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91B1 - 한옥용 조합기둥 - Google Patents

한옥용 조합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91B1
KR101209891B1 KR1020100068995A KR20100068995A KR101209891B1 KR 101209891 B1 KR101209891 B1 KR 101209891B1 KR 1020100068995 A KR1020100068995 A KR 1020100068995A KR 20100068995 A KR20100068995 A KR 20100068995A KR 101209891 B1 KR101209891 B1 KR 10120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t
longitudinal direction
pair
hanok
centr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50A (ko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주)한옥과 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옥과 문화 filed Critical (주)한옥과 문화
Priority to KR102010006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9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용 조합기둥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앙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의 단면 중 길이가 긴 한 쌍의 장측면 중 하나의 장측면이, 상기 중앙부재의 직사각형의 단면 중 길이가 긴 한 쌍의 장측면 각각에 주먹장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면형상을 단순화한 복수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하나의 조합기둥을 제작하기 때문에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옥용 조합기둥{Column Assembly for Hanok}
본 발명은 한옥을 구성하는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부재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하여 조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한옥용 조합기둥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한 삶에 대한 추구와 친환경 건축 그리고 우리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증대 등으로 인해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한옥의 현대화를 위한 설계와 시공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한옥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옥은 초석(10)의 상부에 두 개의 기둥(11)이 세워지며, 이들 두 개의 기둥(11) 사이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상인방(12a), 중인방(12b) 및 하인방(12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둥(11)의 상부에는 도리(16)가 놓여 지며, 그 위에 지붕이 놓여 진다. 또한 상인방(12a)의 상부에는 창방(15)이 설치된다.
상인방(12a), 중인방(12b) 및 하인방(12c)은 총칭하여 인방이라고도 하며, 이 인방(12)은 기둥(11)과 기둥(11) 사이에 벽을 치거나 창호를 설치하기 위한 틀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인방(12a) 및 중인방(12b)은 생략되지만 하인방(12c)은 벽과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부재이다. 또한 기둥(11)에는 주선(13) 또는 벽선(14)이 조립된다. 주선(13)은 기둥(11) 옆에 수직으로 붙여 세운 부재이며, 벽선(14)은 흙벽의 옆면을 막아대기 위해 수직으로 세운 부재이다. 또한 창방(15)은 기둥(11)의 상부에 장착되어 기둥(11)의 상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렇듯, 한옥에서는 기둥(11)의 사이에 인방(12), 주선(13), 벽선(14) 및 창방(15) 등의 부재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인방(12a), 중인방(12b) 및 하인방(12c) 등의 인방(12)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2를 참조하면, 그 구체적인 조립구조는, 기둥(11) 및 기둥(11)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방(12)의 양단부에는 위 홈(11a)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위 돌기가 홈(11a)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한옥용 기둥은 인방(12), 주선 및 벽선(14) 등이 걸쳐지며 지붕 등에 의한 하중을 견디어 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원목으로부터 제작되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기둥으로 사용할 만한 충분한 단면크기의 원목을 국내에서 구하기 쉽지 않아, 주로 외국에서 수입하는데 이 경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원목으로부터 기둥을 제작하는 경우 인방(12), 주선(13) 및 벽선(14) 등을 조립하기 위한 홈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규격화할 수 없어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이 어려웠다. 또한 기둥으로 하나의 원목을 사용하는 경우 습도의 변화 등에 따라서 뒤틀림이나 갈라짐이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한 변형이 전체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변형의 정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한옥용 기둥을 제작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아울러 변형이 억제되는 한옥용 조합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앙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면이 상기 중앙부재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 결합시 서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 중 하나의 결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한 쌍의 결한면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먹장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막장돌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주먹장돌기의 외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웃하는 또 다른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중앙부재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의 길이방향 길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 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에 대해서 서로 연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의해서 만들어진 통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먹장결합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서, 상기 주먹장결합부재는, 양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면형상을 단순화한 복수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하나의 조합기둥을 제작하기 때문에 규격화가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하기 때문에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가 다른 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재가 주먹장결합으로 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로 인한 유해성분이 배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한옥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둥과 인방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형태의 한옥용 조합기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형태의 한옥용 조합기둥의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형태의 한옥용 조합기둥의 중앙부재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형태의 한옥용 조합기둥의 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한옥용 조합기둥의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및 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100)은, 중앙부재(200)의 양측면에 두개의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주먹장결합됨으로써 구성된다. 