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67B1 - 조적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적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167B1
KR100588167B1 KR1020050106750A KR20050106750A KR100588167B1 KR 100588167 B1 KR100588167 B1 KR 100588167B1 KR 1020050106750 A KR1020050106750 A KR 1020050106750A KR 20050106750 A KR20050106750 A KR 20050106750A KR 100588167 B1 KR100588167 B1 KR 10058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body portion
assembly
gener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built-up by elements jointed i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볍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이며, 조립되고, 개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조적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5000) 상부의 인방(3000)위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폐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부(1000),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와 좌우에 인접해 있는 일반 조적재(2000)를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적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조적

Description

조적용 조립체{Assembly for brick and masonry work}
도 1은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조적용 조립체부(10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조적용 조립체부(1000)의 사시도로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결속부(8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부 210 : 성형 줄눈부
310 : 측면 돌출부 320 : 측면 오목부
510 : 몸체부 홈부 530 : 철선
550 : 홈부 내 고정대 800 : 결속부
810 : 일반조적재내 고정판 820 : 고정판 관통구
830 : 고정대 고정판간 결속선
1000 : 조적용 조립체부 2000 : 일반 조적재
3000 : 인방 5000 : 개구부
본 발명은 조적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5000) 상부의 인방(3000)위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폐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부(1000),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와 좌우에 인접해 있는 일반 조적재(2000)를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800)를 포함하며,
가볍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이며, 조립되고, 개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조적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인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조립되는 조적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개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조적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적용 조립체부(1000), 결속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5000) 상부의 인방(3000)위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폐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부(1000),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와 좌우에 인접해 있는 일반 조적재(2000)를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8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조적용 조립체부(1000)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조적용 조립체부(1000)의 사시도로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3도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결속부(800)의 사시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5000) 상부의 인방(3000)위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폐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부(1000),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와 좌우에 인접해 있는 일반 조적 재(2000)를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되며 그 표면이 거칠게 성형되어 미장 등의 마감작업이 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폐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일반 조적재(2000) 보다 가볍고 자원 재활용이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일반 조적재(2000) 만큼의 차음이나 단열성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볍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인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인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 상기 몸체부(110)의 한쪽 측면에만 형성되며 일반 조적재의 줄눈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한쪽 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부재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성형 줄눈부(210), 상기 성형 줄눈부(2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중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되며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줄눈부(210)는 일반 조적재의 줄눈과 같은 크기와 색채로 성형되어 주위 일반조적재와 잘 조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성형 줄눈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 부(110)의 측면방향으로 상기 성형 줄눈부(210)로 부터 돌출된 볼록부분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타 부재와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 돌출부(310),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중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 오목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 돌출부(310)와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 돌출부(310)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오목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좌우로 상기 측면 돌출부(310)와 상기 측면 오목부(320)가 연속되어 조립되어 한 개의 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되는 조적재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부재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홈부(51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봉형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부 내 고정대(55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바닥부위를 따라 놓여지도록 형성되는 철선(53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내부를 채워주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는 상기 몸체부 홈부(510)에 채워진다.
또한,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110)의 한쪽 측면의 면 중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차지하고 있지 않은 부분인 성형 줄눈부 홈부(520)에도 상기 모르타르는 채워지게 되어 부재 간의 결합이 더욱 견실하게 된다.
상기 철선(530)은 다시 복수 개의 상기 홈부 내 고정대(550)와 결속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 홈부(510), 상기 철선(530), 상기 모르타르는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가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개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결속부(800)는 두 개의 상기 일반 조적재(2000)간 길이방향 줄눈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일반조적재내 고정판(810), 상기 일반조적재내 고정판(810)을 관통하는 고정판 관통구(820), 상기 고정판 관통구(820)와 상기 홈부 내 고정대(550)를 결속시켜 주는 고정대 고정판간 결속선(8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800)에 의해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상기 일반 조적재(2000)와 결속된다.
따라서 주위의 일반 조적재와 결속될 수 있는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의 설치방법은, 상기 개구부(500) 주위로 일반 조적재(2000)를 쌓아주고 상기 개구부(500)의 상단 부위에 이르러 인방(3000)을 설치해주는 제 1단계, 상기 인방(3000)위에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 1단을 좌우로 조립해 주고, 상기 결속부(800)를 설치해 주는 제 2단계, 조립된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 위에 모르타르를 채워주는 제 3단계, 필요한 단의 개수만큼 제 2,3단계를 반복하는 제 4단계, 줄눈 등 마감처리를 해주는 제 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조적용 조립체는 외관이 일반 조적재(2000)와 같고 쌓는 방식도 일반 조적재(2000)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하중을 크게 받지 않는 부위에서는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가볍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인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되는 조적재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개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일반 조적재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조적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개구부(5000) 상부의 인방(3000)위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며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폐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부(1000),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와 좌우에 인접해 있는 일반 조적재(2000)를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용 조립체부(1000)는
    일반 조적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인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개구부(5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부재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재 고정수단,
    상기 몸체부(110)의 한쪽 측면에만 형성되며 일반 조적재의 줄눈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한쪽 측면의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부재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성형 줄눈부(210),
    상기 성형 줄눈부(2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중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되며 동일한 부재간의 좌우 결합을 위한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성형 줄눈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방향으로 상기 성형 줄눈부(210)로 부터 돌출된 볼록부분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타 부재와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 돌출부(310),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중 상기 성형 줄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 오목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 돌출부(310)와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 돌출부(310)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오목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홈부(51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봉형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부 내 고정대(55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바닥부위를 따라 놓여지도록 형성되는 철선(530),
    상기 몸체부 홈부(510) 내부를 채워주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조적용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800)는
    두 개의 상기 일반 조적재(2000)간 길이방향 줄눈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일반조적재내 고정판(810);
    상기 일반조적재내 고정판(810)을 관통하는 고정판 관통구(820);
    상기 고정판 관통구(820)와 상기 홈부 내 고정대(550)를 결속시켜 주는 고정대 고정판간 결속선(830);
    을 포함하는 결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조립체.
KR1020050106750A 2005-11-09 2005-11-09 조적용 조립체 KR10058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750A KR100588167B1 (ko) 2005-11-09 2005-11-09 조적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750A KR100588167B1 (ko) 2005-11-09 2005-11-09 조적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167B1 true KR100588167B1 (ko) 2006-06-12

