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940B1 -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940B1
KR101320940B1 KR1020130009039A KR20130009039A KR101320940B1 KR 101320940 B1 KR101320940 B1 KR 101320940B1 KR 1020130009039 A KR1020130009039 A KR 1020130009039A KR 20130009039 A KR20130009039 A KR 20130009039A KR 101320940 B1 KR101320940 B1 KR 10132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pillar
coupling memb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호
왕우철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8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은 목구조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단위유닛의 각 모서리 내측에 구비되어 기둥과 보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유닛의 각 모서리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와, 상기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외측결합부재를 각각 상기 단위유닛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Wooden Construction Modular Uni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을 양중할 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구조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대부분의 공정을 제작하여 내외장재를 모듈러에 부착하고 이를 현장에 운반하여 박스 유닛간의 조립 및 접합을 하는 공법으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짧아 인건비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높은 품질과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목구조의 경우 기둥과 보를 결구시켜 기둥에 하중을 전달하는 가구식 결구방식인 장부맞춤이라는 대표적인 결합방법을 비롯하여 나사못 결합, Loose tenon결합, 목재비스킷결합 등을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목구조의 기둥과 보를 접합하는 방식은 결속이 취약하며 수평력 저항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목구조의 구조목으로 사용하는 자재의 경우 건축 공사단가가 높아, 건축공사비의 증가요인이 되며, 접합부의 시공 정밀도가 떨어진다.
또한, 기존 목구조에서 사용하는 맞춤공법은 현장 축조식이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인한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목구조에서 결합하는 나사못 결합의 경우 결합강도가 떨어지고, 목재의 수명과 철물부속의 수명이 달라 시간이 흐를수록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닛의 결속력 향상 및 수직,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목구조 모듈러 유닛을 양중할 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은 목구조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단위유닛의 각 모서리 내측에 구비되어 기둥과 보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유닛의 각 모서리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와, 상기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외측결합부재를 각각 상기 단위유닛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외측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홀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는 상기 기둥과 이격 되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보와 맞닿은 형태로 결합하는 보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기둥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외측기둥부재와 내측기둥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외측기둥부재의 양단에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는 외측보부재와 내측보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외측보부재의 일단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보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측기둥부재의 상기 안착부에 얹혀져 상기 보와 상기 기둥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내측기둥부재와 상기 외측보부재는 상기 외측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은 상부플레이트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의 하부플레이트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된 상기 보에 의해 형성된 각 모서리에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모서리 내측에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모서리 외측에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를 설치하고 각각 상기 고정부재로 결합하는 단계와, 사전에 제작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기둥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모서리 내측에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모서리 외측에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를 설치하고 각각 상기 고정부재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전에 제작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기둥에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합판으로 형성된 외벽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합판으로 형성된 외벽을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목구조 시스템의 가구식 공법과 철물접합에서 문제가 되어 온 보와 기둥의 결속력 저하 및 수직, 수평에 대한 저항력을 높임으로써 목구조 모듈러 시스템 제작시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접합강도를 갖도록 하며, 단위유닛에 사용되는 부재의 부품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결합부재와 외측결합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결합 후 모습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10)은 대부분의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양중작업을 통해 현장으로 이송되며 현장에서는 단위유닛(10) 간의 조립과 접합 공정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옥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부맞춤을 비롯하여 나사못 결합, Loose tenon결합, 목재비스킷결합 등과 같은 일반적인 목구조의 결합방법으로는 결속의 취약함과 수직 및 수평에 대한 저항능력 떨어질 수 있다. 이는 뒤틀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양중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단위유닛(10)은 기둥(500)과 보(600), 그리고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 및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를 각각 단위유닛(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결합부재(100)는 기둥(500)과 보(600)가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결합부재(200)는 기둥(500)과 보(600)가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는 일반적으로 철, 강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기둥(500)과 보(600)의 결속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수직 및 수평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는 철, 강재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자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금이나 티타늄 등과 같은 자제들은 강재와 유사한 강도를 발휘하기 때문에 기둥(500)과 보(600)의 결속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수직 및 수평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를 각각 단위유닛(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는 나사못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 못으로 고정할 경우, 양중작업 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단위유닛(10)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나사못을 사용할 경우 나사못에 형성된 나사 돌기에 의해 단위유닛(10)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위유닛(10)과의 마찰력이 증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양중작업 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단위유닛(10)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가 각각 단위유닛(10)에 결속되는 결속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결합부재와 외측결합부재가 단위유닛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결합부재(100)는 몸체부(110)와 보결합부(120)로 구성된 일체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결합부(120)는 몸체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보(600)와 맞닿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내측결합부재(10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과는 소정 간격 이격 되어 있는 반면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600)와는 맞닿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결합부재(100)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모서리 내측에 구비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외측결합부재(200)의 경우,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결합부재(200)가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데 무리가 없다.
