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894B1 - 한옥용 조합보 - Google Patents

한옥용 조합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894B1
KR101166894B1 KR1020100068996A KR20100068996A KR101166894B1 KR 101166894 B1 KR101166894 B1 KR 101166894B1 KR 1020100068996 A KR1020100068996 A KR 1020100068996A KR 20100068996 A KR20100068996 A KR 20100068996A KR 101166894 B1 KR101166894 B1 KR 10116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t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hanok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51A (ko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주)한옥과 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옥과 문화 filed Critical (주)한옥과 문화
Priority to KR102010006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8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용 조합보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보모가지의 단면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심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각각 주먹장결합되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서로의 일측면이 주먹장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의 상부를 덮으며, 각각의 하면은 제1 측면부재의 상면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주먹장결합되는 제1 상부부재 및 제2 상부부재와, 일단부에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에 결합하는 보머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는 하나의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작은 단면크기와 간단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여러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하나의 보를 제작하기 때문에,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옥용 조합보{Beam Assembly for Hanok}
본 발명은 한옥을 구성하는 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부재를 길이방향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에 의해서 조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한옥용 조합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한 삶에 대한 추구와 친환경 건축 그리고 우리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증대 등으로 인해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한옥의 현대화를 위한 설계와 시공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한옥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옥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10), 기둥(10)들 사이에 가로 놓여 지는 보(20), 보(20)가 놓여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보(20)의 상부에 놓여 지는 도리(30), 도리(20)의 상부에 놓여지는 지붕(40)에 의해서 대략적인 틀이 마련된다.
여기서. 보(20)는 기둥(10) 사이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며, 도리(30)를 비롯한 지붕(40)을 받치는 부재로서, 사용 위치에 따라서 길이 및 단면크기도 다르다. 도 1에서 맨 아래 위치하는 보가 가장 길고 또한 단면크기도 가장 크게 되는데, 이를 대들보라고 한다.
이들 보(20)는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한옥 구조를 구성하는 보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2에서와 같이, 중간부에 단면크기가 큰 보몸통(21)이 형성되며, 위 보몸통(21)의 단부에는 보머리(22)가 형성된다. 또한 보몸통(21)과 보머리(22) 사이에는 단면적이 작은 보모가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몸통(21)의 단부에는 도리(30)가 얹혀지는 도리자리(24)가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머리(22)는 보(20)의 일단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기둥(10)에 조립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용도에 따라서는 보머리를 보(20)의 양단부에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을 포함하는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와 같은 형상의 보(2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보(20)는 종래 보몸통(21)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원목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원목을 다듬어 보몸통(21)을 제작하고, 이후 단부에 대해서 보머리(22) 및 보모가지(23)를 조각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모보몸통(21)의 단부에 도리자리(24)를 곡면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20)는 하나의 원목으로 만들어지고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조각 등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일일이 수작업을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기계적인 가공으로 대량적으로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원목으로 만들어진 보(20)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서 뒤틀림이나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 뒤틀림이나 수축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변형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보는 단면이 큰 특대재에 속하는 목재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목재는 이만한 단면 크기를 지닌 것을 구하기 어려워 수입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면적이 큰 만큼 목재 값도 비싸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한옥용 보를 제작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계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며, 변형이 억제될 뿐 아니라 단면적이 작은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합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보모가지의 단면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심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각각 주먹장결합되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서로의 일측면이 주먹장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의 상부를 덮으며, 각각의 하면은 제1 측면부재의 상면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주먹장결합되는 제1 상부부재 및 제2 상부부재와, 일단부에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에 결합하는 보머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일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하면,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에 대해서 서로 연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의해서 만들어진 통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먹장결합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서, 상기 주먹장결합부재는, 양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일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하면,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 중 하나의 결합면에 대해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한 쌍의 결합면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주먹장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돌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서, 상기 주먹장돌기의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부재의 단부는, 도리 등의 지붕부재가 결합되는 결합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는 하나의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작은 단면크기와 간단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여러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하나의 보를 제작하기 때문에,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는 복수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이 견고하여 하나의 원목으로 제작된 보와 같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주먹장 결합 이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유해성분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보는 복수개의 부재가 각각 습도의 변화에 따라서 뒤틀리거나 갈라지거나, 또는 수축등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서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들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한옥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한옥용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1 실시형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1 실시형태의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 (b) 및 (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1 실시형태의 중심부재, 제1 및 제2 측면부재, 제1 및 제2 상부부재 및 주먹장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1 실시형태의 보머리부재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1 실시형태의 분리된 상태 및 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제2 실시형태의 분리된 상태 및 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제1 실시형태 >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100)는, 중심부재(200),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 및 보머리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중심부재(200)는 도 3 및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심부재(200)는 조합된 조합보(100)에서 보모가지의 단면크기에 해당하는 단면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중심부재(200)의 좌우측면(210a, 210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먹장홈(220a, 220b)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표현되는 "주먹장"은 주먹과 같은 형상으로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말한다. 또한 이하 후술하는 "주먹장결합"은 주먹장 형상의 홈인 주먹장홈과 주먹장형상의 돌기인 주먹장돌기가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중심부재(200)에 형성된 주먹장홈(220a, 220b)은 좌우측면(210a, 210b)에 대해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 3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 역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의 부재로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을 가진다.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조합된 조합보(100)에서 보몸통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길이방향 길이는 위 중심부재(200)의 길이방향 길이 보다 짧게 제작된다.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각각 중심부재(200)의 좌우측면(210a, 210b)에 주먹장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각각 중심부재(200)의 좌우측면(210a, 210b)에 주먹장결합되는 일측면(310a, 310b)에 주먹장홈(320a, 320b)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중심부재(200)와 결합될 때,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홈(320a, 320b)은, 각각 중심부재(200)의 주먹장홈(220a, 220b)과 연통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홈(320a, 320b)과, 중심부재(200)의 주먹장홈(220a, 220b)이 연통되어 만들어지는 통로에는, 연통된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결합부재(600)가 삽입된다.
