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17B1 -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17B1
KR101850017B1 KR1020170165526A KR20170165526A KR101850017B1 KR 101850017 B1 KR101850017 B1 KR 101850017B1 KR 1020170165526 A KR1020170165526 A KR 1020170165526A KR 20170165526 A KR20170165526 A KR 20170165526A KR 101850017 B1 KR101850017 B1 KR 10185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base layer
thickness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중
김성민
장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to KR102017016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3Foundations for pav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e.g. waste or 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조체는 각종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하부의 설치되며, 일정 깊이로 파내어 다짐을 통한 원지반층과;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 보조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 기층과;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파일을 포설한 인조잔디층과;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충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층은 충전배수층과 충전결속층과 충전복구관리층로 구성되고,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친환경 배수시스템을 조성하는 배수시스템 조성단계와: 배수시스템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롤러로 다짐하여 상기 원지반층을 조성하는 원지반층 조성단계와; 상기 원지반층 위에 상기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보조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모래층을 조성하는 모래층 조성단계와; 1차 기층을 조성한 후 90도 각도를 이루게 2차 기층을 조성한 후 평탄작업을 하는 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 위에 발수제(방수액)을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본드층을 형성한 후 인조잔디층을 포설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와;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는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상기 충전층을 조성하는 충전층 포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재료로 구축되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배수가 원활하고 우천 시 세굴현상이 없으며 충전층의 손실이 없어, 체육시설 사용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후 관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Basic Structure for Eco-Friendly Soft Sports Faciliti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운동장, 테니스코트, 족구장, 풋살장 축구장, 야구장 등의 체육 기반시설의 구조체를 콘크리트, 아스콘 또는 우레탄 바닥 위에 인조잔디를 포장하는 종래의 획일적인 공법을 벗어나, 탄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우천시 세굴이나 침하가 발생하지 않고 건조시 비산되지 않게 친환경적인 재료와 식물성 바인더류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재료의 개선이 이루어진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경용 이외에도 종목에 무관하게 각종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등에서 인조잔디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인조잔디는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등의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여 잔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천연잔디를 대체하는 대용물이다. 인조잔디는 1956년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어 사용되어 온 이후, 천연잔디에 비하여 충격흡수율이 적고 열을 흡수함으로써 운동장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점 및 비환경적이라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일단 설치하면 일정한 기간 간격으로 제초작업이나 잔디를 깍아줘야 하는 등의 복잡하고 많은 작업이 필요한 천연잔디에 비하여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관리비용도 거의 들지 않아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천연잔디에 비하여 월등히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섬유기포지에 터프팅(tufting) 또는 제편 방식에 의한 제직 방법을 통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등의 합성섬유로 된 인조잔디 파일(A11)을 형성시켜 구성하고, 이를 단단한 기층의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또한 인조잔디 파일들의 사이에는 모래나 규사와 고무칩을 차례로 적층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충전시킴으로써 인조잔디 파일의 형상적 안정성을 유지시켜주고,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적절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또 상기 고무칩은 장기간 사용시 모래나 규사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모래나 규사가 경화되더라도 바닥의 탄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고무칩은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재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고무칩은 반복 사용되면 미세한 분말로 부숴지는데, 이러한 고무 분말은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축척될 수 있고, 또 고무칩에는 중금속과 유기화합물이 기준치 이상 들어 있어 인조잔디 운동장을 설치한 학교의 학생들이 두통,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호소하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인조잔디는 충진재의 유실 및 세굴이 빈번히 발생하여 운동장 바닥의 불안정(평탄, 탄성, 배수, 세굴)이 야기되므로 인조잔디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이로써 공 등의 불규칙 바운드가 유발되고 본연의 목적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우레탄 코트는 중금속 출현과 무릎 엘보에 충격이 가중되는 구조로 운동선수가 꺼려하는 형편이다.
