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428B1 -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428B1
KR101143428B1 KR1020090125113A KR20090125113A KR101143428B1 KR 101143428 B1 KR101143428 B1 KR 101143428B1 KR 1020090125113 A KR1020090125113 A KR 1020090125113A KR 20090125113 A KR20090125113 A KR 20090125113A KR 101143428 B1 KR101143428 B1 KR 10114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artificial turf
drain
filler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249A (ko
Inventor
이선건
Original Assignee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428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93 priority patent/WO2011074841A2/ko
Publication of KR2011006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디형태의 파일이 식모된 섬유기포지; 상기 섬유기포지 상의 파일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 상기 상기 섬유기포지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어 충전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테이프 및;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고, 돌기가 형성된 배수판으로 이루어져서 섬유기포지를 지지하면서 섬유기포지에서 적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의 모듈을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모듈을 시공면적에 따라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얼마든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인조, 잔디, 섬유, 테이프, 연결

Description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fabrication type module for artificial turf installa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부품을 조립하듯이 인조잔디를 지면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옥내나 옥외지역을 막론하고 정서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이나 조경을 위해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운동장에서 운동하는 선수들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잔디 대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운동장과 같이 대체로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인조잔디는 롤형태로 구비되는 바, 이와 같은 인조잔디 롤은 그 길이가 수십 미터 정도로 감겨 구비된다. 이러한 인조잔디 롤은 운동장과 같은 지면에 펼쳐져서 설치된다. 따라서, 지면은 인조잔디로 덮힌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운동장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맹암거를 일정한 간격으 로 매립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자갈보조기층 및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수 아스콘 물질의 투수기층과 경기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층을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후 매트형태의 인조잔디를 설치한 다음, 인조잔디와 사용자를 보호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알갱이를 포설하여 운동장 설비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설비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비를 투입하여야 하고 이로 인한 소음발생과 비산먼지의 발생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가져왔고 인조잔디 경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가 왔을 경우 빗물이 스며들어 배수로까지 도달하여야 배수가 되므로 운동장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비가 그친 후에도 바로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고 빗물이 완전히 스며든 후 배수가 이루어져야만 사용이 가능함으로 경기자는 비가 그쳤다 할지라도 수중에서 경기를 하는 것과 같아서 경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설치방법"을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등록(등록 제10-621678호)된 바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종래기술은 운동장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점점 낮아지는 미세 경사각을 가지도록 운동장의 지면을 단단히 다지는 단계; 지면의 상부에는 우천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해 사각돌기가 전, 후, 좌, 우로 돌출 배열된 배수블록을 각각 전, 후, 좌, 우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배수블록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인조잔디에 스며 드는 물은 배수블록의 사각돌기 사이에 흘러 들어가며, 배수블록의 사각돌기 사이에 흘러 들어온 물은 다시 지면의 미세 경사각에 의해 운동장의 외곽으로 이동되면서 배수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면에 전술한 배수블록이 설치된 후, 배수블록의 상부에 인조잔디 매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잔디배치도(시방서 및 도면)에 따라 (1) 인조잔디 롤을 운반하여 지면에 순서대로 배열하고, (2) 인조잔디 롤을 순서대로 펼친 다음, (3) 서로 인접한 인조잔디와 인조잔디의 테두리를 중첩시킨 후, (4) 중첩된 테두리를 재봉하여 인조잔디들을 연결한다. 이렇게, 인조잔디를 재봉하기 위해서는 2대의 재봉기와 콤프레셔, 지게차, 트랙터, 에어호스 및 리드선, 그리고 카펫 집게 8명과 재봉사 1명, 에어호스 1명, 라인 및 재봉보조 1명, 지게차 운전사 1명, 운반요원 등 총 13명의 인원이 동원된다.
여기서, 재봉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재봉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5) 잔디 파일이 재봉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에어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파일이 아래를 향하게 한 후, (6) 재봉라인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카펫 집게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재봉기의 진행방향을 향해 차례대로 이동하여 재봉을 실시한다. 그리고, 전체 재봉이 완료되면 다시 (7) 반대쪽을 재봉하여 2중 재봉작업을 실시한 후, (8) 겹쳐져 있는 인조잔디를 곧게 펴준 다음 (9) 재봉라인이 표시나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작업을 실시한다.
