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202B1 -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202B1
KR101767202B1 KR1020150114562A KR20150114562A KR101767202B1 KR 101767202 B1 KR101767202 B1 KR 101767202B1 KR 1020150114562 A KR1020150114562 A KR 1020150114562A KR 20150114562 A KR20150114562 A KR 20150114562A KR 101767202 B1 KR101767202 B1 KR 10176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upper portion
present
reinforcing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642A (ko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102015011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2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지는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로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공포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단턱 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 및 상기 상부 소로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부 끝단이 단턱 결합부에 밀착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하부 소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를 분리형성하면서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의 제작과 함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를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Still Thoreau reinforc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포에 적용되는 소로를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포는 처마를 안정되게 받치며 그 무게를 기둥이나 벽으로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주두, 제공, 소로, 첨차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포는 설치되는 위치와 결합 방법에 따라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익공 양식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주심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이는 양식이고,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라는 횡부재가 기둥머리를 파고 놓여지며, 창방의 중앙에는 화반이나 포벽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놓여지는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양식으로 지붕의 무게가 기둥뿐만 아니라 벽을 통하여도 전달되므로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횡부재인 창방만으로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워 창방 위에 평방이라는 횡부재를 하나 더 올려놓고 그 위에 공보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익공 양식은 기둥 위의 밖으로는 쇠서의 형태로 그리고 안으로는 보아지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부재를 기둥머리에 맞물리게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과 쇠서를 짜서 공포를 꾸미는 형식이며, 익공은 놓여지는 쇠서의 수에 따라 초익공과 이익공으로 구분된다.
한편, 첨차·제공·장여 등이 중첩되거나 교차되는 곳으로 중첩되는 부재의 양끝이나 중앙 지점 또는 교차되는 부재의 중심부에는 소로가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로는 목재로 제작되고 첨차·제공·장여 등의 형상에 따라 상부와 하부가 여러 가지고 형성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로는 목재로 제작됨에 따라 습기나 햇빛에 취약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로는 날씨 및 기후에 민감하여 파손에 따른 교체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로는 목재로 제작됨에 따라 단순한 곡선 이외의 복잡한 곡선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1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5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를 분리형성하면서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의 제작과 함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내부에 일체 또는 분리형성되는 보강재를 삽입장착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는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지는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로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공포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단턱 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 및 상기 상부 소로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부 끝단이 단턱 결합부에 밀착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하부 소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지는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로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 ┬ "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소로; 및 "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소로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끼움 결합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하부 소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내부 공간에는 격자 또는 우물 정(井)자 형상의 보강재가 삽입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는 다수개의 보강부재로 구성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연결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제조방법은 프레스를 통해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공포재 삽입홈 또는 평판이 형성되는 상부 소로를 형성하는 상부 소로 형성단계; 프레스를 통해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하부 소로를 형성하는 하부 소로 형성단계;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를 결합하는 소로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로 결합단계 전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재를 삽입하는 보강재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를 분리형성하면서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 소로 및 하부 소로의 제작과 함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를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내부에 일체 또는 분리형성되는 보강재를 삽입장착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보강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차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보강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지는 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면서도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로 분리구성하여 제작 시간 및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본원발명인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 및 보강재(50)로 대별된다.