이에 기존과 차별되는 친환경 소재로만 운동시설 운동장 하부 기반시설 보완 공법으로 기존 탄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세굴방지, 침하, 포장두께 조정, 재료 개선을 통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입된 순수 친환경 기반시설 구조체의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33114 (등록일자 : 2017년 04월 27일) 인조잔디 구조체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06577 (등록일자 : 2012년 01월 10일) 고투수성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30372 (공개일자 : 2017년 03월 17일) 인조잔디 구조체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65166 (등록일자 : 2013년 05월 10일) 기능성 물질로 백코팅을 보강한 인조잔디 구조체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82835 (등록일자 : 2013년 07월 01일) 기능성 물질을 이용한 인조잔디 및 인조잔디 구조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운동장 하부 기반시설을 개량하여 탄성과 투수성 및 배수성을 고려 복원력이 우수하며, 기존과 차별되는 각각이 고유의 기능을 가진 친환경 마사토, 석분, 화산석 등의 재료가 결속된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각종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하부의 설치되며, 일정 깊이로 파내어 다짐을 통한 원지반층과;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 보조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 기층과;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다수 개의 파일(Pile)을 포설한 인조잔디층과;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충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지반층과 보조기층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기층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PE필름이 포설된다.
상기 보조기층과 모래층의 사이에는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가 포설된다.
상기 기층의 배수시스템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기층이 배수시스템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공급받기 위하여 천공(10mm 이내)을 두어 동공(洞空) 역할을 하며,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의 등나무 가지를 1M2 당 5~7개소 20~40cm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혼합골재는 암석을 플랜트에서 파쇄하여 13~25mm 입자로 선별한 70~95 중량%의 쇄석과, 상기 쇄석과 쇄석 사이를 충전하기 위한 입도분포 5mm 이하이고 0.08mm 이하가 15중량%이하인 5~30 중량%의 석분(石粉)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기층 조성물은 답압과 배수를 위한 2~3mm 직경의 마사, 운모 또는 화산석 90~95 중량%와, 보습과 완충작용을 위한 황토 5~10중량%로 조성된 주기층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주기층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상기 친환경의 바인더 조성물 8~12중량부와; 작업성을 위한 물 8~12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되어 친환경적인 식물성 기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류로 사용되는 수산화칼륨(KOH) 20~50 중량부와; 상기 식물성 기름의 바인딩 성능을 향상시키는 식물첨가제 10~20 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인조잔디층은 다수 개의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며, 하부로 물이 빠지는 투수력을 가지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를 포설한 잔디패드층과; 상기 잔디패드층에 다수 개의 파일(Pile)이 식재된 잔디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층은 상기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충전층의 최하부에 형성되며, 답압되어 안정되어 있고 1~2mm 직경의 규사 또는 친환경의 칩(Chip)으로 포설된 충전배수층과; 상기 충전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배수가 되나 서로 결속되어 안정되고 유실이 방지되며, 습기를 보유하는 보습력이 있고, 탄성이 있으며, 1~3mm 직경의 앙투카 50~80중량%와 마사 10~4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로 조성된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 후 포설하여 조성된 충전결속층과; 상기 충전결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움직임이 있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체육시설 사용 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복구관리가 필요하며, 1~2mm 직경의 앙투카 또는 마사로 포설된 충전복구관리층로 구성된다.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 둘레의 친환경 배수시스템을 조성하는 배수시스템 조성단계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의 배수시스템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롤러로 다짐하여 상기 원지반층을 조성하는 원지반층 조성단계와; 상기 원지반층 위에 상기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보조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모래층을 조성하는 모래층 조성단계와; 상기 모래층 위에 40~60mm 두께로 가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3톤 롤러로 다짐을 하는 1차 기층을 조성단계와, 상기 1차 기층 위에 40~60mm 두께로 상기 1차 기층과 90도 각도를 이루게 세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1.5톤 롤러로 2차 기층을 조성한 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여 상기 기층을 조성을 완료하는 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 위에 30~50% 농도의 발수제(방수액)을 일정 두께로 포설 후 상기 인조잔디층을 포설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와;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는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상기 충전층을 조성하는 충전층 포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층 포설단계는 상기 규사를 균일하게 살포한 후 안정을 위하여 답압하여 상기 충전배수층을 포설하는 충전배수층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하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혼합단계와; 혼합된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상기 충전배수층 상부에 8~12mm의 두께로 균일하게 펼쳐 포설하여 충전결속층을 형성시키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상부에 1~2mm 직경의 상기 앙투카 또는 마사를 4~6mm 두께로 포설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평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재료로 구축되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배수가 원활하고 우천 시 세굴현상이 없으며 충전층의 손실이 없어, 체육시설 사용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후 관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인조잔디 구조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기층에 배수시스템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기 위한 등나무 가지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에 따른 인조잔디층 및 충전층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시공방법 단계별 순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의 인조잔디 구조체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기층에 배수시스템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기 위한 등나무 가지 설치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에 따른 인조잔디층 및 충전층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시공방법 단계별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는 각종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일정 깊이로 파내어 다짐을 통한 원지반층과;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 보조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 기층과;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3중구조의 파일(Pile)을 포설한 인조잔디층과;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충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체와 배수시스템이 접하는 부분에는 투수성이 있는 엣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엣지를 통하여 우천 시 우수가 상기 배수시스템으로 배수된다(도 3 참조).
