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160B1 -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160B1
KR100602160B1 KR1020050129200A KR20050129200A KR100602160B1 KR 100602160 B1 KR100602160 B1 KR 100602160B1 KR 1020050129200 A KR1020050129200 A KR 1020050129200A KR 20050129200 A KR20050129200 A KR 20050129200A KR 100602160 B1 KR100602160 B1 KR 10060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grating
slip
reversal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기
Original Assignee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는 타일의 일면을 동절기 얼어붙기 어려운 구조와 하절기 통행이 용이한 평평한 구조로 한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출입구(20) 바닥에 사다리꼴형태의 단면을 갖는 격자리브(22)를 형성하여 격자리브(22) 사이사이에 포켓형태의 논슬립수용부(24)가 형성되도록 하며, 인서트너트(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격자판(30)을 앵커볼트(34)에 의해 격자리브(22) 상단에 고정하고, 격자판(30) 위에 얹혀서 걸리는 플랜지(42)를 반전타일(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되 반전타일(40)의 저면을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돌기(52)를 갖는 논슬립단열재(50)를 반전타일(40)의 상면에 설치하고, 반전타일(40)의 플랜지(42)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격자(60)에 격자판(30)에 설치된 인서트너트(32)의 중심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체결공(62)을 형성하여 체결공(62)을 통해 인서트너트(32)에 볼트(64)를 나사결합하며, 반전타일(40)의 상면과 일치하는 면을 갖는 고무격자(70)를 반전타일(40)의 사이에 끼우고 그 고무격자(70)의 저면에 상기 볼트(64)의 두부(66)에 결합하는 자리파기구멍(7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공동주택,타일,동결,반전,출입구,요철,단열,논슬립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Entrance reversal tile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공동주택의 출입구에 적용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동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동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동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하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하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타일이 하절기용으로 전환된 것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출입구 22 : 격자리브
24 : 논슬립수용부 30 : 격자판
32 : 인서트너트 34 : 앵커볼트
40 : 반전타일 42 : 플랜지
50 : 논슬립단열재 52 : 돌기
60 : 고정격자 62 : 체결공
64 : 볼트 66 : 두부
70 : 고무격자 72 : 자리파기구멍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는 타일의 일면을 동절기 얼어붙기 어려운 구조와 하절기 통행이 용이한 평평한 구조로 하여 필요에 따라 반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출입구 바닥에는 대리석이나 솔리드 형태의 타일이 깔려 있는데, 추운 겨울철에 신발이 묻은 수분이 출입구 바닥에 남아 얼어붙으면서 미끄럽게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출입구 바닥에 천이나 고무판을 깔아 놓는 경우가 있으나 천은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유동이 심하여 유지관리가 매우 곤란하고 출입구가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무판은 시간이 경과하면 표면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다른 고무판으로 교체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용 공동주택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타일이 얼어붙으면서 미끄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출입구 바닥에 사다리꼴형태의 단면을 갖는 격자리브를 형성하여 격자리브 사이사이에 포켓형태의 논슬립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인서트너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격자판을 앵커볼트에 의해 격자리브 상단에 고정하고, 격자판 위에 얹혀서 걸리는 플랜지를 반전타일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되 반전타일의 저면을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돌기를 갖는 논슬립단열재를 반전타일의 상면에 설치하고, 반전타일의 플랜지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격자에 격자판에 설치된 인서트너트의 중심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공을 통해 인서트너트에 볼트를 나사결합하며, 반전타일의 상면과 일치하는 면을 갖는 고무격자를 반전타일의 사이에 끼우고 고무격자의 저면에 볼트의 두부에 결합하는 캡형태의 보스를 형성하여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출입구(20) 바닥에 사다리꼴형태의 단면을 갖는 격자리브(22)를 형성하여 격자리브(22) 사이사이에 포켓형태의 논슬립수용부(24)가 형성되도록 하며, 인서트너트(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격자판(30)을 앵커볼트(34)에 의해 격자리브(22) 상단에 고정하고, 격자판(30) 위에 얹혀서 걸리는 플랜지(42)를 반전타일(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되 반전타일(40)의 저면을 평평한 면으로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돌기(52)를 갖는 논슬립단열재(50)를 반전타일(40)의 상면에 설치하고, 반전타일(40)의 플랜지(42)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격자(60)에 격자판(30)에 설치된 인서트너트(32)의 중심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체결공(62)을 형성하여 체결공(62)을 통해 인서트너트(32)에 볼트(64)를 나사결합하며, 반전타일(40)의 상면과 일치하는 면을 갖는 고무격자(70)를 반전타일(40)의 사이에 끼우고 고무격자(70)의 저면에 볼트(64)의 두부(66)에 결합하는 자리파기구멍(72)을 형성한다.