이렇게, 재봉작업에 의해 인조잔디들이 연결되면 다시 (10) 핫멜트 머신을 이용하여 인조잔디에 라인(파울라인, 주루라인 등)을 부착하고, (11)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인조잔디에 충전한다. 이러한 충전작업은 우선 (12) 라인작업이 완료되어 누워있는 인조잔디의 파일을 브러쉬로 세워준 후 (13) 충전재로 1: 2: 1의 비율로 하부충전층(규사층)과 중간충전층(규사+고무칩) 및 상부충전층(고무칩)을 형성한 다음 (14) 고무칩의 유동을 억제하고 공의 방향성이 없도록 페이브레이션(노출된 파일을 여러가닥으로 만드는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하부충전층은 살포기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전체에 균일하게 포설한 후, 규사가 파일 사이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브러쉬를 이용하여 마무리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배수블럭은 상부에 인조잔디가 배치된다.
그러나, 인조잔디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1) 내지 (13)의 과정을 거쳐야 인조잔디 구장이 완성되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인조잔디는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워 전체를 한꺼번에 교체해야 하므로 예산을 낭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지면 토목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 등록된 전술한 특허를 이용하여 좀더 간편하게 인조잔디 구장을 시공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장기간의 연구 끝에 본 발명이 개발됨에 따라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한편, 인조잔디 제품 중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수십 센티미터의 단위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매트형 인조잔디도 있으나, 이러한 매트형 인조잔디는 사실상 경관용이나 골프연습용으로 제조됨에 따라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활동량이 적은 공간에는 적합하지만, 활동량이 많은 운동장과 같은 공간에는 설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투수성 및 쿠션을 갖는 아스콘 형태의 기층과 배수블럭 및 인조잔디가 일체로 구성되어 연속적인 상태를 이루면서 운동장에 설치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맹암거를 설치하거나 골재를 넣는 것과 같은 토목작업을 생략하고, 단순히 지면을 평탄화 및 구배 작업만 실시한 후 조립식으로 인조잔디를 설치할 수 있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인조잔디에 충전한 상태로 격리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기층을 형성하는 부재가 여러 개의 배수블럭들을 하나로 결속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배수블럭과 인조잔디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가 마련된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라인이 형성되어 조립식으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은, 인조잔디의 설치에 이용되는 모듈에 있어서, 잔디형태의 파일이 식모된 섬유기포지; 상기 섬유기포지 상의 파일 사이에 충전되어 섬유기포지 상에 충전층을 형성하면서 쿠션을 제공하는 과립형태의 충전재; 상기 충전재의 충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서 상기 섬유기포지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고, 박막형태로 형성되어 충전재가 충전층을 형성하는 것을 가이드하면서 충전재가 섬유기포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테이프 및; 상기 가이드 테이프가 설치된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섬유기포지를 지지하면서 섬유기포지에서 적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수하는 배수판 및; 상기 배수판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우수를 배수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수판은, 일측의 단부에 연결고리가 돌출형성되며, 타측의 단부에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연결고리 및 연결공을 통해 조립식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블록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수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패드;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연결고리 및 연결공에 의해 9개 내지 18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섬유기포지 및 배수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섬유기포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투수성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패드는, 접착바인더가 혼합됨에 따라 판상으로 형성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일은 일부의 파일이 다른 파일들과 이종의 색상을 갖는 이종파일로 구성되어 상기 섬유기포지상에 라인이나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은,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의 조립식 모듈을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조립식 모듈을 시공면적에 따라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얼마든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니트 단위로 구성되므로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연속설치방식으로 인조잔디를 시공하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여 단시간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며, 훼 손시 훼손된 부분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비 및 유지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배수블럭의 연결고리를 연결공에 단순히 끼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배수블럭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은 재봉작업이나 파일을 세우거나 다림질하는 작업 및 충전재를 충전하는 작업, 그리고 페이브레이션 작업이 완료된 상태로 