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184A - 조립식 미니온실 - Google Patents

조립식 미니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184A
KR20180040184A KR1020160131450A KR20160131450A KR20180040184A KR 20180040184 A KR20180040184 A KR 20180040184A KR 1020160131450 A KR1020160131450 A KR 1020160131450A KR 20160131450 A KR20160131450 A KR 20160131450A KR 20180040184 A KR20180040184 A KR 20180040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extrusion
groove
uni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진
오욱
Original Assignee
지엠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0184A/ko
Publication of KR2018004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조립식 미니온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온실은 투명한 수지패널의 둘레가 복수의 압출프레임으로 마감 처리된 복수의 단위패널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가 상기 압출프레임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미니온실{prefabricated greenhouse}
본 발명은 조립식 미니온실에 관한 것으로, 시공비용에 따른 부담이 적으면서도 구조변경이 용이한 조립식 미니온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을 시공할 때는 지상에 골조를 입설하고, 입설된 골조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 전체적인 뼈대를 세운 상태에서 골조 사이사이에 투명한 유리창이나 패널을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 건축물과 유사한 형태로 시공되는 온실은 건축경험이 거의 없는 이용자가 시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자재비와 시공비를 이중으로 부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확장 내지 축소와 같은 구조변경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159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립식으로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미니온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확장 내지 축소와 같은 구조변경이 용이한 조립식 미니온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한 수지패널의 둘레가 복수의 압출프레임으로 마감 처리된 복수의 단위패널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가 상기 압출프레임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워져 결합된 조립식 미니온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출프레임은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과,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과,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둔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프레임은 상기 수지패널 외곽이 끼워져 결합되는 패널결합홈 및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상호 지지된 상태로 끼움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직각을 이루고, 상기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직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상기 둔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홈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수지패널의 양면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는 일측 압출프레임에 마련된 조립돌기부와, 상기 조립돌기부가 결합되도록 타측 압출프레임에 마련된 조립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홈부는 상기 조립돌기부의 일단을 걸림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조립돌기부의 타단이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홈과, 상기 지지부와 걸림홈 사이의 조립돌기부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온실은 수지패널 둘레가 압출프레임으로 마감 처리된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끼움방식으로 결합하는 간단한 조립구조를 통해 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공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온실은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수평, 직각, 둔각으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확장 내지 축소와 같은 구조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온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을 절취선 C-C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온실에 있어서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 간의 분리 및 결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한 쌍의 제2단위패널모듈 사이가 제3단위패널모듈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일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미니온실(1)은 투명한 수지패널(20)의 둘레가 복수의 압출프레임(30)으로 마감 처리된 복수의 단위패널모듈(10)을 구비한다.
수지패널(20)로는 투명 아크릴과 같이 빛의 통과가 자유로운 합성수지 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압출프레임(3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합성수지로 마련된 수지패널(20)과, 알루미늄으로 마련된 압출프레임(30)으로 구성되는 단위패널모듈(10)은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나 조립시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쉽게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단위패널모듈(10) 사이는 압출프레임(30)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조립식 미니온실(1)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지패널(20) 둘레가 압출프레임(30)으로 마감 처리된 단위패널모듈(10) 복수개를 상호 끼움방식으로 연결하여 간단히 조립되는 조립식 미니온실(1)은 건축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도 충분히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단위패널모듈(10) 사이가 압출프레임(30)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압출프레임(30)은 단위패널모듈(10)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31,32)과, 단위패널모듈(10)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33,34)과, 단위패널모듈(10) 사이를 둔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35,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전술한 단위패널모듈(10) 간의 조립구조에 따라 일반적인 하우스의 형태에 가까운 5각 기둥모양으로 저부가 개방된 조립된 미니온실(1)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러한 조립식 미니온실(1)은 저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한 면적의 토양을 덮는 형태로 실내 베란다나, 일반적인 크기를 갖는 통상의 온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미니온실(1)을 구성하는 단위패널모듈(1)은 전면 상부와 후면 상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단위패널모듈(11)과,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단위패널모듈(12)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단위패널모듈(13)과, 양측 지붕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4단위패널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을 절취선 A-A, B-B, C-C를 통해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중 도 2는 상호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1단위패널모듈(11)과 제2단위패널모듈(12) 사이의 결합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단위패널모듈(11)과 제4단위패널모듈(14) 사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상호 둔각으로 연결되는 제3단위패널모듈(13)과 제4단위패널모듈(14) 사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2는 상호 직각을 이루는 제2단위패널모듈(12)과 제3단위패널모듈(13) 사이의 결합구조에도 해당되며, 도 3은 상호 둔각으로 연결되는 제4단위패널모듈(14) 상호 간의 결합구조와도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프레임(30)은 수지패널(20) 외곽이 끼워져 결합되는 패널결합홈(41a)이 형성된 패널결합부(41)와, 상기 단위패널모듈(10) 사이를 상호 지지된 상태로 끼움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42)를 구비한다. 프레임결합부(42)는 조립식 미니온실(1)의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31,32)은 패널결합홈(41a)과 프레임결합부(42) 사이가 직각을 이루고,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33,34)은 상기 패널결합홈(41a)과 프레임결합부(42) 사이가 직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며,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35,36)은 상기 패널결합홈(41a)과 프레임결합부(42) 사이가 둔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출프레임(30)의 패널결합홈(41a) 내면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수지패널(20)의 양면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면으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수지패널(20)의 외곽을 패널결합홈(41a)에 가압하여 압입함에 따라 압출프레임(30)은 수지패널(20) 외곽에 끼움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출프레임(30)의 프레임결합부(42)는 일측 압출프레임(32,34,36)에 마련된 조립돌기부(43)와, 조립돌기부(43)가 결합되도록 타측 압출프레임(31,33,35)에 마련된 조립홈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홈부(44)는 조립돌기부(43)의 일단을 걸림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44a)와, 조립돌기부(43)의 타단이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홈(44b)과, 지지부(44a)와 걸림홈(44b) 사이의 조립돌기부(43)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면(44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돌기부(43)를 걸림홈(44b)에 걸려 지지되는 일단을 중심으로 예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조립홈부(44)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걸림홈(44b)에 걸려 지지되는 조립돌기부(43)의 걸림길이(t1)는 걸림홈(44b)의 깊이(t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립돌기부(43)를 조립홈부(44)에 결합시킬 때는 분리할 때와 반대로 조립돌기부(43)의 일단을 예각의 사선방향으로 걸림홈(44b)에 끼운 상태에서 조립돌기부(43)를 걸림홈(44b) 쪽을 기준으로 조립홈부(44)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히 압출프레임(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출프레임(30) 사이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출프레임(30) 사이가 분리가 방지된 상태로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압출프레임(30) 사이가 적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압출프레임(30) 사이의 분리 및 결합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경우 한 쌍의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31,33)을 예로 들어 조립돌기부(43)와 조립홈부(44)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조립돌기부(43)와 조립홈부(44) 간의 결합 및 분리 구조는 한 쌍의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33,34) 사이와, 한 쌍의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35,36)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경우, 상기 조립식 미니온실(1)에 있어서, 한 쌍의 제2단위패널모듈(12) 사이가 제3단위패널모듈(13)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비교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단위패널모듈(13) 대신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31,32)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2개의 다른 제3단위패널모듈(13´,13˝)을 연속하여 연결할 경우, 조립식 미니온실은 확장이 가능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 조립식 미니온실은 역으로 축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식 미니온실은 단위패널모듈(10) 사이를 수평, 직각, 둔각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확장 내지 축소와 같은 구조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1: 조립식 미니온실 10: 단위패널모듈
11: 제1단위패널모듈 12: 제2단위패널모듈
13: 제3단위패널모듈 14: 제4단위패널모듈
20: 수지패널 30: 압출프레임
31,32: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 33,34: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
35,36: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 41: 패널결합부
41a: 패널결합홈 42: 프레임결합부
43: 조립돌기부 44: 조립홈부
44a: 지지부 44b: 걸림홈
44c: 지지면

