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522A -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522A
KR20160073522A KR1020140181932A KR20140181932A KR20160073522A KR 20160073522 A KR20160073522 A KR 20160073522A KR 1020140181932 A KR1020140181932 A KR 1020140181932A KR 20140181932 A KR20140181932 A KR 20140181932A KR 20160073522 A KR20160073522 A KR 2016007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t
trampoline
n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8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522A/ko
Publication of KR2016007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은 탄력이 있는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용수철부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 지면 아래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트램펄린 본체가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설치 피트; 상기 설치 피트의 측벽에 흙막이로 세워지고 채움흙으로 앞뒤가 채워지는 옹벽;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상기 용수철 상부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1 매트; 및 상기 제1 매트와 이어지는 지면 위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2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은 탄력이 있는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용수철부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 위에서 도약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램펄린 본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깊이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높이와 동일하게,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너비보다 30~90㎝ 더 크게 지면 아래로 형성하는 설치 피트 터파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 측벽에 방부목으로 옹벽을 세우고 채움흙으로 앞뒤 채움을 하는 옹벽 세우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의 바닥면이 중앙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 주위에는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자갈을 배치하는 배수구 형성 단계; 상기 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설치 피트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수평을 맞추는 프레임 조립 단계; 상기 프레임의 양 다리부 외측에 접하도록 상기 설치 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 단계; 상기 용수철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네트 설치 단계; 상기 트램펄린 본체에서 상기 용수철부의 상부에 제1 매트를 설치하는 제1 매트 설치 단계; 상기 제1 매트와 이어지도록 지면 위에 제2 매트를 설치하는 제2 매트 설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Underground trampolin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중 트램펄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램펄린의 프레임을 지중에 설치함으로써 지표면과의 높이를 맞춘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
트램펄린은 금속으로 된 프레임에 탄력성이 있는 얇은 네트를 더욱 탄력이 강한 용수철 또는 탄성밴드로 연결시켜서 만드는 운동기구로써, 네트 위에서 도약운동 및 공중곡예를 할 수 있는 기구이다.
이 기구는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게 성장판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신운동 및 균형감각 발달의 효과가 있어 유아용 놀이기구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균형감각 및 신체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유아들은 트램펄린의 반동을 잘 이겨내지 못하므로 여러 명이 함께 뛰는 경우, 트램펄린 밖으로 튕겨져 추락하거나 프레임에 부딪쳐서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설치되는 트램펄린들은 트램펄린의 용수철 상부를 매트로 덮고 트램펄린 주위에 안전망을 설치함으로써 트램펄린에서 발생하는 충돌사고 및 추락사고에 대비하고 있지만, 매트가 탈락하거나 안전망 기둥에 충돌시에는 역시 사용자가 다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개인용 또는 유아용으로 출시된 소형 트램펄린은 작은 크기로 인하여 행동 반경이 제한되며 자유로운 점프 동작을 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명 이상이 자유롭게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대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배려한 트램펄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은 탄력이 있는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용수철부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 지면 아래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트램펄린 본체가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설치 피트; 상기 설치 피트의 측벽에 흙막이로 세워지고 채움흙으로 앞뒤가 채워지는 옹벽;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상기 용수철 상부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1 매트; 및 상기 제1 매트와 이어지는 지면 위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2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피트는 깊이가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높이와 같고,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 다리 외측 하단부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설치 피트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트에는 상기 설치 피트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상기 제1 매트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은 탄력이 있는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용수철부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 위에서 도약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램펄린 본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깊이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높이와 