그러나, 내측결합부재(100)의 경우,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이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측결합부재(100)가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데 무리가 생긴다.
또한,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이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내측결합부재(100)가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600)만을 결합시킬 경우에는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측결합부재(100)의 몸체부(110)가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격 된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00)를 통해서 내측결합부재(100)가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00)는 내측결합부재(100)의 보결합부(120)와 외측결합부재(20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300) 보다 긴 고정부재(30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를 비롯한 보결합부(120)는 고정부재(30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홀(40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유닛(10)의 모서리에는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구비된 몸체부(110) 양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결합부(12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6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결합부(120)는 몸체부(110)와 달리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구비되지 않고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600)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결합부(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00)를 통해서 내측결합부재(100)가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60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측결합부재(200)는 단위유닛(10)의 모서리 형태에 맞게 일체형의 'ㄱ'자 형태로 단위유닛(10)의 모서리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결합부재(20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과 보(60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고정부재(300)를 통해서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둥(500)과 보(6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결합 후 모습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둥(500)과 보(600)는 구조목이 아닌 2*4 혹은 2*6의 목재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목재부재는 구조목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공사단가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축공사비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둥(500)은 2*4 크기의 외측기둥부재(510)와 내측기둥부재(520)를 목재 전용 접착제로 결합시켜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결합 후 기둥(500)은 4*4 크기의 정사각형 목재부재가 될 수 있다.
외측기둥부재(510)의 양단에는 안착부(5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외측기둥부재(510)의 양단에 안착부(53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외측기둥부재(510)의 양단은 내측기둥부재(520)의 양단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보(600)는 2*6 크기의 외측보부재(610)와 내측보부재(620)를 목재 전용 접착제로 결합시켜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결합 후 보(600)는 4*6 크기의 직사각형 목재부재가 될 수 있다.
외측보부재(610)의 일단에는 돌출부(6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외측보부재(610)의 일단에 돌출부(63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외측보부재(610)의 일단은 내측보부재(620)보다 외측기둥부재(510)의 안착부(530) 길이만큼 긴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보부재(610)의 돌출부(630)는 외측기둥부재(510)의 안착부(530)에 얹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둥(500)과 보(600)는 내측결합부재(100)와 외측결합부재(200)에 의해 결합 되기 이전에 상호 간의 가구식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결속력이 증가 되고 수직 및 수평 저항력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둥(500)과 보(600)의 가구식 접합은 단위유닛(10)의 모든 모서리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가구식 접합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돌출부(630)가 구비되는 보-1의 일단은 보-1의 일단과 이웃하는 기둥-1에 형성된 안착부(530)와 가구식 접합을 이룰 수 있다. 돌출부(630)가 구비되지 않은 보-1의 타단은 보-1의 타단과 이웃하는 기둥-2의 옆면에 접할 수 있다. 기둥-2에 형성된 안착부(530)에는 기둥-2와 이웃하는 보-2의 일단에 구비되는 돌출부(630)가 얹혀질 수 있다. 보-2의 타단은 보-2의 타단과 이웃하는 기둥-3의 옆면에 접할 수 있다. 기둥-3에 형성된 안착부(530)에는 기둥-3과 이웃하는 보-3의 일단에 구비되는 둘출부가 얹혀질 수 있다. 보-3의 타단은 보-3의 타단과 이웃하는 기둥4의 옆면에 접할 수 있다. 기둥-4에 형성된 안착부(530)에는 기둥-4와 이웃하는 보-4의 일단에 구비되는 돌출부(630)가 얹혀질 수 있다. 보-4의 타단은 보-4의 타단과 이웃하는 기둥-1의 옆에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단위유닛(10)의 모든 모서리에서 가구식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보부재(610)와 내측기둥부재(520)에는 외측결합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7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외측결합부재(200)는 외측보부재(610)와 내측기둥부재(520)에 각각 구비되는 삽입홈(700)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외측결합부재(200)가 삽입홈(700)에 삽입됨으로써 외측결합부재(200)가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과 보(600)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 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과 보(600)와의 마찰력이 증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측결합부재(20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기둥(500)과 보(600)를 더욱 결속력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결합부재(200)가 삽입홈(700)에 삽입됨으로써 단위유닛(10)과 단위유닛(10) 간의 접합을 할 때 원활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700)이 형성되지 않아 외측결합부재(200)가 모서리의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될 경우, 단위유닛(10)과 단위유닛(10) 간의 접합을 할 때 단위유닛(10)의 외측면이 아닌 외측결합부재(200)가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유닛 간의 접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유닛(10)과 단위유닛(10) 간의 접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부재나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반면, 삽입홈(700)이 형성되어 외측결합부재(200)가 모서리의 외측에 삽입되어 구비될 경우, 단위유닛(10)과 단위유닛(10) 간의 접합을 할 때 단위유닛(10)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유닛 간의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유닛(10)과 단위유닛(10) 간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1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10)의 제조방법은 우선 상부플레이트(800)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보(600)를 설치한다.(S110)
상기의 상부플레이트(800)와 동일한 크기의 하부플레이트(9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보(600)를 설치하고(S120), 하부플레이트(900) 상면에 설치된 보(600)에 의해 형성된 각 모서리에 기둥(500)을 설치한다.(S130)
상기 하부플레이트(900)에 형성된 모서리 내측에 기둥(500)과 상기 보(600)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100)와 모서리 외측에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200)를 설치하고 각각 고정부재(300)로 결합하는 단계(S140)로 진행된다.
