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433A -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433A
KR20120134433A KR1020110053328A KR20110053328A KR20120134433A KR 20120134433 A KR20120134433 A KR 20120134433A KR 1020110053328 A KR1020110053328 A KR 1020110053328A KR 20110053328 A KR20110053328 A KR 20110053328A KR 20120134433 A KR20120134433 A KR 20120134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drain
ground
playgrou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건
Original Assignee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433A/ko
Publication of KR2012013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디 형태의 파일이 식모된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배수블럭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하여 인조잔디 모듈을 준비하는 모듈준비단계; 시공할 지면의 굴곡부를 제거하고 지면을 평탄화하여 운동장의 지면을 단단히 다지는 지면조성단계; 상기 지면조성단계에서 조성된 지면상에 상기 인조잔디 모듈을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다수의 인조잔디 모듈들을 상기 배수블럭에 마련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인조잔디 모듈의 상부에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충전층을 형성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공면적에 따라 인조잔디 모듈을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OF ARTIFICIAL TURF STADIUM}
본 발명은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조잔디 모듈을 이용하여 인조잔디 운동장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생육이 곤란한 지역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천연잔디에 비하여 초기 시공비는 비싸지만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편하고, 운동하기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장점 등으로 인하여 천연잔디의 생육이 가능한 곳에서도 인조잔디를 시공하여 운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운동장과 같이 대체로 넓은 지역에 설치될 경우 인조잔디가 롤형태로 구비되며,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롤은 그 길이가 수십 미터 정도로 감겨 롤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롤형태로 감겨져서 운반된 후, 운동장과 같은 지면에 펼쳐져서 설치된다. 따라서, 인조잔디는 지면을 덮는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운동장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맹암거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자갈보조기층 및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수 아스콘 물질의 투수기층과 경기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층을 일정한 두께로 설치한 후, 매트형태의 인조잔디를 설치한 다음, 사용자를 보호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알갱이를 포설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비를 투입해야 하며, 이로 인한 소음과 비산먼지의 발생으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켰고, 인조잔디 경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가 왔을 경우 빗물이 스며들어 배수로까지 도달하여야 배수가 되므로, 운동장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가 그친 후에도 바로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고, 빗물이 완전히 스며든 후 배수가 이루어져야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기자는 비가 그쳤다 할지라도 인조잔디에 수막이 형성되어 수중에서 경기를 하는 것과 같아서 경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조잔디 운동장용배수블럭 설치방법"을 특허 제10-621678호로 제안한 바가 있다.
위의 특허는 운동장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점점 낮아지는 미세 경사각을 가지도록 운동장의 지면을 단단히 다지는 단계; 지면의 상부에는 우천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해 사각돌기가 전, 후, 좌, 우로 돌출 배열된 배수블럭을 각각 전, 후, 좌, 우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배수블럭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인조잔디에 스며든 물이 배수블럭의 사각돌기 사이에 흘러 들어가며, 배수블럭의 사각돌기 사이에 흘러 들어온 물이 다시 지면의 미세 경사각에 의해 운동장의 외곽으로 이동되면서 배수되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인조잔디 롤을 이용하므로, 인조잔디 롤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잔디배치도(시방서 및 도면)에 따라 (1) 인조잔디 롤을 운반하여 지면에 순서대로 배열하고, (2) 인조잔디 롤을 순서대로 펼친 다음, (3) 서로 인접한 인조잔디와 인조잔디의 테두리를 중첩시킨 후, (4) 중첩된 테두리를 재봉하여 인조잔디들을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렇게, 인조잔디를 재봉하기 위해서는 2대의 재봉기와 콤프레셔, 지게차, 트랙터, 에어호스 및 리드선, 그리고 카펫 집게 8명과 재봉사 1명, 에어호스 1명, 라인 및 재봉보조 1명, 지게차 운전사 1명, 운반요원 등 총 13명의 인원이 동원된다.
여기서, 전술한 재봉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재봉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5)잔디 파일이 재봉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에어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파일이 아래를 향하게 한 후, (6) 재봉라인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카펫 집게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재봉기의 진행방향을 향해 차례대로 이동하여 재봉을 실시한다. 그리고, 전체 재봉이 완료되면 다시 (7) 반대쪽을 재봉하여 2중 재봉작업을 실시한 후, (8) 겹쳐져 있는 인조잔디를 곧게 펴준 다음 (9) 재봉라인이 표시나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작업을 실시한다.
