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580A - 한옥의 지붕구조 - Google Patents

한옥의 지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580A
KR20120011580A KR1020100073485A KR20100073485A KR20120011580A KR 20120011580 A KR20120011580 A KR 20120011580A KR 1020100073485 A KR1020100073485 A KR 1020100073485A KR 20100073485 A KR20100073485 A KR 20100073485A KR 20120011580 A KR20120011580 A KR 20120011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ok
roof
roof structure
rafters
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언
김승직
Original Assignee
이영언
김승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언, 김승직 filed Critical 이영언
Priority to KR102010007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1580A/ko
Publication of KR2012001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에 결구되는 처마도리와, 지붕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용마루가 얹혀 놓여지는 종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와 상기 중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에 결구되는 복수의 서까래를 구비하는 한옥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까래 중 상기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서까래는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서는 전통 한옥지붕구조의 서까래 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에서 맛볼 있는 전통 고유의 멋을 발현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지붕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서까래 부재를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자재의 수급이 용이하여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처마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종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붕 슬래브에 세워 설치되는 평고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평고대 사이에는 상기 평고대를 지지하는 트러스 각재가 설치되어, 일반 건축구조물을 리모델링하여 한옥의 지붕구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한옥 지붕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옥의 지붕구조{ROOF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본 발명은 한옥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의 지붕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서까래 부재를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지붕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의 수급도 용이한 부재로 대체할 수 있는 한옥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옥은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 건축양식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물을 말하는데, 이러한 한옥의 건축유형으로는 크게 성곽, 궁궐, 관아, 사찰, 마을, 살림집, 유교건축 및 원림과 누정 등이 있다. 아울러, 한옥의 건축구조로는 보식, 귀틀식, 천두식, 조적식 및 일체식 등 그 구조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고 한옥다운 멋이 살아나는 대표적인 구조가 보식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한옥이 다소 불편하다는 인식 때문에 일반 수요자들에게 외면 되었으나 개성을 존중하고 환경친화적인 건물을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크게 각광 받고 있는 실정이며, 한옥에 대한 수요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한국의 전통 한옥의 시공방법으로는, 우선 건축하고자 하는 터를 조성하고, 그 터에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를 선정하여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춧돌을 세우고, 그 주춧돌 위에 기둥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후,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공간구조에서 주춧돌과 기둥사이의 공간에 마루 및 온돌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며, 기둥과 기둥 그리고 중간보 사이의 공간을 흙벽돌 또는 창문 문틀 소재로 막아 벽을 형성하여 방을 형성하거나 마루 등을 구획하는 구조이고, 대들보와 중간보 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여 기와를 사용하는 지붕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러한 전통 한옥의 지붕구조로는, 목구조 전통한옥의 일반적인 지붕구조는 기둥위에 보와 도리를 걸고 보위에 동자주와 대공을 세워서 그 위에 중도리와 종도리를 설치하여 서까래를 건다. 서까래 위에는 개판을 덮거나 산자를 엮어 덮고 알매흙을 깔아 기와를 덮어 마감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통 한옥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지붕가구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부재는 서까래이고, 지붕의 모든 하중이 서까래를 거처 종도리와 중도리 동자주로 전달되어 보에 집중하중으로 작용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통 한옥 지붕구조에 있어서는,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의 서까래를 설치하게 되고, 서까래도 처마끝에서 용마루 끝까지 설치하므로 자재가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통 한옥 지붕구조에 설치되는 서까래는, 주로 3~4m길이의 원통형 통나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지붕의 시공시 작업자가 운반하거나 지붕위로 들어 올리거나 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작업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목조 재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설치를 요하는 서까래의 부재 수만큼의 자재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서는 전통 한옥지붕구조의 서까래 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에서 맛볼 있는 전통 고유의 멋을 발현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지붕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서까래 부재를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자재의 수급이 용이하여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옥의 지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건물 등 일반 건축구조물의 상부에 전통의 멋을 발현할 수 있는 한옥 지붕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 일반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한옥 지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지붕구조는, 기둥에 결구되는 처마도리와, 지붕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용마루가 얹혀 놓여지는 종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와 상기 중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에 결구되는 복수의 서까래를 구비하는 한옥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까래 중 상기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서까래는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중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하단 