세트화되므로 전술한 종래의 시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가이드테이프가 충전재를 구속하므로 충전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충전재가 쿠션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이 돌기들 간의 공간을 통해 우수를 배수하므로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고, 쇼크패드가 충격을 흡수하므로 배수블록의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테이프가 박막식으로 형성되므로 충전재의 충전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파일을 밟을 경우 파일과 함께 눕혀지면서 사용자의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쇼크패드가 상부의 충격을 완충할 뿐만 아니라 탄성재 칩으로 구성되어 탄성재 칩들의 미세한 틈사이로 원활하게 우수를 배수하며, 특히 복수개의 배수블록에 쇼크패드가 한장의 단일체로 성형될 경우 배수블록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배수블록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배수블록들을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설치를 좀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쇼크패드를 접착바인더가 혼합된 과립형태의 탄성재 칩으로 구성할 경우 쇼크패드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며, 쇼크패드를 통해 복수개의 배수블록들을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설치를 좀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쇼크패드의 하부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 쇼크패드가 상부의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쇼크패드가 복수개의 배수블록에 성형될 경우 배수블록들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기포지가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수블록 및 섬유기포지 사이에 완충패드를 마련할 경우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를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이종파일을 섬유기포지에 식모할 경우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동시에 인조잔디 구장에 라인이나 문양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블록에 쇼크패드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 및 쇼크패드의 부분확대도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의 상부에 완충패드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 디형태의 파일(11)이 식모된 섬유기포지(10)와, 상기 섬유기포지(10) 상의 파일(11) 사이에 충전되어 섬유기포지(10)상에 충전층을 형성하는 과립형태의 충전재(20)와, 상기 섬유기포지(10)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박막형의 가이드 테이프(21)와, 상기 섬유기포지(10)의 하면에 고정부착되는 배수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유기포지(10)는 섬유재 원단으로서, 부직포나 팰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pile)(11)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섬유로 세섬유화(세로 방향으로 갈라지는 것, fibrillation) 특성을 갖는 섬유파일(pile)을 37~65㎜ 높이로 직조되고, 직조된 파일(11)을 단일구조(겉잔디만으로 구성) 또는 이중구조(겉잔디와 속잔디로 구성)로 구성된다.
충전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20a) 및/또는 고무칩(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기포지(10)상에 복층의 구조로 충전될 수 있다. 충전재(20)는 섬유기포지(10)의 상부에 부상방지를 위한 쿠션을 제공하고, 파일(11)들을 수직으로 세워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파일(11)은 밟혀도 충전재(20)에 의해 눕혀지지 않는다.
가이드 테이프(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기포지(10)의 테두리 즉 외측면에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상태로 설치된다. 가이드 테이프(21)는 충전재(20)에 대향하는 일면이 접착면(21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테이프(21)는 접착면(21a)을 통해 섬유기포지(10)의 테두리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접착면(21a)에 충전재(20)들이 부착된다. 물론, 가이드 테이프(21)는 접착면(21a)에 충전재(20)들이 부착되 면서 강성이 확보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가이드 테이프(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20)의 충전 높이, 즉 충전층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 테이프(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20)가 섬유기포지(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재(20)가 섬유기포지(10)상에 충전층을 형성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물론, 충전재(20)는 가이드 테이프(21)에 의해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충전된다.
배수블록(3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기포지(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섬유기포지에서 적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수하는 배수판(30a) 및; 배수판(30a)의 상부에 이격상태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돌기(3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섬유기포지(10)의 하면에 접하여 섬유기포지(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31)의 상면은 섬유기포지(10)의 하면에 본딩 등의 접착수단으로 고정부착된다.
배수블록(30)은 배수판(30a)의 상부로 우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수한다. 이때, 배수블록(30)은 배수판(30a)에 형성된 돌기(3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우수를 배수한다. 즉, 배수블록(30)은 돌기(31) 사이의 배수홈(32)을 통해 우수를 배수한다.
