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855U - 발바닥 지압매트 - Google Patents

발바닥 지압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855U
KR20090002855U KR2020070015560U KR20070015560U KR20090002855U KR 20090002855 U KR20090002855 U KR 20090002855U KR 2020070015560 U KR2020070015560 U KR 2020070015560U KR 20070015560 U KR20070015560 U KR 20070015560U KR 20090002855 U KR20090002855 U KR 20090002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base plate
mat
protrusion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석
Original Assignee
정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석 filed Critical 정윤석
Priority to KR202007001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855U/ko
Publication of KR20090002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Abstract

본 고안은 발바닥 지압매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압기능과 함께 쿠션기능을 구비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지압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의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지압매트(M)에 의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의 측벽(11)이 마련되며 상면 전역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스프링-지지돌기(12)들이 돌출되게 마련되고, 스프링-지지돌기(12)들을 중심으로 수용공간(13)들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사각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스프링-지지돌기(12)들 상단(12a)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30)과; 상부는 돔 형태로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코일스프링(30)들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어 수용공간(13)에서 승하강 가능하며, 하단부 외주에는 걸림턱(41)이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지압돌기(4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걸림턱(41)에 의해 지압돌기(40)들의 상부만이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스프링-지지돌기(1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개구홀(21)들이 천공된 사각형태의 커버플레이트(20)를; 구비한다.
발바닥, 지압, 매트, 조립, 스프링, 미끄럼방지

