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077B1 -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 Google Patents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077B1
KR100728077B1 KR1020050067095A KR20050067095A KR100728077B1 KR 100728077 B1 KR100728077 B1 KR 100728077B1 KR 1020050067095 A KR1020050067095 A KR 1020050067095A KR 20050067095 A KR20050067095 A KR 20050067095A KR 100728077 B1 KR100728077 B1 KR 10072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cupressure
pressure plate
outdoo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598A (ko
Inventor
김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코
김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코, 김향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코
Priority to KR102005006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0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Abstract

정사각 매트 형상으로 테두리의 각 변에 암 결합돌기 또는 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발바닥 신경점들 중 특정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단위의 신경점들과 관련되는 형태를 갖는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후면은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고 후면에서 지압돌기의 가장자리는 테두리와 같은 높이로 돌출 형성된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이 개시된다.
지압, 매트, 조립식, 결합, 신경점

Description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Plate for the finger-pressure treatment capable for assembling, used for indoor/outdoor walk}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압판의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지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한 지압판을 상호 결합하여 지압 도보로를 형성한 일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발바닥 신경점들 중 일정 단위의 신경점들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패턴의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조립 가능한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에는 신체 각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신경점들이 분포되어 있어 이 신경점들을 자극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신체 각 부분이 활성화되어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혈행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오장육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발바닥의 신경점을 자극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맨발 산행과 산책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몇 가지의 주의할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발바닥에 상처가 생겨 흙과 접촉하는 경우, 파상풍이나 유행성 출혈열에 감염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맨발로 다닐 수 있는 시간이나 공간이 없으며, 실내외에서도 대부분의 시간동안 신발을 신고 있기 때문에 발의 피로감이 더욱 가중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발바닥의 신경점들을 자극하기 위한 도구로 지압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376036호에서는 하부판에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지압돌출부 또는 지압돌기를 형성하거나 지압충전물을 충전한 지압 블록을 구비하여 일정개수의 형태가 같거나 다른 지압블록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 설치한 실내외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각각의 지압판들에 형성된 지압블록은 발바닥의 특정한 신경점들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임의로 다양한 패 턴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효율적인 지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순환기 계통에 집중적으로 자극을 주고자 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지압블록이 나무나 합성수지나 금속, 돌, 고무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강한 통증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지압판을 상호 결합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사용 중에 배열이 흐트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바닥 신경점들 중 일정 단위의 신경점들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패턴의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조립 가능한 조립식 지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압돌기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조립식 지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사각 매트 형상으로 테두리의 각 변에 암 결합돌기 또는 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발바닥 신경점들 중 특정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단위의 신경점들과 관련되는 형태를 갖는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후면은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고 후면에서 지압돌기의 가장자리는 테두리와 같은 높이로 돌출 형성된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변에 연속하여 형성된 암 결합돌기 쌍과 수 결합돌기 쌍이 상호 대향한다.
또한, 후면에는 테두리와 같은 높이의 리브(rib)가 격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네 모서리에는 지압판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번호가 기록될 수 있으며, 지압판 중 방향성을 필요로 하는 지압판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압돌기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압돌기는 다음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돌출 배열되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반원통.
(ii)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타원 반구와,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타원 반구 사이에 하나씩 배열되는 원 반구.
(iii)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아스테리스크(*) 형태로 모여 이루어진 단위 그룹이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각각 형성된 것.
(iv) 타원 반구 또는 원 반구가 4×4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
(v)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진 단위 그룹이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열되고, 이 배열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일 측면에 따른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을 다수개 결합하되, 도보로의 중간에 지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압판을 설치함으로써 릴랙스(relax)와 자극을 반복하도록 한 실내외 도보용 발바닥 지압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압판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은 정사각 매트 형상의 본체(100)와 본체의 가장자리에 본체(10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테두리(120)로 이루어진다. 테두리(120)를 본체(10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지압판을 결합하여 도보로를 구성하는 경우, 지압돌기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되어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테두리(120)의 각 변에는 암 결합돌기(122) 또는 수 결합돌기(132)가 돌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인접한 변에 연속하여 형성된 암 결합돌기(122) 쌍과 수 결합돌기(132) 쌍이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지압판의 전면에는 발바닥 신경점들 중 일정 단위의 신경점들에 대응하도록 원 반구의 지압돌기(102)가 형성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지압돌기(102)는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아스테리스크(*) 형태로 모여 이루어진 단위 그룹(110a, 110b, 110c, 110d, 110e)이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바닥의 가장자리, 발꿈치, 발바닥 허리 그리고 발측면을 발을 놓는 위치에 따라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중간 정도이다.
