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01U -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 Google Patents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01U
KR20170000101U KR2020150004352U KR20150004352U KR20170000101U KR 20170000101 U KR20170000101 U KR 20170000101U KR 2020150004352 U KR2020150004352 U KR 2020150004352U KR 20150004352 U KR20150004352 U KR 20150004352U KR 20170000101 U KR20170000101 U KR 20170000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eck unit
wooden deck
wood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택수
김동조
Original Assignee
(주)산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산드림 filed Critical (주)산드림
Priority to KR2020150004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101U/ko
Publication of KR20170000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는 목재데크 유닛과, 상기 목재데크 유닛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홈과, 상기 목재데크 유닛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과 연결되는 제 2 홈과, 상기 제 1 홈 및 제 2 홈이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되 상기 목재데크 유닛에 도입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되는 배수공과, 상기 목재데크 유닛의 내,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해 상기 목재데크 유닛을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WOOD DECK WITH DRAIN STRUCTURE}
본 고안은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며, 또한 내부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에 젖을 경우 신속한 건조가, 눈이 쌓일 경우 신속한 제설이 가능한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장소의 바닥면에는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조립식 목재 데크가 바닥마감재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조립식 목재 데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목재데크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다수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특히 겨울철 완전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빙될 경우 더 위험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데크가 천연나무 재질로 제조되면 천연 목재 본연의 멋과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시공될 경우 그 특성상 자외선에 의해 검게 변색이 이루어짐으로써 심미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도장처리를 하거나 방부제 처리를 할 경우 반대로 도장이 벗겨지거나 천연나무 본연의 멋을 해칠 뿐만 아니라 방부제 처리에 사용되는 각종 화학약품으로 인해 환경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천연나무 재질로 제조된 목재데크는 장마시기에 지속적으로 비를 맞아 젖어있는 시간이 오래 경과 될 경우 뒤틀어짐 현상이 발생되어 목재데크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겨울철 눈이 녹지않고 지속적으로 쌓여있을 경우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행자가 미끄러짐으로 인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626호(2013.04.0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356호(2011.06.01.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45649호(2009.08.20. 공개)
본 고안은 보행자가 다니는 각종 인도나 지면 또는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는 목재데크 상에 길이방향의 제 1 홈과 폭 방향의 제 2 홈을 형성하여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 홈 및 제 2 홈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이 연결되는 교차지점에는 목재데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재데크가 탄화처리됨으로써 내부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향상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태양광을 이용해 목재데크를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빗물에 젖을 경우 신속한 건조가, 눈이 쌓일 경우 신속한 제설이 가능한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목재데크 유닛(10);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홈(20);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20)과 연결되는 제 2 홈(30); 및, 상기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며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40); 을 포함한다.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은 160℃ 내지 230℃의 온도로 탄화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40)은 상부 도입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입부에는 격자 형상의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은 그 전후좌우 측으로 이웃하는 목재데크 유닛(10)와 반복적으로 연결 시공되되 연결시공시 상기 제 1 홈(20), 제 2 홈(30)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해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을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배터리(51)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배터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배터리(51)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패드(52)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행자가 다니는 각종 인도나 지면 또는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는 목재데크 상에 길이방향의 제 1 홈과 폭 방향의 제 2 홈을 형성하여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제 1 홈 및 제 2 홈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이 연결되는 교차지점에는 목재데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셋째, 목재데크가 탄화처리됨으로써 내부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향상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넷째, 태양광을 이용해 목재데크를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빗물에 젖을 경우 신속한 건조가, 눈이 쌓일 경우 신속한 제설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는, 목재데크 유닛(10)과, 제 1 홈(20)과, 제 2 홈(30)과, 배수공(40) 및 발열수단을 포함한다.
목재데크 유닛(10)은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되어 전체 목재데크(1)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홈(20)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2 홈(30)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20)과 연결된다. 배수공(40)은 상기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되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에 도입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된다. 발열수단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해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을 발열시키게 된다.
