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33B1 -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 Google Patents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33B1
KR101627233B1 KR1020150183111A KR20150183111A KR101627233B1 KR 101627233 B1 KR101627233 B1 KR 101627233B1 KR 1020150183111 A KR1020150183111 A KR 1020150183111A KR 20150183111 A KR20150183111 A KR 20150183111A KR 101627233 B1 KR101627233 B1 KR 10162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groove
slide
building blo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철
노은오
Original Assignee
서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철 filed Critical 서진철
Priority to KR102015018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기성품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높이며 용접을 통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높은 구조물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열재 및 충진재가 내부에 충진되며, 둘레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저면홈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상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는 상부 금속판;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하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저면홈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부 금속판;상기 상부 금속판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이웃하는 하부 금속판의 삽입공을 통해 몸체의 저면홈에 삽입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된 금속의 용접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플레이트와 상부 금속판은 서로 상,하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몸체끼리 밀착되거나 이웃하는 몸체가 용접플레이트 위에 적층될 때 단차진 부위에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비드홈이 형성되되, 몸체의 상면과 상부 금속판 사이에는 자석(M)이 개재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탈착수단을 통해,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슬라이드홈부;상기 슬라이드홈부의 양측에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절곡되어 슬라이드홈부의 공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설치된 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며, 양측면에는 볼스프링에 지지되는 볼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상기 슬라이드부로부터 차폐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결합요홈에 대응되는 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를 기준으로 몸체의 양측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몸체의 중공 내부로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몸체에는 중공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A green multi function building block}
본 발명은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용접을 통한 접합 시공이 가능한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에 관한 것이다.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건축 블록은 시멘트, 모래, 물을 적절히 혼합하고 이를 특정한 형태의 틀에 넣어 일정시간 굳혀서 만든 것이다.
상기 건축 블록의 형태는, 전,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관통된 중공(中空)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에는 반원형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으로 블록 벽체를 축조할 할 경우에, 상,하,좌,우 블록 사이에 반드시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공부 속으로 철근을 삽입하여 벽체를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건축 블록은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므로서, 공사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의 건축 블록을 이용한 시공은, 노동집약적 시공이므로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투입되는 인력 대비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효율적이지 못한 시공이엇던 것이다.
둘째, 현장에서 직접 건축 블록을 생산하여 시공하므로, 건축 블록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장에서 건축 블록을 바로 생산하여 시공에 사용되므로, 건축 블록의 품질을 관리하기 어려움에 따라, 모든 건축 블록의 품질이 균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건축 블록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축 블록 생산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시공 현장의 위치 구속력이 큰 문제가 있었다.
즉, 건축 블록 생산을 위한 모래, 시멘트, 물 등의 재료가 현장으로 반입되어야 함에 따라 현장 위치의 접근성이 고려되어야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각 공정별 기능공들로 인한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셋째, 숙련된 전문가만이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제한적이며 작업 인력에 따른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시공후 재시공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구조물 유지관리가 곤란하고 생애주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시공자재 확보가 곤란하여 보수 작업의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으며, 생애주기 비용증대로 인해 궁극적으로 공사비 증대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다섯째, 비영구적이며, 철거 및 해체시 자원소모가 큰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복합 블록이 공장에서 생산되어 제공되고 있다.
