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79B1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9679B1 KR101909679B1 KR1020160157364A KR20160157364A KR101909679B1 KR 101909679 B1 KR101909679 B1 KR 101909679B1 KR 1020160157364 A KR1020160157364 A KR 1020160157364A KR 20160157364 A KR20160157364 A KR 20160157364A KR 101909679 B1 KR101909679 B1 KR 101909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r
- spacers
- coupling
- coupling bar
- support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다 수개의 스페이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타 스페이서 유닛과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시공현장에서 스페이서를 별도로 고정시켜야 될 필요가 없어 인력과, 작업시간 및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를 일체화된 유닛으로 구성하고, 각 유닛별로 상호 체결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시공 시간 및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저층 건물이나 고층 건물의 건축시 층과 층 사이에는 반드시 바닥 슬래브를 사용하며 이때 철근, 철선, 철사 및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된다.
통상 콘크리트는 압축 강도는 대단히 크나,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 작용시 콘크리트는 인장력을 받지 못하므로 이를 철근이 대신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슬래브 내부에 철선을 엮어 만든 트러스(TRUSS) 구조물이 내장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 산정은 건물바닥 적재하중, 고정하중, 지진하중, 풍하중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슬래브 건축구조물은 콘크리트를 부어 슬래브를 형성하게 되면, 그 철근 구조물이 슬래브 내부에 매설되어 굽힘 및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 발생을 차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고층 건물의 건축시 사용되는 슬래브 구조물은 다양한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로 인한 큰자중 때문에 철근량이 과다하게 필요하게 되어 왔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중 증가로 인하여 철근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오일 가격 및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철근 및 콘크리트 재료의 단가가 증가하여 건설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채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근과 콘크리트의 생산시 발생되는 이산화 탄소(CO2)는 각종 환경 규제의 대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래브 구조물에서 내측에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사용량의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이용한 슬래브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였다. 이는 하기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스페이서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페이서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물은 슬래브 층 내부에 스페이서(2) 및 스페이서 끼움틀(5)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페이서(2)는 슬래브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기둥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판(4)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및 고정되는 철근 및/또는 철선(3)의 상면에 다 수개가 정렬되고, 정렬된 스페이서(2)들의 상면에 다시 철근 및/또는 철선(3)이 설치된 이후에 콘크리트(1)가 타설된다.
스페이서 끼움틀(5)은 지지판(4)에 정렬되는 다 수개의 스페이서(2)의 간격유지 및 고정시킨다. 여기서 스페이서 끼움틀(5)은 스페이서(2)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직선방향의 철사와, '역 U' 자형의 철선이 체결되면서 스페이서(2)의 상측과 전후방측에서 각각 힘을 가하여 스페이서(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슬래브 구조물은 내측에 스페이서 끼움틀(5)에 의해 고정된 다 수개의 스페이서(2)에 콘크리트(1)가 타설됨에 콘크리트(1) 타설량의 절감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페이서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물은 스페이서들 구조가 상호간에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구성임에 따라 지지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 끼움틀과 같은 장치가 추가로 사용되어야 함에 따라 인력과, 시간 및 자재가 추가되어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 구조물에서 스페이서의 시공 및 설치를 위한 시간과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는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부를 각각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복 수개의 스페이서와, 하부를 각각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복 수개의 스페이서들이 상호 결합되어 타 스페이서 유닛과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스페이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부는 개방된 상부 상면과, 상기 상부 상면에서 하향연장되는 상부 벽면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상부 바닥면을 구비하여 내측 빈공간을 이루는 상부지지기둥과,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개방된 상부 상면을 밀폐시켜 상부지지기둥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상부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와 관통된 결합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개방된 하부 바닥면과, 상기 하부 바닥면에서 상향 연장된 하부 벽면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상부 바닥면에 밀착 또는 체결되는 하부 상면을 구비하여 중력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지지기둥과,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개방된 하부 바닥면을 밀폐시켜 하부지지기둥의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하부 상면에서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상부지지기둥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스페이서를 일체화시키고, 일체화된 스페이서 유닛들을 상호간에 결합할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 스페이서를 별도로 고정시켜야 될 필요가 없어 인력과, 작업시간 및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에서 결합바의 체결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에서 결합바의 체결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화된 스페이서 유닛(10, 10')을 다 수개 포함한다. 여기서 스페이서 유닛(10, 10')은 다 수개가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스페이서 유닛(10, 10')은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와,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200)와, 타 스페이서 유닛(10, 10')과 체결되는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00, 100', 100'', 100''')는 상부(110)와 하부(12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서 내측에 빈공간을 이룬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00, 100', 100'', 100''')는 상하측에서 각각 분리되는 상부(110)와 하부(120)를 포함한다.