이하에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목재데크 유닛(10)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본체 역할을 한다. 목재데크 유닛(10)은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되어 전체 목재데크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형 목재가 판재 형상으로 가공처리되어 제조된다. 이와 같은 목재데크 유닛(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1.5m 내지 2m의 길이에 15cm 내지 20cm 의 폭을 갖도록 가공되는 것으로 하되 다양한 규격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목재데크 유닛(10)은 눈, 비, 바람, 자외선, 곰팡이와 같은 다양한 외부환경에 대한 뛰어난 저항력을 갖음과 동시에 심미적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탄화처리된다.
탄화처리는 160℃ 내지 230℃의 온도로 진행되는데, 탄화처리시 다양한 목재의 성분 중에서도 수산기의 농도가 낮아져 목재의 방흡습성 및 치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고온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목재 부후균(腐朽菌)이 좋아하는 영양 물질이 감소되어 균류 및 충류가 목재 내부에서 번식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성(耐腐性), 내후성(耐朽性) 및 내구성(耐久性)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화처리된 목재데크 유닛(10)의 특성을 정리해 보면, 첫째 목재 내부의 화학적 변화로 인해 균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제거되어 방부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둘째, 표면경도가 높은 목재가 사용될 경우 외부 손상에 강한 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셋째, 수분의 침투성이 낮아짐에 따라 목재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목재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목재의 방부를 위한 화학적 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친환경에 적합한 자재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탄화처리된 목재의 독특한 색상으로 목재데크가 보다 아름답고 미려하게 장식될 수 있으며 변색이 적어 고유한 색상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탄화처리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홈(20), 제 2 홈(30) 및 배수공(40)의 가공이 완료된 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1 홈(20)이 형성되는데 이 제 1 홈(20)은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빗물이 타고 흘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 1 홈(20)은 등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되 그 폭과 깊이는 각각 1 내지 3mm의 두께로 형성되며 그 양단은 이웃하는 목재데크 유닛(10)의 제 1 홈(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목재데크 유닛(10)의 양단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홈(20)의 형성 개수와 모양 및 규격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능하다.
또한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 면에는 폭 방향으로 제 2 홈(30)이 형성되는데 이 제 2 홈(30)은 전술한 제 1 홈(20)과 함께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빗물이 타고 흘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홈(20)과의 교차지점에서 서로 연결 형성된다.
제 2 홈(30)은 제 1 홈(20)과 마찬가지로 등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되 그 폭과 깊이는 각각 1mm 내지 3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 1 홈(20)보다 폭과 깊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홈(30)의 양단은 이웃하는 목재데크 유닛(10)의 제 2 홈(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목재데크 유닛(10)의 양단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 홈(30)의 형성 개수와 모양 및 규격 또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능하다.
한편,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연결되는 교차지점에는 배수공(40)이 형성되는데 이 배수공(40)은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을 타고 배수되는 빗물이 목재데크 유닛(10)의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술한 배수공(40)은 목재데크 유닛(10)에 깔대기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배수공(40)의 도입부가 하부에 비해 확장 형성된 형상을 갖음으로써 제 1 홈(20) 및 제 2 홈(30)으로부터 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유도하고 유입된 물은 깔대기 형상의 도입부 내벽을 타고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공(40) 상부에는 격자형상의 덮개(41)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덮개(41)는 작은 돌맹이나 담배꽁초 같은 이물질에 의해 배수공(40)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41)는 배수공(40) 상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배수공(4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공(40)은 제 1 홈(20)과 제 2 홈(30)이 연결되는 교차지점마다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그 직경은 5mm 내지 30mm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목재데크 유닛(10)의 내, 외부에는 발열수단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데, 이 발열수단은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해 목재데크 유닛(10)을 발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수단은, 목재데크 유닛(10)의 내,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배터리(51)와,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태양광 배터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 배터리(51)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패드(52)가 포함된다.
