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243B1 -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 Google Patents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243B1
KR102155243B1 KR1020190040821A KR20190040821A KR102155243B1 KR 102155243 B1 KR102155243 B1 KR 102155243B1 KR 1020190040821 A KR1020190040821 A KR 1020190040821A KR 20190040821 A KR20190040821 A KR 20190040821A KR 102155243 B1 KR102155243 B1 KR 10215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net
vertical portion
horizontal
tramp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브이
주식회사 플레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브이, 주식회사 플레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브이
Priority to KR10201900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9Protective housings covering the working parts of the apparatus
    • A63B2071/02

Abstract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네트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부;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을 포함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단까지의 제1 폭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네트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단까지의 제2 폭보다 크고,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까지의 제1 높이는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까지의 제2 높이보다 큰 트램펄린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TRAMPOLINE MODULE AND IN-GROUND TRAMPO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트램펄린은 네트를 복수의 용수철을 통해 프레임에 고정한 형태의 운동기구이다.
트램펄린은 전신운동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기 아이에게 특히 유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유아용 놀이기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이어트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트램펄린은 네트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추락사고 위험이 있었다. 특히, 균형감각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유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램펄린을 감싸도록 안전망을 설치하였지만, 여전히 안전망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철제 기둥에 대한 충돌사고 위험 등이 있었다.
다른 예시로, 지상이 아닌 지중에 설치되는 형태의 트램펄린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복수의 용수철 사이에 발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수철 상에 설치되는 매트로 인해 용수철 교체 등의 유지보수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트램펄린이 지중에 설치되는 결과, 작업자는 트램펄린 아래에서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용수철 상에 고정된 매트를 분리한 후에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용수철이 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결과, 복수의 용수철 사이에 발이 끼는 문제가 보다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트를 용수철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등 발 끼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 설계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522호(2016.06.27,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실시 예는 지중 설치 시 용수철 교체 등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한 트램펄린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복수의 용수철 사이로의 발 끼임 문제를 개선한 트램펄린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네트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부;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을 포함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단까지의 제1 폭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네트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단까지의 제2 폭보다 크고,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까지의 제1 높이는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까지의 제2 높이보다 큰 트램펄린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은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탄성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내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단까지의 제3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1 수직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수평부까지의 제4 폭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까지의 제5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형성되는 피트; 상기 피트의 측면 및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내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트램펄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네트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부;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을 포함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상기 제1 수평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탄성 매트를 더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은 용수철 전체를 감싸는 제1 수평부에 의해 발 끼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부의 내측단에 제2 수직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수평부의 내측단 아래에 손 또는 발은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 가능하게 하되 머리 등 다른 신체 부위는 삽입되지 않게 하는 적정 높이의 틈새를 제공하는 한편, 제1 수평부의 나머지 영역 아래에는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도록 틈새보다 높이가 큰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1)은 네트(10), 프레임(20) 및 복수의 탄성부재(30)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매트(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10)는 복수의 섬유 벨트를 씨실 및 날실로 사용하여 그물 형태로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시로, 각각의 섬유 벨트 내에는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철심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복수의 섬유 벨트는 그물 형태로 직조된 후 예를 들어 PVC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트(10)는 구멍이 없는 막 형태일 수도 있다.
네트(10)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직사각형 등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네트(10)는 복수의 탄성부재(30)를 통해 프레임(20)에 연결 내지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아연 용융 도금된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작 및 설치 편의성 등을 위해 상호간에 분리된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은 상호간에 연결되어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인 프레임(2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 각각은 프레임(20)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수직부(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레임(20)은 4개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은 제1 수직부(100)를 1개씩만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프레임(20)은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제1 수직부를 2개씩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30)의 내측단은 네트(10)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단은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어떤 구성요소의 "내측"은 수평 방향으로 프레임(20)의 중심에 근접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외측"은 수평 방향으로 프레임(2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30) 상호간은 네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10)는 복수의 탄성부재(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는 연결용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탄성 매트(40)는 프레임(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0)은 제1 수직부(10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매트(40)는 제1 수평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매트(40)는 제1 수평부(120)의 전체 영역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성 매트(4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매트(40)는 탄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 또는 발포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20) 또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 각각은 제1 수직부(100), 브래킷부(110), 제1 수평부(120) 및 제2 수직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도면은 설명 편의 등을 위해 제2 서브 프레임(20b)에 구비되는 브래킷부, 및 해당 브래킷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제1 수직부(100), 제1 수평부(120), 제2 수직부(130),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수직부(100), 제1 수평부(120), 제2 수직부(130),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1 수직부(100), 제1 수평부(120), 제2 수직부(130),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는 용접 등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된 복수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수직부(100) 및 제2 수직부(130)는 수직 내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직부(100) 및 제2 수직부(130)는 상하 방향과 평행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 방향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수평부(120),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 제2 수평부(140) 및 제3 수평부(150)는 수평 방향과 평행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방향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브래킷부(110)는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제1 수직부(10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부(110)에는 탄성부재(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0)의 외측단에는 제1 후크가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부(110)에는 제1 후크가 결합되는 고리 또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는 제1 수직부(1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수직부(10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는 제1 수직부(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120a), 및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는 제1 수평부(120)의 아래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2개의 구성요소가 특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는 것은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해당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와 중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수평부(120)의 제1 내측단(120b)까지의 제1 폭(W1)은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탄성부재(30)의 내측단까지의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부(120)는 탄성부재(30) 전체를 감싸서 복수의 탄성부재(30) 사이로의 발 끼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부(120)에 대한 충돌 사고는 제1 수평부(120) 상에 배치된 탄성 매트(40)에 의해 방지 내지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폭"은 특정된 구성요소의 수평 방향으로의 폭이나 특정된 두 지점 사이의 수평 방향으로의 거리 내지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 수직부(130)는 제1 수평부(120)의 제1 내측단(120b)에 연결되어 제1 내측단(120b)으로부터 네트(10)를 향해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직부(130)의 하단은 네트(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10)의 상면과 제2 수직부(130)의 하단 사이에는 틈새(G)가 형성될 수 있다.