따라서, 발바닥의 특정한 신경점만을 자극하거나 국부적인 자극을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를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효과적인 자극을 위하여 지압돌기(102)의 표면에 미세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지압돌기에도 미세돌기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압돌기(102)의 내부에는 공동(103)이 형성되어 사출성형 재료를 줄일 수 있고, 지압돌기(102)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여 발바닥에 강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전면의 네 모서리에는 해당 지압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105)가 기록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지압판을 결합시킬 때 식별번호(105)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면은 암수 결합돌기(122, 132)를 포함하는 테두리(120)보다 낮게 형성되고 지압돌기(102)의 저면 가장자리(104)는 테두리(120)와 같은 높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테두리(120)와 지압돌기(102)의 저면 가장자리(104)를 제외하고 후면은 일정한 깊이로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압돌기(102)의 저면 가장자리(104)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위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압돌기(102)의 저면 가장자리(104)가 탄성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지압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rib; 140)가 지압돌기(102)의 저면 가장자리(104)와 같은 높이로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지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압판 본체(100)의 전면에 원 반구의 지압돌기(102)가 4×4의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바닥 가장자리, 발꿈치 그리고 발측면에 동시에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크다. 여기서, 4×4의 격자형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6×6 또는 8×8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압돌기(102)는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진 단위 그룹(110)이 화살표(106)로 표시된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열되고, 배열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압판 본체(100)의 전면에는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106)가 도시되어 다른 지압판과 결합할 때 참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압판 중 방향성을 필요로 하는 지압판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바닥의 가장자리, 발바닥 허리, 발꿈치, 발측면 부분을 발을 놓는 위치에 따라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작다.
도 6은 도 4와 같은 원 반구의 지압돌기(102)가 격자형으로 형성되되, 원 반구의 직경과 높이를 더 작게 하였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바닥 전체면에 균일한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작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압돌기(102)는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돌출 배열되는 반원통으로 발바닥의 앞쪽과 뒷쪽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지압판 본체(100)의 전면에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106)가 도시되어 다른 지압판과 결합할 때 참고할 수 있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바닥의 스트레치, 발바닥의 가장자리, 발바닥 허리, 발꿈치를 발을 놓는 위치에 따라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중간 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압돌기(102)는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타원 반구(102a)와,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타원 반구 사이에 하나씩 배열되는 원 반구(102b)로 이루어진다. 도 7과 마찬가지로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10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지압판에 의할 경우, 발가락을 넓게 벌려주고, 발바닥의 가장자리, 발바닥 허리, 발꿈치에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자극강도는 크다.
도 9는 출발위치나 도보로의 중간에 설치되는 지압판으로, 지압돌기는 형성되지 않고, 발바닥 신경점을 설명하는 그림(107)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그림(107)을 이용하여 지압판들을 다양한 패턴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지압판에는 지압돌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영역(relaxation zone)으로 기능한다.
도 10은 상기한 지압판을 상호 결합하여 지압 도보로를 형성한 일 예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이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단위의 발바닥 신경점을 자극할 수 있는 지압판들을 선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로 발바닥 신경점을 자극할 수 있는 지압판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적절한 순서로 배열한 다음 암수 결합돌기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출발위치와 방향 전환위치에 지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압판을 설치하여 발바닥의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어지는 자극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압판은 이 예와 달리 도보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테두리(120)의 인접한 변에 연속하여 형성된 암 결합돌기(122) 쌍과 수 결합돌기(132) 쌍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필요한 경우 90도로 자유롭게 방향 전환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지압판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네 모서리에는 해당 지압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105)가 기록되어 이 식별번호(105)와,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106)를 참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압판 본체의 재질로 PVC나 EVA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옥이나 황토 또는 토르 말린 분말을 추가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의 크기, 즉 직경이나 높이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바닥 신경점들 중 일정 단위의 신경점들에 대응하여 국부적으로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후면의 탄성구조에 의해 이를 수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각 지압판이 상호 단단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분리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압판을 이용하여 집안이나 병원 또는 기업체의 휴게실, 옥외 베란다 또는 옥상 등에 도보로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어 실내외에서의 건강 유지 및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12)

