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40Y1 - 조립식 바닥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40Y1
KR200381740Y1 KR20050001243U KR20050001243U KR200381740Y1 KR 200381740 Y1 KR200381740 Y1 KR 200381740Y1 KR 20050001243 U KR20050001243 U KR 20050001243U KR 20050001243 U KR20050001243 U KR 20050001243U KR 200381740 Y1 KR200381740 Y1 KR 200381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plate portion
upper plat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1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수
Original Assignee
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수 filed Critical 강병수
Priority to KR20050001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와 하판부와의 결합이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판부의 하단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을 더 구성하여 바닥판이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판부의 하단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물이 용이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상판부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체결부를 구성하여 바닥판과 바닥판과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판의 설치는 물론, 설치된 바닥판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이 요입절곡된 체결부(1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측에 내측으로 테이퍼진 끼움부(13)를 갖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하단측에 형성된 끼움부(13)에 끼워지고 내측이 테이퍼진 결합돌기(21)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22)이 끼움결합된 하판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상판부(1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편(14)이 더 형성되는 것과,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23)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바닥판과 바닥판이 이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바닥판과 바닥판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바닥판들의 분리가 용이하여 베란다나 욕실의 바닥 청소가 용이하고, 하판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이 더 끼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바닥판이 설치된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상판부와, 하판부의 바닥면에 돌기편과 돌기들이 더 형성되어 있어 설치된 바닥면의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바닥판{PREFABRICATED FLOORINGS}
본 고안은 욕실이나 또는 베란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을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고 하판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을 구성하여 바닥판의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닥판의 결합이 서로 대응되는 상판의 양측단 체결부에 의해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과의 체결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종래 바닥판은 합성수지로된 베이스판의 상부에 목재로 된 판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후 이를 나사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판에는 별도의 나사구멍이 없어 임의로 나사를 박을 위치를 작업자가 어림잡아 대충 설정한 후 나사를 강제로 박아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바닥판은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기 위해 나사를 체결할 때 베이스판에 나사구멍이 없기 때문에 나사를 체결하기가 무척 힘이 들고 또 나사를 체결해야 할 위치선정이 불규칙함으로써 어떤 부분은 조립이 불량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거나 충격을 받으면 베이스판으로부터 판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판부재가 단순히 목재로 되어 있어 무겁고, 목재의 가격이 비싼 관계로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며, 또 이러한 판부재가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하게 되면 목재가 쉽게 부식되어 특히 나사가 박힌 부분의 부식이 촉진되어 바닥판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조립식 바닥판이 안출되고 있는 바,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30058호인 바닥판이 안출된 바 있으며,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정길이의 판부재를 다수개 깔아 이루어지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판부재가 배열, 안착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나사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나사구멍을 통하여 판부재를 나사조립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인접한 두 개의 측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변에는 인접 연결되는 베이스판의 후크와 대응 조립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베이스판을 전후좌우로 연속 연결하는 바닥판으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34130호인 '조립식 바닥판의 마감판'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하판의 측면에 조립을 위한 고리 및 후크가 구비된 일정크기의 바닥판들을 실내바닥에 조립시공하는 바닥판에 있어서, 폭이 좁고 상기 바닥판의 길이를 가지면서 인접 바닥판과 접하는 부위에 후크 또는 고리를 갖는 마감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마감합판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선단이 절곡된 상판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바닥판들은, 난방장치가 되어 있지 않은 베란다의 바닥에 이 베란다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바닥판이 설치되도록 하되, 조립식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고 바닥판에 의해 겨울철에 실내화를 신지 않고도 베란다를 거닐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닥판의 상판을 쿠션부재와 단열부재로 구성하여 특히 겨울철에 찬기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발바닥에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배선홈을 더 구성하여 별도의 전선이 상기 배선홈을 통해 바닥판의 하부에 배선되도록 하여 배선되는 전선을 보호하여 누전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상판의 일측을 더 연장형성하여 바닥판을 조립고정하는 후크와 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바닥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의 상부를 구성하는 판부재(1)들이 베이스판(2)과 볼트(3) 등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판부재(1)와 베이스판(2)의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바닥판과 바닥판의 결합방식이 바닥판을 구성하는 베이스판(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후크(4)와 체결고리(5)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바닥판을 서로 고정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후크(4)와 체결고리(5)에 의해 결합된 바닥판과 바닥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면을 청소하고자 할 때, 조립된 바닥판과 바닥판을 서로 분리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리(5)에 끼워진 후크(4)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크(4)를 고리(5)로부터 수직되게 빼내어야 하는 바, 상기 후크(4)가 상단면이 평행지고 끝단부가 절곡형성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후크(4)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상기 고리(5)의 내측으로부터 수직되게 빠져나옴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조립식 바닥판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와 하판부와의 결합이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판부의 하단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을 더 구성하여 바닥판이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판부의 하단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물이 용이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바닥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체결부를 구성하여 바닥판과 바닥판과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판의 설치는 물론, 설치된 바닥판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요입절곡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측에 내측으로 테이퍼진 끼움부를 갖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단측에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지고 내측이 각각 테이퍼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이 끼움결합된 하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부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부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바닥판과 바닥판이 이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바닥판과 바닥판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바닥판들의 분리가 용이하여 베란다나 욕실의 바닥 청소가 용이하고, 하판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이 더 끼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바닥판이 설치된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상판부와, 하판부의 바닥면에 돌기편과 돌기들이 더 형성되어 있어 설치된 바닥면의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내측이 요입절곡된 체결부(1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측에 내측으로 테이퍼진 끼움부(13)를 갖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하단측에 형성된 끼움부(13)에 끼워지고 내측이 테이퍼진 결합돌기(21)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22)이 끼움결합된 하판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1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편(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23)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0)와 하판부(20)의 재질은 소정의 외력이 작용되게 되면 형상이 변형되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부(10)의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편(14)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편(14)들에 의해 상판부(10)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돌기편(14)과 돌기편(14)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홈(14a)을 통해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의 물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23)들 역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 균등 간격으로 돌설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돌기(23)들의 높이만큼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이 설치되는 베란다나 욕실 등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물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10)와 하판부(20)를 결합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0)의 하단측에 요입형성된 끼움부(13)에 상기 하판부(20)의 상측단에 돌설된 결합돌기(21)를 끼워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상판부(10)와 하판부(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판부(10)의 끼움부(13)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하판부(20)의 결합돌기(21)의 일측이 상기 테이퍼진 끼움부(13)의 형상대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상판부(10)와 하판부(20)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즉, 상판부(10)와 하판부(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판부(20)의 결합돌기(21)가 상기 상판부(10)의 테이퍼진 끼움부(13)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이 끼움부(13)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 끼워짐에 따라, 상기 상판부(10)와 하판부(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체결부(11)(12)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상판부(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11)를 또 다른 바닥판의 상판부(10')의 체결부(12')에 끼우는 방식으로 하여 여러개의 바닥판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또한,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을 연결설치하고 남은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마감부재(30)가 더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이 마감부재(30)의 양측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1)(12)에 끼워지도록 이 체결부(11)(12)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와 하판부(20)로 구성된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을 베란다 또는 욕실 등과 같은 공간의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상기 하판부(20)의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끼움 결합된 흡착판(22)에 의해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조립식 바닥판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에 따라 설치된 모양이 일그러지거나 틀어지거나 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판부(20)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흡착판22)은, 이미 공지된 기술사상으로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 별도의 구멍을 통공한 후, 상기 흡착판(22)의 상측부를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 통공된 구멍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에 의하면, 바닥판과 바닥판이 이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부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바닥판과 바닥판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바닥판들의 분리가 용이하여 베란다나 욕실의 바닥 청소가 용이하고, 하판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이 더 끼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바닥판이 설치된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상판부와, 하판부의 바닥면에 돌기편과 돌기들이 더 형성되어 있어 설치된 바닥면의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바닥판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구성요부인 상판부 구성을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구성요부인 상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또 다른 구성요부인 하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의 설치시에 사용되는 마감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조립식 바닥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부 11, 12 : 체결부
13 : 끼움부 14 : 돌기편
20 : 하판부 21 : 결합돌기
22 : 흡착판 23 : 돌기

