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428A -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8428A KR20130028428A KR1020110091981A KR20110091981A KR20130028428A KR 20130028428 A KR20130028428 A KR 20130028428A KR 1020110091981 A KR1020110091981 A KR 1020110091981A KR 20110091981 A KR20110091981 A KR 20110091981A KR 20130028428 A KR20130028428 A KR 20130028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playground
- layer
- line
- troug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장의 지표면 하부에 배수 홈통을 구비하고, 지표면의 물을 배수 홈통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운동장 배수구조 및 그것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로서,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되고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에 매설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되고,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 및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외부로 드러나는 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로서,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되고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에 매설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되고,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 및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외부로 드러나는 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동장 배수구조 및 그것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장의 지표면 하부에 배수 홈통을 구비하고, 지표면의 물을 배수 홈통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운동장 배수구조 및 그것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체육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작은 규모의 경기장이나 운동장이 급증하고 있다. 스포츠 경기장 또는 운동장(이하 줄여서 '운동장'이라 함)은 실외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우 등에 의하여 운동장에 물이 고이는 경우, 고인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운동장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장의 지반이 흐트러지고, 토사가 유실되며, 지표면이 파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운동장의 지표에 고인 물은 운동장의 기능을 저해하는 주범이며, 운동장이 손상됨에 따라 관리 및 복구 비용이 증가하며, 손상된 운동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지표면의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운동장은 신속한 배수성이 요구되며, 배수성능은 천연잔디나 인조잔디가 식립된 운동장보다는 흙 운동장에 특히 요구된다.
한편, 운동장은 배수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운동장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탄성력이 요구된다. 운동장 바닥이 소정의 탄성력을 유지해야만 사용자가 운동 중에 당할 수 있는 부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운동장은 사용자의 답압에 의한 지면경화에 견뎌내야 하는 내답압성이 요구된다. 내답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장 지표의 경도를 높여야 하나, 운동장 지표의 경도가 높아지면 탄성력이 낮아져서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수 성능이 저하된다. 반면, 운동장 지표의 경도를 낮추면 배수 성능은 향상되나 지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장 지표의 경도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운동장 배수구조 및 그것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로서,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되고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에 매설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되고,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 및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외부로 드러나는 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운동장 배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하부쿠션층과 상기 표층 사이에 적층되는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배수 홈통의 상기 투수공이 형성되는 면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층은 쇄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부쿠션층은 칩 또는 패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표층은 파쇄토 또는 마사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간층은, 마사토 또는 감람석 파쇄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황토 또는 석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상기 배수 홈통을 따라 설치되며 투수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투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표시 부재는 상기 투수 탄성 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인 표시 부재는 인조잔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운동장의 상기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하부에 추가로 매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을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을 상기 배수층에 매설하는 단계;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을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중간층 및 표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투수성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잔디가 고정되는 투수 탄성 부재를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상기 배수 홈통을 따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운동장 배수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운동장에 고인 물이 수직 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배수 홈통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많은 양의 물도 원활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 방향의 배수를 위한 배수 홈통이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의 하부에 매설되므로 운동장의 경도나 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장 배수구조가 적용된 운동장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배수구조에 이용되는 배수 홈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배수구조에 이용되는 배수 홈통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장 배수구조가 적용된 운동장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배수구조에 이용되는 배수 홈통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실선(100)으로 표시된 부분은 인조잔디가 식립되어 라인을 형성한 부분이며, 점선(200)으로 표시된 부분은 인조잔디가 식립되지 않았으나 후술할 배수 홈통이 매립된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에 있어서, 운동장에 고인 물이 수직 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지중으로 침투한 물이 수평 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수평 방향의 배수를 위한 배수 부재인 배수 홈통(60)이 라인 표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매설된다는 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동장에는 운동장의 특정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100)이 형성된다. 예컨대, 운동장이 축구 경기장인 경우, 라인(100)은 터치 라인, 하프 라인, 센터 서클, 페널티 에어리어 라인, 골 에어리어 라인 등이 될 수 있다. 이 라인(100)은 라인 표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라인 표시 부재는 인조잔디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라인 표시 부재는 인조잔디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라인벨트와 같이 운동장 지표에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라인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라인 표시 부재가 인조잔디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장 배수구조는, 배수층(20), 하부쿠션층(30), 중간층(40), 표층(50), 배수 홈통(60), 필터 부재(70), 투수 탄성 부재(72)를 포함한다. 배수층(20), 하부쿠션층(30), 중간층(40), 표층(50)은 기존 지반(10)으로부터 상부로 차례로 적층된다.