전술한 태양광 배터리(51)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배터리와 동일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 외부에 폴대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목재데크 유닛(10)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태양광 배터리(51)의 일측에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열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와, 발열패드(52)의 발열온도 제어가 가능한 컨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발열패드(52)는 발열여부에 따라 장마철 젖어있는 목재데크 유닛(10)을 건조시키거나 겨울철 목재데크 유닛(10)에 쌓여있는 눈을 녹여 배수시키게 된다. 이때 발열수단의 작동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동제어 할 수도 있지만 목재데크 유닛(10) 측에 빗물이나 눈을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록 해 자동으로 발열패드(52)가 발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패드(52)의 발열온도는 높은 발열온도로 인해서 목재데크 유닛(10)이 손상되거나 발화되지 않는 온도로 설정되는 것으로 하며, 방수처리 되어야 함은 물론 전술한 배수공(4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는 그 전후좌우 측으로 이웃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와 반복적으로 연결 시공되되 연결시공시 연속적인 배수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홈(20), 제 2 홈(30)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1)가 보행자가 다니는 각종 인도나 지면 또는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는 시공됨으로써 제 1 홈(20)과 제 2 홈(30)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연결되는 교차지점에는 목재데크를 관통하는 배수공(4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목재데크가 탄화처리됨으로써 내부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향상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10 : 목재데크 유닛
20 : 제 1 홈 30 : 제 2 홈
40 : 배수공 41 : 덮개
51 : 태양광 배터리 52 : 발열패드

Claims (6)

  1.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목재데크 유닛(10);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홈(20);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20)과 연결되는 제 2 홈(30); 및,
    상기 제 1 홈(20) 및 제 2 홈(30)이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며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은 160℃ 내지 230℃의 온도로 탄화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40)은 상부 도입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입부에는 격자 형상의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은 그 전후좌우 측으로 이웃하는 목재데크 유닛(10)와 반복적으로 연결 시공되되 연결시공시 상기 제 1 홈(20), 제 2 홈(30)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해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을 발열시키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배터리(51)와, 상기 목재데크 유닛(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배터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배터리(51)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패드(5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KR2020150004352U 2015-06-29 2015-06-29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KR201700001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52U KR20170000101U (ko) 2015-06-29 2015-06-29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52U KR20170000101U (ko) 2015-06-29 2015-06-29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01U true KR20170000101U (ko) 2017-01-09

Family

ID=5779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52U KR20170000101U (ko) 2015-06-29 2015-06-29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101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1038356B1 (ko) 2011-04-06 2011-06-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변형 및 미끄럼 방지용 합성목재
KR20130033626A (ko) 2011-09-27 2013-04-04 박태엽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1038356B1 (ko) 2011-04-06 2011-06-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변형 및 미끄럼 방지용 합성목재
KR20130033626A (ko) 2011-09-27 2013-04-04 박태엽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697B1 (ko) 목재 펜스용 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5348598U (zh) 玻璃屋顶
CN105220900A (zh) 一种绿色环保公交站台
KR200462410Y1 (ko) 목재 데크재
CN104859021A (zh) 一种防潮地板制作工艺
KR20170000101U (ko) 배수구조를 갖는 목재데크
CN209806877U (zh) 一种组合式胡蜂养殖大棚
KR101142911B1 (ko) 미끄럼방지용 목재데크
CN204090609U (zh) 榆木嫁接防护装置
KR101215274B1 (ko) 조립식 나무 기둥
CN107114153A (zh) 寒地生态养生房屋及组装方法
KR200411836Y1 (ko) 친환경 탄소재로 조립된 파고라
GR20050100525A (el) Ηλιακος συλλεκτης περγκολα κατασκευασμενος απο επιμηκη στοιχεια
KR20090037629A (ko) 파고라
KR200423908Y1 (ko) 안전 난간목
CN206128547U (zh) 一种地板
CN205161833U (zh) 一种金黄色葡萄干制干装置
CN205569778U (zh) 一种儿童游乐木屋
CN210828109U (zh) 一种竹钢楼梯踏板
KR200423567Y1 (ko) 목재 보도 블럭
CN204940032U (zh) 一种多功能地砖
CN204491902U (zh) 原木屋墙体型材、墙体和原木屋墙角结构
RU78831U1 (ru) Стенов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104975671B (zh) 一种木屋用屋角辅助支撑结构
CN215631193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pp膜装饰护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