동일하게,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지면 아래로 형성하는 설치 피트 터파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 측벽에 방부목으로 옹벽을 세우고 채움흙으로 앞뒤 채움을 하는 옹벽 세우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의 바닥면이 중앙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 주위에는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자갈을 배치하는 배수구 형성 단계; 상기 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설치 피트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수평을 맞추는 프레임 조립 단계; 상기 프레임의 양 다리 외측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설치 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 단계; 상기 용수철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네트를 연결하는 네트 설치 단계; 상기 트램펄린 본체에서 상기 용수철부의 상부에 제1 매트를 설치하는 제1 매트 설치 단계; 상기 제1 매트와 이어지도록 지면 위에 제2 매트를 설치하는 제2 매트 설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형성 단계는 잡초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에 방초매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램펄린을 지중에 설치하여 트램펄린 네트의 높이를 지표면과 맞춤으로써 트램펄린의 크기와 상관없이 놀이 중 트램펄린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더라도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램펄린을 지중에 설치하더라도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치 피트는 자연 배수가 가능하며 잡초 생장 억제 및 배수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관리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에서 설치 피트 내에 트램펄린을 삽입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에서 설치 피트 내에 삽입한 트램펄린의 상부에 제1 및 제2 매트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상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및 절단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트램펄린(100)의 설치 단면도이다.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은 트램펄린 본체(10), 설치 피트(20), 옹벽(30), 고정부재(40), 제1 매트(50) 및 제2 매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램펄린 본체(10)는 프레임(11), 용수철부(12), 네트(13)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트램펄린과 동일하며, 본 발명은 상기 트램펄린 본체(10)를 지중에 설치하는 구조 및 설치 방법에 대한 것이므로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설치 피트(20)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가 지중에 설치되는 공간으로, 깊이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만든다.
여기에서, 상기 설치 피트(20)의 너비를 더 크게 하는 이유는 상기 옹벽(30) 및 상기 고정부재(4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치 피트(20)의 바닥면(20a)은 중앙을 향해 3~10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21)를 형성하여 우천시 상기 바닥면(20a)에 물고임이 없이 자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설치 피트(20)의 상기 배수구(21) 주위에는 상기 배수구(21)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쇄석 등의 자갈(22)을 깔아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피트(20)에는 잡초가 자라서 도약 운동시 상기 네트(13)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20a)에 방초시트(도시생략)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초시트는 PP, PE, PET 등으로 이루어진 잡초 생장 억제 시트로써 고속도로 주변, 하천제방, 농지 등에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지의 기술이 많이 있고, 본 발명의 상기 방초시트로는 상기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옹벽(30)은 상기 설치 피트(20)의 측벽에서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부목을 이용한 나무 옹벽으로 구성하고 모래와 같은 배수성이 양호한 토사 또는 자갈 등의 채움흙(31)으로 앞뒤 채움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치 피트(20)의 내부 채움시에는 상기 옹벽(30)의 절반 정도가 상기 채움흙(31)으로 덮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옹벽(30)을 영구히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방부목을 콘크리트 타설이나 콘크리트 블록으로 대체하여 상기 옹벽(3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매트(50) 및 상기 제2 매트(60)를 보면, 먼저 상기 제1 매트(50)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상단 프레임(11)과 상기 네트(13)를 연결하는 상기 용수철부(12)의 상부를 덮어 상기 지중 트램펄린 사용자들이 상기 용수철부(12)의 용수철 사이에 발이 빠지거나 부딪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두께 1~10㎝ 사이로 탄력 있는 쿠션 또는 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매트(50)는 상기 상단 프레임(11)의 길이에 따라 장변과 단변에서 상기 용수철부(12)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장변 매트와 단면 매트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트(50)에는 도약 운동시 압축된 공기가 원활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주기 위하여 공기 순환 통로(51)를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50)에 상기 공기 순환 통로(51)를 형성하여 상기 압축된 공기가 상기 제1 매트(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네트(13) 아래로 되돌아가 상기 네트(13)의 탄력이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매트(60)는 상기 제1 매트(50)와 이어지도록 지면(200) 위에 설치하여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 사용자가 도약운동 중에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더라도 상기 제2 매트(60) 위에 착지하여 다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매트(60)는 탄력 있는 쿠션 또는 고무로 상기 제1 매트(50)와 같은 두께 및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 통로(51)는 형성하지 않고, 장변 매트와 단변 매트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매트를 따라 설치한다.