Claims (3)

  1. 양측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이 요입절곡된 체결부(1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측에 내측으로 테이퍼진 끼움부(13)를 갖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하단측에 형성된 끼움부(13)에 끼워지고 내측이 테이퍼진 결합돌기(21)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판(22)이 끼움결합된 하판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편(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2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열된 돌기(23)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KR20050001243U 2005-01-14 2005-01-14 조립식 바닥판 KR200381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1243U KR200381740Y1 (ko) 2005-01-14 2005-01-14 조립식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1243U KR200381740Y1 (ko) 2005-01-14 2005-01-14 조립식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40Y1 true KR200381740Y1 (ko) 2005-04-14

Family

ID=420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1243U KR200381740Y1 (ko) 2005-01-14 2005-01-14 조립식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4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0932539B1 (ko) 2009-06-01 2009-12-17 송상목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WO2009157597A1 (en) * 2008-06-24 2009-12-30 Kwang Chae Ko An assembly type panel for flo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KR101390645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390650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597A1 (en) * 2008-06-24 2009-12-30 Kwang Chae Ko An assembly type panel for flo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0932539B1 (ko) 2009-06-01 2009-12-17 송상목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KR101390645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390650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409B1 (ko)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689543B1 (ko) 데크보드 조립체
US8997432B2 (en) Modular entrance floor system
KR200381740Y1 (ko) 조립식 바닥판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7846524B2 (en) Modular mat
JP2016518539A (ja) 連結式衝撃緩和用タイル張りシステム
KR20110010437A (ko) 바닥용 고무매트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JP4276966B2 (ja) 装飾板ユニット
KR200381496Y1 (ko) 조립식 바닥판
KR101850497B1 (ko) 모듈화된 마루바닥의 조립구조
KR200196453Y1 (ko) 실내 바닥용 조립깔판
JP2531774Y2 (ja) 床パネル
JP4785602B2 (ja) ピット蓋
KR101176857B1 (ko)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KR20100001150U (ko) 마루 바닥 연결 및 마감용 부재
JPH0246582Y2 (ko)
KR200377852Y1 (ko) 실내용 발판
KR20100008256U (ko) 목재 데크의 연결 구조
KR100602160B1 (ko)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GB2314769A (en) Matting system
KR200343336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130000074U (ko) 조립식 미끄럼 방지 매트
JP200032011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