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887B1 -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887B1
KR101537887B1 KR1020140005062A KR20140005062A KR101537887B1 KR 101537887 B1 KR101537887 B1 KR 101537887B1 KR 1020140005062 A KR1020140005062 A KR 1020140005062A KR 20140005062 A KR20140005062 A KR 20140005062A KR 101537887 B1 KR101537887 B1 KR 10153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landscape
small
slab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상익
이길동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0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목이 아닌 소형 각재의 조합부착으로 하여금 요구하는 굵기의 조경물 목재로 조합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 또는 그 양측에 연결부위 또한 각재의 부착시 길이를 달리 부착하여 끼움 조립돌부, 조립홈턱, 끼움홈, 끼움공 등과 같은 연결부분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지 않고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향후 파고라 및 정자와 같은 쉼터구조물 또는 공동주택 내부 시공에 사용되는 기둥이나 들보 용도로 규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landscaping wood and form of construction work of apartment house insid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로세로 50mm로 가공된 소형 각재를 다발형태로 조합하는 한편, 조경물 목재의 일단측 또는 양단 측에 상호 연결조합을 위한 연결부위를 별도의 가공 없이 형성시켜 원목자재를 대신한 구조물의 기둥 및 들보 용도의 조경물 목재를 규격화하여 주문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공동주택 내의 기둥이나 들보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양지 또는 공원 등에 시설된 파고라, 정자 등과 같은 쉼터 구조물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형태로 제작하거나 현대식으로 다양하게 디자인 설계하여 세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금속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기타 자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바, 목재는 자연친화적이며, 목재가 주는 질감과 자연문양(나무결)은 심리적으로 친근감을 주기 때문에 현재에도 목재를 이용한 구조물이 제작되고 있다.
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목재는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하는 굵기의 목재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어 대량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기둥과 들보로 제작되는 연결부분의 가공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요구하는 치수로 가공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들의 연결부분은 규격화하기보다는 끼워서 맞추기 위한 가공 치수에 중점을 두고 제작작업을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 자체가 불가하다.
통상 파고라 또는 정자를 제작하기 위한 기둥, 천장을 구성하기 위한 들보의 조합은 오랜 전통방식으로 끼워 맞춤식으로 조합이 이루어지는바, 원목 가공의 특성상 규격화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로세로 50mm로 가공된 소형 각재를 다발형태로 조합하는 한편, 조경물 목재의 일단측 또는 양단 측에 상호 연결조합을 위한 연결부위를 별도의 가공 없이 형성시켜 원목자재를 대신한 구조물의 기둥 및 들보 용도의 조경물 목재를 규격화하여 주문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공동주택 내의 기둥이나 들보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는, 가로세로 50mm의 사각형 단면적으로 가공된 소형 각재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착제로서 상호 접하는 면이 부착되어 다발형태의 조경물 목재를 이루는 한편, 조경물 목재는 일부의 소형 각재 단부를 조합된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게 하거나 조합된 단부로부터 단부가 짧게 위치시킴으로써 조경물 목재를 상호 조합하기 위한 끼움 조립돌부 및 조립홈턱이 형성되고, 상기 조경물 목재의 외부 양측에는 연결공이 다수개 형성된 일자형의 보강재 및 연결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보강재가 덧대어져 상기 연결공을 고정 못을 박아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경물 목재를 이루는 소형 각재는 다발형태로 조합시 동일 선상에서 상호 길이가 다른 소형 각재를 일정간격 띄고 각각 부착되어 조경물 목재의 일측에는 조경물 목재를 상호 연결 조합하기 위한 끼움홈 및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끼움 조립돌부 및 조립홈턱의 형성은 조경물 목재의 일단 또는 양단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의 제작방법은, 가로세로 50mm의 사각형 단면적으로 가공된 소형 각재를 구하는 단계; 소형 각재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발형태가 되게 접착제로서 상호 접하는 면을 부착하되, 일부의 소형각재 단부를 조합된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게 하거나 그 반대로 짧게 위치시켜 끼움 조립돌부 및 조립홈턱을 갖는 조경물 목재를 구하는 단계; 조경물 목재의 표면에 방부 및 도장처리하여 조경물 목재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연결공이 다수개 형성된 일자형의 보강재 및 직각으로 절곡된 보강재를 조경물 목재의 코너부분에 덧대고, 연결공을 통해 고정 못을 박아 조경물 목재의 조합상태를 보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경물 목재를 이루는 소형 각재는 다발형태로 조합시 동일 선상에서 상호 길이가 다른 소형 각재를 일정간격 띄고 각각 부착하여 조경물 목재의 일측에 끼움홈 및 끼움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끼움 조립돌부 및 조립홈턱의 형성은 조경물 목재의 일단 또는 양단 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은, 원목이 아닌 각재의 조합부착으로 하여금 요구하는 굵기의 조경물 목재로 조합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 또는 그 양측에 연결부위 또한 각재의 부착시 길이를 달리 부착하여 끼움 조립돌부, 조립홈턱, 끼움홈, 끼움공 등과 같은 연결부분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지 않고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향후 파고라 및 정자와 같은 쉼터구조물 또는 공동주택 내부 시공에 사용되는 기둥이나 들보 용도로 규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경물 목재 제작공정을 도시한 블럭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 목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 목재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 목재로서 제작된 파고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경물 목재는, 첨부도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흔히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가로세로 50mm의 사각형 단면적으로 가공된 소형 각재(10)를 다수개 이용하여 조경물 목재(10-1)를 제작한다.
