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340A - 미니온실 diy 구조물 - Google Patents

미니온실 diy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340A
KR20210100340A KR1020200014198A KR20200014198A KR20210100340A KR 20210100340 A KR20210100340 A KR 20210100340A KR 1020200014198 A KR1020200014198 A KR 1020200014198A KR 20200014198 A KR20200014198 A KR 20200014198A KR 20210100340 A KR20210100340 A KR 2021010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astened
panel
fram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928B1 (ko
Inventor
장충환
Original Assignee
(주)서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우인 filed Critical (주)서우인
Priority to KR102020001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9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각관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과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패널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골조 구조물의 겉면을 구성하는 패널 구조물을 포함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볼팅, 무용접 방법으로 골조 구조물과 패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니온실 DIY 구조물{Mini greenhouse DIY structur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각관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과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패널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골조 구조물의 겉면을 구성하는 패널 구조물을 포함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볼팅, 무용접 방법으로 골조 구조물과 패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은, 채소나 화훼 또는 과수 등의 작물을 집약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논이나 밭 등에 선재 혹은 봉재의 강재 파이프를 절곡하여 아치형 프레임을 형성시키고, 그 아치형 프레임을 등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한 후 그 사이를 수평의 횡간 봉을 길게 이음하여 온실용 골격을 형성하고, 그 온실용 골격 위에 투명의 수지필름을 씌우거나 투명한 유리창이나 패널을 골조 사이사이에 결합함으로써 온실을 건설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온실은 일반 건출물과 유사한 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건축경험이 없는 이용자가 시공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은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온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의 다양한 유휴 공간을 활용한 도시농업을 통하여 심적인 안정을 찾는 것을 물론이고 도시의 건전한 생태계 회복, 녹지 확충 등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 온실을 이용한 농사 또는 화훼에 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바,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설치하되, 작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미니온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니 온실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184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투명한 수지패널의 둘레가 복수의 압출프레임으로 마감 처리된 복수의 단위패널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단위패널모듈 사이가 상기 압출프레임을 통해 상호 수평,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로 구성된 미니온실의 경우, 내부의 패널을 지지하는 골조 구조물이 구성되지 않아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이 몰아치게 되면 미니온실이 해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골조 구조물의 경우, 복수 개의 빔을 용접하거나 볼팅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일반인의 경우, 빔을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공구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을 물론이고, 초보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골조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패널 구조물은 물론이고, 골조 구조물 또한 무용접 및 무볼팅 방법으로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쉬운 한편, 고내구성을 갖는 온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184호 2018.04.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볼팅, 무용접 방법으로 골조 구조물과 패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각관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10)과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패널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 구조물(10)의 겉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패널부(700)를 포함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골조 구조물(10)은, 두 쌍의 바닥용 세로각관(1)과 바닥용 가로각관(2)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각관의 코너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 골조 구조물(10)의 수직각관(3)이 기립된 상태로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는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 한 쌍의 수직각관(3)을 상방으로 연장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 수직각관(3)의 최상단에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체결되도록 하는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 골조 구조물(10)의 지붕 프레임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각관(7)과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이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 및 한 쌍의 경사각관(7)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는, 코너용 몸체(110); 상기 코너용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되, 바닥용 가로각관(2)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 및 상기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와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코너용 몸체(110)에 구비되되, 바닥용 세로각관(1)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코너용 관결합부(130);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기립용 몸체(210);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상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각관(3)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기립용 관결합부(220); 및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용 가로각관(2) 또는 바닥용 세로각관(1)이 삽입 체결되는 바닥각관 결합홈(230);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수직 연결용 몸체(310),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하나의 수직각관(제 1수직각관)(3a)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20); 및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나머지 수직각관(제 2수직각관)(3b)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3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에는, 일측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연결용 수평각관(4)이 삽입 체결되는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이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마감용 몸체(410);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최상단에 배치된 수직각관(30)과 체결되는 마감용 관결합부(420); 및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삽입 체결되는 마감용 체결홈(430);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는, 하부 일측에 안착홈(520)이 형성된 처마용 몸체(510);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52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처마용 관결합부(530); 및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상부에서 상기 처마용 관결합부(530)과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경사각관(7)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경사용 관결합부(540);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용마루용 몸체(61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일측에서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 중 하나의 경사각관(7)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타측에서 상기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와 반대방향의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 중 나머지 경사각관(7)이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2용마루용 관결합부(630); 및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용마루용 마감각관(8)이 삽입 체결되는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640);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패널 구조물(20)에 있어서,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패널부(700); 복수 개의 패널부(700)를 일방향으로 연장 