그리고, 사전에 제작된 상부플레이트(800)를 하부플레이트(900)에 설치된 기둥(500)에 설치하는 단계(S150)가 이어지고, 상부플레이트(800)에 형성된 모서리 내측에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100)와 상부플레이트(800)에 형성된 모서리 외측에 기둥(500)과 보(600)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200)를 설치한 후 각각 고정부재(300)로 결합하는 단계(S160)를 끝으로 단위유닛(10)의 제작이 완료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전에 제작된 상부플레이트(800)를 하부플레이트(900)에 설치된 기둥(500)에 설치하는 단계(S150) 이전에 기둥(500)과 기둥(500) 사이에 합판으로 형성된 외벽을 설치하는 단계(S17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기둥(500)과 기둥(500) 사이에 합판으로 형성된 외벽을 설치하는 단계(S170) 이후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과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단위유닛 100: 내측결합부재
110: 몸체부 120: 보결합부
200: 외측결합부재 300: 고정부재
400: 결합홀 500: 기둥
510: 외측기둥부재 520: 내측기둥부재
530: 안착부 600: 보
610: 외측보부재 620: 내측보부재
630: 돌출부 700: 삽입홈
800: 상부플레이트 900: 하부플레이트

Claims (11)

  1. 목구조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단위유닛의 각 모서리 내측에 구비되어 기둥과 보를 결합시키는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유닛의 각 모서리 외측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보를 결합시키는 외측결합부재와,
    상기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외측결합부재를 각각 상기 단위유닛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결합부재와 상기 외측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홀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내측결합부재는 상기 기둥과 이격 되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보와 맞닿은 형태로 결합하는 보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는 상기 기둥에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보결합부와 상기 외측결합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외측기둥부재와 내측기둥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외측기둥부재의 양단에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외측보부재와 내측보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외측보부재의 일단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측기둥부재의 상기 안착부에 얹혀져 상기 보와 상기 기둥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기둥부재와 상기 외측보부재는 상기 외측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09039A 2013-01-28 2013-01-28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KR10132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39A KR101320940B1 (ko) 2013-01-28 2013-01-28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39A KR101320940B1 (ko) 2013-01-28 2013-01-28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940B1 true KR101320940B1 (ko) 2013-10-23

Family

ID=4963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39A KR101320940B1 (ko) 2013-01-28 2013-01-28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11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적층패널형 모듈유닛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484A (ja) * 1995-07-31 1997-02-10 Tsuruta Kenchiku:Kk 建屋における接合強化金具
KR101220446B1 (ko) * 2012-08-29 2013-01-10 임정택 결구식 철골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한 한식건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484A (ja) * 1995-07-31 1997-02-10 Tsuruta Kenchiku:Kk 建屋における接合強化金具
KR101220446B1 (ko) * 2012-08-29 2013-01-10 임정택 결구식 철골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한 한식건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11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적층패널형 모듈유닛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5946B2 (ja) 木質部材の接合構造
KR100588167B1 (ko) 조적용 조립체
KR101320940B1 (ko)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677007B1 (ko) 목질부재의 포켓 삽입식 결합구조
JP2010281192A (ja)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JP6205217B2 (ja) 梁補強構造および方法、ならびに、補助梁用支持具
JP5967438B2 (ja) 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
JP6468778B2 (ja) 反り防止用芯材、パネル体、ドア及びドア装置
JP2009102940A (ja) 耐震壁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JP4759240B2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JP7050430B2 (ja) 外壁パネル、外壁構造および外壁施工方法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JP3184446U (ja) 防音パネル用枠体
JP5861886B2 (ja) 壁式混合梁構造
JP6359840B2 (ja) 建物ユニット輸送方法、建物ユニット、ユニット建物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JP7164393B2 (ja) 建物の補強構造
JP6789152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8602B2 (ja) 建築用接合金具
JP7021760B2 (ja) 柱および梁の接続構造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