이중, 상부(110)는 반원형의 외면을 이루는 제1본체(113)와, 제1본체(113)의 내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부지지기둥(114)과, 상부지지기둥(114)을 밀폐시키는 상부커버(111)와, 상부(110)의 숨구멍을 형성하는 다 수개의 제1통기공(112)을 포함한다.
제1본체(113)는 반원형으로서 외면을 이루어 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상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본체(113)의 외면은 상술한 고정바(200)와 연결부(300)가 각각 형성된다.
제1통기공(112)은 상부커버(111)를 포함하는 상부(110) 전체에 걸쳐 다 수개가 형성되어 슬래브 구조물의 공기 순환 및 유입된 수분의 배수를 위하여 관통형성된다.
상부지지기둥(114)은 상면(상부 상면)이 개방되어 제1본체(113)의 내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부 벽면(114d)과, 상부 벽면(114d)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상부 바닥면(114e)을 구비하여 내측에서 빈공간을 이룬다. 그러므로 상부지지기둥(114)은 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때, 상부지지기둥(114)은 상부 바닥면(114e)에서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114a) 또는 내향된 결합공(114b)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스페이서(100)의 상부지지기둥(114)은 결합돌기(114a)가 형성되고, 제2스페이서(100')의 상부지지기둥(114)은 결합공(114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14a)와 결합공(114b)은 후술되는 하부지지기둥(124)에 형성된 결합돌기(124a)와 결합공(124b)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기둥(114)은 상부 바닥면(114e)에서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114a) 또는 내향된 결합공(114b)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스페이서(100)의 상부지지기둥(114)은 결합돌기(114a)가 형성되고, 제2스페이서(100')의 상부지지기둥(114)은 결합공(114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14a)와 결합공(114b)은 후술되는 하부지지기둥(124)에 형성된 결합돌기(124a)와 결합공(124b)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지지기둥(114c)은 제1통기공(112)을 통하여 유입된 수분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제1배수홀(114c)(11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홀(114c)은 수분의 배수를 위하여 하부지지기둥(124)에 밀착되는 상부 바닥면(114e)에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111)는 상부지지기둥(114)이 연장되는 제1본체(113)의 개방된 상부 상면을 밀폐시킨다. 이때, 상부커버(111)는 제1본체(113)에 억지 끼움식으로 체결되거나 돌기와 홈을 이용한 끼움식 구조를 구성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끼움식 구조는 상부커버(111)의 하면에서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제1본체(113)에서 상부지지기둥(114)의 상측 외주면에서 상부커버(111)에서 돌출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120)는 반원형의 내면을 이루어 제1본체(113)의 하측에 체결되는 제2본체(123)와, 제2본체(123)의 내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하부지지기둥(124)과, 하부(120)의 전체 영역 또는 하부커버(121)에 복 수개가 관통형성되어 숨구멍 및 배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2통기공(122)을 포함한다.
제2통기공(122)은 하부 전역에 걸쳐 다 수개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고, 제1통기공(112)과 함께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숨구멍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슬래브 구조물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포함된 수분이 스페이서 의 내부로 유입되어 잔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통기공(112)과 제2통기공(122)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2본체(123)는 반원형의 내면을 이루어 제1본체(113)의 하측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2본체(123)는 바닥면의 외측에서 상향된 벽면을 이루어 상면이 개방된다. 즉, 제2본체(123)는 제1본체(113)와 체결되어 내측에 빈공간을 이룬다.