Description

발바닥 지압매트{ACUPRESSURE MAT}
본 고안은 발바닥을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지압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통해 완충력을 발휘하여 통증 없이 지압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발바닥 지압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현대인들이 매일 운동을 하기는 쉽지 않은 관계로, 간단하면서도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 실내 운동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운동기구들중의 하나로서, 발로 지압구를 밟아주면 발바닥에 지압효과를 줄 수 있는 지압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동양의학에 의하면 발바닥에는 신체 각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지압점이 있으며, 이러한 발바닥의 지압점을 눌러 자극하면 신체의 각 부분이 활성화되어 신진대사가 촉진되며 혈행이 양호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지압매트는 피브이씨(PVC)와 같은 딱딱한 합성수지재 플레이트의 표면 전역에 경질의 지압돌기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성형 또는 배치한 것으로, 주방용 매트, 어린이 놀이방용 매트, 체육관 실내용 매트, 방석용 매트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지압매트에서는 지압판 또는 지압매트 위에 서서 발바닥을 자극할 때 경질의 지압돌기가 발바닥을 심하게 자극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금만 올라서 있더라도 심한 통증을 느껴 지압을 장시간 할 수 없게 된다. 즉, 일정시간 이상 발바닥을 지속적으로 자극해야만 그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종래의 지압매트로는 지압의 본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압 플레이트와 지압돌기를 쿠션재질로 구성한 지압매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쿠션재질 지압매트의 경우에는 지압돌기들이 발바닥에 운동효과를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지압기능과 함께 쿠션기능을 발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면서도 지압효과를 월등하게 누릴 수 있는 발바닥 지압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압매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복수개의 지압매트를 연결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발바닥 지압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발바닥 지압매트에 있어서;
상기 지압매트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의 측벽이 마련되며 상면 전역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스프링-지지돌기들이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지지돌기들을 중심으로 수용공간들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사각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스프링-지지돌기들 상단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과; 상부는 돔 형태로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승하강 가능하며, 하단부 외주에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지압돌기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들의 상부만이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돌기들 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개구홀들이 천공된 사각형태의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전역에 수직단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된 지지리브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면과 당접하며; 상기 지지리브들의 가장자리가 이웃하는 지지리브들과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압매트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밑면에 형성된 스크루-보스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스크루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2개의 끼움홀이 한 조를 이루도록 복수개가 천공되고; 상기 끼움홀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패드부와, 상기 밀착패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끼움홀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미끄럼방지받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복수개의 배수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에 코일스프링들과 지압 돌기들을 순차적으로 가조립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를 덮은 후 스크루들을 조이면, 다수개의 지압돌기들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공간에서 승하강 가능하면서 견실하게 조립되는 장점이 있다. 결국, 지압매트의 조립 생산라인에서 이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에 의하면; 지압돌기들이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떠받쳐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체중을 실어 밟더라도 충격이 흡수되면서 지압돌기들이 커버플레이트 하측으로 내려가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발목 뼈 등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통증없이 장시간 밟을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들이 커버플레이트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에서도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발바닥을 국부적으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지압이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즉, 지압자극에 대한 통증이 완화되면서 사용자 발바닥을 확실하게 지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에 의하면;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받침을 통해 지압매트들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와 장소에 맞게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지압을 위한 지압매트(M)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 전역에 걸쳐 스프링-지지돌기(12)들이 돌출되게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스프링-지지돌기(12)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30)과, 이 코일스프링(30)들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압돌기(4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지압돌기(40)들의 상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개구홀(21)이 천공된 커버플레이트(20)와, 이 커버플레이트(20)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바닥 지압매트(M)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M)는 경질 합성수지를 통해 직사각형태로 성형 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의 측벽(11)이 마련되며, 스프링-지지돌기(12)들이 상면 전역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지지돌기(12)들의 상단부(12a)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소경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직경은 코일스프링(3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돌기(12)들을 중심으로 수용공간(13)들이 개별적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지압돌기(40)들이 개별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공간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전역에는 수직 단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된 지지리브(14)들이 소정의 패턴(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스프링-지지돌기(12)를 중심으로 60도 간격으로 성형되도록 구성함)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 한 지지리브(14)들은 커버플레이트(20)의 결합 시 커버플레이트(20) 하면과 당접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리브(14)들의 가장자리는 이웃하는 지지리브(14)들과 이격되게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7"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코너부위에 천공된 배수홀로서, 커버플레이트(2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사이로 이물질(물)이 유입되는 경우 이를 통해 쉽게 빠져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코일스프링(30)들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지압돌기(40)들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내경을 갖는 코일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코일스프링(30)은 지압매트(M)의 조립 시 스프링-지지돌기(12)의 상단부(12a,소경부)에 끼워져 견실하게 가조립된다. 