도 6은 고정부재(40)의 사시도 및 절단 단면도를 나타내며, 그 형태는 (a)와 같이 “ㅁ”자로 경계석의 형태이지만 상기 바닥면(20a)이 단단하지 못한 지형일 경우에는 (b)와 같이 “ㄴ”자 형태로 상기 고정부재(40) 위에 상기 다리(11a)가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도약운동시 충격에 의하여 상기 트램펄린 본체(10)가 흔들려서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히야 상기 프레임(11)의 양 다리(11a) 외측 하단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면(20a)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의 코어(41)는 석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층(42)을 형성하여 상기 다리(11a)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은 비사용시에 네트(13)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도시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방수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의 상기 네트(13) 위를 커버하여 우천시 및 새벽에 상기 네트(13)가 물 또는 서리에 젖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중 트램펄린(100)의 설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트램펄린 본체(10)를 설치하기 위하여 깊이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높이와 동일하게,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설치 피트(20)의 터파기를 실시한다.
이후, 상기 설치 피트(20)의 측벽에 방부목으로 옹벽(30)을 세우고, 배수성이 양호한 토사 또는 자갈의 채움흙(31)으로 앞뒤 채움을 하되 상기 설치 피트(20)의 내부는 상기 옹벽(30)의 절반이 덮이도록 채움을 실시한다.
이후, 바닥면(20a)이 중앙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21)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수구(21)를 제외한 상기 바닥면(20a)에는 전체적으로 방초매트를 설치하여 잡초의 생장을 억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수구(21) 주위에는 쇄석 등의 자갈(22)을 깔아 상기 배수구(21)로의 토사 등의 이물질 유입에 대비한다.
이후,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프레임(11)을 조립하고 상기 설치 피트(20) 내에서 수평을 맞춘다.
이후, 상기 프레임(11)의 다리(11a) 외측 하단부에 접하도록 고정부재(40)를 상기 바닥면(20a)에 설치한다.
이후, 용수철부(12)를 이용하여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에 네트(13)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용수철부(12)의 상부에 제1 매트(50)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밴드 또는 끈을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1 매트(50)의 공기 순환 통로(51)와 상기 용수철부(1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매트(50)를 고정한다.
이후, 상기 제1 매트(50)와 이어지는 지면(200) 위에 제2 매트(60)를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트램펄린 본체
11: 프레임
11a: 다리
12: 용수철부
13: 네트
20: 설치 피트
20a: 바닥면
21: 배수구
22: 자갈
30: 옹벽
31: 채움흙
40: 고정부재
41: 코어
42: 탄성층
50: 제1 매트
51: 공기 순환 통로
60: 제2 매트
100: 지중 트램펄린
200: 지면

Claims (6)

  1. 탄력이 있는 네트(13), 상기 네트(13)를 지지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네트(13)를 연결하는 용수철부(12)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10);
    지면(200) 아래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트램펄린 본체(10)가 설치되며, 바닥면(20a)에는 배수구(21)가 형성되는 설치 피트(20);
    상기 설치 피트(20)의 측벽에 흙막이로 세워지고 채움흙(31)으로 앞뒤가 채워지는 옹벽(30);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상기 용수철(12) 상부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1 매트(50); 및
    상기 제1 매트(50)와 이어지는 지면 위에 설치되며 탄력이 있는 제2 매트(60);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피트(20)는 깊이가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높이와 같고,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트램펄린(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양 다리(11a) 외측 하단부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설치 피트(20)의 바닥면(20a)에 설치되어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50)에는 상기 설치 피트(20)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상기 제1 매트(5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통로(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트램펄린(100).