이렇게, 재봉작업에 의해 인조잔디들이 연결되면 다시 (10) 핫멜트 머신을 이용하여 인조잔디에 라인(파울라인, 주루라인 등)을 부착하고, (11)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인조잔디에 충전한다. 이러한 충전작업은 우선 (12) 라인작업이 완료되어누워 있는 인조잔디의 파일을 브러쉬로 세워준 후 (13) 충전재로 1: 2: 1의 비율로하부충전층(규사층)과 중간충전층(규사+고무칩) 및 상부충전층(고무칩)을 형성한 다음 (14) 고무칩의 유동을 억제하고 공의 방향성이 없도록 페이브레이션(노출된 파일을 여러가닥으로 만드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위와 같이 (1) 내지 (14)의 과정을 거쳐야 인조잔디 운동장이 완성되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인조잔디는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워 전체를 한꺼번에 교체해야 하므로 예산을 낭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지면 토목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 등록된 전술한 특허를 이용하여 좀더 간편하게 인조잔디 구장을 시공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장기간의 연구 끝에 본 발명이 개발됨에 따라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한편, 인조잔디 제품 중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수십 센티미터의 단위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매트형 인조잔디도 있으나, 이러한 매트형 인조잔디는 사실상경관용이나 골프연습용으로 제조됨에 따라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활동량이 적은 공간에는 적합하지만, 활동량이 많은 운동장과 같은 공간에는 설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배수블럭 및 인조잔디가 일체로 구성되어 연속적인 상태를 이루면서 운동장에 설치되는 인조잔디 모듈을 이용한 운동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맹암거를 설치하거나 골재를 넣는 것과 같은 토목작업을 생략하고, 단 순히 지면을 평탄화 및 구배 작업만 실시한 후, 조립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설치될 수 있는 인조잔디 모듈을 이용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인조잔디 모듈을 이용하므로, 시공단계를 단순화시킬수 있고,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여 보수가 간편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충격을 흡수하면서 기층을 형성하는 부재가 배수블럭에 부착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인조잔디 모듈의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배수블럭과 인조잔디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가 마련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은, 잔디 형태의 파일이 식모된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배수블럭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하여 인조잔디 모듈을 준비하는 모듈준비단계; 시공할 지면의 굴곡부를 제거하고 지면을 평탄화하여 운동장의 지면을 단단히 다지는 지면조성단계; 상기 지면조성단계에서 조성된 지면상에 상기 인조잔디 모듈을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다수의 인조잔디 모듈들을 상기 배수블럭에 마련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인조잔디 모듈의 상부에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충전층을 형성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블럭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 상에 전후좌우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섬유기포지의 하면에 고정부착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배수판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단계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와, 상기 배수판의 타측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에 천공된 다수의 연결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블럭들을 연결할 때에는 배수블럭들을 서로 인접시킨 상태에서 일측의 배수블럭에 형성한 상기 연결고리가 인접된 배수블럭의 상기 연결공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다수의 인조잔디 모듈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잔디 모듈은 상기 배수블럭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수블럭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 모듈은 상기 섬유기포지 및 배수블럭 사이에 마련되어 섬유기포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투수성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층은, 규사나 고무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충전층은, 규사로 이루어진 하부충전층과, 규사와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중간충전층,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상부충전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은,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의 조립식 모듈을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조립식 모듈을 시공면적에 따라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얼마든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니트 단위로 구성되므로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연속설치방식으로 인조잔디를 시공하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블럭의 연결고리를 연결공에 단순히 끼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훼손시 훼손된 부분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비 및 유지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충전재가 쿠션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이 돌기들 간의 공간을 통해 우수를 배수하므로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고, 쇼크패드가 배수블럭의 충격을 흡수한다.
더 나아가, 배수블럭 및 섬유기포지 사이에 완충패드를 마련할 경우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준비단계의 인조잔디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조잔디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조성단계와 배열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조잔디 모듈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조잔디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은 모듈준비단계, 지면조성단계, 배열단계, 연결단계, 충전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준비단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형태의 파일(21)이 식모된 섬유기포지(20)와, 상기 섬유기포지(20)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수블럭(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인조잔디 모듈(10)을 준비한다.
상기 섬유기포지(20)는 섬유재 원단으로서, 부직포나 팰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pile, 21)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섬유로 세섬유화(세로 방향으로 갈라지는것, fibrillation) 특성을 가지며 37~65mm 높이로 직조된다.