연결하는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7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1베이스판(81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베이스판(81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 1패널 연결바(812)를 포함하는 제 1부재(810); 및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2베이스판(82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2베이스판(82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는 제 2패널 연결바(822)를 포함하는 제 2부재(820);을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조 구조물과 패널 구조물을 각각 구성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각 연결부재와 각관, 연결부재와 패널은 무볼트, 무용접 방법으로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요구하지 않으며, 단순 끼움 결합으로 각 구성을 연결하는 바, 초보자 또한 쉽고 빠르게 미니온실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온실 DIY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골조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골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프레임, 수직각관 및 마감용 세로각관의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감용 가로각관과 한 쌍의 경사각관의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의 설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의 설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10은 도 9의 A-A'단면도의 일부.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패널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9의 B-B'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각관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10)과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패널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 구조물(10)의 겉면을 구성하는 패널 구조물(20)을 포함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볼팅, 무용접 방법으로 골조 구조물과 패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조 구조물(10)은 본 발명의 기초 골조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 및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의 바닥용 세로각관(1)과 바닥용 가로각관(2)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각관의 코너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 프레임은 골조 구조물(10)의 베이스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닥용 세로각관(1)과 바닥용 가로각관(2)이 직교된 상태로 바닥면에 배치됨에 따라 사각 프레임 형태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가 서로 직립된 상태로 배치된 바닥용 세로각관(1)과 바닥용 가로각관(2)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호 구성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 코너용 골조 연결부재는 코너용 몸체(110), 상기 코너용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되, 바닥용 가로각관(2)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 및 상기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와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코너용 몸체(110)에 구비되되, 바닥용 세로각관(1)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코너용 관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닥 코너용 골조 연결부재는 코너용 몸체(110)가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일측 끝단에 상기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가 돌출 형성되고, 절곡된 타측 끝단에 상기 제 2코너용 관결합부(130)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가 바닥용 가로각관(2)의 일단으로 내입 체결되고, 상기 제 2코너용 관결합부(130)가 바닥용 세로각관(1)의 일단으로 내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바닥 프레임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 구조물(10)의 수직각관(3)이 기립된 상태로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수직각관(3)은 골조 구조물(10)의 수직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상기 수직각관(3)과 상기 바닥 프레임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기립용 몸체(210),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상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각관(3)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기립용 관결합부(220) 및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용 가로각관(2) 또는 바닥용 세로각관(1)이 삽입 체결되는 바닥각관 결합홈(2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에 상기 바닥각관 결합홈(230)이 구성되고, 상단에서 상기 기립용 관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되로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바닥 프레임이 상기 바닥각관 결합홈(230)으로 내입 체결되고, 상기 기립용 관결합부(220)가 상기 수직각관(3)의 일단으로 내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직각관(3)은 기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각관(3)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하단부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각관(3)을 상방으로 연장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골조 구조물(10)의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수직각관(3)을 일방향으로 연결하여 골조 구조물(10)의 수직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수직 연결용 몸체(310),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하나의 수직각관(제 1수직각관)(3a)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20) 및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나머지 수직각관(제 2수직각관)(3b)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장된 상부 끝단에 상기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20)가 돌출 형성되고, 연장된 하부 끝단에 상기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20)가 제 1수직각관(3)의 일단으로 삽입 체결되고,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30)가 제 2수직각관(3)의 일단으로 삽입 체결됨에 따라 한 쌍의 수직각관(3)이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수직각관(3b)은 타단에 상기 기립용 관결합부(220)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여 연장된 수직각관(3a, 3b)이 상기 바닥 프레임에 기립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에는 일측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연결용 수평각관(4)이 삽입 체결되는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이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은 기립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각관(3)의 사이를 연결하여 골조 구조물(10)의 내구도를 더욱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바닥 프레임과 평행한 상태로 복수 개의 수직각관(3)에 동시에 체결되어 상기 골조 구조물(10)이 더욱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볼트나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미니온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에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가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이 외측을 향하되, 서로 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은 복수 개의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의 수평방향측에서 동시에 삽입됨에 따라 수직각관(3)과 연결용 수평각관(4)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이 배치된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에는 개방된 면을 밀폐하는 고정커버(35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이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커버(350)는 탄성력 및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4)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의 개방된 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의 상면과 하면에는 홈의 최외측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커버(350)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350)가 상기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을 밀폐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커버(350)와 연결용 수평각관(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각관(3)의 최상단에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체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은 바닥용 가로각관(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마감용 세로각관(6)은 바닥용 세로각관(1)과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이 바닥용 가로각관(2)에 일렬로 체결된 복수 개의 수직각관(3)의 최상단이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마감용 세로각관(6)이 바닥용 세로각관(1)에 일렬로 체결된 복수 개의 수직각관(3)의 최상단이 연결되도록 구비함으로써, 골조 구조물(10)의 측벽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마감용 몸체(410),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최상단에 배치된 수직각관(3)과 체결되는 마감용 관결합부(420) 및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삽입 체결되는 마감용 체결홈(430)을 포함한다.