상기 반전타일(40)과 논슬립단열재(50)의 이종경계면은 요철형태로 형성하여 이종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논슬립단열재(50)는 예컨대, 발포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한다.
상기 격자판(30)에 설치되는 인서트너트(32)는 앵커볼트(34)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앵커볼트(34)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타일(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단열재(50)가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추운 겨울철 눈이 내리는 경우 출입구(20)를 통행하는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눈이 논슬립단열재(50)에 묻게 되는데, 이때 논슬립단열재(50)의 표면에 돌기(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발에서 떨어진 눈은 돌기(52) 사이사이로 떨어져 출입자 신발과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이 방지된다.
특히, 논슬립단열재(50)가 발포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돌기(52)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20)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가 논슬립단열재(50)의 단열작용에 의해 차단되므로 논슬립단열재(50)의 표면에 묻은 눈은 쉽게 얼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동절기를 지나 하절기에 이른 경우 얼어붙는 것에 의한 미끄러질 염려는 없기 때문에 통행에 약간 불편한 논슬립단열재(50)을 은폐시키기 위해 먼저 반전타일(40)의 사이사이에 끼워져 있는 고정격자(60)를 분리한 다음 볼트(64)를 풀게 되면, 고정격자(60)와 반전타일(4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전타일(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단열재(50)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반전타일(40)을 뒤집은 다음 반전타일(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2)를 격자리브(2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격자판(30) 위에 올려놓고 플랜지(42) 상면에 고정격자(60)를 얹은 다음 고정격자(6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62)을 통해 인서트너트(32)에 볼트(64)를 결합하게 되면, 반전타일(40)이 고정된다.
이후 고무격자(70)를 반전타일(40)의 사이사이에 끼우게 되면, 고무격자(7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자리파기구멍(72)이 볼트(64)의 두부(66)에 끼워져 센터를 유지하게 되며, 고무격자(70)의 상면과 반전타일(40)의 평평한 면은 일치되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즉, 반전타일(40)에 설치되어 있는 논슬립단열재(50)가 포켓 형태의 논슬립수용부(24)에 위치되어 은폐되고, 반전타일(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평평한 면이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출입할 때 걸리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통행에 불편함이 없게 되며, 걸레나 빗자루 등으로 청소할 때에도 걸리는 부분이 없어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동절기에 반전타일(40)의 평평한 면이 상측에 방치되면 매우 미끄럽기 때문에 위와 같은 조립의 역순으로 분리하게 한 후 반전타일(40)을 뒤집고 재조립하게 되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반전타일에 설치된 논슬립단열재를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혹한기 눈이 내릴 때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논슬립단열재에 형성된 돌기의 걸림작용에 의해 미끄럼이 더욱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반전타일을 분리하여 자유롭게 뒤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반전타일을 뒤집어서 통행에 다소 불편한 논슬립단열재를 출입구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 형태의 논슬립수용부에 위치시켜 통행에 불편을 없애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동주택의 출입구(20) 바닥에 사다리꼴형태의 단면을 갖는 격자리브(22)를 형성하여 격자리브(22) 사이사이에 포켓형태의 논슬립수용부(24)가 형성되도록 하며, 인서트너트(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격자판(30)을 앵커볼트(34)에 의해 상기 격자리브(22) 상단에 고정하고, 격자판(30) 위에 얹혀서 걸리는 플랜지(42)를 반전타일(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되 반전타일(40)의 저면을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돌기(52)를 갖는 논슬립단열재(50)를 반전타일(40)의 상면에 설치하고, 반전타일(40)의 플랜지(42)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격자(60)에 