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415B1 - 복합 암거패드 - Google Patents

복합 암거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415B1
KR101853415B1 KR1020160128520A KR20160128520A KR101853415B1 KR 101853415 B1 KR101853415 B1 KR 101853415B1 KR 1020160128520 A KR1020160128520 A KR 1020160128520A KR 20160128520 A KR20160128520 A KR 20160128520A KR 101853415 B1 KR101853415 B1 KR 10185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rainage
detachable
pad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23A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조경인 상생 협동조합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인 상생 협동조합, 김선우 filed Critical 조경인 상생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6012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4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암거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를 갖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패드의 배수기능에 의해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패드의 강도에 의해 지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 배수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암거패드{Multiple culverts pad}
본 발명은 암거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되되, 배수기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암거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장이나 운동장에 사용되는 잔디는 미관 및 이용자의 보호의 기능을 수행하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천연잔디는 그 자체로 운동을 하는 이용자가 지면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여름철에는 주변의 지열을 흡수하여 운동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바, 그 효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잔디의 경우, 육성 및 관리가 매우 어려워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바, 그 이용성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종래 등록특허 10-0989938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를 통해 경기장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인조잔디는 별도의 유지 보수 관리가 천연잔디에 비해 간편한바, 관리시간 및 비용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인조잔디는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비용이 저렴한 대신에, 우천시에 운동장에 고이는 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키는 배수시설이 필수적인 요건이 되고 있다.
이에, 인조잔디 하측에 맹암거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자갈보조기 층 및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수 아스콘 물질의 투수기 층과 경기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층를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후 인조잔디 매트를 설치하여 운동장 설비를 완료함에 따라, 많은 장비를 투입하여야 함은 물론, 이로 인한 소음발생과 비산먼지의 발생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가져왔고 인조잔디 경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배수와 지중 지지력을 갖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함에 따라, 공사기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를 갖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제1패드의 배수기능에 의해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패드의 강도에 의해 지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 배수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암거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를 갖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패드는, 제1패드판, 내부에 각 배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패드판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 배수부, 상기 각 배수부의 저면에 형성된 하단배수공, 및 상기 제1패드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단배수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패드는, 제2패드판, 및 상기 제2패드판에 복수 개 형성되는 제1배수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공간부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패드의 각 배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패드판에 형성되는 탈부착공, 및 상기 배수부의 하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당 탈부착공을 통과하여 걸려짐에 따라,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돌기와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부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탈부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탈부착돌기는 상기 탈부착돌기가 통과된 탈부착공의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부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탄성적으로 대응된다.
또한, 상기 암거패드는 복수 개 배열되되, 인접한 두 개의 암거패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공, 및 상기 연결공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의 형성 깊이는 해당 암거패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연결홈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암거패드에 의하면, 제1패드의 배수기능에 의해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패드의 강도에 의해 지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 배수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이 더 형성된 복합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에 연결수단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이 더 형성된 복합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암거패드에 연결수단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암거패드(10)는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 및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한다.
제1패드(100)는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120)를 갖고, 제2패드(200)는 제1패드(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탈부착수단(300)은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복합 암거패드(10)는 지중에 복수 개 배열되는 것으로,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가 결합된 상태로 지중에 설치되거나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가 어느 하나만 지중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제1패드(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드판(110)과 배수부(120), 하단배수공(130) 및 상단배수공(140)을 포함한다.
제1패드판(110)은 일정 두께를 갖는다.
또한 배수부(120)는 내부에 각 배수공간부(122)를 갖고, 제1패드판(110)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하단배수공(130)은 각 배수부(12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단배수공(140)은 제1패드판(110)에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패드(200)는 제2패드판(210)과 제1배수공(220)을 포함한다.
제2패드판(210)은 일정 두께를 갖고, 제1배수공(220)은 제2패드(200)에 복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부(120)는 배수공간부(122)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패드(100)는 일 실시 예로, 배수의 기능을 갖는 배수패드 또는 배수판이고, 제2패드(200)는 일정 강도를 갖는 잔디보호매트 기능을 갖는다.
이 제2패드(200)는 제1패드(100)의 하단부를 지지함에 따라, 복합 암거패드(10)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수단(300)은 탈부착공(310)과 탈부착돌기(320)를 포함한다.
탈부착공(310)은 제1패드(100)의 각 배수부(120)에 대응되도록 제2패드판(210)에 형성된다.
또한 탈부착돌기(320)는 배수부(120)의 하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해당 탈부착공(310)을 통과하여 걸려짐에 따라,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를 탈부착시킨다.
여기서, 탈부착돌기(320)와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부(120)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탈부착돌기(330)가 더 형성된다.
이 제2탈부착돌기(330)는 탈부착돌기(320)가 통과된 탈부착공(310)의 가장자리가 배수부(12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공(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홈(340)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 배수부(120)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이 절개홈(340)이 탄성적으로 대응하여 암거패드(10)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거패드(10)는 복수 개 배열되되, 인접한 두 개의 암거패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400)이 더 포함된다.
이 연결수단(4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공(410)과 연결돌기(420)로 구성된다.
연결공(410)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연결돌기(420)는 각 연결공(410)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연결수단(400')은 연결홈(410')과 연결편(420')으로 구성된다.
연결홈(410')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연결편(420')은 연결홈(410')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홈(410')의 형성 깊이는 해당 암거패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연결편(420')은 연결홈(410')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연결홈(410')과 연결편(420')에는 관통공(430')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각 관통공(432', 434')는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고정핀(440')이 관통설치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의 연결수단(400, 400')은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10 : 복합 암거패드 100 : 제1패드
110 : 제1패드판 120 : 배수부
130 : 하단배수공 140 : 상단배수공
200 : 제2패드 210 : 제2패드판
220 : 제1배수공 300 : 탈부착수단
310 : 탈부착공 320 : 탈부착돌기
330 : 제2탈부착돌기 340 : 절개홈
400, 400' : 연결수단 410 : 연결공
420 : 연결돌기 410' : 연결홈
420' : 연결편 430' : 관통공
440' : 고정핀