즉, 복수 개의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상기 마감용 관결합부(420)가 최상단에 배치된 수직각관(3)의 상단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가로 또는 세로로 일렬 배치된 복수 개의 마감용 체결홈(430)에 동시에 삽입됨에 따라, 복수 개의 수직각관(3)의 최상단이 상기 마감용 수평각관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는 골조 구조물(10)의 지붕 프레임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각관(7)과 마감용 가로각관(5)이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지붕 프레임은 골조 구조물(10)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는 한 쌍의 경사각관(7)이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의 양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용 세로각관(6)에 안착 구비됨에 따라 골조 구조물(10)의 처마 부분을 구성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는 하부 일측에 안착홈(520)이 형성된 처마용 몸체(510),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52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처마용 관결합부(530) 및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상부에서 상기 처마용 관결합부(530)과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경사각관(7)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경사용 관결합부(5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520)은 상기 마감용 세로각관(6)이 삽입 체결된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의 상단에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한 쌍의 경사각관(7)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지붕 꼭대기를 구성하기 위해 한 쌍의 경사각관(7)의 상부끝단을 연결하되, 용마루용 마감각관(8)이 복수 개의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용마루용 몸체(61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일측에서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a, 7b) 중 하나의 경사각관(7a)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타측에서 상기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와 반대방향의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a, 7b) 중 나머지 경사각관(7b)이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2용마루용 관결합부(63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용마루용 마감각관(8)이 삽입 체결되는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6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와 제 2용마루용 관결합부(630)가 서로 대칭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경사진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경사각관(7)이 각각 체결되면서 골조 구조물(10)의 지붕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의 상단에는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640)이 구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640)에 용마루용 마감각관(8)이 동시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복수 개의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가 하나로 구속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각관이 서로 교차되거나 접하는 부분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골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구성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무볼트, 무용접으로 골조 구조물(10)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9에 따르면, 상기 패널 구조물(20)은 골조 구조물(10)의 외측면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부(700),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700)는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패널부(700)는 플라스틱,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부(700)가 복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한 쌍의 투과패널(710)과 그 사이를 분할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격벽(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투과패널(710)의 끝단은 벤팅 테이프(venting tape)로 밀폐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붕과 벽면을 구성하는 투과패널(710)은 모두 동일한 소재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제적인 목적과 지속적인 효율 및 성과를 고려하여 지붕을 구성하는 투과패널(71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지고, 벽면을 구성하는 투과패널(710)은 아크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등의 소재보다 강한 내구성을 갖되, 더욱 좋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시간의 경과에도 황변현상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이득을 얻되, 더욱 효율이 좋은 온실을 구성하기 위해서 햇빛이 가장 잘 투과되는 부분인 지붕을 구성하는 투과패널(71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소재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의 투과패널(710)은 플라스틱,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복수 개의 패널부(700)를 일방향으로 연장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 중 하나의 패널부(700a) 일측 끝단이 삽입 체결되고, 타측으로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 중 나머지 패널부(700b)의 일측 끝단이 삽입 체결됨에 따라 복수 개의 패널부(700)가 연장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제 1부재(810), 제 2부재(8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부재(8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1베이스판(81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베이스판(81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 1패널 연결바(8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부재(82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2베이스판(82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2베이스판(82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는 제 2패널 연결바(8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복수 개의 제 1톱니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구비되며,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와 마주보는 상기 제 2패널 연결바(822)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톱니와 맞물리는 제 2톱니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상기 제 2패널 연결바(822)가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사이로 삽입 되도록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 1톱니와 제 2톱니가 맞물리면서 상기 제 1부재(810)와 제 2부재(820)가 강건하게 체결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와 제 2패널 연결바(822)를 기준으로 양단에 수평용 패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용 패널 삽입홈에 한 쌍의 패널부(700)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패널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양외측방향의 제 1부재(810)바의 일면과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양외측방향의 제 2부재(820)바의 일면에는 탄성력 및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수평 패널용 패킹부(840)가 