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01B1 -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5501B1 KR101625501B1 KR1020150120423A KR20150120423A KR101625501B1 KR 101625501 B1 KR101625501 B1 KR 101625501B1 KR 1020150120423 A KR1020150120423 A KR 1020150120423A KR 20150120423 A KR20150120423 A KR 20150120423A KR 101625501 B1 KR101625501 B1 KR 101625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luminum composite
- vertical frame
- horizontal frame
- composite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수직프레임 및 제1수평프레임을 알루미늄복합재의 좌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1프레임결합단계; 제2수직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을 알루미늄복합재의 우측 및 상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2프레임결합단계;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 좌측에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또는 제1수평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길이 및 제2수직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h는 알루미늄복합재의 길이, d는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 사이 공간의 길이)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길이 및 제2수평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Fw1은 제1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두께, Fw2는 제2수직프레임의 가로폭 및 Pw는 알루미늄복합재의 측면 두께)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거나 또는 작게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조립이 용이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복합재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실리콘 조립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을 최소화하며, 프레임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리벳과 피스 결합만으로 기존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프레임 상호간에 맞물림이 우수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난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내외장재나 칸막이, 천장재 또는 벽체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복합재 등의 패널구조는 주로 직사각형 형태의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져 제작되는 것으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좋으며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진 패널은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알루미늄복합재 사이에 일정한 틈을 두고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구조 중 일 예로, 도 1에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조립구조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그 구성은 기존의 파이프(10)의 실외측에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20)의 끝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10)에 직접 결합된다.
이후,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함으로써,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의 틈을 마감하고, 피스가 외측으로 들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조립구조는 파이프(10)에 알루미늄복합재(20)를 직접 피스 결합하고, 실리콘으로 마감함으로써, 줄눈마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조립구조는 알루미늄복합재(10)를 관통하도록 피스를 이용하여 직접 결합함으로써, 피스를 심하게 조일 경우, 알루미늄복합재(10)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에, 피스의 머리부분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복합재(10)를 파이프(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복합재(10)의 끝단에 각각 피스를 체결해야 하므로, 피스의 소모가 심하며, 이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실리콘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경우, 빠른 시간내에 접착이 가능한 점은 긍정적이나, 실리콘의 흐물흐물한 특성상 실리콘에 의해 조립된 부분의 피스가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알루미늄복합재(10)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이 가능한 채 결합되어 다수의 패널들이 평평한 벽체를 형성하도록 조립되기 어렵고, 오랜시간이 지나거나 온도가 올라가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습도가 많거나 수분의 접촉이 잦은 경우 곰팡이가 발생되기 쉬워 다양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훼손된 부위로 빗물 등이 유입되어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쉽게 변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구조 중 다른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7723호에 샌드위치패널이 개시되었다.
도 2는 종래 샌드위치패널의 단면도로, 그 구성은 종횡으로 배열된 프레임(32)에 그 일측단이 나사 체결되는 제1 패널(2)과, 이 제1 패널(2)의 나사체결부와 인접된 부분에 제2 패널(4)의 타단부를 끼움결합하는 등의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패널이 순차적으로 연접배치되도록 조립되는 샌드위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2)의 끼움결합부에는 선단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제2 패널(4)의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1)와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2) 및 제2 패널(4)의 끼움결합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은 하측의 제1 패널(2)과 상측의 제2 패널(4)이 대략 삼각형 도는 사다리꼴의 결합돌기(11)와 결합홈(13)에 의해 조립되므로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1)가 변형되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밀려들어가면서 정위치로 삽입되므로 용이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샌드위치패널은 제1 패널(2)과 제2 패널(4) 결합시 결합돌기(11)는 결합홈(13)에 끼워지고, 제1 패널(2)의 일측단이 종횡으로 배열되는 프레임(32)에 나사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2)의 일측단에 형성된 나사체결부(9) 및 드릴위치홈(8)을 통해 나사 결합으로 프레임(32)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패널(2)이 직접 프레임(32)에 체결됨으로써, 나사를 심하게 조일 경우, 제1 패널(2) 또는 제2 패널(2)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에, 나사가 조여진 부분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널의 손상에 의해 빗물 등이 나사체결부(9) 및 드릴위치홈(8)으로 스며드는 경우, 프레임(32)에 직접 닿게 되어 프레임(32)이 부식되는 등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복합재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실리콘 조립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을 최소화하며, 프레임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리벳과 피스 결합만으로 기존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프레임 상호간에 맞물림이 우수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난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제1수직프레임 및 제1수평프레임을 알루미늄복합재의 좌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1프레임결합단계; 제2수직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을 알루미늄복합재의 우측 및 상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2프레임결합단계;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 좌측에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 및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또는 