Family

ID=3718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750A KR100588167B1 (ko) 2005-11-09 2005-11-09 조적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1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80B1 (ko) 2007-05-16 2009-01-09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외벽
KR100985829B1 (ko) 2008-06-04 2010-10-08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KR101107310B1 (ko) 2011-08-05 2012-01-2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하는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 방법.
CN104763103A (zh) * 2015-04-11 2015-07-08 桂林理工大学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圈梁的施工方法
CN111395638A (zh) * 2020-03-23 2020-07-10 中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适合湿润地区的自保温砌块
KR20240051668A (ko) 2022-10-13 2024-04-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건축 블록의 조립구조, 조립방법 그리고 생산방법
KR20240063411A (ko) 2022-11-03 2024-05-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건축 블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80B1 (ko) 2007-05-16 2009-01-09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외벽
KR100985829B1 (ko) 2008-06-04 2010-10-08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KR101107310B1 (ko) 2011-08-05 2012-01-2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하는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 방법.
CN104763103A (zh) * 2015-04-11 2015-07-08 桂林理工大学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圈梁的施工方法
CN104763103B (zh) * 2015-04-11 2016-09-28 桂林理工大学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圈梁的施工方法
CN111395638A (zh) * 2020-03-23 2020-07-10 中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适合湿润地区的自保温砌块
KR20240051668A (ko) 2022-10-13 2024-04-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건축 블록의 조립구조, 조립방법 그리고 생산방법
KR20240063411A (ko) 2022-11-03 2024-05-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건축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167B1 (ko) 조적용 조립체
JP200913836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JP2008303538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
JP2006225878A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構造
KR100738999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그 연결 조립구조
JP2009185586A (ja) 木造耐震壁
KR101639803B1 (ko) 컨트롤 센터의 캐비닛 골조용 코너부재
JP2011117212A (ja) 構造部材の連結構造
KR200451548Y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101496283B1 (ko) 벽체-슬랩 결합구조물
KR100749906B1 (ko) 거푸집 체결용 웨지 핀
JP6100818B2 (ja) 擁壁
KR101627233B1 (ko)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JP2009191529A (ja) 不燃パネル接合構造
KR200239503Y1 (ko) 조립식 암거
JP2008111238A (ja) 補強構造
JP4438536B2 (ja) 壁パネル接合構造、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および地中連続壁
CN219498851U (zh) 一种带有安装固定结构的预埋线盒
JP2019023415A (ja) プレキャスト板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3867294B2 (ja) 外壁外断熱パネル用リブ及び外壁外断熱パネル
JP7143084B2 (ja) 防音パネル及び塀
CN211080620U (zh) 一种建筑保温模块及系统
KR200287879Y1 (ko) 방음판의 구조
KR100951014B1 (ko) 거푸집의 체결구
KR200400644Y1 (ko) 배선용 바닥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