주먹장결합부재(600)는 두개의 주먹장 중 길이가 짧은 변이 결합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주먹장결합부재(600)의 양 외측면(610a, 610b)의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파여진 중앙홈(62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홈(620)은 주먹장결합부재(600)가 위에서 설명한 주먹장홈(220a)과 주먹장홈(320a)이 형성한 통로 및 주먹장홈(220b)과 주먹장홈(320b)이 형성한 통로에 삽입될 때 주먹장결합부재(600)가 중앙홈(620) 측으로 약간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주먹장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중심부재(200)의 주먹장홈(220a, 220b)이 형성된 좌우측면(210a, 210b)과, 이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홈(220a, 220b)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일측면(310a, 310b)은 중심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주먹장결합할 경우,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결합면이 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 각각의 상면(330a, 330b)에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와 주먹장결합하기 위한 주먹장홈(340a, 340b)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단부에는 도리 등의 지붕부재가 얹혀지는 결합자리(350a, 350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자리(350a, 350b)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단부에 경사진 면을 형성하고 아랫방향을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기계적인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자리(350a, 350b)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조합보(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 역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부재로서, 일측면(410a, 410b)에서 서로 주먹장결합됨과 동시에 각각의 하면(430a, 430b)이 위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상면(330a, 330b)과 주먹장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일측면(410a, 410b)에는 주먹장홈(420a, 420b)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가 결합될 경우 이들 주먹장홈(420a, 420b)이 연통되어 만들어지는 통로에는, 위 통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주먹장결합부재(600)가 삽입된다. 주먹장결합부재(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 통로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양 외측면(610a, 610b)의 중앙에는 소정 깊이로 파여진 중앙홈(62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일측면(410a, 410b)이 주먹장결합하는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결합면으로써 기능을 한다. 아울러 일측면(410a, 410b)에 대해서 결합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는 중심부재(200)의 상부를 덮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하면(430a, 430b)에는 "┌"자 모양으로 절개되는 절개부(450a, 45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각각의 하면(430a, 430b)에는 주먹장홈(440a, 44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주먹장홈(440a, 440b)은,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와 결합할 때,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상면(330a, 330b)에 형성된 각각의 주먹장홈(340a, 340b)과 연통되어 주먹장결합부재(600)가 삽입되는 통로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가 각각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하면(430a, 430b)과,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상면(330a, 330b)이 주먹장결합하는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결합면으로서 기능을 한다.
한편, 보머리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재(20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보머리부재(500)는 중심부재(200)의 단부에 위 수용부(510)를 장착하고 볼트등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보(1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일측면(310a, 310b)에 형성된 주먹장홈(320a, 320b)이 중심부재(200)의 좌우측면(210a, 210b)에 형성된 주먹장홈(220a, 220b)에 연통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주먹장홈(320a, 320b) 각각과 주먹장홈(220a, 220b) 각각이 연통되어 만들어지는 통로에 주먹장결합부재(600)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를 중심부재(200)의 좌우측에 주먹장결합한다.