선행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8737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블록 상부에 돌출부와 그 저면에는 돌출부와 끼워지는 요홈을 성형하고, 블록 전면에는 평면이나 다양한 요철 입체문양이 표현된 블럭을 합성수지 사출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편리성 및 간편시공을 위한 조적용 합성수지 복합블록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돌출부와 요홈의 구성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블록 간에 결합력이 다소 떨어져 시공된 구조물의 견고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철근을 블록내에 시공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있으나, 시공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잇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87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공급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높이고, 철거 후에도 재활용될 수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 및 친환경성을 높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부와 요홈을 통한 기계적 결합 외에도, 용접을 통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 간에 결합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열재 및 충진재가 내부에 충진되며, 둘레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저면홈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상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는 상부 금속판;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하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저면홈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부 금속판;상기 상부 금속판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이웃하는 하부 금속판의 삽입공을 통해 몸체의 저면홈에 삽입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된 금속의 용접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플레이트와 상부 금속판은 서로 상,하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몸체끼리 밀착되거나 이웃하는 몸체가 용접플레이트 위에 적층될 때 단차진 부위에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비드홈이 형성되되, 몸체의 상면과 상부 금속판 사이에는 자석(M)이 개재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탈착수단을 통해,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슬라이드홈부;상기 슬라이드홈부의 양측에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절곡되어 슬라이드홈부의 공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설치된 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며, 양측면에는 볼스프링에 지지되는 볼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상기 슬라이드부로부터 차폐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결합요홈에 대응되는 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를 기준으로 몸체의 양측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몸체의 중공 내부로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몸체에는 중공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속판에는 고정공에 대응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속판의 저면에는 고정공 및 관통공을 통해 하부 금속판에 고정되는 금속의 고정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공급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여 시공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건축 블록 생산을 위한 공수가 생략되므로 작업 생산성 및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폐자재를 이용하여 충진재를 마련하고, 구조물 철거시 건축 블록을 해체하여 타구조물에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 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경제성 및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건축 블록을 이용한 조적(組積) 시공시, 용접플레이트와 금속판 사이에 용접에 의한 접합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단순 조적 시공에 비해 건축 블록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축 블록 조적시, 높이에 영향을 덜 받게 됨으로써, 건축 블록 사용이 폭 넓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공사 자재비 절감으로 공사 전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애주기 증대에 따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결합돌기 및 상부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건축 블록 조적을 이용한 시공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설계의 편의성 및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부 금속판과 몸체 사이에 자석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부 금속판과 합성수지재의 몸체 간에 이종(異種)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의 결합돌기 및 탈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이 조적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이하, '건축 블록'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건축 블록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공급되도록 ㅎ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건축 블록으로 조적(組積)된 구조물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용접 접합 시공을 가능하게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경제성 및 생애주기를 증대할 수 있다.
건축 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금속판(200)과, 용접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건축블록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에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직육면체 형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몸체(100)의 내부에는 건축 블록의 웨이트(weight)를 위한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충진재는 재생 몰탈 등 폐자재를 재활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내부에는 충진재와 더불어, 단열재 및 방습재, 방음재 등 구조물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둘레면에는 이웃하는 건축 블록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0) 및 결합요홈(120)이 형성된다.
결합돌기(110)는 몸체(1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건축 블록 간에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진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요홈(120)은 이웃하는 건축 블록의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몸체(100)의 타측면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요홈(120)은 결합돌기(110)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00)의 저면에는 저면홈(130)이 형성된다.
저면홈(130)은 후술하는 건축 블록의 상부돌기(31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몸체(100)의 저면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110)는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착수단(140)을 통해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탈착수단(140)은 결합돌기(110)가 설치되는 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드홈부(141)와, 차폐부(142)와, 볼스프링(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홈부(141)는 결합돌기(110)가 몸체(100)의 상방 또는 하방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일측면 높이 방향으로 상,하 개구되게 형성된다.
차폐부(142)는 결합돌기(110)가 몸체(100)의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드홈부(141) 상의 결합돌기(110)를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슬라이드홈부(141)의 양측에서 슬라이드홈부(141)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볼스프링(143)은 슬라이드홈부(141) 상에서 결합돌기(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슬라이드홈부(141)를 구성하는 양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즉, 볼스프링(14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을 갖고 후술하는 결합돌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볼홈에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돌기(110)는 상기 슬라이드홈부(141)에 탈착되며, 슬라이드부(111)와, 돌부(112)로 구성된다.
슬라이드부(111)는 슬라이드홈부(141)에 대응되며, 슬라이드홈부(141)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슬라이드부(111)의 양측면에는 볼스프링(143)이 위치될 수 있도록, 볼스프링(143)의 곡률에 대응되는 볼홈(111a)이 형성된다.
돌부(112)는 슬라이드부(111)로부터 차폐부(14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몸체(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이웃하는 건축 블록의 결합요홈(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00)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공(150)이 형성된다.
고정공(150)은 후술하는 금속판을 몸체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금속판(200)은 건축 블록 간에 용접 시공을 위해 마련되며,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금속판(210)과 하부 금속판(22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부 금속판(210)은 용접플레이트(300)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다.
즉, 용접플레이트(300)와 몸체(100)의 재질은 이종(異種)이므로, 상기 상부 금속판(210)을 매개로하여 용접플레이트(300)를 몸체(100)의 상부에 용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 금속판(210)의 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고정핀(211)이 형성된다.