하부지지기둥(124)은 제2본체(123)의 중심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1본체(113)의 상부지지기둥(114)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부지지기둥(114)과 함께 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지지기둥(124)은 개방된 하부 바닥면에서 상향 연장된 하부 벽면(124d)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된 하부 상면(124e)을 구비한다.
또한, 하부지지기둥(124)은 하부 상면(124e)에서 상향 돌출되는 결합돌기(124a)와, 내향된 결합공(124b)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기둥(124)의 하부 상면(124e)에 형성된 결합돌기(124a)와 결합공(124b)은 상부지지기둥(114)의 상부 바닥면(114e)에 형성된 결합돌기(114a)와 결합공(114b)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하부지지기둥(124)은 하부 상면(124e)에서 상향 돌출되는 결합돌기(124a)와, 내향된 결합공(124b)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기둥(124)의 하부 상면(124e)에 형성된 결합돌기(124a)와 결합공(124b)은 상부지지기둥(114)의 상부 바닥면(114e)에 형성된 결합돌기(114a)와 결합공(114b)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면, 하부지지기둥(124)의 결합돌기(124a)는 상부지지기둥(114)의 결합공(114b)에 삽입되고, 하부지지기둥(124)의 결합공(124b)은 상부지지기둥의 결합돌기(114a)가 삽입된다.
즉, 제1본체(113)와 제2본체(123)는 상부지지기둥(114)과 하부지지기둥(124)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114a, 124a)가 결합공(114b, 124b)에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아울러, 하부지지기둥(124)은 상부지지기둥(114)의 제1배수홀(114c)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이 유입되어 하부커버(121)에 형성된 제2통기공(12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지지기둥(114)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상면에서 하나 이상의 제2배수홀(12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각 스페이서(100, 100', 100'', 100''')에서 하나 이상이 연장되는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는 각 스페이서(100, 100', 100'', 100''')별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스페이서(100)의 제1본체(11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 수개의 제1결합바(310)가 형성되고, 제1스페이서(100)의 제2본체(12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 수개의 제2결합바(320)가 형성된다. 이때, 제1본체(113)에 형성된 제1결합바(310)와, 제2본체(123)에 형성된 제2결합바(320)는 상호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스페이서(100')의 제1본체(113)와 제2본체(123)는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스페이서(100)와 달리 제1본체(113)에 제2결합바(320)가 형성되고, 제2본체(123)에 제1결합바(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의 위치와 방향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서 위의 설명이나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는 각 스페이서(100, 100', 100'', 100''')별로 상하측에서 각각 형성되어, 타 스페이서 유닛(10, 10')에 형성되는 제2결합바(320)와 제1결합바(310)에 체결된다.
즉, 제1스페이스 유닛(10)의 제1결합바(310)는 제2스페이스 유닛(10')의 제2결합바(320)에 체결되고, 제1스페이스 유닛(10)의 제2결합바(320)는 제2스페이스 유닛(10')의 제1결합바(31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300)의 작용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에서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300)에서 제1결합바(310)는 제1본체(113) 또는 제2본체(123)에서 연장되는 제1몸체(311)와, 제1몸체(311)의 내측 벽면으로 돌출되는 걸림홈(312)과, 제1몸체(311)에서 관통형성되는 걸림공(313)을 포함한다.
제1몸체(311)는 상하측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고, 양측 벽면을 이루어 제1본체(113)와 제2본체(123)에서 각각 연장된다. 여기서 제1본체(113)에 형성되는 제1결합바(310)의 제1몸체(311)는 '∩'으로서 하면이 개방되도록 연장되거나, 제2본체(123)에 형성되는 제1결합바(310)의 제1몸체(311)는 '∪'형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1몸체(311)의 형상은 제1본체(113)와 제2본체(123)중 어느 곳에 형성되는 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걸림홈(312)은 제1몸체(311)의 외면에서 내향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홈(312)은 제1몸체(311)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2결합바(320)의 외면에 형성된 단차홈(323)에 걸림된다.
