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43Y1 -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 Google Patents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43Y1
KR200441343Y1 KR2020080006657U KR20080006657U KR200441343Y1 KR 200441343 Y1 KR200441343 Y1 KR 200441343Y1 KR 2020080006657 U KR2020080006657 U KR 2020080006657U KR 20080006657 U KR20080006657 U KR 20080006657U KR 200441343 Y1 KR200441343 Y1 KR 200441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rack
fixing groove
province
desig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최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웅 filed Critical 최규웅
Priority to KR2020080006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wood an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구성된 목재외피를 철재나 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된 속주의 외주면에 설치하게 되므로 표면 면적이 적어 수축팽창이 줄어듦으로써 목재외피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조립형 방식으로 인해 현장에서 길이에 맞춰 재단을 한 후 조립하므로 현장성이 뛰어나고 시공비가 절감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내외부의 난간이나 파고라등의 시설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목재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목재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된 속주(10)와;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신축패드(20)와; 상기 신축패드(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디자인플레이트(30)와; 상기 속주(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고정홈(15)에 걸림고정되도록 양단부에 걸림턱(45)이 형성된 다수개의 목재외피(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속주, 고정홈, 신축패드, 디자인플레이트, 목재외피

Description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ASSEMBLY LUMBER FOR CRACK PREVENTION}
본 고안은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구성된 목재외피를 철재나 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된 속주의 외주면에 설치하게 되므로 표면 면적이 적어 수축팽창이 줄어듦으로써 목재외피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조립형 방식으로 인해 현장에서 길이에 맞춰 재단을 한 후 조립하므로 현장성이 뛰어나고 시공비가 절감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부의 난간이나 파고라등 시설물에 설치되는 목재는 합성목재나 원목(이하 '목재'로 표기)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재는 시공후 태양광을 받고 비를 맞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수축과 팽창을 거듭하게 되고 그 결과 뒤틀림과 균열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시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목재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은 뒤틀림과 균열현상이 발생하게되면 철거하여 새로운 목재를 이용하여 재차 설치하게 됨에 따라 이중적인 비용낭비의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기존의 원목 또는 합성목재는 한번 설치가 끝나면 세월이 지나 디자인을 변경하려면 철거 후 재시공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로 구성된 목재외피를 철재나 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된 속주의 외주면에 설치한 후 설치 상태에 장시간 자연상태에서 노출되어 있다 하더라도 목재의 표면 면적이 적어 수축팽창이 줄어듦에 따라 목재외피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형 방식으로 인해 시공시간과 인건비가 절감되며, 단정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LED조명을 설치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볼일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 플레이트를 단순히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넣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 구사가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 후에 디자인플레이트를 교체하기만 하여도 새로운 느낌을 주므로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실내외부의 난간이나 파고라등의 시설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목재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목재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된 속주(10)와;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신축패드(20)와; 상기 신축패드(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디자인플레이트(30)와; 상기 속주(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고정 홈(15)에 걸림고정되도록 양단부에 걸림턱(45)이 형성된 다수개의 목재외피(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면, 본 고안의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설치 한 후 장시간 자연상태에서 노출된다하더라도 목재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기 않고, 시공시간과 더불어 시공비가 절감되면, 더욱 미려한 외관형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자인 플레이트를 단순히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넣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 구사가 가능하고, 디자인플레이트의 교체가 용이하여 새로운 느낌의 상태를 언제나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자인 플레이트와 속주의 사이에 신축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디자인플레이트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신축패드가 충격을 흡수하고, 디자인플레이트와 속주의 사이에서 서로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자인플레이트의 내구성을 증진시티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난간이나 파고라등의 시설물 설치에 사용되는 합성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디자인플레이트 에 LED조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b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는 일정길이를 갖조 고정홈이 형성된 속주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신축패드와, 상기 신축패드의 상면에 밀착되는 디자인플레이트와, 상기 속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목재외피로 구성된다.
속주(10)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외주면의 길이방향에는 일정깊이의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속주(20)의 형상은 사각형상이나 둥근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15)은 상기 속주(10)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신축패드(20)는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5)의 저면에 부착되게 하거나 상기 고정홈(15)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5)에 억지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디자인플레이트(30)는 상기 신축패드(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15)에 상기 신축패드(20)가 슬라이딩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패드(20)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가 밀착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홈(15)의 내측에는 상기 신축패드(20)와 디자인플레이트(30)가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빛을 발하는 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LED램프(35)를 설치하여 설치 후 더욱 미려한 경관을 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목재외피(40)는 상기 속주(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고정홈(15)에 걸림고정되도록 단부에 걸림턱(45)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주(10)에 형성된 고정홈(15)이 두개일 경우 상기 속주(10)를 감싸도록 상기 목재외피(40) 또한 두개로 형성하여 각각의 목재외피(40)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5)이 상기 속주(10)에 형성된 고정홈(15)의 측면에 걸림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외주면의 길이방향에 고정홈(15)이 형성되게 철재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속주(10)를 제조한다.
그 후, 상기 속주(10)에 형성된 고정홈(15)에 신축패드(20)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신축패드(20)가 상기 고정홈(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5)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디자인플레이트(30)를 상기 신축패드(2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빛을 발하는 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LED램프(35)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목재외피(40)를 준비하여 상기 속주(10)의 고정홈(15)에 상기 목재외피(40)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5)이 걸림되도록 하여 다수개의 상기 목재외피(40)를 상기 속주(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다수개로 구성된 목재외피를 철재나 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된 속주의 외주면에 설치한 후 설치 상태에 장시간 자연상태에서 노출되어 있다 하더라도 목재의 표면 면적이 적어 수축팽창이 줄어듦에 따라 목재외피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형 방식으로 인해 시공시간과 인건비가 절감되며, 단정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자인 플레이트(30)를 단순히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넣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 구사가 가능하고,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의 교체가 용이하여 새로운 느낌의 상태를 언제나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주(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속주(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목재외피(41) 또한 표면면적이 커지게 되는데 표면면적이 커지게 되면 목재외피(41)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속주(11)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상기 속주(11)의 외주면에 고정홈(16)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6)에 걸림되어 상기 속주(11)를 감싸는 목재외피(41) 또한 다수개 준비하여 상기 속주(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난간이나 파고라등의 시설물 설치에 사용되는 합성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디자인플레이트에 LED조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b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의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속주 15, 16: 고정홈
20, 21: 신축패드 30, 31: 디자인플레이트
35: LED램프 40, 41: 목재외피
45, 46: 걸림턱

