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896B1 -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 Google Patents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896B1
KR100888896B1 KR1020080076079A KR20080076079A KR100888896B1 KR 100888896 B1 KR100888896 B1 KR 100888896B1 KR 1020080076079 A KR1020080076079 A KR 1020080076079A KR 20080076079 A KR20080076079 A KR 20080076079A KR 100888896 B1 KR100888896 B1 KR 10088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ground
coil spring
coupled
panel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각수
Original Assignee
오리코스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코스포텍(주) filed Critical 오리코스포텍(주)
Priority to KR102008007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지표면(10) 상에 결합된 격자형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140);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패널; 상기 지표면(10)부터 상부패널까지의 측면 테두리를 두르도록 결합된 경계블록(300); 및 배수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요철부(160);를 포함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가 소개된다. 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에 따르면, 동일한 높이의 바닥재로도 종래의 바닥재보다 충격허용높이가 증대된다. 또한, 배수가 용이하고, 열에 의한 변형에 강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운동장, 바닥재

Description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BASILAR LAYER WITH ELASTICITY FOR PLAYGROUND}
본 발명은 놀이터 등 운동장에 설치되며, 반영구적이고 환경친화적이며 충격흡수 효율이 뛰어난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놀이터 등 운동장에는 인체의 상해를 저감하고 깔끔한 환경을 연출하고자 그 지표면에 모래 대신 탄성이 구비된 바닥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는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경우는 탄성 고무로 구성된 매트를 설치한 경우이다. 탄성 매트는 지면(10)에 매트의 넓이만큼의 홈(12)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매트(30)를 상호 접착하여 매립하는 구조이다. 탄성 매트의 경우는 그 설치가 용이하고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의 유지가 쉽지 않고, 배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오염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법규적으로 탄성매트는 그 두께가 5 cm를 넘지 못하는데, 이 경우 허용되는 충격물의 낙하높이는 120 cm에 불과하다.
도 2의 경우는 폐타이어칩으로 구성된 바닥재를 까는 경우이다. 지면(10)에 홈(12)을 형성한 후 자갈이나 콘크리트층(50)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폐타이어칩 층(40)을 형성하는 것이다. 폐타이어칩의 경우는 그 착지감이 우수한 반면 콘크리트의 양생과 같은 양생과정을 거쳐야하고, 여름에 햇빛 등에 노출된 경우 변형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 표면이 부스러져 깎임으로써 변형이 일어나고, 폐타이어칩의 분진의 경우는 인체의 건강에 매우 해롭기 때문에 위생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형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배수가 용이하며, 위생적으로 뛰어나고, 충격 흡수의 한도가 증가된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는, 지표면 상에 결합된 격자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패널; 상기 지표면부터 상부패널까지의 측면 테두리를 두르도록 결합된 경계블록; 및 배수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은 연접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각 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표면에는 하부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하부패널 상에 결합되며, 하부패널은 배수를 위해 하단 내지 상단이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코일스프링에는 운동기구의 기둥 하단부가 삽입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측의 상부패 널에는 상부패널에 걸리는 플렌지가 형성된 기둥 브라켓이 삽입되고, 그 기둥 브라켓과 코일스프링에 기둥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탄성밴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에 따르면, 동일한 높이의 바닥재로도 종래의 바닥재보다 충격허용높이가 증대된다.
또한, 배수가 용이하고, 열에 의한 변형에 강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삭제
아울러, 자체적인 탄성의 한도가 뛰어나 그 자체로도 어린이들의 놀이기구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100)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는, 지표면(10) 상에 결합된 격자형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140);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패널; 상기 지표면(10)부터 상부패널까지의 측면 테두리를 두르도록 결합된 경계블록(300); 및 배수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요철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100)는 최소한 지면(10)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우천시에도 그 배수가 용이하다. 또한, 그 테두리에는 경계블록(300)을 결합하여 내구성이 유지된다. 상부패널의 상면에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요철부(160)가 결합되어 결합성을 증대시키고, 우천시 빗물이 요철부(160)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배수가 용이하며, 발디딤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분해 사시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100)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최하단에 하부패널(120)을 설치한다. 하부패널(120)은 배수를 위해 하단 내지 상단이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패널(120)은 생략이 가능하며, 지면에는 하부패널 대신 프레임(130)이 바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부패널(120)의 상면에는 프레임(130)이 결합된다. 