배수층(20)은 기존 지반(10)의 상부에 적층되며 배수층(20)에는 배수 홈통(60)이 매설된다. 배수층(20)에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배수층(20)에 도달한 물이 수평 방향으로 잘 퍼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매설된 배수 홈통(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층(20)은 예컨대 쇄석과 같이 입자가 커서 물이 배수되기에 적당한 공극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강도가 커서 배수 홈통(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층(20)이 쇄석으로 구성되는 경우 쇄석은 25mm 이하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층(20)을 이루는 자재 간의 공극이 클수록 배수 성능은 향상되나, 공극이 지나치게 커지면 시공 후 지반이 침하되어 운동장의 형태가 변형될 위험이 있다. 배수층(20)의 공극의 크기를 조절하고 지표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배수층(20)이 침하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배수층(20)은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배수층(20)은 쇄석과 함께 지오텍스(geotex)와 같은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수 홈통(6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이다. 배수 홈통(60)의 횡단면은 사각형이며, 배수 홈통(60)의 양 측면(61) 및 상면(62)에는 배수 홈통(6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투수공(64)이 형성된다. 투수공(64)은 운동장의 지중으로 스며든 물이 배수 홈통(6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배수 홈통(60)은 배수층(20)에 매설되며, 이때 운동장 지중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 홈통(6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 홈통(60)의 상면이 배수층(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 홈통(60)이 배수층(20)에 매설됨으로써 배수 홈통(60)의 양 측면(61) 및 바닥면(63)은 배수층(20)으로 둘러싸인다.
운동장의 지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침투하여 배수층(20)에 도달한 물은 배수층(20)에 형성된 공극을 통해 퍼질 수 있으며, 특히 배수층(20)에 구비되는 배수 홈통(60)으로 안내되어 배수 홈통(60)의 상면 또는 측면을 통해 배수 홈통(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투수공(64)을 통해 배수 홈통(6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배수 홈통(60) 내부의 바닥면(63)을 따라 배수 홈통(60)의 길이 방향의 양 측으로 안내된다.
한편, 배수 홈통(6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수 홈통(60)은 외부에서 배수 홈통(6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배수 홈통(6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 홈통(60)의 길이 방향의 양 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라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시공성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배수 홈통(60)은 배수되는 물의 양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 홈통(60)은 배수 홈통(60)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재료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배수 홈통(60)은 횡단면의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0cm X 100cm이고 두께가 1.5mm 내지 2mm인 아연도강판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 홈통(60)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강도와 성형성이 확보되는 다양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배수 홈통(60)은 인조잔디 라인(100)을 따라 매설된다는 점이다. 인조잔디 라인(100)은 운동장 내부의 인조잔디 라인(100a)과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100b)을 포함하며, 운동장 내부의 인조잔디 라인(100a)은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100b)과 연결된다. 운동장 내부의 인조잔디 라인(100a) 하부에 매설된 배수 홈통(60)은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100b) 하부에 매설된 배수 홈통(60)과 연통된다. 또한,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100b) 하부에 매설된 배수 홈통(60)은 운동장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 유로(미도시)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운동장 내부의 배수 홈통(60)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 홈통(60)을 따라 운동장 테두리 쪽으로 안내된 후 운동장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 홈통(60)은 인조잔디 라인(100)의 하부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수 성능 향상을 위해 인조잔디 라인(10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200)에 추가로 매설될 수 있다. 인조잔디 라인(10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200)에 배수 홈통(60)이 추가로 매설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80)가 식립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양 부위는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진다. 인조잔디 라인(10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200)에 매설되는 배수 홈통(60)은 운동장이 필요한 배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 홈통(60)이 필요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 시공 비용이 증가하며, 운동장 지반의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투수 탄성 부재(72)는 상부로부터 스며드는 물을 하부 방향으로 충분히 배수하면서도 일정한 강도로 인조잔디(8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투수 탄성 부재(72)는 소정의 두께 및 면적으로 형성되는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 및 재료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투수 탄성 부재(72)는 예컨대 다공성의 발포고무 또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투수 탄성 부재(72)의 내부에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수 탄성 부재(72)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은 투수 탄성 부재(72)를 통과하여 투수 탄성 부재(72)의 하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필터 부재(70)는 배수 홈통(6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흙과 같은 이물질이 투수공(64)을 통해 배수 홈통(60)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 부재(70)는 투수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부직포가 이용될 수 있다. 물이 배수 홈통(60)으로 유입 시 물과 함께 흙이나 돌가루 등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될 수 있는데, 필터 부재(70)에 의하여 이물질이 배수 홈통(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배수 홈통(60) 내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수 홈통(60)의 배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배수 홈통(60)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부쿠션층(30)은 사용자가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층으로서 물이 투과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쿠션층(30)은 예컨대 고무 칩 또는 지오텍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부쿠션층(30)은 약 1c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고무 칩은 직경이 2mm 내지 4mm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쿠션층(30)은 투수성 및 탄성력이 있는 패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층(50)은 운동장의 최상부에 1cm 정도로 적층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층으로서 수직 방향으로의 배수가 원활하고 소정의 경도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50)은 예컨대 감람석 파쇄토 또는 마사토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감람석 파쇄토는 마사토에 비해 배수성이 뛰어나고 경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어 표층(50)의 재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중간층(40)은 하부쿠션층(30)과 표층(50)의 사이에 적층되어 표층(50)의 지반을 이룬다. 중간층(40)은 마사토 또는 감람석 파쇄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소량의 황토 또는 석회가 함께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중간층(40)은 높이는 운동장의 용도 및 표층(50)의 높이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중간층(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배수구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운동장의 기존 지반(10)에 배수층(20)을 소정의 높이로 적층한다. 이때, 기존 지반(10)의 높이에 따라 터파기 또는 성토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즉, 기존 지반(10)이 필요 이상으로 높은 경우 터파기하여 기존 지반(10)을 낮추고, 기존 지반(10)이 필요한 높이보다 낮은 경우 흙을 더 쌓아 지반을 높인 후에 배수층(20)을 적층한다.
