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86B1 -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 Google Patents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86B1
KR102181286B1 KR1020190089448A KR20190089448A KR102181286B1 KR 102181286 B1 KR102181286 B1 KR 102181286B1 KR 1020190089448 A KR1020190089448 A KR 1020190089448A KR 20190089448 A KR20190089448 A KR 20190089448A KR 102181286 B1 KR102181286 B1 KR 10218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upport
frame
pillars
m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결
Original Assignee
손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결 filed Critical 손결
Priority to KR102019008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의 이격 없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된 받침 매트들의 상부에 뗏장이 위치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받침 매트들로부터 위로 떨어져 위치하게 되고, 잔디 통과홀들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고, 상기 받침 매트들의 상면에 놓일 하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GRASS PROTECTING MAT FOR BEING PLACED ON SUPPORTING MAT}
본 발명은 큰 하중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잔디 생육 지역(예컨대, 야외 주차장 등)에 설치된 받침 매트 상에 놓여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된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들이나 산에서 자라는 키가 작고 뿌리가 붙은 상태로 무리를 지어 있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오늘날에는 조경, 운동 선수의 부상 방지, 흙의 붕괴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잔디가 인위적으로 생육되고 있다.
잔디 생육 지역은 지면에 뗏장(흙이 붙어 있는 상태로 뿌리째 떠낸 잔디의 조각)을 깔고 뗏장의 잔디를 키워 조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잔디 생육 지역을 오가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의한 하중이 잔디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잔디가 자라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잔디 생육 지역을 조성할 때에는 잔디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잔디 보호 매트의 설치가 병행되고 있다.
상기 잔디 보호 매트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0898546호(잔디 보호 매트) 및 등록특허 제10-1063271호(잔디 보호 매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들에 개시된 잔디 보호 매트는 서로 결합된 형태로 잔디 생육 지역의 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 잔디 보호 매트는 다각 형태의 잔디통과공간들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잔디통과공간의 각 꼭지점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다리들도 갖는다.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에 설치되었을 때, 다리들의 하단은 지면과 접촉하고, 이로 인해 프레임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채 다리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뗏장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잔디 보호 매트의 또 다른 예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783호(잔디보호매트) 및 등록특허 제10-1772846호(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잔디 보호 매트는 위 등록특허 제10-0898546호 및 등록특허 제10-1063271호의 다리들을 격판들로 대체한 기술이다. 그리고 위 등록특허 제10-1772846호에 개시된 잔디 보호 매트는 위 등록특허 제10-0898546호 및 등록특허 제10-1063271호의 프레임의 상면에 별도의 상부 매트를 분리 가능하게 겹쳐놓은 기술이다.
등록특허 제10-0898546호(잔디 보호 매트) 등록특허 제10-1063271호(잔디 보호 매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783호(잔디보호매트) 등록특허 제10-1772846호(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오늘날 잔디 생육 지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공원 등에 마련된 야외 주차장도 잔디 생육 지역으로 조성하려는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야외 주차장은 무게가 수십톤에 달하는 차량들(승용차, 버스, 트럭 등)이 나들며 주차되는 곳이므로, 야외 주차장과 같이 큰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잔디 생육 지역에서는 앞서 소개한 종래의 잔디 보호 매트가 그대로 사용될 수 없다.
만일, 큰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잔디 생육 지역에 위 종래의 잔디 보호 매트들이 그대로 사용된다면 다리들이 지면을 파고들면서 프레임을 침하시키게 되는데, 그러면 다리가 잔디의 생장점을 손상시키는 문제, 그리고 프레임이 잔디를 압박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잔디 생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잔디 보호 매트들에서는 큰 하중을 받는 부위가 그렇지 않은 부위에 비해 침하하는 정도[부등침하(不等沈下)의 정도]가 커서, 프레임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외 주차장과 같이 큰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잔디 생육 지역에서 받침 매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의 이격 없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된 받침 매트들의 상부에 뗏장이 위치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받침 매트들로부터 위로 떨어져 위치하게 되고, 잔디 통과홀들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고, 상기 받침 매트들의 상면에 놓일 하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를 제공한다.
