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49Y1 -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 Google Patents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49Y1
KR200445649Y1 KR2020090001277U KR20090001277U KR200445649Y1 KR 200445649 Y1 KR200445649 Y1 KR 200445649Y1 KR 2020090001277 U KR2020090001277 U KR 2020090001277U KR 20090001277 U KR20090001277 U KR 20090001277U KR 200445649 Y1 KR200445649 Y1 KR 200445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wood
sides
deck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원
Original Assignee
(주)대현목재방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목재방부산업 filed Critical (주)대현목재방부산업
Priority to KR2020090001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비틀림이나 갈라짐이 없으며 겨울철 합성목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목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 갖는 노출부와 양측에 날개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데크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측에 날개부가 미끄럼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수납부를 갖으며 이 수납부 바닥면에 여러 개의 배수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목재 재질의 하부데크를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데크의 비틀림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에 관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 합성목재

Description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Among these the construction deck unit petal which has a quality of material}
본 고안은 실외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비틀림이나 갈라짐이 없으며 겨울철 합성목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목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 갖는 노출부와 양측에 날개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데크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측에 날개부가 미끄럼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수납부를 갖으며 이 수납부 바닥면에 여러 개의 배수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목재 재질의 하부데크를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데크의 비틀림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목조주택 또는 일반주택 등에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설계에 따라 데크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크는 크게 일반목재 또는 분쇄한 톱밥 과 합성수지 첨가물을 혼합하여 형성한 합성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목재를 사용할 경우 현실적으로 벌목에 따른 자연을 훼손하는 점과 같은 취약점이 있으며 수분흡수율이 높아서 목재의 변형(두틀림 현상) 및 자외선흡수에 따른 산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는 열에 의한 신축이 적고 조직이 기공성으로 되어 있어 신장압을 기공이 흡수함으로써 열에 의한 신축이 적으나 표면과 이면에 있어서 표면은 건조수축이 이면보다 커지므로 표면이 오목곡면으로 형성되거나 나무의 결에 따라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합성목재의 경우 합성수지 접착제와 목재분말을 배합하여 고압프레스로 성형한 판상체로써 다량의 합성수지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계수가 크므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게 되는데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늘어남을 억제하게 됨으로써 신장압에 의하여 합성목재가 휨(너울짐)이 발생되며, 온도가 내려가는 겨울철의 경우 합성수지 접착제가 견고하게 경화됨으로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부러지는)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합성목재는 목재 제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물로 인하여 제품단가가 일반목재에 비하여 약 40%이상의 고가로 유통되고 있어 구입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원등과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목재데크에 있어서 인반목재와 합성목재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데크단위판을 형성하고 이를 연결하여 데크 플레이트르 형성함으로써 외부온도차에의한 변형을 최소화 하고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단가를 절감함으로써 쉽게 구입/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데크의 시공에 있어서 빗물 등의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목재의 수분침투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연목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를 갖는 노출부와 양측에 날개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데크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측에 날개부가 미끄럼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수납부를 갖으며 이 수납부 바닥면에 여러 개의 배수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목재 재질의 하부데크를 포함하여 구성됨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배수부 및 지지부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하부데크와, 일측에 제1하부데크의 돌기가 끼움되는 장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 의 배수부 및 지지부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2하부데크로 하부데크를 분리함으로써 데크 단위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상부데크의 날개부에는 여러 개의 배수구멍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우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일반목재와 합성목재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서로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갖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절적 온도변화에 따른 합성목재의 휨을 데크 내부에 조립되는 일반목재가 방지함으로써 데크의 휨을 방지하며 일반목재의 뒤틀림 역시 합성목제가 잡아줌으로서 방지할 수 있어 온도차에 따른 형태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빗물등의 배수가 용이하여 우수에 의한 목제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합성목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데크 단위판의 생산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높은 시장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데크 단위판(100)은 크게 일반목재로 형성되는 상부데크(10)와, 상기 상부데크(10)를 감싸 형성되는 합성목재인 하부데크(20)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데크(10)는 일반목재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에 여러 개의 미끄럼방지 돌기(11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출부(11)를 갖으며 양측에는 하부데크(20)의 걸림부(21a)에 끼움되는 타원형의 날개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12)에는 여러개의 배수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데크(20)는 합성목재로 형성되며 누운“ㄷ”자 형상으로 중앙부분에 상부데크(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21)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21)의 양측에 날개부(12)와 미끄럼 밀착되는 걸림부(21a) 및 바닥면에 배수부(23)와 상부데크 지지부(22)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데크(20)의 양측면에는 이웃하는 데크단위판과의 이음을 위한 결합홈(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조립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합성목재인 하부데크(20)에 일반목재의 상부데크(10)를 끼워넣음으로 써 데크 단위판(10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대크(20)에 형성된 수납부(21)에 상부데크(10)를 삽입함에 있어서 수납부(2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21a)의 내면과 상부데크(10)의 날개부(12) 표면이 미끄럼 밀착되면서 계속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데크(10)와 하부데크(20)의 길이는 보통 3m내외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작업자가 단위판을 이용하여 데크를 형성함에 있어 원활한 취급과 높은 작업효율을 갖는다.
또한, 상부데크(10)의 노출부(11)의 폭(A)은 수납부(21)의 개방폭(B)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삽입이 원활하고 폭의 차이로 인한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되더라고 날개부(12)에 형성된 여러 개의 배수공(13)에 의하여 하부데크(20)의 배수부(23)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또한, 빗물은 각각의 데크단위판을 시공함에 있어 고정핀(40)에 의하여 발생된 틈으로도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시공과정은 먼저, 장선(50)을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설치한 후 그 상면에 데크 단위판(100)을 격자로 안착시킨 후 고정핀(40)을 사용하여 안착된 단위데크판(100)을 고정시키고 노출된 고정핀(40) 부분에 이웃하는 데크 단위판(100')의 결합홈(24)을 끼워 넣음으로써 각각의 데크 단위판(100, 100')을 조립하며 이와 같이 작업을 연속으로 계속 진행함으로써 데크를 완성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데크(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기(31a)가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배수부(31b) 및 지지부(31c)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31d)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하부데크(31)와,
일측에 제1하부데크(31)의 돌기(31a)가 끼움되는 장홈(32a)이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배수부(32b) 및 지지부(32c)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32d)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2하부데크(32)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이는 각각의 데크를 조립하여 데크 단위판을 형성함에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그 조립을 쉽게 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길이방향으로 밀어 넣는 조립이 아닌 상부데크(10)의 양측에서 끼워 넣음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상부데크와 하부데크가 조립됨에 글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조립된 상태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중 하부데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0 ... 상부데크 11 ... 노출부
11a ... 돌기 12 ... 날개부
13 ... 배수공 20 ... 하부데크
21 ... 수납부 21a ... 걸림부
22 ... 지지부 23 ... 배수부
24 ... 결합홈 31 ... 돌기
32 ... 홈 40 ... 고정핀
50 ... 장선