걸림공(313)은 제1몸체의 벽면(예를 들면, 걸림홈(312))에서 관통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12)에 형성되거나 또는 걸림홈(312)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바(320)는 제1본체(113) 또는 제2본체(123)에서 연장되는 제2몸체(321)와, 제2몸체(321)에서 하향된 단차를 이루는 삽입단(322)과, 삽입단(322)에서 하향된 단차홈(323)과,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24)를 포함한다.
제2몸체(321)는 제1본체(113) 또는 제2본체(123)에서 연장된다. 여기서 제1본체(113)에 형성되는 제2결합바(320)의 제2몸체(321)는 '∩'으로서 하면이 개방되도록 연장되거나, 제2본체(123)에 형성되는 제2결합바(320)의 제2몸체(321)는 '∪'형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2몸체(321)의 형상은 제1본체(113)와 제2본체(12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삽입단(322)은 제2몸체(321)의 외면에서 하향된 단차를 이루어 제1몸체(3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삽입단(322)은 제2몸체(321)의 끝단에서 하향된 단차를 이루고 있어 제1몸체(3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삽입 가능한 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단차홈(323)은 제1결합바(310)의 내면에서 돌출된 걸림홈(3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단(322)의 외면에서 하향 형성된다. 즉, 단차홈(323)은 삽입단(322)이 제1몸체(3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1몸체(311)의 내면에서 돌출된 걸림홈(312)과 체결된다.
걸림돌기(324)는 삽입단의 외면(예를 들면, 단차홈(32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단(322)이 제1몸체(3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시에 걸림공(313)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을 상호간에 끼움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화된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을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로서 상호 연결시킨 뒤에 지지판(4)에 설치한다. 이때, 지지판(4)은 콘크리트의 강화를 위한 철근과 철선 및 철사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이후 다 수개의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철근 위로 설치된다.
이때, 전체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은 상호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종래와 달리 별도로 고정 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스페이서 끼움틀과 같이 지지판에서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나 작업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 유닛(10, 10')들간의 체결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300)는 제1 내지 제4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로 형성된 스페이서 유닛(10)을 포함한다. 제1스페이서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는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결합바(330)와 제4결합바(340) 및 고정링(350)을 포함한다.
고정링(350)은 제3결합바(330)와 제4결합바(340)의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면에 체결된다. 이때 고정링(350)은 탄성재로서 제작되어 탄성력에 의해 제3결합바(330)와 제4결합바(3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링(350)은 제3결합바(330)와 제4결합바(340)중 어느 하나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착탈되도록 형성함도 가능하다.
제3결합바(330)는, 도면에 도시된 바로서 예를 들자면, 제1스페이서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으로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3결합바(330)는 제1본체(113) 또는 제2본체(123)에서 연장되는 제3몸체(331)와, 제3몸체(331)의 선단에서 경사면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결합단(332)을 포함한다.
제1결합단(332)은 제3몸체(331)와 단차를 이루어 수평면을 이루는 제1수평면(332a)과, 제1수평면(332a)의 전방에서 순차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경사면(332b, 332c)과, 최전방측에서 편평한 평면을 이루는 제2수평면(332d)을 포함한다.
이중, 제1수평면(332a)은 제3몸체(331)에서 단차 형성되어 편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경사면(332b, 332c)은 제1수평면(332a)과 제2수평면(332d) 사이에서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즉, 경사면(332b, 332c)은 제1수평면(332a)의 전방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고, 전방측으로 하향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면(332b)과, 제1경사면(332b)의 직립된 벽면의 첨단에서 전방측으로 하향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332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은 후술되는 제4결합바(340)의 역경사면(342b, 342c)에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제4결합바(340)는 제1스페이서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상측과 하측에서 제3결합바(330)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몸체(341)와, 제4몸체(341)의 끝단에서 고정링(350)을 통과하여 제1결합단(332)에 체결되는 제2결합단(342)을 포함한다.
제4몸체(341)는 제1스페이서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장된다. 여기서 제4몸체(341)는 하면이 형성된 반구형으로 연장된다.