틈새(G)의 높이, 즉 네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제2 수직부(130)의 하단까지의 제2 높이(H2)는 손 또는 발은 틈새(G)에 삽입 가능하게 하되 손 또는 발보다는 큰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머리는 틈새(G)에 삽입되지 않게 하는 적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높이(H2)는 3cm 내지 5c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높이"는 특정 구성요소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하거나 특정된 두 지점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 내지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네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제1 수평부(120)의 하면까지의 제1 높이(H1)는 네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제2 수직부(130)의 하단까지의 제2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부(120)의 제1 내측단(120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아래에는 틈새(G)보다 큰 높이의 작업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부(120) 상에 배치된 탄성 매트(40)는 제2 수직부(130)의 내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제2 수직부(130)에 대한 충돌 사고를 방지 내지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네트(10)와 제2 수직부(130) 사이에 틈새(G)보다 큰 높이의 부목 등을 삽입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수평부(140)는 제1 수직부(1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수직부(10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평부(140)는 제1 수직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외측단(140a), 및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내측단(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부(140)는 제1 수직부(10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프레임(20)이 지면 또는 지지부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0)의 전체 하중을 줄이고, 트램펄린 모듈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2 수평부(140)는 탄성부재(3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특히,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수평부(140)의 제2 내측단(140b)까지의 제3 폭(W3)은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수평부(120)의 내측단(120b)까지의 제1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0)의 상단 개구, 즉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수평부(120) 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프레임(20)의 하단 개구, 즉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수평부(140) 사이의 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3 수평부(150)는 제2 수직부(13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수직부(130)의 하단으로부터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3 수평부(150)까지의 제4 폭(W4)은 제1 수직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부재(10a)까지의 제5 폭(W5)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0a)는 탄성부재(30)가 네트(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네트(10)의 단부에 결합 내지 고정되는 탄성부재 결합용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 상호간은 제1 연결부재(50) 및 제2 연결부재(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50) 및 제2 연결부재(60)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 각각에 한 쌍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50)는 서브 프레임(20a)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50)도 서브 프레임(20a)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50)는 제1 수평부(12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제1 수평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재(60)는 제2 수평부(14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제2 수평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50) 및 제2 연결부재(60)는 각각 프레임(20)의 수평부(120, 140)와 마주보는 수평연결부, 및 수평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연결부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프레임(20a, 20b, 20c, 20d)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에 각각 배치된 제1 연결부재(50) 또는 제2 연결부재(60)의 수직연결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연결부의 관통 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네트(10)의 단부에는 복수의 고정부재(10a)가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0a)는 네트(10)를 구성하는 섬유 벨트(10b)와 협력하여 고리 또는 관통 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재(10a) 자체에 관통 홀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제2 후크는 고정부재(10a)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또는 관통 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는 트램펄린 모듈(1), 피트(2), 기초부(3) 및 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램펄린 모듈(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1)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트램펄린 모듈(1)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트(2)는 지중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트(2)는 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 구덩이일 수 있다.