Claims (3)

  1. 삭제
  2. 천연목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11a)를 갖는 노출부(11)와 양측에 날개부(12)가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데크(1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기(31a)가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배수부(31b) 및 지지부(31c)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31d)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하부데크(31)와,
    일측에 제1하부데크(31)의 돌기(31a)가 끼움되는 장홈(32a)이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배수부(32b) 및 지지부(32c)를 갖으며 타측에 장홈(32d)이 일체로 형성되는 제2하부데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데크(10)의 날개부(12)에는 여러 개의 배수구멍(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2020090001277U 2009-02-05 2009-02-05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200445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77U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2-05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77U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2-05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49Y1 true KR200445649Y1 (ko) 2009-08-20

Family

ID=4135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277U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2-05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49Y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75B1 (ko) * 2010-04-08 2010-11-09 에코시티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101003145B1 (ko) * 2010-06-17 2010-12-22 (주)이너스 미끄럼방지 데크
KR200455181Y1 (ko) * 2011-02-08 2011-08-25 (주)그린아트산업 변형방지 및 양면사용이 가능한 목재 데크재
WO2012002657A2 (ko) * 2010-06-29 2012-01-05 ㈜엘지하우시스 슬립 방지 특성이 우수한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 바닥
KR101111168B1 (ko) 2011-04-29 2012-02-15 이지태 복합데크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81409B1 (ko) 2010-03-04 2012-09-19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250397B1 (ko) 2011-05-16 2013-04-05 조준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1253081B1 (ko) * 2011-05-24 2013-04-12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미끄럼방지 데크
KR101396179B1 (ko)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GB2510006A (en) * 2013-08-30 2014-07-23 Gripsure Uk Ltd Non-slip decking system
KR101429195B1 (ko) * 2014-02-10 2014-08-12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527524B1 (ko) * 2014-06-19 2015-06-10 배대현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575124B1 (ko) 2014-01-07 2015-12-07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20170000101U (ko) 2015-06-29 2017-01-09 (주)산드림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KR101971133B1 (ko)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해일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GB2569385A (en) * 2017-12-18 2019-06-19 Molesworth Richard Non-slip surface assembly
CN110080485A (zh) * 2019-04-10 2019-08-02 温州恒舟装饰有限公司 一种室内地板构造
KR102016282B1 (ko) 2019-03-15 2019-10-21 주식회사 해일 데크몰딩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GB2585335A (en) * 2019-02-22 2021-01-13 Elmdene Group Ltd Decking/cladding board with support beam
KR20220140973A (ko) * 2021-04-12 2022-10-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8454B1 (ko) * 2022-09-14 2023-01-13 주식회사 유진텍 데크보드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보드 프레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05Y1 (ko) * 2001-07-28 2001-12-01 주식회사 성웅 마루깔개 매트블록
JP2004005388A (ja) * 2002-04-16 2004-01-08 Seiko Instruments Inc メール配信システム
KR200381740Y1 (ko) 2005-01-14 2005-04-14 강병수 조립식 바닥판
KR200441637Y1 (ko) 2007-04-20 2008-08-29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삽입형 목재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05Y1 (ko) * 2001-07-28 2001-12-01 주식회사 성웅 마루깔개 매트블록
JP2004005388A (ja) * 2002-04-16 2004-01-08 Seiko Instruments Inc メール配信システム
KR200381740Y1 (ko) 2005-01-14 2005-04-14 강병수 조립식 바닥판