상기 보조기층은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다.
상기 혼합골재는 암석을 플랜트에서 파쇄하여 13~25mm 입자로 선별한 70~95 중량%의 쇄석과, 상기 쇄석과 쇄석 사이를 충전하기 위한 입도분포 5mm 이하이고 0.08mm 이하가 15중량%이하인 5~30 중량%의 석분(石粉)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보조기층의 두께는 45~5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래층은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모래층의 두께는 15~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층은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다.
상기 기층 조성물은 답압과 배수를 위한 2~3mm 직경의 마사, 운모 또는 화산석 90~95 중량%와, 보습과 완충작용을 위한 황토 5~10중량%로 조성된 주기층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주기층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친환경의 바인더 조성물 8~12중량부와; 작업성을 위한 물 8~12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기층의 두께는 90~1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되어 친환경적인 식물성 기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류로 사용되는 수산화칼륨(KOH) 20~50 중량부와; 상기 식물성 기름의 바인딩 성능을 향상시키는 식물첨가제 10~20 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식물성 기름은 결속 성능과 휘발성을 가지는 충진제로 카놀라유, 옥수수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콩기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식물성 첨가제는 곤드레가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잔디층은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3중구조의 파일(Pile)을 포설한다.
상기 충전층은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며,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고, 3개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층을 포함한 인조잔디층의 두께는 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지반층과 보조기층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기층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PE(Polyethylene)필름이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기층과 모래층의 사이에는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가 포설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는 투수 또는 반투수되어 상기 엣지를 지나 배수시스템으로 물이 배수되는 구조이므로 구조체 위에 물이 고이거나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건조할 때 배수시스템의 플륨관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상기 기층으로 올려 빗물 재활용과 보습효과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기층의 배수시스템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기층이 배수시스템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공급받기 위하여 천공(10mm 이내)을 두어 동공(洞空) 역할을 하며,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의 등나무 가지를 1M2 당 5~7개소 20~40cm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인조잔디층은 다수 개의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며, 하부로 물이 빠지는 투수력을 가지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를 포설한 잔디패드층과; 상기 잔디패드층에 다수 개의 파일(Pile)이 식재된 잔디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일(Pile)은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복원력이 있는 PE(Polyethylene) 재질로 된 제1파일과;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일보다 일정 높이만큼 낮은 높이를 가지고, 반발력이 우수한 PP(Polypropylene), PE 또는 나일론 재질로 된 제2파일과;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파일보다 일정 높이만큼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충전배수층을 보호하며 나일론 재질로 된 제3파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파일과 제2파일 및 제3파일은 상기 패드에 일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다수 개 식재된다.
상기 충전층은 상기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충전층의 최하부에 형성되며, 답압되어 안정되어 있고 하부로 배수되며 1~2mm 직경의 규사 또는 친환경의 칩(Chip)으로 포설된 충전배수층과; 상기 충전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배수가 되나 서로 결속되어 안정되고 유실이 방지되며, 습기를 보유하는 보습력이 있고, 탄성이 있으며, 1~3mm 직경의 앙투카 50~80중량%와 마사 10~4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로 조성된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 후 포설하여 조성된 충전결속층과; 상기 충전결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움직임이 있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무릎관절을 보호하며, 체육시설 사용 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복구관리가 필요하고, 1~2mm 직경의 앙투카 또는 마사로 포설된 충전복구관리층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배수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충전결속층은 8~12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인조잔디층과 상기 충전층의 병합 두께는 20~3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배수층은 상기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충전층의 최하부에 형성되며, 답압되어 안정되어 있고, 하부로 쉽게 배수될 수 있게 1~2mm 직경의 규사 또는 친환경의 칩(Chip)으로 포설한다.