상기 기둥들은, 상기 잔디 통과홀들 각각의 주변에 나열된 주 기둥들; 및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나열되고, 상기 주 기둥들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테두리용 보강 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들은, 인접한 두 받침 매트의 인접 경계에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인접한 두 받침 매트 모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계용 보강 기둥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테두리용 보강 기둥들 없이 상기 경계용 보강 기둥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ㄷ"자형 펙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수 있는 복수의 가압 지점을 상면에 구비하고, 상기 펙들이 상기 복수의 가압 지점 중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면서 지면에 박힐 때 상기 받침 매트와 함께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 지점들 각각에는 상기 펙들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지점들 중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나열되고, 서로 이웃한 두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안착홈들은 나머지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안착홈들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펙 중 일부는 인접한 두 프레임의 테두리들을 동시에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아래로 연장하는 체결 기둥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 매트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한 복수의 가이더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더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모서리 홈이 형성된 모서리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 기둥은 상기 모서리 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는 지면에 받침 매트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그 받침 매트의 상부에 잔디가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위 잔디 보호 매트는 받침 매트 상에 매우 쉽게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된 이후에는 지면과 넓게 접촉하고 있는 받침 매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큰 하중을 받더라도 지면에 함몰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 보강 기둥들로 인해 잔디 보호 매트의 테두리에서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 분산 기둥들이 받침 매트들의 인접 경계에 위치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잔디 보호 매트가 받침 매트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잔디 보호 매트에 작용한 하중이 인접한 받침 매트들로 분산될 수 있다. 나아가 위 하중 분산 기둥들이 인접한 두 받침 매트 모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므로 잔디 보호 매트에 작용한 하중이 인접 경계를 사이에 둔 받침 매트들 모두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펙들을 통해 잔디 보호 매트를 받침 매트와 동시에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고, 위 펙들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접한 잔디 보호 매트들 간 고정적 결합도 위 펙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웃하는 받침 매트들 간 결합이 그 받침 매트들에 걸치도록 놓이는 잔디 보호 매트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고, 잔디 보호 매트를 받침 매트 상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므로 시공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잔디 보호 매트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잔디 보호 매트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잔디 보호 매트 2장이 인접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잔디 보호 매트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받침 매트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잔디 보호 매트 및 도 5의 받침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잔디 보호 매트에 체결 기둥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받침 매트에 모서리 홈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체결 기둥을 갖는 잔디 보호 매트 및 도 9 및 도 11의 모서리 홈을 갖는 받침 매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200)에서는 프레임(210)의 테두리(212) 및 잔디 통과홀(202)이 사각 형태 이외의 다각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나, 아래에서는 편의상 사각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잔디 보호 매트(200)는 받침 매트(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인바, 위 잔디 보호 매트(200)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받침 매트(100)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의 받침 매트(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위 받침 매트(100)는 뗏장이 깔리기 이전에 서로 인접하게 지면에 나열되는 것으로서, 잔디 통과홀들(102)을 규칙적으로 구비한다. 받침 매트(100)의 하면은 평평하게 마련되어 지면과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받침 매트(100)는 지면과의 이격 없이 지면을 덮게 된다.
받침 매트(100)의 상면에는 위로 돌출한 돌출부(122)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의 삽입홈들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받침 매트(100)의 상면에는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가이더(132)가 마련되어 있고, 중앙 가이더(132)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사이드 가이더(134)도 마련되어 있다.
위 중앙 가이더(132)로부터 세로 방향을 따라 나열된 지점들(114)(이하, "세로 지점들"이라 함) 및 가로 방향을 따라 나열된 지점들(116)(이하, "가로 지점들"이라 함)에는 위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고, 받침 매트(100)의 테두리(112)에도 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잔디 보호 매트(200)는 위와 같은 받침 매트(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 및 복수의 기둥(222, 224, 226)을 포함한다.
위 프레임(210)은 잔디 보호 매트(200)의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4각 테두리(212)의 내부에 복수의 잔디 통과홀들(202)을 규칙적으로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위 기둥들(222, 224, 226)은 잔디 통과홀들(202)이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210)의 하면 부위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도록 마련되고, 잔디 보호 매트(200)의 설치 시 받침 매트(100)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기둥들(222, 224, 226)로 인해 위 프레임(210)과 받침 매트(100) 간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 공간이 뗏장이 위치할 공간이 된다.