제2결합단(342)은 하면에서 제1결합단(332)의 경사면에 체결될 수 있는 역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결합단(342)은 제1결합단(332)의 상측에 체결된다.
이때, 고정링은 제1결합단(332)에 먼저 체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결합단(342)은 고정링(350)을 통과하여 제1결합단(332)에 체결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2결합단(342)은 선단에서 편평한 하면을 이루어 제1수평면(332a)에 밀착되는 제1하면(342a)과, 제1하면(342a)의 후방에서 제1경사면(332b)과 일치되는 제1역경사면(342b)과, 제2경사면(332c)과 일치되는 제2역경사면(342c)과, 제2수평면(332d)에 일치되는 제2하면(342d)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결합단(342)은 고정링(350)을 통하여 제1결합단(332)의 상측으로 체결된다. 이때, 제1하면(342a)은 제1수평면(332a)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인입되어 밀착되고, 제1역경사면(342b)과 제2역경사면(342c)은 제1경사면(332b)과 제2경사면(332c)에 밀착되도록 인입되고, 제2하면(342d)은 제2수평면(332d)의 상측으로 인입되어 밀착된다.
고정링(3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결합바(330)의 외면에 고정되어 인입된 제4결합바(340)를 가압하여 제3결합바(33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고정링(35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1결합단(332)에서 제1수평면(332a)과 제2수평면(332d), 제1경사면(332b)과 제2경사면(332c)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내향된 체결홈(334)을 형성하고, 제2결합단(342)의 제1하면(342a)과 제2하면(342d), 제1역경사면(342b)과 제2역경사면(342c)에서 체결홈(334)에 삽입되는 체결돌기(343, 도 8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343)은, 도 8을 참조하면, 제1역경사면(342b)을 2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이격공간(체결홈(334)에 일치되는 위치)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3결합바(330)와 제4결합바(340)는 상기와 같은 체결돌기(343)와 체결홈(334)과의 결합에 의해 1차 고정되고, 고정링(350)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으로 2차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홈(334)과 체결돌기(343)는 고정링(350)과 조합되어 제1결합단(332)과 제2결합단(342)의 결합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시공현장 또는 제품출하 이전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유닛(10, 10')을 조립한다. 즉, 작업자는 스페이서 유닛(10, 10')에 포함된 각 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상부지지기둥(114)의 하부 바닥면(114e)와 하부지지기둥(124)의 하부 상면(124e)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4a, 124a)가 결합공(114b, 124b)에 삽입되도록 가압하여 스페이서 유닛(10, 10')의 상부(110)와 하부(120)를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부지지기둥(114)의 상부 상면과 하부지지기둥(124)의 하부 바닥면이 개방된 상태라면, 작업자는 상부지지기둥(114)의 개방된 상부 상면에 상부커버(111)를 고정시키고, 하부지지기둥(124)의 개방된 하부 바닥면에 하부커버(121)를 고정시킨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각 스페이서 유닛(10, 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서로 다른 스페이서 유닛(10, 10')을 결합시킨다. 즉, 제1스페이서 유닛(10)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바(310)와 제2결합바(320)를 제2스페이서 유닛(10')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서(100, 100', 100'', 100''')의 외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결합바(320)와 제1결합바(310)에 체결시킨다.
이때, 제1스페이서 유닛(10)과 제2스페이서 유닛(10')은 제2결합바(320)가 제1결합바(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홈(312)이 제2결합바(320)의 단차홈(323)에 체결되고, 걸림돌기(324)가 걸림공(313)으로 체결된다.