프레임(130)은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하부패널(120) 상에 단단히 결합된다. 프레임(130)은 격자형으로써, 각 격자의 모서리에는 탄성 코일스프링(140)이 결합되고, 각 코일스프링(140)의 사이에도 추가로 또 다른 코일스프링(140)이 설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40)은 프 레임(130)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하단이 유동되지 않고 하부패널(120) 상에 고정된다. 코일스프링(140)의 강도는 바닥재의 설계 두께에 따라 변화되며, 재질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140)의 지름은 10 cm 내외로 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코일스프링(140)은 상하의 진동을 흡수하고, 좌우로는 유동이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는 상부패널이 결합된다.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을 규제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는 격자형 프레임을 결합한 후 상부패널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패널은 운동장의 넓이와 가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플레이트(150)를 연접하도록 결합한 후 각 플레이트(15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부패널이 복수의 플레이트(150)의 결합임을 가정한다. 물론, 상부패널은 일체의 하나의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150)는 충격의 흡수와 코일스프링의 눌림에 따른 유동을 위하여 고무재질이나 직물재질로 형성한다.
각각의 플레이트(150)는 그 사이마다 요철부(160)를 통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요철부(160)는 플레이트(1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요철부(162), 플레이트(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요철부(164) 및 상부요철부(162)와 하부요철부(164)를 이어주는 이음부(163)로 구성될 수 있다. 요철부(160)와 각각의 플레이트(150)는 결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볼트결합을 통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이 완료된 하부패널(120), 스프링(140), 상부패널의 측단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테두리를 두르는 경계블록(300)을 설치함으로써 바닥재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5는 바닥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각 구성의 결합을 살펴본다. 하부패널(120)에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프레임 상에는 코일스프링(14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는 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한 세트를 이루며, 각각의 세트는 요철부(160)를 통하여 플레이트(150)가 연결됨으로써 상부패널을 이루도록 한다. 바닥재의 테두리에는 경계블록(300)을 설치하여 측면을 규제한다. 또한, 하부패널(120) 상단의 높이는 최소한 지면(10)보다 높도록 마련되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도 6은 요철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요철부는 도 6의(a)와 같이 이음부(163)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의(b)와 같이 상부요철부(162)만을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요철부(162)만을 형성할 경우는 플레이트(150)들을 결합한 후 그 이음새의 상단에 상부요철부(162)를 접합하도록 한다. 또한, 요철부(160)는 플레이트(150)의 연접부에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연접부의 사이에도 등 간격으로 결합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운동기구의 기둥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운동장에는 놀이기구와 운동기구가 설치되는데, 그러한 운동기구의 기둥(5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둥 브라켓(152)을 설치한다. 플레이트(150)의 코일스프링(140)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기둥 브라켓(152)을 삽입한다. 기둥 브라켓(152)의 외면에는 플레이트(150)에 걸리는 플렌지(153)가 형성되고, 기둥 브라켓(152)의 삽입시 그 플렌지(153)가 플레이트(150)의 상단에 걸 리도록 하여 브라켓(15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운동기구의 기둥(500)은 그 기둥 브라켓(152)의 내측에 삽입되고 그대로 하강하여 코일스프링(140)을 관통한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140)의 하단에 기둥(500)의 하단이 고정되는 고정구(154)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운동기구의 기둥(500)은 기둥 브라켓(152)과 스프링(14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코일스프링(140)은 기둥(500)을 감싸며 상하 탄성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기둥 브라켓(152)은 그 길이를 하방으로 연장하여 코일스프링(1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각 코일스프링간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각의 코일스프링(140)은 그 하단의 경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 역시 별도로 마련된 상단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40)의 좌우 요동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코일스프링(140)의 중단을 연결하는 탄성밴드(142)를 이용할 수 있다. 그 탄성밴드(142)는 고무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단프레임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40)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밴드(142)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40)의 적절한 유동을 허용하며 유동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탄성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폐타이어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철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둥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탄성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면 100 : 바닥재
120 : 하부패널 130 : 프레임
140 : 코일스프링 150 : 플레이트
160 : 요철부 300 : 경계블록
500 : 기둥