고정핀(211)은 상부 금속판(210)을 몸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 금속판(210)과 몸체(100) 역시 이종(異種)이므로, 고정핀(211)을 몸체(100)의 고정공(150)으로 통과하여 하부 금속판(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 금속판(220)은 몸체(100)의 저면에 배치되며, 몸체(100)의 고정공(150)에 대응되는 관통공(221)이 형성된다.
관통공(221)은 상부 금속판(210)의 고정핀(211)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하부 금속판(220)에는 몸체(100)의 저면홈(130)에 대응된 삽입공(222)이 형성된다.
삽입공(222)은 상부돌기(310)가 몸체(1000의 저면홈(130)에 삽입되는 것을 하부 금속판(220)이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종(異種)의 몸체(100)와 상부 금속판(210)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몸체(100)의 상면과 상부 금속판(210) 사이에는 자석(M)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자석(M)과 상부 금속판(210) 사이에 형성된 인력(引力)에 의해, 상부 금속판(210)은 몸체(100)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몸체(10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00)의 저면과 하부 금속판(220) 사이에도 자석이 개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접 플레이트(300)는 건축 블록 간에 용접 접합을 위해 제공되며, 특히, 상방에 적층되는 건축 블록과의 용접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용접 플레이트(300)는 금속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부 금속판(21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용접 플레이트(300)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310)가 형성된다.
상부돌기(310)는 상방으로 적층된 건축 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홈(13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적층된 건축 블록간에 위치를 가이드하며, 상호 간에 유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돌기(310)는 하부금속판(220)의 삽입공(222)을 통해 저면홈(130)에 삽입이 된다.
그리고, 상부돌기(310)는 용접플레이트(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성되어 용접플레이트(3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부돌기(310)의 재질이 용접플레이트(300)와 다른 이종(異種)으로 구성될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돌기(310)와 용접 플레이트(300) 간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용접플레이트(300)는 상부 금속판(210)에 단차지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접을 위한 비드홈(B)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용접플레이트(300)가 상부 금속판(210)에 비해 크기를 작게 구성함으로써, 단차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건축 블록들을 서로 맞대었을 때, 용접플레이트(300)의 단차진 부위에는 비드홈(B)이 형성되어 용접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축 블록의 조립 및 여러 개의 건축 블록을 적층시키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100)의 상면에 상부 금속판(21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부 금속판(210)의 고정핀(211)은 몸체(1000의 고정공(150)을 통과한 후, 하부 금속판(220)의 관통공(221)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 금속판(210)은 몸체(100)의 상면에 설치된 자석(M)에 밀착이 된다.
이후, 하부 금속판(220)의 관통공(221)에 삽입된 고정핀(211)의 단부를 하부금속판(220)에 리벳팅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몸체(100)에 고정된 상부 금속판(201)에 용접플레이트(300)를 용접시킴으로써, 건축 블록 유닛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련된 건축 블록은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완성되어, 작업 현장에 복수개 제공된다.
작업자는 건축 블록을 공급받아 조적 작업을 실시한다.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건축블록을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그의 상방으로 건축 블록을 적층해가면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때, 수평한 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 블록 간에는 결합돌기(110)가 결합요홈(120)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 블록 간에는 상부돌기(310)가 저면홈(130)에 삽입이 된다.
이때, 용접플레이트(300)의 단차진 부위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블록 간에는 비드홈(B)이 형성된다.
