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52Y1 - 실내용 발판 - Google Patents

실내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52Y1
KR200377852Y1 KR20-2004-0035306U KR20040035306U KR200377852Y1 KR 200377852 Y1 KR200377852 Y1 KR 200377852Y1 KR 20040035306 U KR20040035306 U KR 20040035306U KR 200377852 Y1 KR200377852 Y1 KR 200377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ixing
indoor
footres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석순
Original Assignee
진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석순 filed Critical 진석순
Priority to KR20-2004-0035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발판에 있어서, 가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상판; 상기 상판이 전후로 유연성을 갖도록 상판의 하단에 고정구로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복수로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욕실, 출입문, 다용도실 또는 주방 등에서 바닥으로부터 발을 올려놓거나 밟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발바닥의 지압 효과와 쿠션 작용으로 실용성을 추구하며, 발판의 전체 높이를 낮게 설계함으로서 안정감을 줄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발판의 모서리에 발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최소화시켜 실내용 발판의 사용에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용 발판{A stepping board for an interior}
본 고안은 실내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출입문 또는 주방 등 실내의 여러 곳에서 바닥으로부터 발을 올려놓거나 밟을 수 있도록 한 실내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판은 목재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욕실이나 목욕탕의 출입구 바닥이나 좌변기 아래에 설치되거나 또는 현관 등의 출입구 또는 주방 등에 주로 설치된다.
발판은 바닥면으로부터 발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발에 묻어 있는 물기 등의 이물질이 바닥면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판은 통상적으로 각목 형태로서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를 배열하고, 하단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시킨 패널의 형태이다. 이러한 패널 형태는 견고하기는 하지만, 발판을 설치하는 위치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발판의 제조 시에 발판이 수평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발판이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높으면 사용자가 사용 중에 발을 다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발판은 상단면이 평평한 상태로서 각종 무늬가 부착되는 등, 외관상의 미려함을 강조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하단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부착한 것도 있지만, 부재가 잘 접착되지 않아 발판의 미끄럼 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지압돌기가 상단에 형성되어 발바닥의 지압 및 미끄럼 방지를 도모하고, 하단에 유연성을 갖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전후 방향에 대하여 휨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켰으며, 고정부재의 내측으로부터 미끄럼 방지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바닥면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실내용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실내용 발판은,
가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상판; 상기 상판이 전후로 유연성을 갖도록 상판의 하단에 고정구로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복수로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판과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상판(10)은 직사각형의 각목 형태로서, 가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상판(10)의 상단은 가로로 호형의 지압돌기(12)가 복수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지압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효과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압돌기(12)는 상판(1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대각선 방향 또는 복수의 원형이나 다각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판(10)은 목재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는 상기 복수로 배열된 상판(10)을 하단으로부터 복수의 고정구(29)로 고정하는 것으로, 상판(10)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전후로 유연성을 갖는 것이다.
고정부재(20)는 상단에 상판(10)과 상판(10) 사이를 격리시키는 이격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격돌기(22)는 상판(10)과 상판(10)이 밀접하게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 상판(10)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20)의 하단에는 가로로 복수의 산(24)이 형성되어 있다. 산(24)은 복수의 상판(10)이 전후로 유연성을 갖고 휘어지거나 구부려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판(10)의 휨 정도는 산(24)과 산(24) 사이의 간격, 즉 골의 깊이나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고정부재(20)에는 단턱(27)을 갖는 결합공(26)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구(29)가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고정공(2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단면도에서, 미끄럼 방지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에 복수로 형성된 결합공(26)을 통하여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미끄럼 방지부재(30)는 상단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갖는 쿠션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쿠션공(32)은 상판(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공기압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발판을 밟을 때에 미끄럼 방지부재(30)가 충격이나 하중을 흡수하면서 쿠션공(32)에 의하여 쿠션 작용과 완충된 효과를 주게 되므로 사용자의 발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재(30)의 상단 외부연에 형성된 고정턱(34)은 고정부재(20)의 결합공(26)의 단턱(27)과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미끄럼 방지부재(30)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접지되는 접지돌기(36) 및 완충면(3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서, 접지돌기(36)는 미끄럼 방지부재(30)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4b와 같이, 상판(10)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2차적인 완충면이 접지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부재(30)가 찌그러지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지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미끄럼 방지부재(30)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끄럼 방지에 강하고 탄성을 갖는 어떠한 재질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내용 발판은 먼저, 고정부재(20)의 결합공(26)에 미끄럼 방지부재(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에 복수의 고정부재(2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고정부재(20)의 이격돌기(22) 사이에 복수의 상판(10)을 배치한 후에 각 상판(10)의 하단으로부터 고정구(29)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실내용 발판은 사용 장소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즉 출입구나 주방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형으로 제작하거나 복수개의 발판을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다른 실시 예로서 나타낸 발판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좌변기 주변과 같은 소정 형상을 갖는 물체의 하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정면의 중앙이나 측면 등이 만곡되게 만곡부(14)를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5에서는 호형상이나 원형의 만곡부(14)를 형성하였지만, 발판이 적용되는 물체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이나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내용 발판은 전후 방향, 즉 고정부재(20)가 결합된 세로 방향으로 휨을 갖는 형상 및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을 다치거나 미끄러지는 문제를 최소화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내용 발판은 바닥면에 습기가 있는 장소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닥면이 미끄러운 곳이나 바닥면이 오염된 곳 등에도 적용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내용 발판은 주방이나 출입구 또는 목욕탕이나 찜질방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의 상단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발바닥의 지압으로 건강증진을 도모하거나 1차 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갖는 고정부재가 상판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에 결합된 쿠션 및 미끄럼 방지부재의 탄성으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닥면과의 밀착성으로 인하여 2차 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실내용 발판은 주방이나 현관 출입구 또는 욕실 입구나 화장실 바닥 또는 베란다나 발코니 등에 설치 및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 범위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서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상판과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 및 미끄럼 방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미끄럼 방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나타낸 발판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판 12: 지압돌기
20: 고정부재 22: 이격돌기
24: 산 26: 결합공
28: 고정공 29: 고정구
30: 미끄럼 방지부재 32: 쿠션공
34: 고정턱 36: 접지돌기