상기 친환경의 칩(Chip)은 앙투카, 마사, 운모, 석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충전결속층은 상기 충전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배수가 되나 서로 결속되어 안정되고 유실이 방지되며, 습기를 보유하는 보습력이 있고, 탄성이 있으며, 1~3mm 직경의 앙투카 50~80중량%와 마사 10~4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로 조성된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 후 포설하여 조성된다.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은 상기 충전결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움직임이 있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체육시설 사용 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복구관리가 필요하며, 1~2mm 직경의 앙투카 또는 마사로 포설된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기층이 반투수의 성질을 가지므로 상기 기층으로 부터 수분을 공급받거나 상기 기층으로 배수될 수 있어 인조잔디층이나 충전층에 물이 고이지 않으나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고, 탄성을 유지하고 슬라이딩 시 부상을 막을 수 있으며, 상술한 것 같이 설명하는 것 같이 상기 충전층이 위에서부터 충전복구관리층, 충전결속층 및 충전배수층으로 구성되어 배수가 원활하고 충전물의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사용 후 관리가 되므로 관리비도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 둘레의 친환경 배수시스템을 조성하는 배수시스템 조성단계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의 배수시스템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롤러로 다짐하여 상기 원지반층을 조성하는 원지반층 조성단계와; 상기 원지반층 위에 상기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보조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모래층을 조성하는 모래층 조성단계와; 상기 모래층 위에 40~60mm 두께로 가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3톤 롤러로 다짐을 하는 1차 기층을 조성단계와, 상기 1차 기층 위에 40~60mm 두께로 상기 1차 기층과 90도 각도를 이루게 세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1.5톤 롤러로 2차 기층을 조성한 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여 상기 기층을 조성을 완료하는 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 위에 30~50% 농도의 발수제(방수액)을 일정 두께로 포설 후 상기 인조잔디층을 포설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와;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는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상기 충전층을 조성하는 충전층 포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시스템 조성단계는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 둘레의 친환경 배수시스템을 조성하는 단계로서, 도 3에서와 같이 배수시스템 중 플륨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원지반을 굴토하고 상기 플륨관을 매설한다. 상기 플륨관은 200x200mm 크기나 300x200 크기를 설치하며, 기타 배수시스템을 구성요소를 설치한다.
상기 원지반층 조성단계는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의 배수시스템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롤러로 다짐하는 원지반 굴토 및 다짐단계와 다짐 후 상기 보조기층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PE필름을 포설하는 PE필름 포설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기층 조성단계는 상기 원지반층 위에 상기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단계로서, 암석을 플랜트에서 파쇄하여 13~25mm 입자로 선별한 70~95 중량%의 쇄석과, 상기 쇄석과 쇄석 사이를 충전하기 위한 입도분포 5mm 이하이고 0.08mm 이하가 15중량%이하인 5~30 중량%의 석분(石粉)을 혼합한 상기 혼합골재를 포설한 후 1~3톤 롤러로 다짐을 하는 혼합골재 포설단계와; 상기 보조기층과 모래층의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포설하는 부직포 포설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모래층 조성단계는 상기 기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래를 포설하여 상기 모래층을 조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모래층은 1~3톤 롤러로 다져 평탄하게 해야 하고, 상기 모래층의 두께는 15~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층 조성단계는 상기 모래층 위에 40~60mm 두께로 가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3톤 롤러로 다짐을 하는 1차 기층을 하는 1차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1차 기층 위에 40~60mm 두께로 상기 1차 기층과 90도 각도를 이루게 세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1.5톤 롤러로 2차 기층을 조성하는 2차기층 조성단계와; 2차 기층을 조성한 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여 상기 기층을 조성을 완료하는 평탄작업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인조잔디포설단계는 상기 기층 위에 30~50% 농도의 발수제(방수액)을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본드층을 만드는 본드층 조성단계와; 상기 본드층에 패드를 접착시켜 상기 인조잔디층을 포설하는 잔디층 포설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층 포설단계는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는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상기 충전층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충전층 포설단계는 상기 규사를 균일하게 살포한 후 안정을 위하여 답압하여 상기 충전배수층을 포설하는 충전배수층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하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혼합단계와; 혼합된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상기 충전배수층 상부에 8~12mm의 두께로 균일하게 펼쳐 포설하여 충전결속층을 형성시키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상부에 1~2mm 직경의 상기 앙투카 또는 마사를 4~6mm 두께로 포설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평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과거 콘크리트, 아스콘, 우레탄, 일반 기층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친환경적인 재료로 구축된 친환경기층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무릎관절의 손상이나 운동 중 부상이 적게 발생하며, 배수가 원활하고 우천 시 세굴현상이 없으며 충전층의 손실이 없어, 체육시설 사용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후 관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하부의 구조체에 있어서,
