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919Y1 - 바닥판 - Google Patents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919Y1
KR200406919Y1 KR2020050030743U KR20050030743U KR200406919Y1 KR 200406919 Y1 KR200406919 Y1 KR 200406919Y1 KR 2020050030743 U KR2020050030743 U KR 2020050030743U KR 20050030743 U KR20050030743 U KR 20050030743U KR 200406919 Y1 KR200406919 Y1 KR 200406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friction pad
fl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니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to KR2020050030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이나 조립식 마루 바닥판 등 각종 바닥판의 하부에 겔상태의 폴리우레탄재질의 마찰패드를 부착하여 바닥판 설치 후 바닥판의 유동 및 소음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쿠션감을 갖도록 하는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바닥판(10)(3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하부에 다수개의 마찰패드(20)을 부착하고, 또 상기 마찰패드(20)의 저면에는 다수의 엠보싱홈(22)울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판의 하부에 겔상태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마찰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욕실 바닥면 또는 일반 실내 바닥면에 높은 마찰력, 점착력 및 우수한 탄성력을 지닌 마찰패드의 밑면에 형성된 엠보싱홈에 의해 진공부착되므로 미끄럼은 물론이고 유동 및 소음이 방지됨과 아울러 뛰어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닥판, 흡착판, 진공, 쿠션

Description

바닥판{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마찰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찰패드가 부착된 바닥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 부착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가 조립식 마루 바닥판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 마찰패드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0 - 바닥판 12 - 지지베이스
14 - 패드홈 15 - 나사
20,40 - 마찰패드 22a,22b - 요홈,돌기
24 - 지지판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이나 조립식 마루 바닥판 등 각종 바닥판의 하부에 겔상태의 폴리우레탄재질의 마찰패드를 부착하여 바닥판의 미끄럼, 유동 및 소음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쿠션감을 갖도록 하는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이 깔린 욕실 바닥이나 바닥 난방이 없는 발코니, 현관바닥 및 실내바닥 등에는 욕실바닥판 또는 조립식 바닥판을 깔아 사용한다.
상기 욕실 바닥판은 다수의 판부재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하거나, 그 하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조립식 바닥판은 가볍고 견고하고 미려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된 판부재를 일정한 크기의 베이스판 상에 조립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측부에 형성된 암/수 연결구를 이용하여 또 다른 베이스판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면적의 바닥에 깔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욕실 바닥판이나 조립식 바닥판은 지금까지 조립의 편리성과 견고성의 개선에 관점을 두어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특히 조립식 바닥판의 규격과 일치하지 않은 조립공간에 적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는 보조바닥판 또는 인접하는 판부재간의 틈새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조립식바닥판의 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부재간의 연결틈새를 최소화하여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의 개선으로 기술개발로 인하여 현재 높은 완성도를 보유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욕실 바닥판의 개선점은 비록 고무 또는 실리콘 패드가 부착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는 단순히 고무 또는 실리콘 패드의 마찰력에 의존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구조이므로 사실상 미끄럼 방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때문에 미끄럼에 의한 안전사고가 우려되고, 또 바닥이 고르지 못한 관계로 유동 및 그로인한 소음이 발생되어 바닥판을 밟았을 때 불안감을 느끼게 됨에 따라 이를 개선해야할 과제가 있다.
또 조립식 바닥판은, 조립식 바닥판이 설치될 공간위에 단순히 재치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힘을 가하여 밀게 되면 미끄럼이 발생되는 단점과 아울러 바닥과의 이격부분이 있어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해결해야될 과제로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닥판 즉, 욕실 바닥판 및 조립식 바닥판의 하부에 고무나 실리콘보다 접지력이 뛰어난 재질의 겔(gel)상태의 마찰패드을 장치하여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 및 소음이 없는 안정적인 욕실 바닥판 및 조립식 바닥판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마찰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마찰패드가 부착된 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 부착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바닥판(10)은 다수의 판부재를 가로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하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판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욕실 바닥판(10)은 일측 중앙부에는 변기의 앞부분이 위치하는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 사각판 구조에서부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안점은 이러한 욕실 바닥판(10)의 하부 저면 전후부에는 마찰패드(20)를 부착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찰패드(20)는 겔(gel)상태의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재질보다도 매우 높은 탄성력, 점착력 및 마찰력을 갖게 된다. 이는 접지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미끄럼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가 있다. 상기 마찰패드(2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외에도 연질의 실리콘과 같은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채용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겔(gel)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마찰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도 2, 도 5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20)의 밑면에 다수의 요홈(22a)을 형성하면 더욱더 효과적이다.
이때, 요홈(22a)과 반대로 엠보싱돌기(22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욕실 바닥판(10)을 욕실 타일 위에 안착시키면 겔상태의 마찰패드(20)는 욕실 바닥판(10)의 자체중량이나 이를 밟는 사람의 무게에 의해 수축하여 높은 마찰력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바닥면에 다수의 요홈(22a)은 중량에 의해 마찰패드(20)이 수축할 때 요홈(22a)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요홈(22a)내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진공에 의한 바닥면과의 부착력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하여 유동 및 미끄럼이 제거되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욕실바닥판(10)의 사용시 높은 안정감을 갖게 된다. 그런데 상기 요홈(22a)의 경우에는 마찰패드(20) 자체의 점착력이나 탄성력에 의해서도 높은 마찰력을 가지므로 요홈(22a)이 부가되면 오히려 바닥에 부착력이 더욱 높아져 욕실바닥판(10)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마찰패드(20)가 적당함 접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엠보싱돌기(22b)를 형성한 것이다. 이 엠보싱돌기(22b)는 상기 요홈(22a)의 진공흡착력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상기 마찰패드(20)가 적당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상기 마찰패드(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패킹 보다도 연질이기 때문에 이를 지지해주는 보강부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베이스(12)를 형성하여 상기 마찰패드(20)를 견고하게 상기 바닥판(10)에 부착되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베이스(12)는 바닥판(10)(30)에 접착제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나사(15)로 결합하며, 저면부에는 상기 마찰패드(20)가 삽입되어 지지될 패드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패드(20)는 상면에 PE 또는 고무와 같은 별도의 보강판(24)을 부착하여 일체화한 후 상기 지지베이스(12)의 패드홈(14)에 접착제 또는 나사(15)로 부착되므로 견고하게 부착되며, 특히 상기 마찰패드(20)의 상측 일부가 상기 패드홈 (14)의 내부측벽면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마찰패드(20)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되게 한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20)은 고무보다 월등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바닥판(10)(30)을 밟았을 때 딱딱한 느낌이 아닌 뛰어난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찰패드가 조립식 마루 바닥판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조립식 바닥판(30)의 정면을 간략히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조립식 바닥판(30)의 하부에 도 2 및 도 4와 같은 마찰패드(20)가 상술한 지지베이스(1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패드(20) 부착구조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 바닥판(10)을 설치될 바닥면에 위치시킨 후 상부에서 눌러 힘을 가하게 되면 마찰패드(20)의 탄성력 및 점착력에 의해 마찰력이 향상되어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바닥면의 요홈(22a)의 진공에 의해 바닥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식 바닥판(30)은 바닥면에 견고한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마찰패드(20) 부착구조는 욕실용 바닥판(10)외에 각종 바닥판(10)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 마찰패드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본 고안 마찰패드(4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도 7과 같이 보강판의 저면에 연질 폴리우레탄을 엠보싱 돌기(42)형태로 부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구조는 단순히 상기 엠보싱 돌기(42) 형태의 폴리우레탄의 탄성력, 마찰력, 점착력에 의해 바닥판(10)(30)의 미끄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쿠션기능에 의한 유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 바닥판은, 바닥판의 하부에 겔상태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마찰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욕실 바닥면 또는 일반 실내 바닥면에 높은 마찰력과 함께 마찰패드의 밑면에 형성된 요홈에 의해 진공부착되므로 미끄럼은 물론이고 유동 및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뛰어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바닥판(10)(3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겔(gel)상태의 연질 마찰패드(2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20)의 저면에는 다수의 요홈(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20)의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돌기(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20)는 지지베이스(12)의 밑면에 형성된 패드홈(14)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베이스(12)를 매개로 상기 바닥판(10)(3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20)는 겔(gel)상태의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20)는 보강판의 저면에 겔(gel)상태의 연질 폴리우레탄을 엠보싱 돌기(42) 형태로 부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KR2020050030743U 2005-10-29 2005-10-29 바닥판 KR200406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43U KR200406919Y1 (ko) 2005-10-29 2005-10-29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43U KR200406919Y1 (ko) 2005-10-29 2005-10-29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919Y1 true KR200406919Y1 (ko) 2006-01-24