즉, 조합기둥(100)은 종래 하나의 원목에 의해서 만들어졌던 기둥이 3개의 부재의 면끼리 주먹장결합에 의해서 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표현되는 "주먹장"은 주먹과 같은 형상으로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말한다. 또한 이하 후술하는 "주먹장결합"은 주먹장형상의 홈인 주먹장홈과 주먹장형상의 돌기인 주먹장돌기가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중앙부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단면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쌍을 이루며 길이가 긴 장측면(210)과, 위 장측면(210)과 이웃하며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단측면(220)으로 구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중앙부재(200)의 직사각형의 단면 중 두개의 장측면(210)에는 중앙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주먹장홈(230)은, 중앙부재(100)의 장측면(210)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파여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주먹장홈(230)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먹장홈(23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측면(210)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면 되며, 이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재(200)의 단면 중 단측면(220)의 중앙에는 단측면(2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조립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돌기(240)는 'ㄷ'자형상으로 중앙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돌기(240)는 중앙부재(200)가 조합기둥(100)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조합기둥(100)들 사이에 걸쳐지는 인방(12), 주선 및 벽선(14)이 결합되는 자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중앙부재(200)에서 두개의 장측면(21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길이가 긴 한 쌍의 장측면(310)과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단측면(320)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장측면(310) 중 하나의 장측면(310)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주먹장돌기(33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어 있다. 주먹장돌기(330)는 위에서 설명한 중앙부재(200)의 주먹장홈(230)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주먹장홈(2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주먹장돌기(330)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주먹장돌기(330)의 외측면(332) 중앙에는 소정 깊이 파여진 중앙홈(33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홈(333)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중앙홈(33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주먹장돌기(330)가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을 경우, 중앙홈(333) 측으로 어느 정도 수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다. 먼저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부재(200)를 중심으로 하여 중앙부재(200)의 한 쌍의 장측면(210)에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각각 주먹장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중앙부재(200)의 장측면(210)에 형성된 주먹장홈(230)에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장측면(310)에 형성된 주먹장돌기(330)가 삽입된다. 결합시 중앙부재(2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길이방향 단부를 위치시킨 후,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홈(230)에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주먹장돌기(330)를 삽입시키고,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를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간단하게 결합된다.
이때, 주먹장돌기(330)에 형성된 중앙홈(332)으로 인해서 주먹장돌기(330)가 중앙홈(332) 측으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주먹장홈(2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주먹장결합되면, 주먹장의 형상으로 인해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서로 주먹장결합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재의 양 장측면(210)과, 이와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 각각의 장측면(310)이 서로 짝을 이루는 결합면으로서 기능을 한다. 즉, 중앙부재(200)의 결합면인 양 장측면(21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결합면인 장측면(310)과 주먹장결합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부재(200)의 단측면(220)에 형성된 조립돌기(24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와의 사이에는 조립홈(110, 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다른 조합기둥(1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인방(12), 주선 및 벽선(14)이 맞물리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립돌기(240)가 중앙부재(200)의 한 쌍의 단측면(220)에 모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조합기둥(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한 쌍의 단측면(220) 중 한 쪽에만 조립돌기(240)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부재(20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400b)의 길이방향 길이 보다 짧다. 이로 인해서 조합기둥(100)의 상부에 오목한 장착홈(130)이 형성되게 된다. 이 장착홈(130)은 조합기둥(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창방(15)이 장착되기 위한 자리가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기둥(100)은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에 의해서 조합됨으로 인해서 조립홈(110, 120)과 창착홈(13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홈 등을 가공하기 위해서 원목을 파낼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형상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기둥(100)은 이를 구성하는 중앙부재(200)와,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가 각각 습도의 변화에 따라서 뒤틀림이나 갈라짐, 수축 등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서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들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합기둥(100)은 주먹장홈(230)과 주먹장돌기(330)에 의해서 