  5. 탄력이 있는 네트(13), 상기 네트(13)를 지지하는 프레임 (11) 및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네트(13)를 연결하는 용수철부(12)로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13) 위에서 도약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램펄린 본체(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깊이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높이와 동일하게, 너비는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의 너비보다 30~120㎝ 더 크게 지면 아래로 형성하는 설치 피트(20) 터파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20) 측벽에 방부목으로 옹벽(30)을 세우고 채움흙(31)으로 앞뒤 채움을 하는 옹벽(30) 세우기 단계;
    상기 설치 피트(20)의 바닥면(20a)이 중앙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21)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21) 주위에는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자갈(22)을 배치하는 배수구 형성 단계;
    상기 프레임(11)을 조립하고, 상기 설치 피트(20) 내에서 상기 프레임(11)의 수평을 맞추는 프레임(11) 조립 단계;
    상기 프레임(11)의 양 다리(11a) 외측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설치 피트(20)의 바닥면(20a)에 고정부재(40)를 설치하는 고정부재(40) 설치 단계;
    상기 용수철부(12)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에 상기 네트(13)를 연결하는 네트(13) 설치 단계;
    상기 트램펄린 본체(10)에서 상기 용수철부(12)의 상부에 제1 매트(50)를 설치하는 제1 매트(50) 설치 단계;
    상기 제1 매트(50)와 이어지도록 지면 위에 제2 매트(60)를 설치하는 제2 매트(60)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의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형성 단계는 잡초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받가면(20a)에 방초매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의 설치방법.
KR1020140181932A 2014-12-17 2014-12-17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73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32A KR20160073522A (ko) 2014-12-17 2014-12-17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32A KR20160073522A (ko) 2014-12-17 2014-12-17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22A true KR20160073522A (ko) 2016-06-27

Family

ID=5634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932A KR20160073522A (ko) 2014-12-17 2014-12-17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5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164B1 (en) * 2017-01-12 2018-07-25 Berg Toys Beheer B V Trampoline frame, sunken trampoline, kit of parts, and method
KR102155243B1 (ko) 2019-04-08 2020-09-11 주식회사 지브이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CN112023328A (zh) * 2020-09-03 2020-12-04 临沂大学 一种体育用安全型蹦床
US11980802B2 (en) 2021-02-16 2024-05-14 Kenneth J. Grant Wall module for a modular wal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164B1 (en) * 2017-01-12 2018-07-25 Berg Toys Beheer B V Trampoline frame, sunken trampoline, kit of parts, and method
KR102155243B1 (ko) 2019-04-08 2020-09-11 주식회사 지브이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CN112023328A (zh) * 2020-09-03 2020-12-04 临沂大学 一种体育用安全型蹦床
US11980802B2 (en) 2021-02-16 2024-05-14 Kenneth J. Grant Wall module for a modular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076B2 (en) Unitary safety surface tiles and associated structures
AU2007254892B2 (en) Liner assembly for a sand trap
KR100881167B1 (ko)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60073522A (ko)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US20070087154A1 (en) An Impact-attenuating, Firm, Stable, and Slip-resistant Surfa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EP3202981A1 (en) Safety surface with shock-absorbing b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on site
US20100035730A1 (en) Inflatable jumping device
US20150224354A1 (en) Waterfall pit trampoline
JP6362998B2 (ja) 運動場の排水構造
US10576321B2 (en) In-ground trampoline system
KR20050090699A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KR100888896B1 (ko) 탄성이 구비된 운동장의 바닥재
ES2573541B1 (es) Procedimiento para la instalación de un suelo de seguridad multicapa para parques infantiles y suelo de seguridad obtenido a partir del mismo
KR101307668B1 (ko) 경계시설물
KR101853415B1 (ko) 복합 암거패드
KR101089505B1 (ko) 폐 매트리스를 재활용한 놀이터 바닥재
RU225906U1 (ru) Батут
KR101949207B1 (ko)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
US20240173607A1 (en) Forms for forming gate supports for throwing cages
AU2014100417A4 (en) Improved support structure for an area
KR20110001749U (ko) 씨름 경기장 및 놀이시설의 외곽 안전 설치구
KR101998596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KR20110003983U (ko) 완충재장착 골프연습기
KR200357079Y1 (ko) 화초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볼라드 설치구조
KR20230119987A (ko) 투수형 친환경 놀이시설 탄성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