즉, 코일스프링(30)은 스프링-지지돌기(12)의 상단부(12a)에 억지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구성함으로써, 조립 작업자가 코일스프링(30)의 하단을 스프링-지지돌기(12)의 상단부(12a)에 가조립하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지압돌기(40)들은 상부는 돔(doom) 형태로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코일스프링(30)들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됨으로써, 수용공간(13)들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압돌기(40)의 하단부 외주에는 걸림턱(4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플레이트(20)의 개구홀(21)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지압돌기들(40)의 상부가 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발로 밟더라고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커버플레이트(20) 역시 경질 합성수지를 통해 직사각형태로 성형 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를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걸림턱(41)에 의해 지압돌기(40)의 상부만이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지지돌기(1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개구홀(21)들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개구홀(21)들의 주변에는 라운딩 형태의 비드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지압돌기(40)를 깊게 밟더라도 통증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20)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의 견실한 결합을 위해 가장자리부위에 스크루-보스(2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2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을 위해, 커버플레이트(20)의 하면 가장자리부위에 스크루-보스(23)들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이 스크루-보스(23)들과 대응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스크루관통홀(16)들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60)들을 스크루관통홀(16)을 관통하여 스크루-보스(23)에 조이게 되면,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커버플레이트(20)가 견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결국, 커버플레이트(20)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60)이 스크루들이다. 이러한 것은 지압매트(M)의 조립과정에서 상술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받침(50)들이 베이스플레이트(10)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받침(50)들을 조립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2개의 끼움홀(15a)(15b)이 한 조를 이루도록 복수개가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받침(50)들은 끼움홀(15a)(15b)들 사이의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연질)의 밀착패드부(53)와, 이 밀착패드부(53)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어 끼움 홀(15a)(15b)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51)(5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경질의 미끄럼방지받침(50)의 밀착패드부(53)가 지압매트(M) 설치바닥면과도 당접함으로써 지압매트(M)가 쉽게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끼움홀(15a)(15b)과 끼움돌기(51)(52)의 단면 형상을 십자형태로 구성하였는데, 이것은 지압매트(M)의 사용 중에 미끄럼방지받침(50)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미끄럼방지받침(50)들은 지압매트(M)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때도 사용되는데, 이러한 것은 지압매트(M)들을 조립하는 과정설명에서 상술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의 조립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스프링-지지돌기(12)들의 상단(12a)에 코일스프링(30)들을 개별적으로 끼워 조립한다. 이때, 코일스프링(30)들의 하단은 스프링-지지돌기(12)들의 상단(12a)에 약간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된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입설된 코일스프링(30)들의 상단에 개별적으로 지압돌기(40)들을 올려 조립한다. 이때, 코일스프링(3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지지돌기(12)에 가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압돌기(40)를 덮어 조립하여도 빠지지 않으면서 지압돌기(40) 역시 가조립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20)를 덮으면, 지압돌기(40)들은 개구홀(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스크루관통홀(16)과 스크루보스(23)가 일치된다. 그리고 스크루(60)들을 스크루관통홀(16)을 관통하여 스크루보스(23)에 조이면,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커버플레이트(20)가 견실하게 고정된다(도 4참조). 이 때, 지압돌기(40)들의 걸림턱(41)은 커버플레이트(20)의 하면에 걸림으로써, 지압돌기(40)들은 빠져나가지 않고 수용공간(13)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결국, 베이스플레이트(10)에 코일스프링(30)들과 지압돌기(40)들을 순차적으로 가조립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20)를 덮은 후 스크루(60)들을 조이면, 다수개의 지압돌기(40)들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수용공간(13)에서 승하강 가능하면서 견실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지압매트(M)의 조립 생산라인에서 이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지압매트의 사용 상태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에 올라서면, 지압돌기(40)들은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면서 하측으로 내려간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는 돔 형태의 지압돌기(40)들 상부와 커버플레이트(20)의 비드부(21)가 접함으로써, 통증없이 지압매트에 장시간 올라설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체중을 실어 지압매트를 밟으면, 지압돌기(40)는 코일스프링(30)의 힘을 이기면서 커버플레이트(20) 밑으로 함몰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밟더라도 통증이 없는 것은 물론이며 뼈에도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지압돌기(40)들은 압축된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상측으로 떠받쳐 지지되기 때문에, 커버플레이트(20)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발바닥을 밀어 올려 지압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충격흡수는 물론이며 지압돌기(40)들이 발바닥을 국부적으로 밀어 올려 지압이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는 지압자극에 대한 통증이 완화되면서 사용자 발바닥으로 지압효과를 충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장시간 동안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에 올라서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들을 연결하여 보다 폭넓게 사용하는 경우를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지압매트(M)에서 미끄럼방지받침(50)들을 분리한 후, 지압매트(M)들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접시킨다. 이 때, 지압매트(M)들의 베이스플레이트(10)에 천공된 끼움홀(15a)(15b)들은 서로 대응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받침(50)의 일측 끼움돌기(51)를 일측의 지압매트(M) 베이스플레이트(10)의 끼움홀(15a)에 끼워 조립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받침(50)의 타측 끼움돌기(52)를 타측의 지압매트(M) 베이스플레이트(10)의 끼움홀(15a)에 끼워 조립하면,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받침(50)의 밀착패드부(53)에 의해 지압매트(M)들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받침(50)을 통해 지압매트(M)들을 연결하면, 다양한 용도와 장소에 맞게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M)를 주방이나 베란다 또는 화장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지압매트(M) 내부로 들어간 물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천공된 배수홀(17)을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바닥 지압을 위한 지압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의 결합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지압매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압매트들의 연결구조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Ⅸ - Ⅸ선에 따른 단면도로, 지압매트들의 연결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플레이트 12..스프링-지지돌기
13..수용공간 14..지지리브
15a,15b..끼움홀 20..커버플레이트
21..개구홀 30..코일스프링
40..지압돌기 50..미끄럼방지받침