배수블록(30)은 인접한 다른 조립식 모듈(1)의 배수블록(3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수단(A)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A)은 배수블록(30)의 대칭되는 양단부에는 각각 돌출된 연결고리(33)와 이와 결합되는 연결공(34)으로 구성되어, 인접한 다른 조립식 모듈(1) 의 배수블록(30)을 도 2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33)는 배수블록(30) 일측의 2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34)은 연결고리(33)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2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고리(33)는 배수블록(30)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34)은 배수블록(30)의 타측 테두리에 형성된다. 연결고리(33) 및 연결공(34)은 도 1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록(3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형태의 단턱에 형성된다. 연결공(34)이 형성된 단턱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33)의 결합시 연결고리(33)가 형성된 단턱의 하부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33)는 배수블록(30)의 외측으로 돌출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연결공(34)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외향 돌출된 돌출부(33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연결공(34)은 배수블록(30)의 외주연부에 수직상태로 천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고리(33)는 그 단부의 돌출부(33a)로 인해서 연결공(34)에 압입된 상태로 끼워지고, 압입 후에는 연결고리(33)의 돌출부(33a)가 연결공(34)을 관통하여 연결공(34)의 하단부에 걸림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수블록(30) 간의 연결을 통해서 다수의 조립식 모듈(1)은 도 2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결되는 조립식 모듈(1)은 시공면적에 따라 그 크기를 얼마든지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면적에 구애받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배수블록(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쇼크패드(40)가 마련될 수 있다. 쇼크패드(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접착바인더가 혼합됨에 따라 판상으로 형성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칩(예: 고무알갱이나 우레탄 알갱이 또는 EVA-Ethylene.Vinyl.Acetat-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크패드(40)는 다수의 탄성재 칩이 접착바인더에 의해 결속되므로 탄성재 칩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된다. 따라서, 쇼크패드(40)는 탄성재 칩 사이의 틈새를 통해 우수를 배수한다. 즉, 쇼크패드(40)는 탄성력을 갖는 다공의 투수재이다.
쇼크패드(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록(30)의 하면에 배수블록(30)에 대응한 면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3에서 처럼 연결고리(33) 및 연결공(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서 복수개가 한 조를 이루는 배수블록(30)의 하면에 성형될 수도 있다. 즉, 쇼크패드(40)는 하나의 배수블록(30)에 하나씩 성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여러 개의 배수블록(30)에 하나로 성형될 수도 있다.
특히, 쇼크패드(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배수블록(30)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한장(1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블록(30)은 연결고리(33) 및 연결공(34)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 내지 18개가 한조로 조립된 후 뒤집힌 상태로 쇼크패드(40)가 성형된다. 따라서, 쇼크패드(40)는 9개의 배수블록(30)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면서 배수블록(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또, 쇼크패드(40)는 복수의 배수블록(30)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섬유기포지(10)가 찢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한편, 쇼크패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요철(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40a)은 배수블럭(3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쇼크패드(40)가 지면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요철(40a)은 쇼크패드(40)의 슬림을 방지한다.