  1. 정사각 매트 형상으로 테두리의 각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암 결합돌기 또는 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그 전면에 발바닥 신경점들 중 특정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일정 단위의 신경점들과 관련되도록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지압돌기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에서 상기 지압돌기의 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테두리와 같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압돌기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지압돌기의 가장자리가 상기 후면 쪽으로 변형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압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한 변에 연속하여 형성된 암 결합돌기 쌍과 수 결합돌기 쌍이 상호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는 상기 테두리와 같은 높이의 리브(rib)가 격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지압판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번호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 중 방향성을 필요로 하는 지압판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상기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돌출 배열되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반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타원 반구와, 상기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타원 반구 사이에 하나씩 배열되는 원 반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아스테리스크(*) 형태로 모여 이루어진 단위 그룹이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타원 반구 또는 원 반구가 4×4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타원 반구들 또는 원 반구들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진 단위 그룹이 상기 도보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배열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12. 청구항 1의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을 다수개 결합하되, 도보로의 중간에 지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압판을 설치함으로써 릴랙스(relax)와 자극을 반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도보용 발바닥 지압판 어셈블리.
KR1020050067095A 2005-07-23 2005-07-23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KR10072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95A KR100728077B1 (ko) 2005-07-23 2005-07-23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95A KR100728077B1 (ko) 2005-07-23 2005-07-23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03U Division KR200402701Y1 (ko) 2005-07-23 2005-07-23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98A KR20070012598A (ko) 2007-01-26
KR100728077B1 true KR100728077B1 (ko) 2007-06-18

Family

ID=3801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095A KR100728077B1 (ko) 2005-07-23 2005-07-23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942A (zh) * 2017-08-17 2017-10-20 芜湖通全科技有限公司 一种按摩粒子地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KR100422215B1 (ko) 2001-08-08 2004-03-12 주식회사 성웅 조립식 매트
KR200378863Y1 (ko) 2004-12-14 2005-03-16 주식회사 성웅 조립식 지압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15B1 (ko) 2001-08-08 2004-03-12 주식회사 성웅 조립식 매트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KR200378863Y1 (ko) 2004-12-14 2005-03-16 주식회사 성웅 조립식 지압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98A (ko) 200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9981A (en) Foot massage mat
EP2825073B1 (en) Ball slide sandal
US20210337920A1 (en) Random variable stimulus insoles and footwear to optimize human neuromuscular gait mechanics
KR100603062B1 (ko) 저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신발창
KR100728077B1 (ko)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KR200402701Y1 (ko) 실내외 도보용 조립식 발바닥 지압판
KR101238618B1 (ko) 마사지 및 완충 작용의 신발 안창
US20050115108A1 (en) Insole for foot sole reflexology and shoe that includes that insole
JP2008173309A (ja) 履物用底部材
CN201612203U (zh) 一种保健按摩拖鞋
KR200378863Y1 (ko) 조립식 지압용 매트
JP3129014U (ja) 凸部を有する履き物
KR200431731Y1 (ko) 대나무 및 원적외선 광석의 건강지압판
CN211581732U (zh) 人工草按摩拖鞋
KR200313134Y1 (ko) 지압용의 조립식 매트블록
RU179977U1 (ru) Модуль напольного массажного покрытия
KR200318276Y1 (ko) 자석을 이용한 지압신발
KR200223931Y1 (ko) 지압운동용 슬리퍼
KR200252033Y1 (ko) 지압용 슬리퍼
JP3077472U (ja) 踏み台
KR200315257Y1 (ko) 발바닥 지압구
CN2054268U (zh) 波纹状网型鞋垫
KR200337750Y1 (ko) 지압용 옥돌이 내장된 신발
JPH10165476A (ja) 突起物と温水を併用した健康促進遊歩道
CN201085108Y (zh) 按摩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