이러한 잔디 보호 매트(200)는 지면에 받침 매트(100)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그 받침 매트(100)의 상부에 뗏장이 위치할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잔디 통과홀들(202)도 구비하므로 받침 매트(100)의 상부에서 잔디가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위 잔디 보호 매트(200)는 받침 매트(100)에 단순히 놓일 뿐이므로 받침 매트(100) 상에 매우 쉽게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된 이후에는 지면과 넓게 접촉하고 있는 받침 매트(100)에 의해 지지되므로 큰 하중을 받더라도 지면에 함몰되지 않게 된다.
상기 기둥들(222, 224, 226)은 주 기둥들(222), 강도 보강 기둥들(224) 및 하중 분산 기둥들(226)을 포함할 수 있다.
주 기둥들(222)은 프레임(210)에 구비된 잔디 통과홀들(202) 각각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것들이다. 잔디 보호 매트(200)가 설치될 때 주 기둥들(222)의 하단은 받침 매트(100) 상면의 소정 지점들[예컨대, 돌출부(122)가 형성하는 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점들]에 놓이게 된다.
강도 보강 기둥들(224)은 프레임(210)의 테두리(212)를 따라 나열되고, 주 기둥(222)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위 프레임(210)에서는 테두리(212)가 하중에 취약하기 때문에 테두리(212)에 강도 보강 기둥들(224)을 두어 강도를 보강한다. 강도 보강 기둥들(224)의 하단은 잔디 보호 매트(200)가 설치될 때 받침 매트(100) 상면의 소정 지점들[예컨대, 세로 지점들(114) 및 가로 지점들(116)]에 놓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 기둥(224)의 외측면은 평면 형태로 마련되고 그 내측면은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강도 보강 기둥(224)의 형태를 받침 매트(100)의 잔디 통과홀(102)의 형태에 맞추기 위함이다. 따라서 위 강도 보강 기둥(224)의 형태는 잔디 통과홀(102)의 형태에 따라 달리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주 기둥(222)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면, 강도 보강 기둥(224)의 형태를 잔디 통과홀(102)의 형태에 맞추지 않아도 좋다.
하중 분산 기둥들(226)은 받침 매트들(100)의 인접 경계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도 7을 예로 들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받침 매트들(100)의 인접 경계는 가로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하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분산 기둥들(226)이 프레임(210)의 세로 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식이다.
도 7을 계속 인용하면, 받침 매트들(100)은 가로 방향으로도 배열되어 있는바, 받침 매트들(100)의 인접 경계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일직선을 이루기도 한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위 하중 분산 기둥들(226)은 프레임(210)의 가로 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세로 방향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하중 분산 기둥들(226)이 마련되면, 잔디 보호 매트(2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매트(100)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면서 인접한 모든 받침 매트들(100)에 걸칠 수 있는데, 그러면 잔디 보호 매트(200)에 작용한 하중이 인접한 받침 매트들(100)로 분산되므로 인접한 받침 매트들(100) 중 일부가 나머지보다 더 침하하는 현상, 즉, 부등침하 현상이 받침 매트들(100)에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위 하중 분산 기둥들(226)은 인접한 두 받침 매트(100) 모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도 3에는 하중 분산 기둥(226)이 "X"자 단면을 갖도록 마련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중 분산 기둥들(226)의 형태가 이러하면, 잔디 보호 매트(200)에 작용한 하중이 인접 경계를 사이에 둔 받침 매트들(100) 모두로 분산될 수 있는 효과가 추가로 발생한다.
한편, 프레임(210)의 상면에는 가압 지점들이 위치한다. 이 가압 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 지점들을 "ㄷ"자형 펙들(peg, 미도시)이 아래로 가압하면서 지면에 박히면 잔디 보호 매트들(200) 및 받침 매트들(100)이 함께 지면에 고정된다.