제1수평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수직프레임의 길이 및 제2수직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h는 알루미늄복합재의 길이, d는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 사이 공간의 길이)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고, 제1수평프레임의 길이 및 제2수평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Fw1은 제1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두께, Fw2는 제2수직프레임의 가로폭 및 Pw는 알루미늄복합재의 측면 두께)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거나 또는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복합재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구조체를 구성하도록 하되, 파이프에 알루미늄복합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며, 종래의 실리콘 조립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최소화하고, 프레임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리벳과 피스 결합만으로 기존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호간에 맞물림이 우수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알루미늄복합재의 모서리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알루미늄복합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알루미늄복합재의 모서리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별적인 단위 조립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복합재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실리콘 조립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을 최소화하고, 프레임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리벳과 피스 결합만으로 기존의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프레임 상호간에 맞물림이 우수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난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 조립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알루미늄복합재의 모서리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좌", "우", "횡" 및 "종")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힌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은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제2프레임결합단계(S20),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 및 조립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서 서술한 단계 중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및 제2프레임결합단계(S20)는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단계에서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100), 제1수평프레임(200),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및 제2프레임결합단계(S20)의 설치 과정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변경되어도 무관하다.
제1프레임결합단계(S10)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 및 하측에 각각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면과 하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은 알루미늄 금속 재질의 다각형 틀 형상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그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ㄹ' 형태의 파이프고정부(110)와 상기 파이프고정부(1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ㄴ'자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파이프고정부(1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ㄹ'형태로 이루어지되, 실내측 부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여진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실외측 부분에 타측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체결돌기(1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는 후술되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를 통해 바닥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설치된 파이프(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바닥에 입설되며, 또한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파이프(10)에 알루미늄복합재 설치시 제1수평프레임(200)의 파이프고정부(110) 또한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100)의 결합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이프(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고정부(110)는 전체적인 'ㄹ' 형태의 단면을 가지되, 파이프(1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같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ㄹ' 형태에서 상측부분이 우측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ㄹ' 형태에서 상측부분이 좌측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는 제1프레임결합단계(S10)에서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을 각각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하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파이프고정부(1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단부 일부분이 'ㄴ' 형태로 이루어진 제1수직프레임(100)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 좌측면과 실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면접촉되며,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과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알루미늄복합재(20)의 하측단부에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수평프레임(200)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가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과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1프레임결합단계(S10)는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을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하측에 각각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연속되어 설치되는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4개의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 즉 알루미늄복합재(20)의 모서리부분에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21)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제1수직프레임(100)이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상,하로 연속되어 설치되는 경우, 알루미늄복합재(20)의 상,하측면을 기준으로 상측면과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공간(21)을 통해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로 이루어진 벽체 실내측과 실외측이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설치되어도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 공간(21)에 의해 기밀성 및 단열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1수직프레임(100)이 상호 접촉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알루미늄복합재(20)로 이루어진 벽체의 실외측과 실내측이 연통되지 않도록 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다.
여기에서, 제1수직프레임(100)의 길이(Fh1)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식
(여기에서, h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 d는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 공간(21)의 길이)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다.