이후,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를 일측면(410a, 410b)에 형성된 주먹장홈(420a, 420b)이 연통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주먹장홈(420a, 420b)이 연통되어 만들어지는 통로에 주먹장결합부재(600)를 삽입시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각 하면(430a, 430b)에 형성된 주먹장홈(440a, 440b)을, 중심부재(20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각 상면(330a, 330b)에 형성된 주먹장홈(340a, 340b)과 연통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주먹장홈(440a, 440b) 각각과 주먹장홈(340a, 340b) 각각이 연통되어 만들어지는 통로에 주먹장결합부재(600)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40b)를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에 결합시킨다. 이후 보머리부재(500)를 중심부재(200)의 일단부의 장착하고 체결한다.
< 제2 실시형태 >
도 8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대비하여 주먹장결합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먹장결합하는 두개의 부재의 결합면 중 하나의 결합면에서 주먹장홈을 형성하고 다른 결합면에는 이 주먹장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주먹장돌기를 돌출형성한다. 아울러 각각의 주먹장돌기의 외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재(200)의 좌우측면(210a, 210b)에는 각각 주먹장홈(220a, 220b)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주먹장결합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일측면(310a, 310b)에는 일측면(310a, 310b)으로부터 돌출하는 주먹장돌기(350a, 35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먹장돌기(350a, 350b)의 외측면 중앙에는 중앙홈(351a, 351b)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주먹장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돌기(350a, 350b)가 중심부재(200)의 주먹장홈(220a, 220b)에 삽입됨으로써 주먹장결합이 완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상면(330a, 330b)에도 주먹장돌기(360a, 360b)가 형성되며, 이와 주먹장결합하는 제1 및 제2 상부부재(400a. 400b)의 하면(430a, 430b)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주먹장홈(440a, 440b)이 형성된다. 또한 주먹장돌기(360a, 360b)의 외측면 중앙에는 중앙홈(361a, 361b)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1 상부부재(400a)의 일측면(410a)에는 주먹장돌기(45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주먹장결합하는 제2 상부부재(400b)의 일측면(410b)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주먹장홈(42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먹장돌기(450a)의 외측면 중앙에는 중앙홈(451a)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별도의 주먹장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이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제1 상부부재(400a)와 제2 상부부재(400b)의 형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규격화를 하는데 있어서 번거로운 단점을 가진다.
이상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보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100 : 조합보 200 : 중심부재
220a, 220b : 주먹장홈 300a, 300b : 제1 및 제2 측면부재
320a, 320b : 주먹장홈 400a, 400b : 제1 및 제4 상부부재
440a, 420b : 주먹장홈 500 : 보머리부재
600 : 주먹장결합부재 620 : 중앙홈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보모가지의 단면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심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각각 주먹장결합되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서로의 일측면이 주먹장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의 상부를 덮으며, 각각의 하면은 제1 측면부재의 상면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주먹장결합되는 제1 상부부재 및 제2 상부부재와,
    일단부에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부재의 단부에 결합하는 보머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일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하면,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에 대해서 서로 연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의해서 만들어진 통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먹장결합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먹장결합부재는, 양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일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상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하면,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 중 하나의 결합면에 대해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한 쌍의 결합면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주먹장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주먹장돌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먹장돌기의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부재의 단부는, 도리 등의 지붕부재가 결합되는 결합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보.
KR1020100068996A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보 KR10116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96A KR101166894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96A KR101166894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1A KR20120008251A (ko) 2012-01-30
KR101166894B1 true KR101166894B1 (ko) 2012-07-19

Family

ID=4561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996A KR101166894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8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1A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13151C2 (sv) Styrklack vid fog innefattande not och fjäder
US20170360160A1 (en) Slider Cover of Slide Fastener and Slider Set
CN204296984U (zh) 用于人力动力车辆的硬纸板结构组件
US20080134621A1 (en) Support Structure of Building
KR101166894B1 (ko) 한옥용 조합보
KR102090747B1 (ko) 연결 구조를 개선한 가구용 프레임 커넥터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KR102375107B1 (ko) 금속부재간 용접 연결구조
JP2018027047A (ja) 蜂の巣箱に使用する巣枠、巣脾枠及び巣礎枠
US20130167336A1 (en) Casket Dome Lid
KR101845976B1 (ko) 가구용 프레임
US1197649A (en) Bowling-pin.
US2260218A (en) Hockey stick
JP6178527B1 (ja) 木造重ね梁の加工方法
KR101209891B1 (ko) 한옥용 조합기둥
USD985638S1 (en) Taper jig
JP2021024617A (ja) 仕切り板
JP4035272B2 (ja) 遊技機の外枠
KR20190051129A (ko)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JP4653287B2 (ja) 固定具を用いない組立椅子
JP3236228U (ja) パネル組立品
KR102659430B1 (ko) 철재 선반
KR200490351Y1 (ko) 포장박스 이음부 구조
JP7021760B2 (ja) 柱および梁の接続構造
KR200195682Y1 (ko) 조립식 원목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