Claims (5)

  1. 투명한 수지패널의 둘레가 복수의 압출프레임으로 마감 처리된 복수의 단위패널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가 상기 압출프레임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워져 결합된 조립식 미니온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프레임은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과,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과,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둔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미니온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프레임은 상기 수지패널 외곽이 끼워져 결합되는 패널결합홈 및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를 상호 지지된 상태로 끼움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직각을 이루고, 상기 직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직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둔각연결용 압출프레임은 상기 패널결합홈과 프레임결합부 사이가 상기 둔각의 절반의 각도를 이루는 조립식 미니온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홈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수지패널의 양면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면이 마련된 조립식 미니온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결합부는 일측 압출프레임에 마련된 조립돌기부와, 상기 조립돌기부가 결합되도록 타측 압출프레임에 마련된 조립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홈부는 상기 조립돌기부의 일단을 걸림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조립돌기부의 타단이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홈과, 상기 지지부와 걸림홈 사이의 조립돌기부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조립식 미니온실.

KR1020160131450A 2016-10-11 2016-10-11 조립식 미니온실 KR20180040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50A KR20180040184A (ko) 2016-10-11 2016-10-11 조립식 미니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50A KR20180040184A (ko) 2016-10-11 2016-10-11 조립식 미니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84A true KR20180040184A (ko) 2018-04-20

Family

ID=6208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450A KR20180040184A (ko) 2016-10-11 2016-10-11 조립식 미니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1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340A (ko) 2020-02-06 2021-08-17 (주)서우인 미니온실 diy 구조물
KR102366496B1 (ko) * 2021-05-24 2022-02-23 김정호 설치 시공비 절감을 위한 온실 구조물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340A (ko) 2020-02-06 2021-08-17 (주)서우인 미니온실 diy 구조물
KR102366496B1 (ko) * 2021-05-24 2022-02-23 김정호 설치 시공비 절감을 위한 온실 구조물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7839A1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1509862B1 (ko) 조립식 인스턴트하우스 및 그 제작방법
KR101472311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US20090304440A1 (en) Aluminum window structure
US20050050808A1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WO2016054878A1 (zh) 可手工拼砌的柱梁连接组件及其拼砌而成的框架结构
KR100967858B1 (ko) 조립식 기둥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429100B1 (ko) 지붕용 보드 결합 구조체
KR101005163B1 (ko) 조립식 방음판
CN202324260U (zh) 活动房墙体型材
KR2004626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축 구조체
KR101625501B1 (ko)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204850179U (zh) 模块化帷幕墙组合结构
KR10201345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436928B1 (ko) 미니온실 diy 구조물
KR101177825B1 (ko) 흡음형 유지 보수 방음판
KR20200000577U (ko) 조립 패널 결합용 압출형재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641529B1 (ko) 다기능 커튼월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08466B1 (ko)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1571024B1 (ko)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