즉 제1수직프레임(1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h)보다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 공간(21)의 길이(d)만큼 연장된 행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연속되어 설치되는 경우,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의 공간(21)에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의 연장된 부분이 위치되어 사구의 제1수직프레임(100)이 상호 접촉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공간(21)을 통해 알루미늄복합재(20)로 이루어진 벽체의 실외측과 실내측이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수직프레임(100)과 조립되며, 후술되는 제2수직프레임(300)의 길이(Fh2) 또한 제1수직프레임(100)의 길이(Fh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프레임(2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h)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제1수직프레임(100) 및 후술되는 제2수직프레임(300)을 알루미늄복합재(20)에 설치하면,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300)이 알루미늄복합재(20)의 상,하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되, 알루미늄복합재(20)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제1수평프레임(200)이 설치되도록 하고, 알루미늄복합재(20)의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제2수평프레임(400)이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수평프레임(200)의 길이(Fd1)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식
(여기에서, Fw1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프레임 두께, Fw2는 제2수직프레임(300)의 가로폭 및 Pw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측면 두께)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거나 또는 작게 이루어진다.
즉 제1수평프레임(2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h)보다 작게 이루어지되,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상호 견고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알루미늄복합재(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수평프레임(200)과 조립되며, 후술되는 제2수평프레임(400)의 길이(Fd2) 또한 제1수평프레임(200)의 길이(Fd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결합단계(S20)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 및 상측에 각각 제2수직프레임(3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과 상측에 각각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면과 상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은 알루미늄 금속 재질의 다각형 틀 형상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그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의 프레임끼움부(310)와 상기 프레임끼움부(3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자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2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프레임끼움부(3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ㄷ' 형태로 이루어지되, 실내측 부분에 제1수직프레임(100) 또는 제1수평프레임(2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삽입홈(111)에 끼워지는 삽입돌기(311) 및 실외측 부분에 제1수직프레임(100) 또는 제1수평프레임(2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2)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체결홈(3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끼움부(310)는 삽입돌기(311)가 삽입홈(111)에 끼워지고, 체결돌기(112)가 체결홈(312)에 끼워짐으로써,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각각 서로 엇갈리게 끼워져, 알루미늄복합재(2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파이프(10)에 제1수직프레임(100) 또는 제2수평프레임(400) 만을 고정하되,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과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은 파이프(10)에 고정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320)는 제2프레임결합단계(S20)에서 제2수직프레임(3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을 각각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과 상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끼움부(3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단부 일부분이 '」' 형태로 이루어진 제2수직프레임(300)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220)의 우측면과 실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면접촉되며,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과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알루미늄복합재(20)의 상측단부에 상기 제2수직프레임(3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수평프레임(400)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220)가 상기 알루미늄복합재(20)과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2프레임결합단계(S20)는 제2수직프레임(3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을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상측에 각각 리벳(3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상,하,좌,우로 연속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형성된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모서리 부분, 즉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이 만나는 부분,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만나는 부분, 제2수직프레임(3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이 만나는 부분 및 제2수직프레임(3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만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으로 절단되어 상호 매끄럽게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미관상 이점이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돌출되지 않아 운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나아가, 형성된 벽체의 상측단에 구비되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벽체의 하측단에 구비되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은 알루미늄복합재(2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미관상 이점이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된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는 알루미늄복합재(20) 좌측에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100)을 파이프(1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및 제2프레임결합단계(S20)에서 제1수직프레임(100), 제1수평프레임(200),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이 결합된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20)로 벽체를 형성하도록 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 중 실내측단에 형성된 면이 파이프(10)에 면접촉되며, 피스 결합을 통해 파이프(10)에 알루미늄복합재(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파이프고정부(110)를 파이프(10)에 결합시 한 쌍 이상의 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로 이루어진 제1수직프레임(100)의 양 끝단에 각각 근접하도록 피스를 이용하여 파이프(10)에 결합함으로써, 파이프(10)에 알루미늄복합재(2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파이프(10)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파이프(10)에 제1수직프레임(100)을 결합시키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수평프레임(200)을 파이프(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10)가 바닥에 입설되며, 또한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에서 격자형태의 파이프(10)를 따라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을 각각 피스결합에 의해 파이프(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알루미늄복합재(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조립단계(S40)는 상기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에서 파이프(10)에 고정 결합된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으로 다른 알루미늄복합재(20)를 조립하여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조립단계(S40)에서는 기준이 되는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파이프(10)에 고정 결합되면, 상기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를 반복하여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수직프레임(100) 또는 제1수평프레임(200)을 피스 결합에 의해 파이프(10)에 결합하는 동시에,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하고, 또한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즉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가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h) 보다 연장된 형태를 갖되,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h)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조립단계(S40)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은 알루미늄복합재(20)를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도록 하되, 종래의 실리콘 조립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최소화하고, 프레임이 갖는 특징적인 형태에 의해 엇갈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친환경적이다.