상기 배수블럭(30)은 섬유기포지(20)에 적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판(31)과, 상기 배수판(31) 상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섬유기포지(20)의 하면에 고정부착되는 다수의 돌기(33)와, 상기 배수판(31)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37)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31)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38)와, 상기 배수판(31)의 타측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에 천공된 다수의 연결공(3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리(3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럭(30)의 일측 테두리에 하향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돌출부(38a)와, 상기 돌출부(38a)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8a)가 후술하는 연결공(39)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공(39)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38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고리(38)는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럭(30)들을 서로 인접시킨 상태에서 일측의 배수블럭(30)의 테두리 하부에 형성한 연결고리(38)를 인접하는 배수블럭(30)의 테두리에 형성한 연결공(39)에 압입시키게 되면, 연결고리(38)의 돌출부(38a) 하부에 형성한 걸림부(38b)가 연결공(39)의 하부 양측에 걸려서 돌출부(38a)가 연결공(39)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접하는 배수블럭(30)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지면조성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할 운동장의 지면(1)의 굴곡부를 제거하고 지면(1)을 평탄화하여 운동장의 지면(1)을 단단히 다지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지면(1)은 도 3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서 외각으로 낮아지는 미세한 경사각(α)을 만들어 우수가 시공된 곳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각(α)은 지면 위에 구체를 놓아도 유동되지 않을 정도의 미세각으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열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조성단계에서 조성된 지면상에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을 배열하는 단계로서.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의 인조잔디 모듈(1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이 유닛으로 구성되어 적은 인원으로 인조잔디 모듈(10)을 이동할 수 있어 운반과 배치가 쉽다.
상기 연결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단계에서 배치된 인조잔디 모듈(10)을 상기 배수판(31)에 형성된 연결수단(37)으로 인접된 인조잔디 모듈(10)과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연결단계는 배수판에(31)에 형성된 연결고리(38)를 인접한 인조잔디 모듈(10)의 연결공(39)에 압입되면, 돌출부(38a)가 연결공(39)의 내측에 삽입되고, 연결고리(38)의 걸림부(38b)가 연결공(39)을 관통하여 연결공(39)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연결로 상기 인조잔디 모듈(2)은 도 5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결되는 인조잔디 모듈(10)은 시공면적에 따라 수량을 가변시켜서 시공면적에 구애받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인조잔디 모듈(10)의 상부에 과립형태의 충전재(41)를 충전하여 충전층(4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충전재(41)는 규사 또는 고무칩, 또는 규사와 고무칩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섬유기포지상에 복층의 구조로 충전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41)는 섬유기포지(20)의 상부에 부상방지를 위한 쿠션을 제공하고, 파일(21)들을 수직으로 세워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파일(21)은 밟혀도 충전재(41)에 의해 눕혀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충전층(40)은, 3단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로 이루어진 하부충전층(41a)과, 규사와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중간충전층(41b)과,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상부충전층(41c)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의 인조잔디 모듈(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럭(30)의 하면에 상기 배수블럭(30)의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패드(50)가 더 부착되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쇼크패드(5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접착바인더가 혼합됨에 따라서 판상으로 형성되는 과립형태의 탄성재 칩(예: 고무알갱이나 우레탄 알갱이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t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크패드(50)는 다수의 탄성재 칩이 접착바인더에 의해 결속되므로 탄성재 칩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쇼크패드(50)는 탄성력을 갖는 다공의 투수재이다. 이러한 상기 쇼크패드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졌으므로 상기 배수블럭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배수블럭이 피로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의 상부에 섬유기포지(20)가 곧바로 부착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60)가 부착된 후 섬유기포지(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60)는 충격흡수재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패드(60)는 전술한 쇼크패드(5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패드(60)는 인조잔디 모듈(10)의 전체적인 무게를 고려해 약 3mm 내지 20mm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상과 같은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은, 먼저 인조잔디형태의 파일(21)이 식모된 섬유기포지(20)와, 배수블록(30)이 일체형으로 마련된 인조잔디 모듈(10)을 준비하고, 상기 인조잔디 모듈(10)들을 평탄화 및 구배 작업이 완료된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을 잔디배치도(시방서 및 도면)에 따라서 시공현장에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인조잔디 모듈(10)들을 인조잔디 모듈(10)에 마련된 연결수단(37)에 의해서 서로 연결을 시키고, 다시 인조잔디 모듈(10)의 상부에 과립형태의 충전재(41)를 충전하게 되면, 인조잔디 운동장이 간편하게 시공될 수가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에 의하면, 섬유기포지(20)와 배수블럭(30)이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유닛화된 다수의 조립식 모듈(10)을 운동장의 시공면적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설치토록 함으로써, 종래의 롤형태의 인조잔디에 의해서 인조잔디 운동장을 시공하는 방법과는 달리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인조잔디 운동장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면을 단순히 평탄화 및 구배 작업을 한 다음에 지면 위에 인조잔디 모듈(10)들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다음에 충전재를 충진하여 인조잔디 운동장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게 되고, 시공비도 현저하게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시공 후에 인조잔디가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을 때에는 종래와 같이 인조잔디 모듈을 전체적으로 재시공할 필요가 없이 훼손된 부분만 지엽적으로 새로운 인조잔디 모듈을 이용하여 단순히 교체만 하면 되므로 시공후의 관리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과립형의 충전재(41)와, 배수블럭(30)의 하면에 설치된 쇼크패드(50)와, 배수블럭(30)과 섬유기포지(20) 사이에 형성한 완충패드(60)는 인조잔디 운동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지면 10: 인조잔디 모듈