다음으로, 배수층(20)에 배수 홈통(60)을 매설한다. 배수 홈통(60)은 라인(100)이 형성될 부분을 고려하여 배수 홈통(60)이 라인(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매설한다. 이때, 배수 홈통(60)을 배수층(20)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배수층(20)을 완전히 적층한 후 매설홈을 굴착하고 이 매설홈에 배수 홈통(60)을 매설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와는 달리 배수층(20)을 적층하면서 배수층(20)이 적당한 높이로 적층되면 배수 홈통(60)을 배치한 후 배수층(20)을 다시 적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배수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 홈통(60)이 배수층(20)에 매립된 상태에서 배수 홈통(60)의 상면이 배수층(20)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수층(20)의 두께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배수층(20)에 매설되는 배수 홈통(60)은 배수층(20)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층(20)의 적층 및 배수 홈통(60)의 매설이 완료되면, 지오텍스, 고무칩 또는 투수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하부쿠션층(30)을 배수층(20)의 상부에 형성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차례로 중간층(40) 및 표층(50)을 적층한다.
이때, 중간층(40)과 표층(50)의 적층 과정에서 투수 탄성 부재(72)를 배수 홈통(60)의 상면에 설치하고 투수 탄성 부재(72)에 인조잔디(80)를 식립하거나, 중간층(40)과 표층(50)이 완전히 적층된 후 배수 홈통(60)이 매설된 부위를 굴착하여 투수 탄성 부재(72) 및 인조잔디(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배수층(20), 하부쿠션층(30), 중간층(40) 및 표층(50)의 적층이 완료된 후에 인조잔디(80)에 의한 라인이 형성될 부분을 굴착하여 배수 홈통(60)을 매설하고 투수 탄성 부재(72) 및 인조잔디(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동장 배수구조가 적용된 운동장에 우천 등으로 인하여 운동장에 물이 고이는 경우 물이 배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운동장의 표층(50)의 상면에 고인 물은 먼저 수직 방향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운동장의 표층(50)의 물은 표층(50)으로부터 중간층(40), 하부쿠션층(30)을 거쳐 배수층(20)까지 수직 방향으로 스며든다. 배수층(20)에 도달한 물은 배수층(20)에 매설된 배수 홈통(60)으로 유입된다. 한편, 인조잔디(80)가 식립된 부분에 고인 물은 표층(50) 하부의 투수 탄성 부재(72)를 통과하여 배수 홈통(60)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거친다.