    일정 깊이로 파내어 다짐을 통한 원지반층과;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 보조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 기층과;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파일(Pile)을 포설한 인조잔디층과;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충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층은 다수 개의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며, 하부로 물이 빠지는 투수력을 가지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를 포설한 잔디패드층과;
    상기 잔디패드층에 다수 개의 파일(Pile)이 식재된 잔디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층은 상기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충전층의 최하부에 형성되며, 답압되어 안정되어 있고 하부로 배수되며 1~2mm 직경의 규사 또는 친환경의 칩(Chip)으로 포설된 충전배수층과;
    상기 충전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배수가 되나 서로 결속되어 안정되고 유실이 방지되며, 습기를 보유하는 보습력이 있고, 탄성이 있으며, 1~3mm 직경의 앙투카 50~80중량%와 마사 10~4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로 조성된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 후 포설하여 조성된 충전결속층과;
    상기 충전결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움직임이 있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체육시설 사용 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복구관리가 필요하며, 1~2mm 직경의 앙투카 또는 마사로 포설된 충전복구관리층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배수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충전결속층은 8~12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인조잔디층과 상기 충전층의 병합 두께는 20~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층과 보조기층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기층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PE필름이 포설되고,
    상기 보조기층과 모래층의 사이에는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가 포설되며,
    상기 기층의 배수시스템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기층이 배수시스템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공급받기 위하여 천공을 두어 동공(洞空) 역할을 하며,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의 등나무 가지를 1M2 당 5~7개소 20~40c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골재는 암석을 플랜트에서 파쇄하여 13~25mm 입자로 선별한 70~95 중량%의 쇄석과, 상기 쇄석과 쇄석 사이를 충전하기 위한 입도분포 5mm 이하이고 0.08mm 이하가 15중량%이하인 5~30 중량%의 석분(石粉)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보조기층의 두께는 45~55mm이고,
    상기 모래층의 두께는 15~25mm이며,
    상기 기층의 두께는 90~110mm이고,
    상기 충전층을 포함한 인조잔디층의 두께는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층 조성물은 답압과 배수를 위한 2~3mm 직경의 마사, 운모 또는 화산석 90~95 중량%와, 보습과 완충작용을 위한 황토 5~10중량%로 조성된 주기층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주기층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친환경의 바인더 조성물 8~12중량부와;
    작업성을 위한 물 8~12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되어 친환경적인 식물성 기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류로 사용되는 수산화칼륨(KOH) 20~50 중량부와;
    상기 식물성 기름의 바인딩 성능을 향상시키는 식물첨가제 10~20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결속 성능과 휘발성을 가지는 충진제로 카놀라유, 옥수수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콩기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식물첨가제는 곤드레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Pile)은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복원력이 있는 PE(Polyethylene) 재질로 된 제1파일과;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일보다 일정 높이만큼 낮은 높이를 가지고, 반발력이 우수한 PP(Polypropylene), PE 또는 나일론 재질로 된 제2파일과;
    상기 패드의 상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파일보다 일정 높이만큼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충전배수층을 보호하며 나일론 재질로 된 제3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파일과 제2파일 및 제3파일은 상기 패드에 일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다수 개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8. 경기장과 학교 운동장 하부의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일정 깊이로 파내어 다짐을 통한 원지반층과;