격자판(30)에 설치된 인서트너트(32)의 중심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체결공(62)을 형성하여 체결공(62)을 통해 인서트너트(32)에 볼트(64)를 나사결합하며, 반전타일(40)의 상면과 일치하는 면을 갖는 고무격자(70)를 반전타일(40)의 사이에 끼우고 고무격자(70)의 저면에 볼트(64)의 두부(66)에 결합하는 자리파기구멍(7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타일(40)과 논슬립단열재(50)의 이종경계면은 요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KR1020050129200A 2005-12-24 2005-12-24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KR10060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200A KR100602160B1 (ko) 2005-12-24 2005-12-24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200A KR100602160B1 (ko) 2005-12-24 2005-12-24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160B1 true KR100602160B1 (ko) 2006-07-19

Family

ID=3718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200A KR100602160B1 (ko) 2005-12-24 2005-12-24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49B1 (ko) * 2009-03-04 2010-01-20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벽체 위치 세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014A (ja) * 1991-10-18 1993-05-07 Inax Corp タイルパネルにおける目地間隙調整方法
JP2000045490A (ja) 1998-07-31 2000-02-15 Inax Corp タイ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200266961Y1 (ko) 2001-11-27 2002-03-06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타일패널
US20050003744A1 (en) * 2001-11-16 2005-01-06 Ferro Corporation Synthesis of chemically reactive ceria composite nanoparticles and CMP applic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014A (ja) * 1991-10-18 1993-05-07 Inax Corp タイルパネルにおける目地間隙調整方法
JP2000045490A (ja) 1998-07-31 2000-02-15 Inax Corp タイ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20050003744A1 (en) * 2001-11-16 2005-01-06 Ferro Corporation Synthesis of chemically reactive ceria composite nanoparticles and CMP applications thereof
KR200266961Y1 (ko) 2001-11-27 2002-03-06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타일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49B1 (ko) * 2009-03-04 2010-01-20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벽체 위치 세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432B2 (en) Modular entrance floor system
US3808628A (en) Floor mat
CA1056110A (en) Floor mat having parallel rails joined by ball and socket structures
CA2361427C (en) Deck system
KR101181409B1 (ko)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US4018025A (en) Ventilated interlocking floor tile
US4176622A (en) Floor grid for use in keeping animals
KR100602160B1 (ko)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반전타일구조
US20120124925A1 (en) Interlocking Rubber Tiles For Playgrounds
JP5330413B2 (ja) 滑り止め
US3703059A (en) Extensible perforate floor mat and friction device
US3577581A (en) Shoe scraper floor gratings for automobile floors
KR102138346B1 (ko) 보행자 경사 도로용 미끄럼방지 패드
KR100604238B1 (ko)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JPH0754449Y2 (ja) 床用断熱板
JP4242754B2 (ja) 歩行路面滑り防止マット
JP2003325304A (ja) 簀の子形床マットの棧部材
GB2354165A (en) Entrance matting
JP3090091U (ja) 簀の子形床マットの棧部材
RU2166275C1 (ru) Половой мат
JPS5930001Y2 (ja) 敷板
JP4308980B2 (ja) コンクリート製側溝蓋
JP3229878B1 (ja) 舗装用ブロック
JPS64461Y2 (ko)
GB2314769A (en) Mat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