배수 홈통(60)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 홈통(60)의 길이 방향의 양 측으로 안내됨으로써 수평 방향의 배수가 이루어지고, 운동장의 가장자리로 유도된 물은 별도의 배수 유로를 통해 운동장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운동장 표면의 물이 수직 방향으로 배수되어 배수 홈통(60)으로 집수된 후 배수 홈통(60)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배수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더라도 지표에 물이 고이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지반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평 방향의 배수를 위한 배수 홈통(60)이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100)의 하부에 매설되므로 운동장의 경도나 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존 지반 20: 배수층
30: 하부쿠션층 40: 중간층
50: 표층 60: 배수 홈통
70: 필터 부재 72: 투수 탄성 부재
80: 인조잔디 100: 라인
100a: 운동장 내부의 인조잔디 라인
100b: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
200: 인조잔디가 식립되지 않았으나 배수 홈통이 매립된 부분
30: 하부쿠션층 40: 중간층
50: 표층 60: 배수 홈통
70: 필터 부재 72: 투수 탄성 부재
80: 인조잔디 100: 라인
100a: 운동장 내부의 인조잔디 라인
100b: 운동장의 테두리를 이루는 인조잔디 라인
200: 인조잔디가 식립되지 않았으나 배수 홈통이 매립된 부분
Claims (11)
-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로서,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되고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에 매설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되고,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 및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외부로 드러나는 표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하부쿠션층과 상기 표층 사이에 적층되는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배수 홈통의 상기 투수공이 형성되는 면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쇄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쿠션층은 칩 또는 패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파쇄토 또는 마사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마사토 또는 감람석 파쇄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황토 또는 석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장 배수구조는,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상기 배수 홈통을 따라 설치되며 투수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투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표시 부재는 상기 투수 탄성 부재에 고정되는 운동장 배수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표시 부재는 인조잔디인 운동장 배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운동장의 상기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하부에 추가로 매설되는 운동장 배수구조. - 운동장의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이 형성되는 운동장의 배수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소정의 크기의 공극이 다수 형성되는 배수층을 기존 지반의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
외주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배수 홈통을 상기 배수층에 매설하는 단계;
투수성 및 탄성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쿠션층을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부쿠션층의 상부에 중간층 및 표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투수성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잔디가 고정되는 투수 탄성 부재를 상기 배수 홈통의 상부에 상기 배수 홈통을 따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홈통은 상기 라인의 하부에 상기 라인을 따라 매설되는 운동장 배수구조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981A KR101309827B1 (ko) | 2011-09-09 | 2011-09-09 |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981A KR101309827B1 (ko) | 2011-09-09 | 2011-09-09 |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8428A true KR20130028428A (ko) | 2013-03-19 |
KR101309827B1 KR101309827B1 (ko) | 2013-09-23 |
Family
ID=4817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1981A KR101309827B1 (ko) | 2011-09-09 | 2011-09-09 |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98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0018B1 (ko) * | 2017-12-05 | 2018-04-23 | 주식회사 베노 | 친환경 친수공간 배수구조 |
KR101850017B1 (ko) * | 2017-12-05 | 2018-05-30 | 주식회사 베노 |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8893B1 (ko) * | 2013-10-08 | 2014-02-05 | 주식회사 금룡 | 복층구조를 갖는 운동장의 기층에 사용되는 황토혼합물 및 이 황토혼합층을 포함하는 복층구조의 운동장 |
KR101582350B1 (ko) * | 2013-12-27 | 2016-01-04 | 이종호 | 기능성 마사토 구장의 시공방법 |
KR101809978B1 (ko) * | 2017-04-05 | 2018-01-18 |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 운동장용 타격식 일체형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2973B1 (ko) * | 2003-04-04 | 2006-04-24 | 주식회사 한울 |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 방법 |
KR200460322Y1 (ko) * | 2009-10-28 | 2012-05-21 | 주식회사 세주 | 배수홈통을 이용한 배수구조 |
-
2011
- 2011-09-09 KR KR1020110091981A patent/KR10130982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0018B1 (ko) * | 2017-12-05 | 2018-04-23 | 주식회사 베노 | 친환경 친수공간 배수구조 |
KR101850017B1 (ko) * | 2017-12-05 | 2018-05-30 | 주식회사 베노 |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9827B1 (ko) | 2013-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1167B1 (ko) |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 |
KR101309827B1 (ko) |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791257B1 (ko) |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 |
KR20090048549A (ko) | 모래 구덩이용 라이너 조립체 | |
KR101783950B1 (ko) |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EP3256645B1 (en) | Artificial lawn | |
DK2599916T3 (en) | Riding or sports ground bas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 |
JP6362998B2 (ja) | 運動場の排水構造 | |
KR100989938B1 (ko) |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 |
KR200460322Y1 (ko) | 배수홈통을 이용한 배수구조 | |
KR20120047400A (ko) | 배수블록 | |
KR101206728B1 (ko) | 빗물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US20060051161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and erosion in golf course bunkers | |
KR100976157B1 (ko) | 표면무배수로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129292A (ko) |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 |
KR20110080467A (ko) | 친환경 인조잔디 구장의 시공방법 | |
KR100964893B1 (ko) | 개수로와 배수재가 결합 형성된 초연약 지반의 집배수장치 | |
CN116065449A (zh) | 一种软土地基上棒球运动场地构造及施工方法 | |
CN206607473U (zh) | 一种园林路面石材铺设结构 | |
KR100881168B1 (ko) | 충격흡수 및 배수가 가능한 운동장용 패드 | |
CN109423937A (zh) | 一种住宅小区雨水回收系统 | |
KR101850018B1 (ko) | 친환경 친수공간 배수구조 | |
AU2014100444A4 (en) | Artificial grass system | |
JP5520165B2 (ja) | 人工芝生敷設構造 | |
KR20200078026A (ko) | 우수의 재활용 가능한 무배수로 친환경 기층구조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