버(175)를 더 포함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을 인접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제2,3영구자석(171,173)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할 경우, 제2,3영구자석(171,173)의 사이에 척력이 형성되고, 이 척력에 의해 제3영구자석(173)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안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제3영구자석(173)의 움직임이 레버(175)에 의해 결속편(174)으로 전달되어 결속편(174)이 콘크리트 경계석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결속홈(172)에 삽입됨에 따라 이웃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의 물리적인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 영구자석의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이나 척력을 이용한 결속방식은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경계석은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을 주변 인도와 구분하기 위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석의 사시도를,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철골조의 사시도를,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콘크리트층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는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10)과, 4개의 콘크리트 연결석(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10)은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을 둘러싸는 경계구조를 형성하도록 4각형의 구조로 배치된다. 이때 사각형의 각 변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콘크리트 경계석(1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콘크리트 경계석(10)에 대한 구조는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콘크리트 경계석(10)의 세부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연결석(40)은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10)이 형성하는 4각형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직교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10)을 연결하는 것으로, 제2철골조(410)와 제2콘크리트층(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철골조(410)는 제1판재(411)와 제2판재(412) 및 연결판재(4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판재(411)는 직교하는 구조로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 중 어느 한 콘크리트 경계석에 마주하는 부분으로, 제1철골조(100)의 마감판재(130,14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판재(411)는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하나의 결속돌기(4111)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밑단이 개방된 제2바닥홈(411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재(130,140)에 형성된 제1체결공(133,143)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411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판재(412)는 직교하는 구조로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 중 나머지 한 콘크리트 경계석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판재(411)와 직교하는 구조를 갖도록 결합되며, 제1판재(411)와 마찬가지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하나의 결속돌기(4121)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밑단이 개방된 제2바닥홈(412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재(130,140)에 형성된 제1체결공(133,143)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412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재(413)는 제1판재(411)와 제2판재(412)의 외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판재로써, 원호의 형태로 굽어지며, 상기 제1,2판재(411,412)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콘크리트층(420)은 제2철골조(410)의 주위에서 제2철골조(41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제2콘크리트층(420)은 콘크리트 연결석(40)의 제조를 위하여 준비된 거푸집에 제2철골조(410)를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콘크리트층(42)에는 제1,2판재(411,412)에 형성된 제2바닥홈(4112,4122)에 대응하는 제2삽입공간(421,422)이 형성되어 결속블록(300)에 의해 콘크리트 경계석과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4113,4123)에 연속되어 제2체결공(4113,4123)에 삽입되는 볼트의 배치 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체결공간(423,4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연결석(40)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재(411,412)에는 콘크리트 경계석(10)에 구비되는 제1영구자석(161,162)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4영구자석(414,4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는 콘크리트 경계석(10)과 콘크리트 연결석(40)이 와이어(W)에 의해 1차 결속되고, 결속블록(300)에 의해 2차 결속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3차 결속되고,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4차 결속되므로, 시공 후, 콘크리트 경계석(10)이나 콘크리트 연결석(40)의 배열상태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크리트 경계석 100: 제1철골조
110: 수평골조 111: 수평부
112: 수직부 120: 수평골조
121: 수평부 122: 수직부
130: 마감판재 131: 제1바닥홈
132: 결속돌기 133: 제1체결공
140: 마감판재 141: 제1바닥홈
142: 결속돌기 143: 제1체결공
150: 연결재 161: 제1영구자석
162: 제1영구자석 171: 제2영구자석
172: 결속홈 173: 제3영구자석
174: 결속편 175: 방향전환기구
1751: 레버 180: 가이드 구조
181: 회전축 200: 제1콘크리트층
210: 제1삽입공간 220: 제1삽입공간
230: 제1체결공간 300: 결속블록
40: 콘크리트 연결석 410: 제2철골조
411: 제1판재 4111: 결속돌기
4112: 제2바닥홈 4113: 제2체결공
412: 제2판재 4121: 결속돌기
4122: 제2바닥홈 4123: 제2체결공
413: 연결판재 414: 제4영구자석
415: 제4영구자석 420: 제2콘크리트층
421: 제2삽입공간 422: 제2삽입공간
423: 제2체결공간 424: 제2체결공간