Claims (6)

  1. 지표면(10) 상에 결합된 격자형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140);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패널;
    상기 지표면(10)부터 상부패널까지의 측면 테두리를 두르도록 결합된 경계블록(300); 및
    배수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요철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은 연접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150)로 구성되고, 상기 요철부(160)는 각 플레이트(15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10)에는 하부패널(12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30)은 하부패널(120) 상에 결합되며, 하부패널(120)은 배수를 위해 하단 내지 상단이 지표면(10)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140)에는 운동기구의 기둥 하단부(500)가 삽입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측의 상부패널에는 상부패널에 걸리는 플렌지(153)가 형성된 기둥 브라켓(152)이 삽입되고, 그 기둥 브라켓(152)과 코일스프링(140)에 기둥 하단부(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코일스프링(140)은 탄성밴드(142)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KR1020080076079A 2008-08-04 2008-08-04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KR10088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79A KR100888896B1 (ko) 2008-08-04 2008-08-04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79A KR100888896B1 (ko) 2008-08-04 2008-08-04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896B1 true KR100888896B1 (ko) 2009-03-16

Family

ID=4069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079A KR100888896B1 (ko) 2008-08-04 2008-08-04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79A (ja) * 1996-03-29 1997-10-07 Kazuo Yuzuhara 木造建築物における免震装置
KR20040089038A (ko) * 2004-09-23 2004-10-20 (주)씨에스티개발 건축용 충격흡수형 보도블록
KR200401175Y1 (ko) 2005-08-30 2005-11-15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79A (ja) * 1996-03-29 1997-10-07 Kazuo Yuzuhara 木造建築物における免震装置
KR20040089038A (ko) * 2004-09-23 2004-10-20 (주)씨에스티개발 건축용 충격흡수형 보도블록
KR200401175Y1 (ko) 2005-08-30 2005-11-15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525B2 (en) Impact-attenuating, firm, stable, and slip-resistant surface system
KR200443218Y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938795B1 (ko)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KR100888896B1 (ko)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271269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20120047400A (ko) 배수블록
KR20160073522A (ko)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MX2010010736A (es) Sistema de drenaje, aparato y metodo.
KR100883395B1 (ko)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CN203890834U (zh) 透水型聚氨酯塑胶跑道
KR101938792B1 (ko) 인조잔디의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배수판
KR100803056B1 (ko) 공동주택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CN206233651U (zh) 拼装式游泳滑冰双功能池体结构
KR100644386B1 (ko) 하단부 돌출형 고무블록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024977B1 (ko) 탄성포장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탄성포장 구조체
KR102285538B1 (ko) 배수기능을 가지는 화강석 보도블록
KR102065768B1 (ko) 배수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KR101091012B1 (ko) 배수블록을 이용한 인조잔디 운동장의 시공방법
KR101089505B1 (ko) 폐 매트리스를 재활용한 놀이터 바닥재
CN205259028U (zh) 一种防滑的吸震地砖
KR101128340B1 (ko) 측면 필터망을 구비한 배수로
KR101307668B1 (ko) 경계시설물
KR102637007B1 (ko) 투수형 친환경 놀이시설 탄성매트
KR102507665B1 (ko) 배수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