위 가압 지점들 각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홈(214)은 펙의 상단 부위의 안착을 위한 것이다. 만일, 펙들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펙의 상단 부위가 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하고 있다면, 돌출한 그 상단 부위가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면서 하중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생기다 보면, 펙이 들뜨면서 매트들(100, 200)을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없는 상태로 되어 버린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210) 상면의 가압 지점들에 안착홈(214)이 펙의 굵기 정도의 깊이로 마련되고, 이 안착홈들(214) 중 적어도 일부에 펙의 상단 부위를 안착시킴으로써, 펙의 상단 부위가 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위 안착홈들(214) 중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테두리(21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위 프레임(210)이 서로 인접해 위치할 때, 어느 한 프레임(210)의 테두리(212)에 위치하는 안착홈들(214)은 나머지 프레임(210)의 테두리(212)에 위치하는 안착홈들(214)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연속적으로 이어진 두 안착홈(214)은 하나의 펙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는데, 그러면 그 펙이 인접한 두 프레임(210)을 결합시키는 기능도 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2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받침 매트들(100)을 지면에 깔고, 잔디 보호 매트(200)의 기둥들(222, 224, 226)에 뗏장을 끼운 다음 잔디 보호 매트들(200)을 받침 매트(100)의 상면에 놓는다. 이 과정에서는 받침 매트들(100)의 상면에 뗏장을 깔고, 그 이후 잔디 보호 매트(200)의 기둥들(222, 224, 226)이 뗏장을 관통하면서 받침 매트(100)의 상면에 놓일 수도 있다. 잔디 보호 매트들(200)의 배치가 완료되면, 복수의 펙으로 잔디 보호 매트들(200) 및 하부 매트들(100)을 동시에 지면에 고정한다.
한편, 잔디 보호 매트(200)는 위 기둥들(222, 224, 226) 외에 체결 기둥들(228)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기둥들(228)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잔디 보호 매트(200)에 체결 기둥들(228)이 마련될 경우, 받침 매트(100)의 중앙 가이더(13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홈(132a)이 마련된다. 위 모서리 홈(132a)은 중앙 가이더(132)의 모서리에서 상하로 연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중앙 가이더(132)의 두 판을 연결하는 연결판(132b)이 마련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 연결판(132b)의 상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가이더(132)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데, 이 두 상단 간의 높이 차이는 잔디 보호 매트 프레임(210)의 테두리(212)의 두께 정도로 설정된다.
위 모서리 홈(132a)은 중앙 가이더(132)의 단면 형태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마련된다. 예컨대, 중앙 가이더(13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면, 모서리 홈(132a)은 2개로 마련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중앙 가이더(132)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 모서리 홈(132a)은 4개로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연결판(132b)이 평판 형태라 모서리 홈(132a)이 삼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위 연결판(132b)의 형태에 따라 모서리 홈(132a)의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위 모서리 홈(132a)의 형태에 맞춰 체결 기둥(228)의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위 모서리 홈(132a) 및 연결판(132b)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매트(100)의 사이드 가이더(134)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가이더(1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중앙 가이더(132)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 단면을 갖는 사이드 가이더(134)는 중앙 가이더(132)의 가로 방향 양단에만 위치하고, "T"자 형태 단면을 갖는 중앙 가이더(132)의 꺽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꺽이게 된다.
받침 매트(100)의 가이더(132, 134)에 위와 같은 모서리 홈(132a)이 마련되고 잔디 보호 매트(200)에 위 체결 기둥(228)이 마련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받침 매트(100)에 3장의 잔디 보호 매트(200)가 걸치도록 매트들(100, 200)이 설치된다(도 11에는 2장의 잔디 보호 매트(200)만이 도시됨).