또한 서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리벳과 피스 결합만으로 기존의 파이프(10)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상호간에 맞물림이 우수하고, 벽체의 실내측과 실외측이 연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8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은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제2프레임결합단계(S20),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 제1개스킷설치단계(S35), 제2개스킷설치단계(S36) 및 조립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프레임결합단계(S10)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 및 하측에 각각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을 리벳(30)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파이프고정부(110)는 실내측 부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여진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실외측 부분에 타측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체결돌기(112)가 형성되되, 실외측 단면에 실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끼움홈(113)이 구비되고, 체결돌기(112)의 타측 단면에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끼움홈(115)이 구비된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을 각각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과 상측에 결합한다.
제1개스킷설치단계(S35)는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된 제1끼움홈(113)에 제1개스킷(114)을 끼우는 단계이다.
이를,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가 중공되되, 실외측으로 개구된 홈이 형성된 제1끼움홈(113)에 제1개스킷(114)에 구비된 'T' 형태의 끼움돌기(114a)가 걸림되도록 끼워 제1개스킷(114)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되며,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에 밀착되어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끼움홈(113)에 끼워지는 제1개스킷(114)은 'T' 형태의 끼움돌기(114a)가 형성된 반대측면, 즉 실외측 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개스킷(114)의 실외측단으로부터 제1개스킷(114)의 중심으로 갈수록 호 형상을 그리되, 제1개스킷(114)의 중심 부분의 함몰된 폭은 약 0.5mm 이내로 이루어지고, 호 형상의 곡률반경은 2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개스킷설치단계(S36)는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된 제2끼움홈(115)에 제2개스킷(116)을 끼우는 단계이다.
이를,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가 중공되되, 체결돌기(112)의 타측으로 개구된 홈이 형성된 제2끼움홈(115)에 제2개스킷(116)에 구비된 'T' 형태의 끼움돌기(116a)가 걸림되도록 끼워 제2개스킷(116)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되며,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2)와 제2수직프레임(300)의 프레임끼움부(310)에 구비되는 체결홈(312) 사이 및 제1수평프레임(2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2)와 제2수평프레임(400)의 프레임끼움부(310)에 구비되는 체결홈(312) 사이 각각에 밀착되어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1개스킷(114)과 제2개스킷(116)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PDM(이중합성고무, 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PDM은 탄성력이 우수하고, 바람에 강하고 부식이 적으며, 견고한 고분자 구조를 갖춤으로 인해 내후성과 내오존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내용제성 등이 뛰어나며, 다른 합성고무에 비하여 비중이 작고, 경제성이 뛰어나다.