Family

ID=4929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743U KR200406919Y1 (ko) 2005-10-29 2005-10-29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9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62B1 (ko) * 2016-04-14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그레이팅 구조를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KR102609970B1 (ko) * 2022-07-14 2023-12-04 소성환 설치가 편리한 매트용 바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62B1 (ko) * 2016-04-14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그레이팅 구조를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KR102609970B1 (ko) * 2022-07-14 2023-12-04 소성환 설치가 편리한 매트용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7725C (en) Flooring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 energy during a fall
DK1224366T3 (da) Samlingsbroslagningsorgan
PT1908887E (pt) Sifão, principalmente em forma de calha de escoamento para chuveiro
US9622541B2 (en) Antiskid-style sole
KR200406919Y1 (ko) 바닥판
KR100668055B1 (ko)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KR20060117701A (ko) 걸레받이
WO2008122200A1 (fr) Ensemble plancher en plastique à support réhausseur
KR102120937B1 (ko) 벽체용 판넬
KR20030008146A (ko) 높이조절 및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마루바닥재
JP2022076520A (ja) 階段構造
KR102229244B1 (ko) 건축용 계단 논슬립
JPS62236958A (ja) 床構造
JP2022160052A (ja)
KR200377852Y1 (ko) 실내용 발판
JPH0628073U (ja) 仮設木質床
KR200410120Y1 (ko) 지압매트
KR101411299B1 (ko) 실내용 발판
CN213234135U (zh) 一种装配式地砖结构
JPS5914583Y2 (ja) 建物用すべり止め
KR200280811Y1 (ko) 건축용 이질재료 분리대의 시공구조
JPH0144673Y2 (ko)
KR101005838B1 (ko) 욕실용 발판
JP3102265U (ja) 椅子
KR200343336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