받침 매트(100) 및 잔디 보호 매트(200)에 상술한 바와 같은 모서리 홈(132a) 및 체결 기둥(228)이 각각 마련되면, 이웃하는 받침 매트들(100) 간 결합이, 받침 매트(100)에 마련된 하판체결구(146a) 및 하판체결공(146b)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는 별개로, 이웃하는 받침 매트들(100)에 걸치도록 놓이는 잔디 보호 매트(200)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잔디 보호 매트(200)를 받침 매트(100) 상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받침 매트 102 : 잔디 통과홀
122 : 돌출부 132 : 중앙 가이더
132a : 모서리 홈 132b : 연결판
134 : 사이드 가이더
200 : 잔디 보호 매트 202 : 잔디 통과홀
210 : 프레임 212 : 프레임 테두리
214 : 안착홈 222 : 주 기둥
224 : 강도 보강 기둥 226 : 하중 분산 기둥
228 : 체결 기둥

Claims (9)

  1. 지면과의 이격 없이 상기 지면에 미리 설치되어 서로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의 상부에 뗏장이 위치할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받침 매트들의 상면에 놓이기 위한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로서,
    상기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 각각의 일부위에 걸치도록 상기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부재로서, 잔디 통과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면에 박히는 복수의 "ㄷ"자형 펙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가압 지점들을 상면에 구비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여 상기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의 상면에 놓이게 되되, 상기 프레임이 걸치고 있는 상기 일부위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기둥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지점들은 상기 잔디 통과홀들의 주변 및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펙들이 상기 가압 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면서 지면에 박힐 때 상기 기둥들이 놓인 상기 받침 매트들과 함께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들은,
    상기 잔디 통과홀들 각각의 주변에 나열된 주 기둥들; 및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나열되고, 상기 주 기둥들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강도 보강 기둥들;을 포함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들은,
    상기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의 인접 경계를 따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인접 경계 양측의 두 받침 매트 모두의 상면에 걸치며 놓일 수 있는 하단을 갖는 하중 분산 기둥들;을 포함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들은,
    상기 잔디 통과홀들 각각의 주변에 나열된 주 기둥들; 및
    상기 인접해 있는 받침 매트들의 인접 경계를 따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인접 경계 양측의 두 받침 매트 모두의 상면에 걸치며 놓일 수 있는 하단을 갖는 하중 분산 기둥들;을 포함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점들 각각에는 상기 펙들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마련되어 있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한 가압 지점을 가압하는 펙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한 가압 지점도 동시에 가압하도록 마련된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아래로 연장하는 체결 기둥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 매트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한 복수의 가이더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더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모서리 홈이 형성된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기둥은 상기 모서리 홈에 삽입되는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KR1020190089448A 2019-07-24 2019-07-24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KR10218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48A KR102181286B1 (ko) 2019-07-24 2019-07-24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48A KR102181286B1 (ko) 2019-07-24 2019-07-24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286B1 true KR102181286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48A KR102181286B1 (ko) 2019-07-24 2019-07-24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83Y1 (ko) 2006-02-24 2006-05-22 이봉식 잔디보호매트
KR100898546B1 (ko) 2006-08-25 2009-05-20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20100105608A (ko) * 2007-12-18 2010-09-29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
KR101063271B1 (ko) 2008-07-29 2011-09-0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101772846B1 (ko) 2017-03-17 2017-08-29 박서영 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83Y1 (ko) 2006-02-24 2006-05-22 이봉식 잔디보호매트
KR100898546B1 (ko) 2006-08-25 2009-05-20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20100105608A (ko) * 2007-12-18 2010-09-29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
KR101063271B1 (ko) 2008-07-29 2011-09-0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101772846B1 (ko) 2017-03-17 2017-08-29 박서영 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94B1 (ko) 잔디 보호매트
US20040226242A1 (en) Structural support system for floor tiles
DE69727309T2 (de) Fliesenfussboden
US20100024293A1 (en) Grass protection mat
DE19911409A1 (de) Bodenbelag, Decke und Verfahren zum Anlegen einer Grünfläche
CN102084797B (zh) 草皮保护垫
KR101884877B1 (ko) 잔디보호용 매트
DE20220368U1 (de) Formstein aus Beton und Bausatz aus Formsteinen zur Erstellung von Erdreichabdeckungen
EP3845708A1 (en) Unit assembled brick
GB2417733A (en) Water drainage system
DE102011078160A1 (de) Belagelement für die Bildung von Boden- oder/und Wandbelägen
JP4818870B2 (ja) 土砂又は植物の敷設ユニット
EP2452018B1 (de) Auflageplatte mit in reihen und spalten versetzt zueinander angeordneten, quadratischen plattenteilen und aufnahmekammern
KR102181286B1 (ko)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KR102181287B1 (ko) 잔디 보호용 이중 매트
JP7220929B2 (ja) 芝保護用二重マット
KR102181284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EP3375935B1 (de) Unterfütterter steinplatten-pflasterbelag
KR102181285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CN110306589A (zh) 一种形成装配式加筋土挡墙的方法
CN210928738U (zh) 一种树根根系分隔装置
US8075221B2 (en) Paver assembly
KR101699440B1 (ko) 옹벽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152380B1 (ko)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102020607B1 (ko) 잔디 블록용 연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