또한 플렉시블한 성질에 의해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로 이루어진 벽체에 대한 저항 성능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에, 제1개스킷(114) 또는 제2개스킷(116)에 의해 벽체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EPDM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로 이루어진 벽체에 줄눈을 포인트로 하여 디자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띄는 알루미늄복합재(20)와 유사한 색상의 제1개스킷(114)을 설치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개스킷설치단계(S36)에서 제2끼움홈(115)에 단열모(mohair) 형태로 이루어진 제2개스킷(116)을 끼우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열모 형태로 이루어진 제2개스킷(116)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상호 엇갈려 조립되면,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2)와 제2수직프레임(300)의 프레임끼움부(310)에 구비되는 체결홈(312) 사이 및 제1수평프레임(2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2)와 제2수평프레임(400)의 프레임끼움부(310)에 구비되는 체결홈(312) 사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막아 단열효과를 높여준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개스킷설치단계(S35) 및 제2개스킷설치단계(S36)는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를 기존의 파이프(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파이프 20 : 알루미늄복합재
21 : 공간 30 : 리벳
100 : 제1수직프레임 110 : 파이프고정부
111 : 삽입홈 112 : 체결돌기
113 : 제1끼움홈 114 : 제1개스킷
114a : 끼움돌기 115 : 제2끼움홈
116 : 제2개스킷 116a : 끼움돌기
120 :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 200 : 제1수평프레임
300 : 제2수직프레임 310 : 프레임끼움부
311 : 삽입돌기 312 : 체결홈
320 :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 400 : 제2수평프레임
21 : 공간 30 : 리벳
100 : 제1수직프레임 110 : 파이프고정부
111 : 삽입홈 112 : 체결돌기
113 : 제1끼움홈 114 : 제1개스킷
114a : 끼움돌기 115 : 제2끼움홈
116 : 제2개스킷 116a : 끼움돌기
120 :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 200 : 제1수평프레임
300 : 제2수직프레임 310 : 프레임끼움부
311 : 삽입돌기 312 : 체결홈
320 :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 400 : 제2수평프레임
Claims (8)
-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을 알루미늄복합재(20)의 좌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을 알루미늄복합재(20)의 우측 및 상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2프레임결합단계(S20);
하나의 알루미늄복합재(20) 좌측에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100)을 파이프(10)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 또는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을 조립함으로써, 다수의 알루미늄복합재(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조립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의 길이(Fh1) 및 제2수직프레임(300)의 길이(Fh2)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h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길이, d는 한 쌍의 알루미늄복합재(20) 사이 공간(21)의 길이)
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200)의 길이(Fd1) 및 제2수평프레임(400)의 길이(Fd2)는 동일하며, 다음식
(여기에서, Fw1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프레임 두께, Fw2는 제2수직프레임(300)의 가로폭 및 Pw는 알루미늄복합재(20)의 측면 두께)
에 의해 산출된 길이와 같거나 또는 작게 이루어지되,
상기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에서 바닥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설치된 파이프(10)에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를 피스 결합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조립단계(S40)에서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은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실내측 부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111) 및 실외측 부분에 타측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체결돌기(112)가 형성된 'ㄹ' 형태의 파이프고정부(110)와 상기 파이프고정부(1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ㄴ'자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은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실내측 부분에 상기 삽입홈(111)에 끼워지는 삽입돌기(311) 및 실외측 부분에 상기 체결돌기(112)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체결홈(312)이 형성된 'ㄷ' 형태의 프레임끼움부(310)와 상기 프레임끼움부(310)의 실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자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2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기(311)는 삽입홈(111)에 끼워지고, 체결돌기(112)는 체결홈(312)에 끼워짐으로써,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하거나 또는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수평프레임(200)을 피스 결합에 의해 파이프(10)에 결합하는 동시에,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3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하고, 또한 제1수평프레임(200)과 제2수평프레임(400)이 상호 엇갈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알루미늄복합재(20)를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제2프레임결합단계(S20) 및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 후에, 제1개스킷설치단계(S35) 및 제2개스킷설치단계(S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개스킷설치단계(S35)는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실외측 단면에 실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끼움홈(113)에 제1개스킷(114)이 끼워지며,