상기 상부 소로(30)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에는 공포재 삽입홈(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단턱 결합부(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소로(30)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공포재(2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공포재 삽입홈(3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부 소로(40)와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는 단턱 결합부(34)를 형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소로(30)는 프레스를 통한 절곡 성형을 통해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공포재 삽입홈(32)과 단턱 결합부(34)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보강재(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6)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소로(30)의 형성 및 상부에 형성되는 공포재 삽입홈(32)은 공포재(20)의 형상과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도시된 도면 형상 이외에도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하부 소로(40)와 결합되는 단턱 결합부(34)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단턱 수평면(34a)과 단턱 수직면(34b)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외에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하부 소로(40)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 끝단(42a)이 단턱 결합부(34)에 밀착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경사면(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소로(40)는 프레스를 통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상부 소로(30)와 결합되는 하부 소로 결합부(42)을 형성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원활한 결합 및 무게 감소를 위하여 경사면(44)을 형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하부 소로(40)는 프레스를 통한 절곡 성형을 통해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에 하부 소로 결합부(42)와 경사면(44)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보강재(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46)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소로 결합부(42)의 상부 끝단(42a)은 단턱 결합부(34)의 단턱 수평면(34a)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소로(40)의 경사면(44)은 공포재(20)의 형상과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직각 또는 곡면 형상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보강재(50)는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포재(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보강재(50)는 상부 소로(30)의 수용공간(36)과 하부 소로(40)의 수용공간(46)에 일부가 각각 삽입장착되어 상기 상부 소로(30)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공포재(2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내부에 수용되는 보강재(50)는 도시된 도면의 격자 또는 우물 정(井)자 형상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50)를 격자 또는 우물 정자로 형성한 것은 상부 소로(30)를 거쳐 전달하는 공포재(20)의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보강재(50)는 일체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8 및 9와 같이 다수개의 보강부재(52)로 구성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재(50)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공포재(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보강부재(52)를 결합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격자 또는 우물 정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를 구성하는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연결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돌기(38)와 끼움 결합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연결 부분인 단턱 결합부(34)의 외측면과 하부 소로(40)의 상부 내측면에는 끼움 결합돌기(38)와 끼움 결합홈(48)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연결 부분에 끼움 결합돌기(38)와 끼움 결합홈(48)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를 원활하게 결합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도시된 도 6 및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상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를 분리구성하여 제작 시간 및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 및 보강재(500)로 대별된다.
즉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를 "
Figure 112015078646731-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바닥에 접지면을 넓게 함으로써 지붕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도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는 " ┬ " 자 형상의 상부 소로(300)와 " ┴ "자 형상의 하부 소로(400)를 상, 하부에 배치시킨 후 끼움 결합, 볼팅 결합, 용접 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00)는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의 내부에 일부가 각각 삽입장착되어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견디면서도 상기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부 소로(300)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 ┬ "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소로(300)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알파벳 " T "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고, 하부에는 하부 소로(400)와 결합되면서도 내부의 수용공간(340)으로 보강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결합부(320)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소로(400)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하부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소로(400)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알파벳 " ┴ "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고, 상부에는 상부 소로(300)의 상부 결합부(320)와 결합되면서도 내부의 수용공간(440)으로 보강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결합부(420)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재(500)는 상부 소로(300)와 하부 소로(4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포재(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보강재(500)는 상부 소로(300)의 수용공간(340)과 하부 소로(400)의 수용공간(340)에 일부가 각각 삽입장착되어 상기 상부 소로(30)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공포재(2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일체 또는 분할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제조방법(S100)은 상부 소로 형성단계(S200), 하부 소로 형성단계(S300), 보강재 삽입 단계(S400), 소로 결합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제조방법(S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소로 형성단계(S200)는 프레스를 통해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공포재 삽입홈(32) 또는 평판이 형성되는 상부 소로(30, 3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상부 소로 형성단계(S200)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공포재(2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공포재 삽입홈(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소로(40)와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는 단턱 결합부(34)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30)를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알파벳 " T "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고, 하부에는 하부 소로(400)와 결합되면서도 내부의 수용공간(340)으로 보강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결합부(320)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300)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 소로 형성단계(S300)는 프레스를 통해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하부 소로(40, 4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하부 소로 형성단계(S300)는 프레스를 통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부에 상부 소로(30)와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42)가 형성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원활한 결합 및 무게 감소를 위하여 경사면(44)이 형성되는 하부 소로(30)를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스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알파벳 " ┴ "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고, 상부에는 상부 소로(300)의 상부 결합부(320)와 결합되면서도 내부의 수용공간(440)으로 보강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결합부(420)가 형성되는 하부 소로(400)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강재 삽입 단계(S400)는 상부 소로(30, 300)와 하부 소로(40, 400)의 내부에 보강재(50, 500)를 삽입장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보강재 삽입 단계(S400)는 상부 소로(30, 300)의 수용공간(36, 340)과 하부 소로(40)의 수용공간(46, 440)에 보강재(50, 500)가 일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소로(30, 300)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공포재(20)의 하중에 견디면서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로 결합단계(S400)는 상부 소로(30, 300)와 하부 소로(40, 4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소로 결합단계(S400)는 상부 소로(30, 300)의 수용공간(36, 340) 또는 하부 소로(40)의 수용공간(46, 440)에 보강재(50, 500)를 삽입한 후 상기 상부 소로(30, 300)와 하부 소로(40, 400)를 결합하여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를 완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에는 공포재 삽입홈(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단턱 결합부(34)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30)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 끝단(42a)이 단턱 결합부(34)에 밀착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경사면(44)이 형성되는 하부 소로(4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소로(30)의 수용공간(36) 또는 하부 소로(40)의 수용공간(46)으로 격자 또는 우물 정(井)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재(50)를 삽입장착한 후 상기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를 결합하면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상기 상부 소로(30)와 하부 소로(40)의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달라짐을 다시 한번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소로(20)와 하부 소로(30) 및 보강재(50)가 결합된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10)를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20)의 하부에 설치하면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는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가 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20 : 공포재,
30 : 상부 소로, 32 : 공포재 삽입홈,
34 : 단턱 결합부, 34a : 단턱 수평면,
34b : 단턱 수직면, 36 : 수용공간,
40 : 하부 소로, 42 : 하부 소로 결합부,
44 : 경사면,
50 : 보강재.

Claims (7)

  1. 장여나 살미, 첨차, 쇠서, 익공 등 공포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지는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로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공포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단턱 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소로; 및
    상기 상부 소로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부 내측으로 상기 단턱 결합부가 삽입되고, 하부 모서리 둘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하부 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내부 공간에는 격자 또는 우물 정(井)자 형상의 보강재가 삽입장착되며,
    상기 보강재는 다수개의 보강부재로 구성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상부 소로와 하부 소로의 연결 부분인, 단턱 결합부의 외측면과 하부 소로의 상부 내측면에는 끼움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14562A 2015-08-13 2015-08-13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62A KR101767202B1 (ko) 2015-08-13 2015-08-13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62A KR101767202B1 (ko) 2015-08-13 2015-08-13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42A KR20170020642A (ko) 2017-02-23
KR101767202B1 true KR101767202B1 (ko) 2017-08-11

Family

ID=5831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562A KR101767202B1 (ko) 2015-08-13 2015-08-13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0080B2 (en) 2017-06-12 2022-03-22 Peter James Bucklitsch Kit for defining a recess for a single or multi-way joint
GB2554967B (en) 2017-06-12 2020-12-09 Eqrbs Ltd A joi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27Y1 (ko) * 2004-06-15 2004-08-30 전주시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580A (ko) 2010-07-29 2012-02-08 이영언 한옥의 지붕구조
KR101374163B1 (ko) 2013-06-13 2014-03-2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덧서까래형 한옥지붕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27Y1 (ko) * 2004-06-15 2004-08-30 전주시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42A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9241B (zh) 加固混凝土板
KR101767202B1 (ko)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7435394A (zh) 一种隔墙及其连接结构
CN102235086A (zh) 钢管结合装置
US20170260797A1 (en) Plug-in connector
US9340238B2 (en) Extrusion
KR101179442B1 (ko) 1방향 장선슬래브용 pc슬래브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N107972806B (zh) 一种双曲外板的保型方法及双曲外板结构
CN101723227B (zh) 乘客传送设备
JP6059418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建物の製造方法
KR101209891B1 (ko) 한옥용 조합기둥
KR101411514B1 (ko) 전통한식 sbr 구조보 서까래, 상기 서까래 제조방법 및 상기 서까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73046B1 (ko) 정자 마루틀 지지구조
KR101514261B1 (ko)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82232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KR101909679B1 (ko)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JP2007270504A (ja) 建物の骨組
CN100537952C (zh) 一种塑料薄壁盒
KR101360361B1 (ko)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CN204299087U (zh) 一种底部连接有脚板架的立柱
CN204299083U (zh) 一种连接有脚板架和扶手立柱连接件的立柱
KR101574628B1 (ko) 철골보 단부의 압축 보강구조
KR0153719B1 (ko) 중간판이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 및 그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211883B1 (ko) 조립식 씨-형강
JP564043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建て込み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梁架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