또 한편, 충전재(20)는 파일(11)의 높이에 의해 충전 높이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테이프(21)는 충전재(20)의 충전 높이 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다른 한편, 배수블록(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1)의 상부에 섬유기포지(10)가 곧바로 부착되지 않고, 완충패드(50)가 부착된 후 섬유기포지(10)가 부착될 수 있다. 완충패드(50)는 전술한 쇼크패드(4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패드(50)는 충격흡수재로 구성된다. 완충패드(50)는 재질특성에 의해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완충패드(50)는 섬유기포지(10)에 충전재(20)가 충전되지 않을 경우 효과적이다. 즉, 완충패드(50)는 섬유기포지(10)에 충전재(20)가 충전되지 않을 경우 적용된다. 완충패드(50)는 모듈(1)의 전체적인 무게를 고려해 약 3mm 내지 20mm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 다른 한편, 섬유기포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모된 파일(11)들 중에서 일부가 색상이 상이한 이종의 이종파일(11a)로 구성될 수 있다. 이종파일(11a)은 섬유기포지(10)상에 라인이나 문양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종파일(11a)은 초록색과 대비되는 흰색이나 노란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1)은 시공현장에 운반된 후 잔디배치도(시방서 및 도면)의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지면에 배치되면서 연결된 다. 이러한 모듈(1)은 약 2명 내지 4명에 의해 운반되어 시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1)은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의 조립식 모듈(1)을 도 1에서와 같이 배수블록(30)의 연결고리(33)와 연결공(34)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조립식 모듈(1)을 시공면적에 따라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고리(33)를 연결공(34)에 단순히 끼워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인조잔디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얼마든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니트 단위로 구성되므로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유니트화된 모듈(1)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인조잔디를 시공하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여 단시간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며, 훼손시 훼손된 부분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비 및 유지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은 재봉작업이나 파일(11)을 세우거나 다림질하는 작업 및 충전재를 충전하는 작업, 그리고 페이브레이션 작업이 완료된 상태로 세트화되므로 전술한 종래의 시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모듈(1)을 도 2에서와 같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로 미리 조립하여 세트화하면, 인조잔디를 더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조립식 모듈(1)은 우천시 섬유기포지(10)를 통해 배수블록(30)으로 배수되고, 배수블록(30)으로 배수된 물은 배수블록(30)의 배수 홈(32)을 타고 지면으로 배수된다.
또한, 가이드 테이프(21)가 박막식으로 형성되므로 충전재(20)의 충전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파일(11)을 밟을 경우 파일(11)과 함께 눕혀지면서 사용자의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쇼크패드(40)가 상부의 충격을 완충할 뿐만 아니라 탄성재 칩으로 구성되어 탄성재 칩들의 미세한 틈사이로 원활하게 우수를 배수하며, 특히 복수개의 배수블록(30)에 쇼크패드(40)가 한장의 단일체로 성형될 경우 배수블록(30)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배수블록(30)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배수블록(30)들을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설치를 좀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쇼크패드(40)의 하부에 요철(40a)을 형성할 경우 쇼크패드(40)가 상부의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쇼크패드(40)가 복수개의 배수블록(30)에 성형될 경우 배수블록(30)들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기포지가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수블록(30) 및 섬유기포지(10) 사이에 완충패드(50)를 마련할 경우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20)를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이종파일(11a)을 섬유기포지(10)에 식모할 경우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동시에 인조잔디 구장에 라인이나 문양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블록에 쇼크패드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 및 쇼크패드의 부분확대도;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블록의 상부에 완충패드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모듈 10 : 섬유기포지
11 : 파일 20 : 충전재
21 : 가이드 테이프 21a : 접착면
30 : 배수블록 31 : 돌기
32 : 배수홈 33 : 연결고리
33a : 돌출부 34 : 연결공
40 : 쇼크패드

Claims (7)

  1. 인조잔디의 설치에 이용되는 모듈에 있어서,
    잔디형태의 파일이 식모된 섬유기포지;
    상기 섬유기포지 상의 파일 사이에 충전되어 섬유기포지 상에 충전층을 형성하면서 쿠션을 제공하는 과립형태의 충전재;
    상기 충전재의 충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서 상기 섬유기포지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고, 박막형태로 형성되어 충전재가 충전층을 형성하는 것을 가이드하면서 충전재가 섬유기포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테이프; 및
    상기 가이드 테이프가 설치된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섬유기포지를 지지하면서 섬유기포지에서 적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수하는 배수판; 및