Claims (10)

  1.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를 갖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제1패드판;
    내부에 각 배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패드판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 배수부;
    상기 각 배수부의 저면에 형성된 하단배수공; 및
    상기 제1패드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단배수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드는,
    제2패드판; 및
    상기 제2패드판에 복수 개 형성되는 제1배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공간부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되,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패드의 각 배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패드판에 형성되는 탈부착공; 및
    상기 배수부의 하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당 탈부착공을 통과하여 걸려짐에 따라,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돌기와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부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탈부착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탈부착돌기는 상기 탈부착돌기가 통과된 탈부착공의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부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암거패드는 복수 개 배열되되, 인접한 두 개의 암거패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되, 형성 깊이는 해당 암거패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연결홈;
    상기 각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편;
    대응되는 상기 연결홈과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공; 및
    대응되는 상기 각 관통공에 관통설치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복합 암거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탄성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암거패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28520A 2016-10-05 2016-10-05 복합 암거패드 KR10185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20A KR101853415B1 (ko) 2016-10-05 2016-10-05 복합 암거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20A KR101853415B1 (ko) 2016-10-05 2016-10-05 복합 암거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3A KR20180037823A (ko) 2018-04-13
KR101853415B1 true KR101853415B1 (ko) 2018-06-20

Family

ID=6197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20A KR101853415B1 (ko) 2016-10-05 2016-10-05 복합 암거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4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69B1 (ko) * 2012-05-18 2013-06-13 이선아 인조잔디용 배수판
US20160177562A1 (en) * 2013-04-18 2016-06-23 Viconic Defense Inc. Multi-tiered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159A (ko) * 2006-10-18 2008-04-23 김정현 배수구의 이물질 수거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69B1 (ko) * 2012-05-18 2013-06-13 이선아 인조잔디용 배수판
US20160177562A1 (en) * 2013-04-18 2016-06-23 Viconic Defense Inc. Multi-tiered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3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JP5909311B2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105121744A (zh) 互锁且减震的地砖系统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143428B1 (ko)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KR101271269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101853415B1 (ko) 복합 암거패드
KR101819041B1 (ko) 소형 배수로용 친환경 매트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28428A (ko)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38792B1 (ko) 인조잔디의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배수판
KR20130044675A (ko) 드레인 보드
US10576321B2 (en) In-ground trampoline system
KR101091012B1 (ko) 배수블록을 이용한 인조잔디 운동장의 시공방법
KR102249169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20200062606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1473407B1 (ko)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DE102010016570A1 (de) Verlegeplatte
KR200439482Y1 (ko) 바닥용 탄성 고무매트
KR102190616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20220051452A (ko) 충격 완충패드를 구비한 인조잔디 시스템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KR101089505B1 (ko) 폐 매트리스를 재활용한 놀이터 바닥재
US20170044725A1 (en) Athletic Field Safety Border
KR101307668B1 (ko) 경계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