기초부(3)는 피트(2)의 측면 및 바닥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잡석층(3a) 및 콘크리트층(3b)을 포함할 수 있다. 잡석층(3a) 및 콘크리트층(3b)은 피트(2)의 다져진 바닥면 상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고, 피트(2)의 측면 상에는 콘크리트층(3b)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부(3)는 지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잡석층(3a) 및 콘크리트층(3b)은 다져진 지면 상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고, 콘크리트층(3b) 상에는 고무 칩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층(3c)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기초부(3)의 바닥면에는 배수구(3d)가 형성될 수 있고, 기초부(3)의 바닥면은 배수구(3d)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배수구(3d)에는 기초부(3)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연장되는 배수용 파이프 또는 집수용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는 트램펄린 모듈(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램펄린 모듈(1)의 제2 수평부는 지지부(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4)는 기초부(3)의 내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 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는 기초부(3)의 내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 부분을 따라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트램펄린 모듈(1)의 4개의 코너 부분을 지지하도록 4개의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트램펄린 모듈(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부(4)의 개수를 적절히 늘리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트램펄린 모듈(1)은 지지부(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기초부(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초부(3)의 바닥면에 고인 빗물 등 오물에 의해 트램펄린 모듈(1)의 프레임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1')은 네트(10), 프레임(20) 및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매트(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1)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경을 가하여 적용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은 제1 수직부(100), 브래킷부(110), 제1 수평부(120) 및 제2 수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부(1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사각 파이프(P)를 차례로 연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사각 파이프(P)는 커플링(C)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직부(100)는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아연 용융 도금된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는 제1 수직부(10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수직부(10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평부(120)는 합판(plywood)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수직부(130)는 제1 수평부(120)의 내측단(12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수평부(12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제2 수직부(130)는 목재 기둥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는 트램펄린 모듈(1'), 피트(2), 기초부(3) 및 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경을 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트램펄린 모듈(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모듈(1')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 트램펄린 모듈 2, 피트
3: 기초부 3a: 잡석층
3b: 콘크리트층 3c: 탄성층
3d: 배수구 4: 지지부
10: 네트 10a: 고정부재
10b: 섬유 벨트 20: 프레임
20a, 20b, 20c, 20d: 서브 프레임
30: 탄성부재 40: 탄성 매트
50: 제1 연결부재 60: 제2 연결부재
100: 제1 수직부 110: 브래킷부
120: 제1 수평부 120a: 제1 외측단
120b: 제1 내측단 130: 제2 수직부
140: 제2 수평부 140a: 제2 외측단
140b: 제2 내측단 150: 제3 수평부

Claims (9)

  1.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네트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에 있어서,
    상기 네트와 탄성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네트에 포함된 섬유 벨트와 협력하여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에 상기 탄성부재에 포함된 후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부;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을 포함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단까지의 제1 폭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네트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단까지의 제2 폭보다 크고,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까지의 제1 높이는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까지의 제2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은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트램펄린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탄성 매트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내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단까지의 제3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트램펄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1 수직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는 트램펄린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부를 포함하는 트램펄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수평부까지의 제4 폭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까지의 제5 폭보다 큰 트램펄린 모듈.
  9. 지중에 형성되는 피트;
    상기 피트의 측면 및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내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트램펄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네트, 상기 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네트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네트와 탄성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네트에 포함된 섬유 벨트와 협력하여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에 상기 탄성부재에 포함된 후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부;
    상기 제1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외측단,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내측단을 포함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은 상기 네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램펄린 모듈은 상기 제1 수평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탄성 매트를 더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KR1020190040821A 2019-04-08 2019-04-08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KR10215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21A KR102155243B1 (ko) 2019-04-08 2019-04-08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21A KR102155243B1 (ko) 2019-04-08 2019-04-08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243B1 true KR102155243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21A KR102155243B1 (ko) 2019-04-08 2019-04-08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2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2150A1 (en) * 2006-05-03 2007-11-07 Folmer Troelsen Frame pad construction for trampolines
KR20130070189A (ko) * 2011-12-19 2013-06-27 최남영 트램펄린 구조체
US20140179492A1 (en) * 2012-12-20 2014-06-26 Larry C. Wilkins Adjustable rebound device and exercise machine including adjustable rebound device
KR20160073522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2150A1 (en) * 2006-05-03 2007-11-07 Folmer Troelsen Frame pad construction for trampolines
KR20130070189A (ko) * 2011-12-19 2013-06-27 최남영 트램펄린 구조체
US20140179492A1 (en) * 2012-12-20 2014-06-26 Larry C. Wilkins Adjustable rebound device and exercise machine including adjustable rebound device
KR20160073522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지중 트램펄린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331B2 (en) Trampoline park frame
US20060043031A1 (en) Electronic equipment rack
US10465401B2 (en)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KR101432673B1 (ko)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RU2587049C2 (ru) Амортизацион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вучи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2155243B1 (ko) 트램펄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 트램펄린 구조체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US5503500A (en) Pier support
US10576321B2 (en) In-ground trampoline system
US20090188034A1 (en) Integrated Hot Tub, Spa, or Pool and Frame and Method of Inground Installation
CN208301569U (zh) 浴室底盘
US6795985B2 (en) Narrow buttress system structure for swimming pools
US6532606B1 (en) Adjustable pedestal for starting platform for swimming pool
KR101982672B1 (ko) 내진 기능이 부가된 이중 바닥 패널
KR101230056B1 (ko) 면진 가동플로어 구조
KR20120132044A (ko) 크레인의 후크 파킹 장치
KR20200102851A (ko) 조립형 퍼걸러
KR102181287B1 (ko) 잔디 보호용 이중 매트
KR200424777Y1 (ko) 연결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좌판
KR102181286B1 (ko)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US20240065491A1 (en) Shower Base or Bathtub
KR102162700B1 (ko)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442982B1 (ko) 안정성이 확보된 내진형 조립식 지붕 트러스 연결장치
CA2412978C (en) Narrow buttress system structure for swimming pools
KR102181284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