상기 제2개스킷설치단계(S36)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타측 단면에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끼움홈(115)에 제2개스킷(116)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개스킷(114) 또는 제2개스킷(116)은
EPDM(이중합성고무, 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개스킷설치단계(S35)에서 제1끼움홈(113)에 끼워지는 제1개스킷(114)의 실내측 면은 상기 제1끼움홈(113)에 끼워지는 'T' 형태의 끼움돌기(114a)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실외측 면은 제1개스킷(114)의 중심으로 갈수록 호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개스킷(114)은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호 형상을 그리되, 실내측으로 함몰된 폭은 0.3 ~ 0.5mm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 형상의 곡률반경은 25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결합단계(S10) 및 제2프레임결합단계(S20)에서 알루미늄복합재(20)에는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1수평프레임(200) 각각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120)와 제2수직프레임(300) 및 제2수평프레임(400) 각각의 알루미늄복합재고정부(220)가 리벳(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복합재고정단계(S30)에서 파이프(10)에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파이프고정부(110)가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423A KR101625501B1 (ko) | 2015-08-26 | 2015-08-26 |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423A KR101625501B1 (ko) | 2015-08-26 | 2015-08-26 |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501B1 true KR101625501B1 (ko) | 2016-05-30 |
Family
ID=5712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0423A KR101625501B1 (ko) | 2015-08-26 | 2015-08-26 |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5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6551B1 (ko) * | 2018-09-18 | 2019-01-08 | 정용수 |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
CN115279980A (zh) * | 2020-05-27 | 2022-11-01 | 爱吉工业株式会社 | 装饰结构、板材、以及装饰结构的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8994A (ja) * | 2003-02-07 | 2004-08-26 | Nishikawa Rubber Co Ltd | 目地構造 |
KR101016820B1 (ko) * | 2009-09-02 | 2011-02-2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실내 설치가 가능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및 프레임 본체 |
-
2015
- 2015-08-26 KR KR1020150120423A patent/KR101625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8994A (ja) * | 2003-02-07 | 2004-08-26 | Nishikawa Rubber Co Ltd | 目地構造 |
KR101016820B1 (ko) * | 2009-09-02 | 2011-02-21 | 대림산업 주식회사 | 실내 설치가 가능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및 프레임 본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6551B1 (ko) * | 2018-09-18 | 2019-01-08 | 정용수 |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
WO2020060083A1 (ko) * | 2018-09-18 | 2020-03-26 | 정용수 |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
CN115279980A (zh) * | 2020-05-27 | 2022-11-01 | 爱吉工业株式会社 | 装饰结构、板材、以及装饰结构的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8083B1 (ko) |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 |
US7665264B1 (en) | Metal-faced building panels having angled projections in longitudinal edge recesses for mating with locking ramps on flanges of concealed I-shaped connector | |
KR101185026B1 (ko) |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 |
US20110258961A1 (en) | Wall structure assembly | |
KR101472311B1 (ko) |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 |
KR101697740B1 (ko) |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 |
KR101470536B1 (ko) |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 |
KR200483553Y1 (ko) | 커튼월 결합구조 | |
KR20160040413A (ko) | 알루미늄-합성수지 단열 복합창호 | |
JP2015007365A (ja) | 建築用ルーバーパネルの取付構造 | |
KR102169160B1 (ko) | 단열 커튼월 | |
KR20170043047A (ko) |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 |
KR20190016060A (ko) |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 |
KR101223647B1 (ko) |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 |
KR101625501B1 (ko) |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1692286B1 (ko) |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 |
KR101147011B1 (ko) |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 |
KR200400146Y1 (ko) | 단열 패널과 체결 클립 및 이들의 조립 구조 | |
KR200456085Y1 (ko) | 패널 연결용 프레임 | |
JP6014358B2 (ja) | プレハブ式貯蔵庫 | |
WO2015096813A1 (zh) | 新型集成房屋拼装式型材 | |
KR101625500B1 (ko) | 알루미늄복합재 조립구조 | |
KR102172315B1 (ko) | 단열 커튼월 | |
KR101697739B1 (ko) | 복합 커튼월 | |
KR20150002921U (ko) |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