    상기 원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투수되며 혼합골재로 된 보조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있는 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화되었을 때도 탄성과 보습력을 가지고, 상기 보조기층보다 40~60%의 투수력을 가지는 반투수성이며, 우천시 흐르는 물에 인해서 표면에 세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친환경의 기층조성물로 조성된 기층과;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파일(Pile)을 포설한 인조잔디층과;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일정 높이로 충전되어 하부 보습력과 중간 탄성 및 상부 복원력을 각각 가지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충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공방법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 둘레의 친환경 배수시스템을 조성하는 배수시스템 조성단계와:
    각종 경기장 또는 학교 운동장의 배수시스템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롤러로 다짐하여 상기 원지반층을 조성하는 원지반층 조성단계와;
    상기 원지반층 위에 상기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보조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모래층을 조성하는 모래층 조성단계와;
    상기 모래층 위에 40~60mm 두께로 가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3톤 롤러로 다짐을 하는 1차 기층을 조성하고, 상기 1차 기층 위에 40~60mm 두께로 상기 1차 기층과 90도 각도를 이루게 세로축으로 상기 기층조성물을 포설하여 1~1.5톤 롤러로 2차 기층을 조성한 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여 상기 기층을 조성을 완료하는 기층 조성단계와;
    상기 기층 위에 30~50% 농도의 발수제를 일정 두께로 포설 후 상기 인조잔디층을 포설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와;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는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파일과 파일 사이에 상기 충전층을 조성하는 충전층 포설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골재는 암석을 플랜트에서 파쇄하여 13~25mm 입자로 선별한 70~95 중량%의 쇄석과, 상기 쇄석과 쇄석 사이를 충전하기 위한 입도분포 5mm 이하이고 0.08mm 이하가 15중량%이하인 5~30 중량%의 석분(石粉)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모래층의 두께는 15~25mm이며,
    상기 기층의 두께는 90~110mm이고,
    상기 기층 조성물은 답압과 배수를 위한 2~3mm 직경의 마사, 운모 또는 화산석 90~95 중량%와, 보습과 완충작용을 위한 황토 5~10중량%로 조성된 주기층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주기층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상기 친환경의 바인더 조성물 8~12중량부와;
    작업성을 위한 물 8~12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되어 친환경적인 식물성 기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류로 사용되는 수산화칼륨(KOH) 20~50 중량부와;
    상기 식물성 기름의 바인딩 성능을 향상시키는 식물첨가제 10~20 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인조잔디층은 상기 파일이 식재되는 모판이 되며, 하부로 물이 빠지는 투수력을 가지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를 포설한 잔디패드층과;
    상기 잔디패드층에 파일(Pile)이 식재된 잔디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층은 상기 잔디패드층의 상부 및 상기 충전층의 최하부에 형성되며, 답압되어 안정되어 있고 1~2mm 직경의 규사로 포설된 충전배수층과;
    상기 충전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배수가 되나 서로 결속되어 안정되고 유실이 방지되며, 습기를 보유하는 보습력이 있고, 탄성이 있으며, 1~3mm 직경의 앙투카 50~80중량%와 마사 10~4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로 조성된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 후 포설하여 조성된 충전결속층과;
    상기 충전결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움직임이 있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체육시설 사용 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복구관리가 필요하며, 1~2mm 직경의 앙투카 또는 마사로 포설된 충전복구관리층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배수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충전결속층은 8~12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은 4~6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인조잔디층과 상기 충전층의 병합 두께는 20~30mm이며,
    상기 충전층 포설단계는 상기 규사를 균일하게 살포한 후 안정을 위하여 답압하여 상기 충전배수층을 포설하는 충전배수층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혼합하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혼합단계와;
    혼합된 상기 충전결속층 조성물을 상기 충전배수층 상부에 8~12mm의 두께로 균일하게 펼쳐 포설하여 충전결속층을 형성시키는 충전결속층 조성물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결속층 상부에 1~2mm 직경의 상기 앙투카 또는 마사를 4~6mm 두께로 포설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포설단계와;
    상기 충전복구관리층을 브러쉬로 평탄작업을 하는 충전복구관리층 평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의 시공방법
  9. 삭제
KR1020170165526A 2017-12-05 2017-12-05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5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26A KR101850017B1 (ko) 2017-12-05 2017-12-05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26A KR101850017B1 (ko) 2017-12-05 2017-12-05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17B1 true KR101850017B1 (ko) 2018-05-30