Claims (9)

  1. 제1철골조; 및
    상기 제1철골조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제1철골조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제1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제1철골조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앵글로 이루어지되, 경계석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구조를 갖는 2개의 수평골조; 및
    상기 두 수평골조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두 수평골조의 양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수평골조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마감판재; 및
    상호 마주한 채로 이격된 상기 두 수평부를 연결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단부는 수평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두 수평부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의 제1영역에 매립되고, 타측단부는 수평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평부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층의 제2영역에 매립되면서 제1콘크리트층과 제1철골조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수평골조의 수직부는 경계석의 전면과 배면에 대응하는 외측면이 경계석의 전면 및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마감판재는 콘크리트 경계석의 좌우 측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 마감판재에는 경계석의 전면이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와이어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마감판재의 하단부에는 밑단이 개방된 구조의 제1바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제1바닥홈에 대응하는 제1삽입공간에 형성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결속블록으로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연속되며 제1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의 배치 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간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간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전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2,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을 가지며,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을 둘러싸는 4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 및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경계석이 형성하는 4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호 직교하게 배치된 두 콘크리트 경계석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연결석은,
    제2철골조와, 상기 제2철골조의 주위에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철골조는, 두 콘크리트 경계석에 형성된 마감판재와 마주하면서 밀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마감판재에 형성된 결속돌기와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도록 돌출된 또 다른 결속돌기가 형성된 제1,2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을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에는 마감판재에 형성된 제1체결공에 연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제2체결공에 연속되며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의 배치 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간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공간은 제2콘크리트층의 외측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을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9. 삭제
KR1020170038515A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KR10183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15A KR101831237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15A KR101831237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237B1 true KR101831237B1 (ko) 2018-02-22

Family

ID=6138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515A KR101831237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59B1 (ko) * 2018-12-27 2019-11-14 최영자 경계석용 줄눈 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95Y1 (ko) * 2001-06-20 2001-10-31 주식회사 광국실업 차도 인도 경계석
KR100628749B1 (ko) * 2006-06-19 2006-10-02 (주)미래기술단 조립식 도로 엘형측구 설치구조
KR100848475B1 (ko) * 2007-03-19 2008-07-25 이익규 야광기능을 갖는 도로안전 경계석의 이중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95Y1 (ko) * 2001-06-20 2001-10-31 주식회사 광국실업 차도 인도 경계석
KR100628749B1 (ko) * 2006-06-19 2006-10-02 (주)미래기술단 조립식 도로 엘형측구 설치구조
KR100848475B1 (ko) * 2007-03-19 2008-07-25 이익규 야광기능을 갖는 도로안전 경계석의 이중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59B1 (ko) * 2018-12-27 2019-11-14 최영자 경계석용 줄눈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4958C2 (ru) Светопроводя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оружений и зданий, а также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923049B1 (ko) 조립식 옹벽구조
US20020059761A1 (en) Wall forming system for retaining and non-retaining concrete walls
US20170218622A1 (en) Precast hollow block wall system and form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83550B1 (ko)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31237B1 (ko) 콘크리트 경계석과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조립체
EP0481937B1 (en) A modular construction joist made up of a high-strength 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suitable for realizing grids, and closure members subjected to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EP2694745B1 (en)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CN202831782U (zh) 木塑围栏的连接结构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CN103334393A (zh) 一种公路墙式防撞护栏及其施工方法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100974329B1 (ko) 경계블록
KR20000067469A (ko) 도로보차도 경계석의 조인트장치
KR20180049819A (ko) 불규칙 돌출방식의 장식용 판석 선붙임 구조의 옹벽패널 및 그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패널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8132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231179B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1538001B1 (ko) 콘크리트 파일
JP6144319B2 (ja) 境界ブロック
KR102202881B1 (ko) 가로등받침 보도 틀
KR200252855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2311879B1 (ko) 사방댐 구축용 블럭 조립체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