Claims (3)

  1. 실내외부의 난간이나 파고라등의 시설물에 사용되는 조립형 목재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목재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된 속주(10)와;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신축패드(20)와;
    상기 신축패드(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홈(1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디자인플레이트(30)와;
    상기 속주(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고정홈(15)에 걸림고정되도록 양단부에 걸림턱(45)이 형성된 다수개의 목재외피(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빛을 발하는 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플레이트(30)에는 LED램프(3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2020080006657U 2008-05-22 2008-05-22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200441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57U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5-22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57U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5-22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43Y1 true KR200441343Y1 (ko) 2008-08-08

Family

ID=4164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57U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5-22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43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44B1 (ko) * 2011-09-05 2012-02-15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목조건축물용 발광장치
KR101166894B1 (ko) 2010-07-16 2012-07-19 (주)한옥과 문화 한옥용 조합보
KR101290734B1 (ko) 2012-03-05 2013-07-29 주식회사 예건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KR101565085B1 (ko) * 2014-05-09 2015-11-04 주식회사휴플러스 다기능 조립식 목재기둥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KR101848811B1 (ko) * 2018-02-07 2018-04-16 (유)송원이엔지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
US10513849B1 (en) 2019-05-01 2019-12-24 Storage Structures, Inc. Structural member assembly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US10597864B1 (en) 2019-05-01 2020-03-24 Storage Structures, Inc. Structural member assemblies, beams,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KR200495803Y1 (ko) * 2021-06-23 2022-08-23 (주)포스-테크 조립식 울타리
KR102470327B1 (ko) * 2022-04-21 2022-11-25 주식회사 푸른이엔티 이분할 목재 결합 및 결속브라켓 조립식 기둥
KR102472073B1 (ko) * 2022-05-13 2022-11-3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이분할 목재 결합 및 결속브라켓 조립식 기둥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94B1 (ko) 2010-07-16 2012-07-19 (주)한옥과 문화 한옥용 조합보
KR101100344B1 (ko) * 2011-09-05 2012-02-15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목조건축물용 발광장치
KR101290734B1 (ko) 2012-03-05 2013-07-29 주식회사 예건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KR101565085B1 (ko) * 2014-05-09 2015-11-04 주식회사휴플러스 다기능 조립식 목재기둥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KR101848811B1 (ko) * 2018-02-07 2018-04-16 (유)송원이엔지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
US10513849B1 (en) 2019-05-01 2019-12-24 Storage Structures, Inc. Structural member assembly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US10597864B1 (en) 2019-05-01 2020-03-24 Storage Structures, Inc. Structural member assemblies, beams,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US11248373B2 (en) 2019-05-01 2022-02-15 Storage Structures Inc. Structural member assemblies, beams,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US11859377B2 (en) 2019-05-01 2024-01-02 Storage Structures, Llc Structural member assemblies, beams, and support structures comprising same
KR200495803Y1 (ko) * 2021-06-23 2022-08-23 (주)포스-테크 조립식 울타리
KR102470327B1 (ko) * 2022-04-21 2022-11-25 주식회사 푸른이엔티 이분할 목재 결합 및 결속브라켓 조립식 기둥
KR102472073B1 (ko) * 2022-05-13 2022-11-3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이분할 목재 결합 및 결속브라켓 조립식 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343Y1 (ko)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USD644743S1 (en) Step re-facer
EE05266B1 (et) Furaanpolmeeriga immutatud puit
FR2843769B1 (fr) Piscine hors-sol a structure rigide
EP2740858B1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DE602004003408D1 (de) Starter mit einer Struktur zur Einschränkung der Rotation
DE502005000320D1 (de) Beleuchtungssystem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darin angeordneten Flachlampe
GB0200805D0 (en) Lighting string with extending lighting structure
US20130199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Posts
CN205591638U (zh) 用于篷房的钢铝型材
DE60200243D1 (de) Anlasser mit spiralformiger Lüftungsrille
DE50205683D1 (de) Kolbenring mit einer Oxid-Nitrid-Verbundschicht
DE10193399D2 (de) Windkraftanlage mit Kamineffekt
ITRM20040607A1 (it) Analoghi della dermorfina ad attivita&#39; analgesica.
FR2860819B1 (fr) Piscine sportive flottante permettant notamment les pratiques de competition reconnues par la federation francaise de natation
KR20150063909A (ko) 안전성이 강화된 금속재와 합성수지 일체형 복합 데크
CN204804241U (zh) 一种高性能防变形隔音护墙板
KR200445698Y1 (ko) 조립식 기둥
CN211499561U (zh) 一种户外装饰板
KR20100004772U (ko) 조명등 케이스
KR200450023Y1 (ko) 조명등 케이스
KR101173952B1 (ko) 자연나무 살대를 이용한 지류 등기구의 제조방법
FR2820364B1 (fr) Corps composite a effet decoratif
KR20200001566U (ko)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AU2003294350A8 (en) Immunization with porphyromonas gingivalis protects against hear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