제작시 상기 소형 각재의 표면은 매끈하게 가공처리한 상태에서 소형 각재(10)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발형태가 되게 접착제로서 상호 접하는 면을 부착한다.
여기서 일부의 소형 각재(10) 단부를 조합된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게 하거나 그 반대로 짧게 위치시켜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을 갖도록 한다.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은 그 단부측을 연결 조합하기 위한 연결부분으로서 각 조경물 목재의 조립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시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조경물 목재는 그 표면에 방부 및 도장처리하여 코팅시켜 준다. 이는 습기와 물에 썩지 않게 함으로써 파고라, 정자와 같은 구조물을 시설수명이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 소형 각재로서 이루어진 하나의 조경물 목재(10-1)는 그 외측 코너부분에 연결공(11a,12a)이 다수개 형성된 일자형의 보강재(11) 및 직각으로 절곡된 보강재(12)를 조경물 목재(10-1) 외측에 덧댄 다음, 연결공(11a,12a)을 통해 고정 못(13)을 박아 고정시켜 줌으로써 조경물 목재(10-1)의 조합상태를 보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조경물 목재(10-1)는 상기와 같은 연결부분의 형성에 따라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파고라의 기둥이나 들보로 나뉘어 현장에서 손쉽게 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조경물 목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설계된 규격에 따라 대량생산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분은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소형 각재(10)는 다발형태로 조합시 동일 선상에서 상호 길이가 다른 소형 각재를 일정간격 띄고 각각 부착하여 조경물 목재(10-1)의 일측에 끼움홈(10c) 및 끼움공(10d)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을 형성한 예이고, 도 5는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를 형성한 예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조경물 목재(10-1)를 기둥으로 사용하고자 한 것으로서, 그 연결부위는 열십자 방향으로 조립홈턱(10b)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홈턱(10b)에 맞도록 들보로 사용되는 조경물 목재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를 끼워 맞춤식으로 조합하여 파고라, 정자와 같은 쉼터구조물 혹은 공동주택 내부의 기둥이나 들보로 만들어 조합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경물 목재(10-1)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의 형성은 조경물 목재(10-1)의 일단 또는 양단 측에 형성함으로써 기둥과 들보로 나뉘어 연결 조합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기둥 및 들보 외에도 연결보 및 그외 다양한 형태의 보로 제작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경물 목재(10-1)의 장점은, 파고라, 정자와 같은 쉼터구조물의 제작시 원목을 가공하여 기둥이나 들보로 제작사용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소형 각재를 견고히 접합하고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상호 끼워 맞춤식의 연결부위를 별도로 가공법을 사용하지 않고, 소형 각재를 조합 부착하되, 각 소형각재의 길이의 조합으로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경물 목재의 제작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현장 공급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현장작업에서는 조경물 목재를 건축설계에 맞추어 구조물 시공을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 목재의 제작방식은 규격화된 조경물 목재를 공장에서 대량 생산해 냄으로써, 원목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파고라 또는 정자와 같은 쉼터, 공동주택 내의 기둥이나 들보 용도의 구조물시설의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소형 각재 10-1: 조경물 목재
10a: 끼움 조립돌부 10b: 조림홈턱
10c: 끼움홈 10d: 끼움공
11,12: 보강재 11a,12a: 연결공
13: 고정 못

Claims (6)

  1. 가로세로 50mm의 사각형 단면적으로 가공된 소형 각재(10)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착제로서 상호 접하는 면이 부착되어 다발형태의 조경물 목재(10-1)를 이루는 한편, 조경물 목재(10-1)는 일부의 소형 각재(10) 단부를 조합된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게 하거나 조합된 단부로부터 단부가 짧게 위치시킴으로써 조경물 목재를 상호 조합하기 위한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이 형성되고, 상기 조경물 목재(10-1)의 외부 양측에는 연결공(11a)이 다수개 형성된 일자형의 보강재(11) 및 연결공(12a)이 다수개 형성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보강재(12)가 덧대어져 상기 연결공(11a,12a)을 고정 못(13)을 박아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물 목재(10-1)를 이루는 소형 각재(10)는 다발형태로 조합시 동일 선상에서 상호 길이가 다른 소형 각재를 일정간격 띄고 각각 부착되어 조경물 목재의 일측에는 조경물 목재를 상호 연결 조합하기 위한 끼움홈(10c) 및 끼움공(10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의 형성은 조경물 목재(10-1)의 일단 또는 양단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4. 가로세로 50mm의 사각형 단면적으로 가공된 소형 각재(10)를 구하는 단계(S1);