20: 섬유기포지 21: 파일
30: 배수블럭 31: 배수판
33: 돌기 37: 연결수단
38: 연결고리 39: 연결공
40: 충전층 50: 쇼크패드
60: 완충패드

Claims (7)

  1. 잔디 형태의 파일(21)이 식모된 섬유기포지(20)의 하면에 배수블럭(30)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하여 인조잔디 모듈(10)을 준비하는 모듈준비단계;
    시공할 지면(1)의 굴곡부를 제거하고 지면(1)을 평탄화하여 운동장의 지면(1)을 단단히 다지는 지면조성단계;
    상기 지면조성단계에서 조성된 지면상에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을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다수의 인조잔디 모듈(10)들을 상기 배수블럭(30)에 마련된 연결수단(37)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인조잔디 모듈(10)의 상부에 과립형태의 충전재(41)를 충전하여 충전층(40)을 형성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럭(30)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판(31);
    상기 배수판(31) 상에 전후좌우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섬유기포지(20)의 하면에 고정부착되는 다수의 돌기(33); 및
    상기 배수판(31)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7)은, 상기 배수판(31)의 일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38)와, 상기 배수판(31)의 타측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에 천공된 다수의 연결공(3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블럭(30)들을 연결할 때에는 배수블럭(30)들을 서로 인접시킨 상태에서 일측의 배수블럭(30)에 형성한 상기 연결고리(38)가 인접된 배수블럭(30)의 상기 연결공(39)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다수의 배수블럭(30)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은,
    상기 배수블럭(30)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수블럭(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패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모듈(10)은 상기 섬유기포지(20) 및 배수블럭(30) 사이에 마련되어 섬유기포지(20)의 충격을 흡수하는 투수성 완충패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40)은 규사나 고무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40)은,
    규사로 이루어진 하부충전층과, 규사와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중간충전층,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상부충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KR1020110053328A 2011-06-02 2011-06-02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KR20120134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28A KR20120134433A (ko) 2011-06-02 2011-06-02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28A KR20120134433A (ko) 2011-06-02 2011-06-02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33A true KR20120134433A (ko) 2012-12-12

Family

ID=4790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28A KR20120134433A (ko) 2011-06-02 2011-06-02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4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61B1 (ko) 2016-01-20 2016-07-14 문진호 배수 성능이 우수한 인조잔디 배수용 구조체
KR101643126B1 (ko) 2016-01-20 2016-07-27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매트용 코팅제
KR101651461B1 (ko) 2016-01-20 2016-08-2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KR102185792B1 (ko) * 2020-06-12 2020-12-02 에코텍 주식회사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인조 잔디 배수판
KR102507665B1 (ko) * 2022-01-13 2023-03-07 엄기석 배수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61B1 (ko) 2016-01-20 2016-07-14 문진호 배수 성능이 우수한 인조잔디 배수용 구조체
KR101643126B1 (ko) 2016-01-20 2016-07-27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매트용 코팅제
KR101651461B1 (ko) 2016-01-20 2016-08-2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KR102185792B1 (ko) * 2020-06-12 2020-12-02 에코텍 주식회사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인조 잔디 배수판
KR102507665B1 (ko) * 2022-01-13 2023-03-07 엄기석 배수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40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shocks impacts while providing water drainage
KR101143428B1 (ko)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US7758281B2 (en) Synthetic sports turf having improved playability and wearability
KR20120134433A (ko)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방법
US7189445B2 (en) Synthetic sports turf having improved playability and wearability
US7166340B1 (en) Artificial turf system
US20100107522A1 (en) Synthetic support base for modular flooring
KR101938795B1 (ko)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NO321593B1 (no) Legging av kunstgressmatte.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JP6333647B2 (ja) 人工芝構造体
CN108914884B (zh) 一种严寒地区雷诺护坡施工方法
CN210194547U (zh) 一种河道生态护岸
KR101819041B1 (ko) 소형 배수로용 친환경 매트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JP3129605B2 (ja) 法面覆工構造、法面覆工用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561982U (zh) 一种土木工程用护坡保护装置
WO2008072073A2 (en) A synthetic turf mat, a synthetic turf structure including the ma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t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070284302A1 (en) Water permeable composite material for preventing migration of soil and/or sand particles into drainage system
KR20160121192A (ko) 유수 순환형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JP2019143434A (ja) 舗装パネル及び舗装パネルの敷設方法
KR101107662B1 (ko) 인조잔디 시공방법
CN218643394U (zh) 绿色矿山修复用高陡岩石边坡生态覆绿支护结构
JP4344985B2 (ja) 充填物を有する人工芝生及びその施工方法
JP4362854B2 (ja) 充填物を有する人工芝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2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31

Effective date: 2019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