단단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유해성분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부재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기둥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단면적을 가지는 원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옥용 조합기둥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재(200)에 주먹장홈(230)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에 주먹장돌기(33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중앙부재(200)에 주먹장돌기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에 주먹장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재(200)의 양 장측면(210)과,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장측면(310)이 주먹장결합되는 결합면으로써 작용을 하나, 중앙부재(200)의 양 단측면(220) 또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300a, 300b)의 단측면(320)을 결합면으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부재(200)에 주먹장홈(230)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측면(300a. 300b)에도 동일한 형상의 주먹장홈(340)을 형성하며, 결합시 중앙부재(200)의 주먹장홈(230)과 제1 및 제2 측면의 주먹장홈(340)이 연통됨으로써 형성되는 통로에, 이 통로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별도의 주먹장결합부재(500)의 삽입하여도 된다. 여기서, 주먹장결합부재(500)는 구체적으로 두개의 주먹장형상이 합쳐진 단면형상을 가지며, 양 외측면(510)에는 소정 깊이로 파여진 중앙홈(52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100 : 조합기둥 200 : 중앙부재
230 : 주먹장홈 240 : 조립돌기
300a : 제1 측면부재 300b : 제2 측면부재
330 : 주먹장돌기 333 : 중앙홈
500 : 주먹장결합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앙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면이 상기 중앙부재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먹장결합은,
    상기 주먹장 결합시 서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 중 하나의 결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한쌍의 결합면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먹장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막장돌기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주먹장돌기의 외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기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웃하는 또 다른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기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의 길이방향 길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기둥.
  6.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앙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면이 상기 중앙부재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전체적으로 주먹장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먹장결합은,
    주먹장 결합시 짝을 이루는, 상기 중앙부재의 한 쌍의 측면과, 이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재의 각각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합면에 대해서 서로 연통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주먹장홈과,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의해서 만들어진 통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서로 연통되는 주먹장홈에 삽입되는 주먹장결합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기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먹장결합부재는, 양 외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용 조합기둥.
KR1020100068995A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기둥 KR10120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95A KR101209891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95A KR101209891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0A KR20120008250A (ko) 2012-01-30
KR101209891B1 true KR101209891B1 (ko) 2012-12-10

Family

ID=4561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995A KR101209891B1 (ko) 2010-07-16 2010-07-16 한옥용 조합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20B1 (ko) 2014-10-21 2014-12-19 주식회사 대라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200136693A (ko) 2019-05-28 2020-12-08 김상협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9Y1 (ko) 2004-09-15 2004-12-14 예건산업주식회사 조경시설물용 다목적 기둥
KR100783210B1 (ko) 2007-06-01 2007-12-06 황병수 목조 건축물의 기둥연결구조 및 그 가공방법
JP2007314933A (ja) 2006-05-23 2007-12-06 Masaru Tsuda 水止ログ材と水止片付ログ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9Y1 (ko) 2004-09-15 2004-12-14 예건산업주식회사 조경시설물용 다목적 기둥
JP2007314933A (ja) 2006-05-23 2007-12-06 Masaru Tsuda 水止ログ材と水止片付ログ壁
KR100783210B1 (ko) 2007-06-01 2007-12-06 황병수 목조 건축물의 기둥연결구조 및 그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20B1 (ko) 2014-10-21 2014-12-19 주식회사 대라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200136693A (ko) 2019-05-28 2020-12-08 김상협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50A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51723A3 (en) Molded panel and panel assembly
US8381478B2 (en) Retaining wall block
KR20140013097A (ko) 풍력 발전 플랜트 타워
KR101448097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101209891B1 (ko) 한옥용 조합기둥
KR200447585Y1 (ko) 방음벽용 조립식 패널 구조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160203B1 (ko) 한옥 축부구조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JP4593324B2 (ja) 合成セグメント
KR102338316B1 (ko) 프레임 결합구, 이를 포함하는 방음판 구조물 및 방음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0767434B1 (ko) 창문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320940B1 (ko)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KR101767202B1 (ko)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KR101431388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926407B1 (ko)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JP20082232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KR102623250B1 (ko) 저중량 고강도 기능성 프로파일
JP2018096112A (ja) ストレーナ及びルーフドレイン
KR200322800Y1 (ko) 소켓결합식 시스템 써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