KR200441637Y1 (ko) 2007-04-20 2008-08-29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삽입형 목재바닥재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09B1 (ko) 2010-03-04 2012-09-19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275B1 (ko) * 2010-04-08 2010-11-09 에코시티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101003145B1 (ko) * 2010-06-17 2010-12-22 (주)이너스 미끄럼방지 데크
WO2012002657A2 (ko) * 2010-06-29 2012-01-05 ㈜엘지하우시스 슬립 방지 특성이 우수한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 바닥
CN102959164B (zh) * 2010-06-29 2015-11-25 乐金华奥斯有限公司 防滑特性优秀的地板材以及利用该地板材的合成木地板
WO2012002657A3 (ko) * 2010-06-29 2012-05-03 ㈜엘지하우시스 슬립 방지 특성이 우수한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 바닥
CN102959164A (zh) * 2010-06-29 2013-03-06 乐金华奥斯有限公司 防滑特性优秀的地板材以及利用该地板材的合成木地板
KR200455181Y1 (ko) * 2011-02-08 2011-08-25 (주)그린아트산업 변형방지 및 양면사용이 가능한 목재 데크재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11168B1 (ko) 2011-04-29 2012-02-15 이지태 복합데크
KR101250397B1 (ko) 2011-05-16 2013-04-05 조준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1253081B1 (ko) * 2011-05-24 2013-04-12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미끄럼방지 데크
GB2510006A (en) * 2013-08-30 2014-07-23 Gripsure Uk Ltd Non-slip decking system
WO2015028796A3 (en) * 2013-08-30 2015-06-18 Gripsure (Uk) Limited Decking system
GB2510006B (en) * 2013-08-30 2017-03-22 Gripsure (Uk) Ltd Decking System
KR101575124B1 (ko) 2014-01-07 2015-12-07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396179B1 (ko)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429195B1 (ko) * 2014-02-10 2014-08-12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527524B1 (ko) * 2014-06-19 2015-06-10 배대현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20170000101U (ko) 2015-06-29 2017-01-09 (주)산드림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GB2569385A (en) * 2017-12-18 2019-06-19 Molesworth Richard Non-slip surface assembly
KR101971133B1 (ko)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해일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GB2585335A (en) * 2019-02-22 2021-01-13 Elmdene Group Ltd Decking/cladding board with support beam
GB2585335B (en) * 2019-02-22 2021-11-10 Elmdene Group Ltd Decking/cladding board with support beam
KR102016282B1 (ko) 2019-03-15 2019-10-21 주식회사 해일 데크몰딩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CN110080485A (zh) * 2019-04-10 2019-08-02 温州恒舟装饰有限公司 一种室内地板构造
KR20220140973A (ko) * 2021-04-12 2022-10-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8610B1 (ko) * 2021-04-12 2023-01-13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8454B1 (ko) * 2022-09-14 2023-01-13 주식회사 유진텍 데크보드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보드 프레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649Y1 (ko)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0721336B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0441343Y1 (ko)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100993275B1 (ko)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20200004560A (ko)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KR200445945Y1 (ko) 데크 결합부재
KR101396179B1 (ko) 복합 빔 데크
KR200445944Y1 (ko) 데크 결합부재
KR101429195B1 (ko) 복합 빔 데크
CN111677417A (zh) 一种基于抗菌防腐的实木门
CN206591729U (zh) 收口装置及艺术木方造型墙
RU81743U1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деревянный брус
KR100905697B1 (ko) 조립형 데크 연결구조
KR101390650B1 (ko) 복합 빔 데크
KR101390645B1 (ko) 복합 빔 데크
KR101481524B1 (ko) 복합 빔 데크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KR200254605Y1 (ko) 마루깔개 매트블록
ATE462335T1 (de) Aus holz hergestellter kübel mit einer bodenplatte aus holz
FR2900428A1 (fr) Element de contruction rapide
SE0501912L (sv) Byggnadselement av trä
US11603665B2 (en) Hollow brick with holding ribs
KR20100008256U (ko) 목재 데크의 연결 구조
RU2280741C2 (ru)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й клееный деревянный брус
CN210530216U (zh) 一种防潮型集成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