더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패널부(700)가 더욱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패널용 패킹부(840)의 노출된 면에는 복수 개의 마찰돌기(미도시)가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 패널용 패킹부(840)와 패널부(700)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켜, 상호 구성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2에 따르면, 상기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는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7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는 경사 패널용 몸체(910), 상기 경사 패널용 몸체(9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끝단에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 중 하나의 패널부(700a)가 삽입되는 제 1경사패널홈이 형성되는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 상기 경사 패널용 몸체(910)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끝단에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 중 나머지 패널부(700b)가 삽입되는 제 2경사패널홈이 형성되는 제 2경사패널 결합부(9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와 제 2경사패널 결합부(930)는 경사 패널용 몸체(910)를 기준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구비되어 각 홈으로 패널부(700)가 삽입됨에 따라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가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와 제 2경사패널 결합부(930)의 사이 각도는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상기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b)가 코너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경사패널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와 제 2경사패널 결합부(930)가 직교한 상태로 구성되어 경사패널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도 12와 같이, 상기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a, 900c)가 용마루나 처마에 구비되어 한 쌍의 패널부(700a, 700b)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가 경사진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와 반대방향인 경사진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구성 사이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경사패널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 1경사패널 결합부(920)와 제 2경사패널 결합부(930)의 돌출된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부(7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널 구조물(20)은 상기 골조 구조물(10)에 밀착되면서 구비되어 미니온실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패널 구조물(20)의 각 연결부재는 상기 골조 구조물(10)의 연결부재에 맞닿게 구비되면서 상호 구성이 더욱 강건하게 구속되는 한편, 미관적으로 정돈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 및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의 외측면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연장 구성되어 밀착 구비되게 한다.
상기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는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의 외측면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연장 구성되어 밀착 구비되거나,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의 외측면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연장 구성되어 밀착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골조 구조물(10)과 패널 구조물(20)을 각각 구성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각 연결부재와 각관, 연결부재와 패널은 무볼트, 무용접 방법으로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요구하지 않으며, 단순 끼움 결합으로 각 구성을 연결하는 바, 초보자 또한 쉽고 빠르게 미니온실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바닥용 세로각관 2 : 바닥용 가로각관
3 : 수직각관 4 : 연결용 수평각관
5 : 마감용 가로각관 6 : 마감용 세로각관
7 : 경사각관 8 : 용마루용 마감각관
10 ; 골조 구조물 20 ; 패널 구조물
100 :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 110 : 코너용 몸체
120 : 제 1코너용 관결합부 130 : 제 2코너용 관결합부
200 :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 210 : 기립용 몸체
220 : 기립용 관결합부 230 : 바닥각관 결합홈
300 ;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 310 : 수직연결용 몸체
320 :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 330 :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
340 :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 350 : 고정커버
400 :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 410 : 마감용 몸체
420 : 마감용 관결합부 430 : 마감용 체결홈
500 :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 510 : 처마용 몸체
520 : 처마용 관결합부 530 : 경사용 관결합부
540 : 안착홈
600 :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 610 : 용마루용 몸체
620 :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 630 : 제 2용마루용 관결합부
640 :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
700 : 패널부 710 : 투과패널
720 : 격벽
800 : 수평 패널 연결부재 810 : 제 1부재
811 : 제 1베이스판 812 : 제 1패널 연결바
820 : 제 2부재 821 : 제 2베이스판
822 : 제 2패널 연결바 840 : 수평 패널용 패킹부
900 : 경사 패널 연결부재 910 : 경사 패널용 몸체
920 : 제 1경사패널 결합부 930 : 제 2경사패널 결합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각관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10)과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패널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 구조물(10)의 겉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패널부(700)를 포함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골조 구조물(10)은,
    두 쌍의 바닥용 세로각관(1)과 바닥용 가로각관(2)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각관의 코너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
    골조 구조물(10)의 수직각관(3)이 기립된 상태로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는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
    한 쌍의 수직각관(3)을 상방으로 연장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
    수직각관(3)의 최상단에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체결되도록 하는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
    골조 구조물(10)의 지붕 프레임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경사각관(7)과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이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 및
    한 쌍의 경사각관(7)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코너용 골조 연결부재(100)는,
    코너용 몸체(110);
    상기 코너용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되, 바닥용 가로각관(2)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 및
    상기 제 1코너용 관결합부(120)와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코너용 몸체(110)에 구비되되, 바닥용 세로각관(1)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코너용 관결합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립용 골조 연결부재(200)는,