서까래의 폭 방향의 양측에 결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2×4 인치 또는 2×10 인치로 규격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옥의 지붕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처마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종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붕 슬래브에 세워 설치되는 평고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평고대 사이에는 상기 평고대를 지지하는 트러스 각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한옥 지붕구조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서는 전통 한옥지붕구조의 서까래 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에서 맛볼 있는 전통 고유의 멋을 발현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지붕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서까래 부재를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자재의 수급이 용이하여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건축구조물을 리모델링하여 한옥의 지붕구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한옥 지붕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지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 건축물의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한 한옥 지붕구조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통적인 한옥의 지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전통적인 한옥의 지붕구조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지붕구조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지붕구조(1)는, 처마도리와, 종도리와, 중도리와, 서까래(14, 20)와, 처마부(10)와, 기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리는 서까래 바로 밑에 길게 놓인 부재로서, 건물 외곽의 기둥 위에 놓이는 도리를 처마도리라 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심도리라고도 한다.
또한, 지붕의 가장 높은 곳인 용마루가 있는 부분에 놓이는 도리를 종도리라 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심도리라고도 한다.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도리가 설치되며, 상기 중도리는 삼량가에는 설치되지 않지만 오량가에서는 동자주 위에 설치된다.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의 상부에는 도리를 가로지르며 결구되는 긴 부재로서 지붕의 하중을 받는 서까래가 설치된다. 삼량가인 경우 서까래는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종도리에 한 단만 걸치면 되지만, 오량가에서는 상기 처마도리에서 상기 중도리까지 걸치는 것과 상기 중도리에서 상기 종도리까지 두 단의 서까래가 걸린다. 여기서, 상기 처마도리에서 상기 중도리까지 걸치는 하단의 서까래를 장연이라 하고, 장연의 서까래가 기둥밖으로 빠져나오는 처마내밀기가 있고 외부로 노출되며, 상단 서까래인 단연보다 길게 구성된다. 또한, 칠량 이상의 가구에서는 상기 하단서까래(장연)와 상기 상단 서까래(단연) 사이에도 서까래(중연)가 걸린다.
상술하 바와 같이, 서까래는 지붕의 기본적인 구조로서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예를 들면 3~4m길이의 원통형 통나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처마끝에서 용마루 끝까지 설치하므로 자재가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서까래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되므로, 기둥부재도 이에 따라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서까래를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서까래(14)는 종래의 한옥 지붕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통나무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이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서는 전통 한옥지붕구조의 서까래 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에서 맛볼 있는 전통 고유의 멋을 발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서까래와 상기 중연의 경우에는, 한옥의 건물 내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건물의 내부에 해당되는 방에 있어서는 천정을 설치하여 서까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서까래 중 상기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서까래(20)는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되는 서까래는, 도 6에 나타낸 중연과 단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예를 들면 2×4 인치 또는 2×10 인치로 공장에서 규격화되어 생산된 미송 재질의 것을 설치 현장에 반입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중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하단 서까래(14)의 폭 방향의 양측에 결구되도록 구성하여, 경량의 각재를 사용하면서도 지붕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서까지 중량이 무거우면서도 고가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재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경량이어서 운반 및 지붕 위로의 이송이 간편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서까래의 끝단에는 처마부(1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마부(10)는 평고대(12a)와, 부연(12)과 개판(13)과 사래(11) 및 추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평고대(12a)는 추녀와 추녀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곡선부재이고, 홑처마인 경우에는 상기 평고대 위에 연함을 올리고 바로 기와를 얹지만 겹처마인 경우에는 상기 평고대 위에 부연(12)을 건다. 상기 부연은 서까래만 가지고는 처마를 깊이 빼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서까래 끝에 설치되는 방형단면의 짧은 서까래이다.
상기 서까래나 상기 부연 사이에는 상기 개판(13)을 깐다. 상기 개판은 서까래에 못을 박아 고정하며, 상기 개판 대신에 싸리나무나 수수깡 등을 새끼로 엮어 까는 산자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개판의 상부에는 흙을 보토다짐한 후 강화다짐하고, 상기 흙의 상부에는 기와를 설치한다.
또한, 지붕의 모서리에는 추녀(11a)를 설치하고, 부연이 있는 겹처마인 경우에는 부연 길이와 대략 동일한 짧은 추녀인 사래(11)를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지붕구조는 하부구조가 목조건물 또는 한옥에 적용되지만,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한옥의 지붕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처마도리를 기둥의 상부에 설치하지 않고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붕 슬래브의 끝단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전통방식의 한옥 구조물에서 대들보의 위에 설치되는 평고대(16)를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붕 슬래브에 세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종도리를 상기 평고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이 때, 전통방식의 한옥 구조물의 종보에 상당하는 지지부재(15)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평고대 사이에는 상기 평고대를 지지하는 트러스 각재를 설치하여, 상기 평고대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일반 건축구조물을 리모델링하여 한옥의 지붕구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한옥 지붕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한옥 지붕구조
10 : 처마부
14 : 하단 서까래
16 : 평고대
20 : 장방형 각재