Family

ID=623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526A KR101850017B1 (ko) 2017-12-05 2017-12-05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710A (ko) * 2014-12-30 2016-07-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인조잔디용 파일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447B1 (ko) * 2018-07-13 2018-10-26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KR102006787B1 (ko) * 2018-12-07 2019-08-02 (주)거우에스앤씨 포설용 코팅골재 및 이를 이용한 비산먼지 억제가 가능한 그라운드 시공방법
KR102006786B1 (ko) * 2018-12-07 2019-08-02 (주)거우에스앤씨 포설용 코팅골재 및 이를 이용한 비산먼지 억제가 가능한 그라운드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709A (ja) * 1999-09-09 2001-03-27 Ohbayashi Corp 湿潤性舗装システム
KR100946156B1 (ko) * 2009-09-28 2010-03-10 정지영 간이 골프용 인조그린 설치방법
KR20100121855A (ko) * 2009-05-11 2010-11-19 (주)지케이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28428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세주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74293B1 (ko) * 2011-01-19 2013-07-15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1358893B1 (ko) * 2013-10-08 2014-02-05 주식회사 금룡 복층구조를 갖는 운동장의 기층에 사용되는 황토혼합물 및 이 황토혼합층을 포함하는 복층구조의 운동장
KR20160121192A (ko) * 2015-04-10 2016-10-19 한국인조잔디관련산업협동조합 유수 순환형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7934B1 (ko) * 2016-04-11 2016-11-21 (주)동양에코텍 인조 잔디 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709A (ja) * 1999-09-09 2001-03-27 Ohbayashi Corp 湿潤性舗装システム
KR20100121855A (ko) * 2009-05-11 2010-11-19 (주)지케이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6156B1 (ko) * 2009-09-28 2010-03-10 정지영 간이 골프용 인조그린 설치방법
KR101274293B1 (ko) * 2011-01-19 2013-07-15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KR20130028428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세주 라인을 이용한 운동장 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58893B1 (ko) * 2013-10-08 2014-02-05 주식회사 금룡 복층구조를 갖는 운동장의 기층에 사용되는 황토혼합물 및 이 황토혼합층을 포함하는 복층구조의 운동장
KR20160121192A (ko) * 2015-04-10 2016-10-19 한국인조잔디관련산업협동조합 유수 순환형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7934B1 (ko) * 2016-04-11 2016-11-21 (주)동양에코텍 인조 잔디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710A (ko) * 2014-12-30 2016-07-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인조잔디용 파일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9148B1 (ko) * 2014-12-30 2019-01-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1912447B1 (ko) * 2018-07-13 2018-10-26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KR102006787B1 (ko) * 2018-12-07 2019-08-02 (주)거우에스앤씨 포설용 코팅골재 및 이를 이용한 비산먼지 억제가 가능한 그라운드 시공방법
KR102006786B1 (ko) * 2018-12-07 2019-08-02 (주)거우에스앤씨 포설용 코팅골재 및 이를 이용한 비산먼지 억제가 가능한 그라운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017B1 (ko) 친환경 소프트 체육시설 기반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ES2734477T3 (es) Sistema de cobertura de suelo sintético con relleno de unión para control de erosión
KR100881167B1 (ko)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US20120279125A1 (en) Mixed turf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91940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shocks impacts while providing water drainage
GB2420986A (en) Synthetic turf
KR101912447B1 (ko)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CN201473846U (zh) 粉土填方路基边坡的防冲刷结构
CN105123212A (zh) 一种利用植物纤维毯进行坡面植被防护的方法
CN108999058A (zh) 一种人造草坪的施工方法
CN208136922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复合生态袋结构
CN105862671A (zh) 一种基于生态有机海绵的工法
JP2010043417A (ja) 表層体及び表層体の施工方法
JP4997482B2 (ja) 人工芝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KR101358893B1 (ko) 복층구조를 갖는 운동장의 기층에 사용되는 황토혼합물 및 이 황토혼합층을 포함하는 복층구조의 운동장
CN107587408A (zh) 一种新型运动草坪及其制作方法
KR20160121192A (ko) 유수 순환형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CN201495465U (zh) 粉土填料公路路基结构
CN101016745A (zh) 陡坡柔性绿篱埂的施工结构
JP3211083U (ja) プレハブ式人工芝構造体
KR101850018B1 (ko) 친환경 친수공간 배수구조
KR20110028801A (ko) 직근 대나무를 이용한 녹화구조
JP2890181B2 (ja) 芝生グランドの床土構造
KR102170750B1 (ko) 전천후 멀티 하드코트
JP2013079506A (ja) 人工芝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