Claims (5)

  1.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발바닥 지압매트에 있어서;
    상기 지압매트(M)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의 측벽(11)이 마련되며 상면 전역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스프링-지지돌기(12)들이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2)들을 중심으로 수용공간(13)들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사각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스프링-지지돌기(12)들 상단(12a)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30)과;
    상부는 돔 형태로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스프링(30)들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3)에서 승하강 가능하며, 하단부 외주에는 걸림턱(41)이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지압돌기(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41)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40)들의 상부만이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개구홀(21)들이 천공된 사각형태의 커버플레이트(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압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전역에는 수직단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태 로 돌출된 지지리브(14)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20)의 하면과 당접하며;
    상기 지지리브(14)들의 가장자리는 이웃하는 지지리브(14)들과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압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매트(M)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20)의 밑면에 형성된 스크루-보스(2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스크루(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압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2개의 끼움홀(15a)(15b)이 한 조를 이루도록 복수개가 천공되고;
    상기 끼움홀(15a)(15b)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패드부(53)와, 상기 밀착패드부(53)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끼움홀(15a)(15b)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51)(52)를 구비하는 미끄럼방지받침(5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 닥 지압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복수개의 배수홀(17)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지압매트.
KR2020070015560U 2007-09-18 2007-09-18 발바닥 지압매트 KR200900028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60U KR20090002855U (ko) 2007-09-18 2007-09-18 발바닥 지압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60U KR20090002855U (ko) 2007-09-18 2007-09-18 발바닥 지압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55U true KR20090002855U (ko) 2009-03-23

Family

ID=4365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560U KR20090002855U (ko) 2007-09-18 2007-09-18 발바닥 지압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8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20B1 (ko) * 2012-09-17 2013-06-17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CN103315896A (zh) * 2013-06-29 2013-09-25 周琳 一种中药保健脚底按摩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20B1 (ko) * 2012-09-17 2013-06-17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CN103315896A (zh) * 2013-06-29 2013-09-25 周琳 一种中药保健脚底按摩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6798A1 (en) Impact-absorbing shoe heel
KR20090002855U (ko) 발바닥 지압매트
US5833576A (en) Physical training device
KR102224341B1 (ko) 밸런스 운동기구
KR20030017175A (ko)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KR200437002Y1 (ko) 윗몸일으키기용 고정 발판
KR200393040Y1 (ko) 발바닥 지압패널
US20140057765A1 (en) Foot and h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261694Y1 (ko)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KR100574199B1 (ko) 운동용 메모리폼 완충발판
JP2006014821A (ja) 足踏み式足裏マッサージ器
TWI474789B (zh) 按摩鞋墊
CN201759449U (zh) 具浮动脚板的足浴盆
KR20210078238A (ko) 바닥용 발판
KR200320414Y1 (ko) 배수구를 갖는 욕실용 미끄럼 방지판
KR200315257Y1 (ko) 발바닥 지압구
KR200388343Y1 (ko) 이중지압 및 충격완화기능의 지압봉구조를 지니는 시트재
KR200204769Y1 (ko) 도보운동용 쿠션 슬리퍼
KR100728077B1 (ko)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JP3077472U (ja) 踏み台
KR101005838B1 (ko) 욕실용 발판
KR200322623Y1 (ko) 욕실용 발판
KR200214632Y1 (ko) 물 빠짐 매트
KR101711298B1 (ko) 쾌적한 기능성 깔창
WO2008016202A1 (en) A health air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