    기립용 몸체(210);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상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각관(3)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기립용 관결합부(220); 및
    상기 기립용 몸체(21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용 가로각관(2) 또는 바닥용 세로각관(1)이 삽입 체결되는 바닥각관 결합홈(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용 골조 연결부재(300)는,
    수직 연결용 몸체(310),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하나의 수직각관(제 1수직각관)(3a)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20); 및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각관(3) 중 나머지 수직각관(제 2수직각관)(3b)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수직 연결용 관결합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용 몸체(310)에는,
    일측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연결용 수평각관(4)이 삽입 체결되는 연결용 수평각관 체결홈(3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골조 연결부재(400)는,
    마감용 몸체(410);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최상단에 배치된 수직각관(30)과 체결되는 마감용 관결합부(420); 및
    상기 마감용 몸체(4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 또는 마감용 세로각관(6)이 삽입 체결되는 마감용 체결홈(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마용 골조 연결부재(500)는,
    하부 일측에 안착홈(520)이 형성된 처마용 몸체(510);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52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감용 가로각관(5)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처마용 관결합부(530); 및
    상기 처마용 몸체(510)의 상부에서 상기 처마용 관결합부(530)과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경사각관(7)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경사용 관결합부(5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용 골조 연결부재(600)는,
    용마루용 몸체(61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일측에서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 중 하나의 경사각관(7)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타측에서 상기 제 1용마루용 관결합부(620)와 반대방향의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각관(7) 중 나머지 경사각관(7)이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제 2용마루용 관결합부(630); 및
    상기 용마루용 몸체(6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용마루용 마감각관(8)이 삽입 체결되는 용마루용 마감각관 체결홈(6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20)에 있어서,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패널부(700);
    복수 개의 패널부(700)를 일방향으로 연장 연결하는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7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경사 패널 연결부재(9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패널 연결부재(8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1베이스판(81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베이스판(81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 1패널 연결바(812)를 포함하는 제 1부재(810); 및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 2베이스판(82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폭방향으로 면대향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2베이스판(821)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 1패널 연결바(812)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는 제 2패널 연결바(822)를 포함하는 제 2부재(8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온실 DIY 구조물.
KR1020200014198A 2020-02-06 2020-02-06 미니온실 diy 구조물 KR10243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98A KR102436928B1 (ko) 2020-02-06 2020-02-06 미니온실 diy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98A KR102436928B1 (ko) 2020-02-06 2020-02-06 미니온실 diy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40A true KR20210100340A (ko) 2021-08-17
KR102436928B1 KR102436928B1 (ko) 2022-08-26

Family

ID=7746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98A KR102436928B1 (ko) 2020-02-06 2020-02-06 미니온실 diy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85A (ko) * 2009-03-23 2010-10-01 허주열 조립구조물의 조립구조
KR20160009471A (ko) * 2014-11-21 2016-01-26 안기풍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20180040184A (ko) 2016-10-11 2018-04-20 지엠지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미니온실
KR20190023135A (ko) * 2017-08-28 2019-03-08 김지태 재배 하우스용 플라스틱 패널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85A (ko) * 2009-03-23 2010-10-01 허주열 조립구조물의 조립구조
KR20160009471A (ko) * 2014-11-21 2016-01-26 안기풍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20180040184A (ko) 2016-10-11 2018-04-20 지엠지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미니온실
KR20190023135A (ko) * 2017-08-28 2019-03-08 김지태 재배 하우스용 플라스틱 패널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928B1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384B1 (en)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US7814727B2 (en) Wall structure assembly
EP0619404B1 (en) Roof panel with solar batteries and roof structure with solar batteries
US10738457B1 (en)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US6499260B2 (en) Portable greenhous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ame
US200901654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20050235585A1 (en) Framing system for mounting flexible sheets
US20050050808A1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US3332179A (en) Canopy construction
US20050279034A1 (en) Modular garden building
JP2013070698A (ja) 囲い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0967858B1 (ko) 조립식 기둥
KR102436928B1 (ko) 미니온실 diy 구조물
JP4751307B2 (ja) 手摺壁及び建物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JP2009270406A (ja) 簡易建物、簡易建物の組立方法
US20040118038A1 (en) Knock-down structure
CZ20011844A3 (cs) Stavební prvek a stavební konstrukce
JP2013017477A (ja) 組み立て式容器の組立てセットおよび組み立て式容器
US11384533B2 (en) Corner structure for studded walls
JPH0640724Y2 (ja) 簡易型ハウス
JP2537783Y2 (ja) 組立建物の構成部材
JP2006183440A (ja) 壁パネル接続構造及びユニットルーム
JP6951238B2 (ja) 方立
JP6876420B2 (ja) 緑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