이후, 작업자는 수평으로 이웃하는 건축 블록 및 상,하방으로 이웃하는 건축블록 사이에 용접을 실시하여 건축 블록을 접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10) 및 상부돌기(310)가 결합요홈(120) 및 저면홈(130)에 삽입되는 단순 결합을 통한 조적 작업이 아니라, 건축 블록 간에 용접을 실시하여 결합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맨 우측에 위치된 건축 블록의 결합돌기(110)는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거나, 미관상 깔끔한 느낌을 갖지 못하게 할 수 있는바, 슬라이드홈부(14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111)는 볼스프링(143)을 수축시키면서 슬라이드홈부(141)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적 작업을 위한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축 블록의 조적 작업을 통해 완성된 구조물은, 그 수요처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각종 배관 슬리브나, 배수관로, 그리고 전기 관로 분전함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전기 케이블이나 배수관이 건축블록을 통해 시공되어야 하는 경우,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내부의 중앙에는 단열재가 마련되고, 단열재의 양측에는 빈 공간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배관 및 케이블이 몸체(100)의 내부로 출입되는 출입공(160)이 형성되고, 몸체(100)의 측면에는 몸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7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관이나 케이블은 출입공(160)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출입되면서, 배관 및 배선 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한 출입공(160) 및 몸체(100)의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배관이나 케이블은 건축 블록 외측이나 내측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지 않을 뿐만아니라 파손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구조물 시공시 함께 수반될 수 있는 배관 및 배선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블록은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제작된 후 공급됨으로써 시공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되, 용접 작업을 통한 건축 블록 간에 결합력을 강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해체후에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건축 폐기물 발생이 줄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결합돌기
111 : 슬라이드부 111a : 볼홈
112 : 돌부 120 : 결합요홈
130 : 저면홈 140 : 탈착수단
141 : 슬라이드홈부 142 : 차폐부
143 : 볼스프링 150 : 고정공
160 : 출입공 170 : 도어
200 : 금속판 210 : 상부 금속판
211 : 고정핀 220 : 하부 금속판
221 : 관통공 222 : 삽입공
300 : 용접 플레이트 310 : 상부돌기
B : 비드홈 M : 자석

Claims (4)

  1. 단열재 및 충진재가 내부에 충진되며, 둘레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저면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상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는 상부 금속판;
    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하방으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저면홈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부 금속판;
    상기 상부 금속판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이웃하는 하부 금속판의 삽입공을 통해 몸체의 저면홈에 삽입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된 금속의 용접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플레이트와 상부 금속판은 서로 상,하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몸체끼리 밀착되거나 이웃하는 몸체가 용접플레이트 위에 적층될 때 단차진 부위에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비드홈이 형성되되,
    몸체의 상면과 상부 금속판 사이에는 자석(M)이 개재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탈착수단을 통해,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슬라이드홈부;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양측에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절곡되어 슬라이드홈부의 공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설치된 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며, 양측면에는 볼스프링에 지지되는 볼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로부터 차폐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결합요홈에 대응되는 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를 기준으로 몸체의 양측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몸체의 중공 내부로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몸체에는 중공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속판에는 고정공에 대응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속판의 저면에는 고정공 및 관통공을 통해 하부 금속판에 고정되는 금속의 고정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3. 삭제
  4. 삭제
KR1020150183111A 2015-12-21 2015-12-21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KR10162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11A KR101627233B1 (ko) 2015-12-21 2015-12-21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11A KR101627233B1 (ko) 2015-12-21 2015-12-21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233B1 true KR101627233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111A KR101627233B1 (ko) 2015-12-21 2015-12-21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87U (ko) * 1996-09-14 1997-01-24 장종철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9990078737A (ko) 1999-08-03 1999-11-0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 복합블럭
KR20040030756A (ko) * 2004-02-26 2004-04-09 조부호 (철판)으로 테두리를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
KR101091795B1 (ko) * 2009-04-10 2011-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황토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체
KR20140016720A (ko) * 2012-07-31 2014-02-10 주식회사 더프라임개발 칸막이 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87U (ko) * 1996-09-14 1997-01-24 장종철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9990078737A (ko) 1999-08-03 1999-11-05 기승철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 복합블럭
KR20040030756A (ko) * 2004-02-26 2004-04-09 조부호 (철판)으로 테두리를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
KR101091795B1 (ko) * 2009-04-10 2011-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황토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체
KR20140016720A (ko) * 2012-07-31 2014-02-10 주식회사 더프라임개발 칸막이 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31B1 (ko)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1279379B1 (ko)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13453B1 (ko)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CN104179278A (zh) 预制外挂墙板用隐藏式二合一干式连接节点
KR20170030108A (ko) 조립식 거푸집 및 제작 방법
KR20180072256A (ko) 3차원 프린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8309A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의 조립식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1627233B1 (ko) 친환경 다기능 건축 블록
KR101294909B1 (ko)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0588167B1 (ko) 조적용 조립체
KR101142183B1 (ko) 더블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보-슬래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JP2011089382A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100620363B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KR101320709B1 (ko) 보강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JP5091624B2 (ja) 補強構造
JP4563137B2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製永久型枠
KR20170036949A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KR20090073703A (ko) 슬래브 매립형 박스 및 그 설치 방법
KR20170029713A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KR101676469B1 (ko) 토목 및 건축구조물 내,외벽용 합성수지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콘크리트 패널 제작방법 그리고 토목 및 건축구조물 내,외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