    상기 배수판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우수를 배수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일측의 단부에 연결고리가 돌출형성되며, 타측의 단부에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연결고리 및 연결공을 통해 조립식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수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패드;를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연결고리 및 연결공에 의해 9개 내지 18개가 한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설치용조립식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기포지 및 배수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섬유기포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투수성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패드는, 접착바인더가 혼합됨에 따라 판상으로 형성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3항과,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일부의 파일이 다른 파일들과 이종의 색상을 갖는 이종파일로 구성되어 상기 섬유기포지상에 라인이나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KR1020090125113A 2009-12-15 2009-12-15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KR10114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13A KR101143428B1 (ko) 2009-12-15 2009-12-15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PCT/KR2010/008893 WO2011074841A2 (ko) 2009-12-15 2010-12-13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13A KR101143428B1 (ko) 2009-12-15 2009-12-15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49A KR20110068249A (ko) 2011-06-22
KR101143428B1 true KR101143428B1 (ko) 2012-05-22

Family

ID=4416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13A KR101143428B1 (ko) 2009-12-15 2009-12-15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3428B1 (ko)
WO (1) WO20110748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0099A1 (en) * 2010-06-30 2012-01-05 Advantage Cochrane Sport Inc. Padding layer for multi-layered sports playing field
DE102011003402A1 (de) * 2011-01-31 2012-08-02 Possehl Spezialbau Gmbh Belag für Fahrbahnen, Industrie- und Betriebsflächen, Verkehrsflächen sowie für Start- und Landebahnen und dergleichen
WO2013138947A1 (zh) * 2012-03-19 2013-09-26 Zang Xiaosong 一种拼接式人造草坪
KR20160044751A (ko) * 2014-10-16 2016-04-26 이정민 모듈식 인조잔디
KR101639561B1 (ko) * 2016-01-20 2016-07-14 문진호 배수 성능이 우수한 인조잔디 배수용 구조체
KR101962318B1 (ko) * 2017-05-12 2019-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GB2584628A (en) * 2019-05-28 2020-12-16 England Hockey Temporary sports pitch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07A (ja) 1999-01-18 2000-07-25 Kozaburo Hayashi 盤 体
KR200333897Y1 (ko) 2003-08-14 2003-11-20 이우태 잔디 대용 인조잔디 매트
JP2004124417A (ja) 2002-09-30 2004-04-22 Molten Corp 樹脂製緩衝マット
KR200413552Y1 (ko) 2006-01-18 2006-04-07 심화택 잔디보호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07A (ja) 1999-01-18 2000-07-25 Kozaburo Hayashi 盤 体
JP2004124417A (ja) 2002-09-30 2004-04-22 Molten Corp 樹脂製緩衝マット
KR200333897Y1 (ko) 2003-08-14 2003-11-20 이우태 잔디 대용 인조잔디 매트
KR200413552Y1 (ko) 2006-01-18 2006-04-07 심화택 잔디보호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41A2 (ko) 2011-06-23
WO2011074841A3 (ko) 2011-11-10
KR20110068249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428B1 (ko)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US20070148398A1 (en) Synthetic-grass flooring and method for laying same
KR20120134433A (ko)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JP2013096102A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819041B1 (ko) 소형 배수로용 친환경 매트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JP6333647B2 (ja) 人工芝構造体
WO1989001076A1 (en) Turf surfaces
KR100839233B1 (ko) 섬유시트 거푸집 및 다수 거푸집을 이용한 침식 및유실방지대 설치방법
WO2018040229A1 (zh) 场地卷材面层
KR100907494B1 (ko) 인조잔디가 설치된 방초 매트
ITMI20062400A1 (it) Tappeto d&#39;erba artificiale struttura di manto erboso artificiale includente il tappeto e metodo di fabbricazione del tappeto
US20110056062A1 (en) Drainage elem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206607473U (zh) 一种园林路面石材铺设结构
KR20130044675A (ko) 드레인 보드
KR100788201B1 (ko) 배수판 및 배수판 성형방법
KR20160121192A (ko) 유수 순환형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KR101473407B1 (ko)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070284302A1 (en) Water permeable composite material for preventing migration of soil and/or sand particles into drainage system
KR102229358B1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JP5520165B2 (ja) 人工芝生敷設構造
KR102366447B1 (ko) 친환경 천연잔디 매트
JP2019143434A (ja) 舗装パネル及び舗装パネルの敷設方法
JP2588097B2 (ja) 人工芝構造体及びそれによる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