Claims (5)

  1. 실내용 발판에 있어서,
    가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상판;
    상기 상판이 전후로 유연성을 갖도록 상판의 하단에 고정구로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복수로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단에는 가로로 호형의 돌기가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는 상판과 상판 사이를 격리시키는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가로로 복수의 산이 형성되며, 단턱을 갖는 결합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고정구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상단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갖는 쿠션공이 형성되고, 상단 외부연에 고정턱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바닥면에 접지되는 접지돌기 및 완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재질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이고, 고정부재 및 미끄럼 방지부재의 재질은 쿠션 및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KR20-2004-0035306U 2004-12-13 2004-12-13 실내용 발판 KR200377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06U KR200377852Y1 (ko) 2004-12-13 2004-12-13 실내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06U KR200377852Y1 (ko) 2004-12-13 2004-12-13 실내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52Y1 true KR200377852Y1 (ko) 2005-03-11

Family

ID=4367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306U KR200377852Y1 (ko) 2004-12-13 2004-12-13 실내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60U (ko) * 2019-09-10 2021-03-18 김종명 조립식 매트리스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60U (ko) * 2019-09-10 2021-03-18 김종명 조립식 매트리스 받침대
KR200494666Y1 (ko) * 2019-09-10 2021-12-01 김종명 조립식 매트리스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0195A1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US20070204545A1 (en) Flooring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 energy during a fall
KR101784932B1 (ko) 충격완충용 목재데크 고정클립
KR100846833B1 (ko)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WO2002090645A3 (en) Spillage control safety floor matting
KR200377852Y1 (ko) 실내용 발판
KR101619485B1 (ko) 계단 탄력 발판
KR102343195B1 (ko) 건축물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0668055B1 (ko)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US5756176A (en) Carpet transition strip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200363988Y1 (ko) 다용도 조립식 발판
KR200406919Y1 (ko) 바닥판
CN109497803A (zh) 一种楼梯阶梯用易裁剪防滑垫
KR101892818B1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JP3561192B2 (ja) 段差ステップ
CN213837423U (zh) 一种楼梯防滑防踩空装置
JPH0738381U (ja) 階段構造
KR102625868B1 (ko) 조립식 논슬립 계단
KR102057123B1 (ko) 2 방향의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목재 데크
KR100564791B1 (ko) 공동주택의 안전계단
JP2002227440A (ja) ウォーキング用マットと連結フックのセット、ウォーキング用マット及び連結フック
CN209950967U (zh) 一种浴室用快速拼接易裁剪防滑垫
CN211673649U (zh) 一种高弹性耐磨的防滑地垫
KR200343336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