Claims (4)

  1. 기둥에 결구되는 처마도리와, 지붕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용마루가 얹혀 놓여지는 종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와 상기 중도리와 상기 처마도리에 결구되는 복수의 서까래를 구비하는 한옥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까래 중 상기 중도리와 상기 종도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서까래는 장방형의 각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지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상기 처마도리와 상기 중도리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하단 서까래의 폭 방향의 양측에 결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지붕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의 각재는 2×4 인치 또는 2×10 인치로 규격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지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옥의 지붕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처마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종도리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붕 슬래브에 세워 설치되는 평고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평고대 사이에는 상기 평고대를 지지하는 트러스 각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지붕구조.

KR1020100073485A 2010-07-29 2010-07-29 한옥의 지붕구조 KR20120011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85A KR20120011580A (ko) 2010-07-29 2010-07-29 한옥의 지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85A KR20120011580A (ko) 2010-07-29 2010-07-29 한옥의 지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80A true KR20120011580A (ko) 2012-02-08

Family

ID=4583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485A KR20120011580A (ko) 2010-07-29 2010-07-29 한옥의 지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15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163B1 (ko) * 2013-06-13 2014-03-2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덧서까래형 한옥지붕 및 그 제작방법
KR101580133B1 (ko) 2015-07-23 2015-12-28 이경택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KR20170020642A (ko) 2015-08-13 2017-02-23 권오영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341B1 (ko) * 2019-09-06 2020-11-0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서강종합 10m 이상급 대공간 한옥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163B1 (ko) * 2013-06-13 2014-03-2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덧서까래형 한옥지붕 및 그 제작방법
KR101580133B1 (ko) 2015-07-23 2015-12-28 이경택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KR20170020642A (ko) 2015-08-13 2017-02-23 권오영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341B1 (ko) * 2019-09-06 2020-11-0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서강종합 10m 이상급 대공간 한옥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42B1 (ko) 정자
CN202324688U (zh) 救灾安置活动房
KR101286278B1 (ko) 한옥지붕구조
KR20120011580A (ko) 한옥의 지붕구조
KR100890342B1 (ko)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74163B1 (ko) 덧서까래형 한옥지붕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30885A (ko)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US4171600A (en) Process for constructing modular building and resulting product
KR100715341B1 (ko) 지붕창이 구비된 건축구조물
KR101242016B1 (ko) 한옥 골격용 목재프레임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0976970B1 (ko) 한옥(韓屋)의 기와지붕 구조 시공방법
CN104213632B (zh) 提拔式建筑及其建筑方法
EP2770131B1 (en) An Improved Roofing Arrangement
KR100979060B1 (ko) 2중바닥구조의 한옥지붕 결구(結構)방법
JP7044470B2 (ja) 建物
WO2007122377A1 (en) A sun lounge building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sun lounge building
RU123432U1 (ru) Купол куль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CN219316194U (zh) 一种钢混结构装配式房屋构造
JP3203267U (ja) 地震と温暖化に対応する建物
GB2471336A (en) Straw bale and steel building construction
JP2003119881A (ja) 建築部材の製造法、建築工法、建築構造及び足場パイプ
KR20070090862A (ko) 콘크리트구조와 나무서까래
JP3876423B2 (ja) 建築工法、建築構造及び足場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