    소형 각재(10)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발형태가 되게 접착제로서 상호 접하는 면을 부착하되, 일부의 소형 각재(10) 단부를 조합된 단부로부터 더 돌출되게 하거나 그 반대로 짧게 위치시켜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을 갖는 조경물 목재(10-1)를 구하는 단계(S2);
    조경물 목재(10-1)의 표면에 방부 및 도장처리하여 조경물 목재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S3);
    연결공(11a,12a)이 다수개 형성된 일자형의 보강재(11) 및 직각으로 절곡된 보강재(12)를 조경물 목재(10-1)의 코너부분에 덧대고, 연결공(11a,12a)을 통해 고정 못(13)을 박아 조경물 목재(10-1)의 조합상태를 보강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물 목재(10-1)를 이루는 소형 각재(10)는 다발형태로 조합시 동일 선상에서 상호 길이가 다른 소형 각재를 일정간격 띄고 각각 부착하여 조경물 목재의 일측에 끼움홈(10c) 및 끼움공(10d)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조립돌부(10a) 및 조립홈턱(10b)의 형성은 조경물 목재(10-1)의 일단 또는 양단 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KR1020140005062A 2014-01-15 2014-01-15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KR10153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062A KR101537887B1 (ko) 2014-01-15 2014-01-15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062A KR101537887B1 (ko) 2014-01-15 2014-01-15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887B1 true KR101537887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062A KR101537887B1 (ko) 2014-01-15 2014-01-15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568A (ja) * 1995-03-17 1996-10-08 ▲吉▼田 勝▲広▼ 木造建築の土台.柱.桁.胴差.梁.小屋梁等仕口部の補強材,
JPH11100899A (ja) * 1997-09-25 1999-04-13 Sumitomo Forestry Co Ltd 軸組の接合構造
JP2004230621A (ja) * 2003-01-29 2004-08-19 Sekisui House Ltd 複合強化集成木材及びこれを用いた住宅
KR200384039Y1 (ko) * 2005-02-03 2005-05-11 오지석 건축용 대들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568A (ja) * 1995-03-17 1996-10-08 ▲吉▼田 勝▲広▼ 木造建築の土台.柱.桁.胴差.梁.小屋梁等仕口部の補強材,
JPH11100899A (ja) * 1997-09-25 1999-04-13 Sumitomo Forestry Co Ltd 軸組の接合構造
JP2004230621A (ja) * 2003-01-29 2004-08-19 Sekisui House Ltd 複合強化集成木材及びこれを用いた住宅
KR200384039Y1 (ko) * 2005-02-03 2005-05-11 오지석 건축용 대들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8157B1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JP2012241482A (ja) 組立家屋及びその組立方法
US9963877B2 (en) Modular prismatic box-like structure-based building method and infrastructure
KR101522362B1 (ko)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KR101537887B1 (ko)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JPH07216980A (ja) 竹製ユニットハウスの組立工法
KR20190129198A (ko) 조립주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주택의 시공방법
JP6896217B2 (ja) 柱と梁の接合方法および木造建築物の柱と梁の接合方法
KR102277884B1 (ko) 목재블록벽체
KR100630845B1 (ko)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KR20090006141U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2185522B1 (ko) 목재를 활용한 대구경 목조기둥 제작방법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209945B1 (ko) 조립식 한옥
JP4919126B2 (ja) 構造用部材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9157604A (ja) 連結具
WO2008143454A2 (en) Curvilinear assembly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KR102093032B1 (ko) 철골구조와 목구조가 결합된 한식건축물 및 시공방법
JP6738402B2 (ja) 防火性を有する木質塀の施工方法及び防火性を有する木質塀
JP4385017B2 (ja) 木質継手構造及び木質継手工法
KR200261758Y1 (ko) 구조용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목구조 건축의 구조 모델과접합철물
CN107268828B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
JP2003239382A (ja) 集成材構法
JP2020063580A (ja) パネル施工構造、床部及び壁部
JP3001957U (ja) ユニッ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