즉, 작업자는 서로 다른 스페이서 유닛(10, 10')들에서 구비된 제2결합바(320)를 제1결합바(310)이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작업만으로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화된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을 상호 연결하여 필요한 면적을 갖는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선 조립하여 시공현장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슬래브 구조물은 지면에서 직립된 기둥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에,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되도록 철근, 철사, 철선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철근, 철사, 및 철선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지지판의 상면에 이송된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올려놓은 뒤에 후속 공정(예를 들면, 철근 보강 및 콘크리트 타설)을 바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스페이서(100, 100', 100'', 100''')가 일체화시킨 스페이서 유닛(10, 10')들을 끼움식으로 상호 연결함에 따라 작업시간이나 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10, 10' : 스페이서 유닛 100, 100', 100'', 100''' : 스페이서
110 : 상부 111 : 상부커버
112 : 제1통기공 113 : 제1본체
114 : 상부지지기둥 114a, 124a : 결합돌기
114b, 124b 결합공 114d : 상부 벽면
114e : 상부 바닥면 120 : 하부
121 : 하부커버 122 : 제2통기공
123 : 제2본체 124 : 하부지지기둥
124d : 하부 벽면 124e : 하부 상면
200 : 고정바 300 : 연결부
310 : 제1결합바 311 : 제1몸체
312 : 걸림홈 313 : 걸림공
320 : 제2결합바 321 : 제2몸체
322 : 삽입단 323 : 단차홈
324 : 걸림돌기 330 : 제3결합바
331 : 제3몸체 332 : 제1결합단
332a, 332d : 수평면 332b, 332c : 경사면
334 : 체결홈 340 : 제4결합바
341 : 제4몸체 342 : 제2결합단
342a, 342d : 하면 342b, 342c : 역경사면
343 : 체결돌기 350 : 고정링
110 : 상부 111 : 상부커버
112 : 제1통기공 113 : 제1본체
114 : 상부지지기둥 114a, 124a : 결합돌기
114b, 124b 결합공 114d : 상부 벽면
114e : 상부 바닥면 120 : 하부
121 : 하부커버 122 : 제2통기공
123 : 제2본체 124 : 하부지지기둥
124d : 하부 벽면 124e : 하부 상면
200 : 고정바 300 : 연결부
310 : 제1결합바 311 : 제1몸체
312 : 걸림홈 313 : 걸림공
320 : 제2결합바 321 : 제2몸체
322 : 삽입단 323 : 단차홈
324 : 걸림돌기 330 : 제3결합바
331 : 제3몸체 332 : 제1결합단
332a, 332d : 수평면 332b, 332c : 경사면
334 : 체결홈 340 : 제4결합바
341 : 제4몸체 342 : 제2결합단
342a, 342d : 하면 342b, 342c : 역경사면
343 : 체결돌기 350 : 고정링
Claims (5)
- 상부(110)를 각각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복 수개의 스페이서와, 하부(120)를 각각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복 수개의 스페이서들이 상호 결합되어 타 스페이서 유닛(10')과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스페이서 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110)는
개방된 상부 상면과, 상기 상부 상면에서 하향연장되는 상부 벽면(114d)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상부 바닥면(114e)을 구비하여 내측 빈공간을 이루는 상부지지기둥(114);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개방된 상부 상면을 밀폐시켜 상부지지기둥(114)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11);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상부 바닥면(114e)에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114a)와 관통된 결합공(114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120)는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개방된 하부 바닥면과, 상기 하부 바닥면에서 상향 연장된 하부 벽면(124d)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상부 바닥면(114e)에 밀착 또는 체결되는 하부 상면(124e)을 구비하여 중력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지지기둥(124);
상기 하부지지기둥(124)의 개방된 하부 바닥면을 밀폐시켜 하부지지기둥(124)에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하부커버(121);
상기 하부지지기둥(124)의 하부 상면(124e)에서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결합공(114b)에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결합돌기(124a)와,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결합돌기(114a)가 삽입되는 결합공(124b) 중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유닛(10)은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바;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서 연장되어 타 스페이서 유닛(10')에서 연장된 제1결합바의 내측으로 끼움되는 제2결합바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바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측 벽면을 이루어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홈; 및
상기 제1몸체에서 관통형성되는 걸림공;을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바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와 단차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단;
상기 삽입단의 외면에서 내향된 단차홈; 및
상기 단차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1)에서 관통 형성되어 수분을 상부지지기둥(114) 내측으로 배수시키는 제1통기공(112);
상기 상부지지기둥(114)의 바닥면에서 관통되어 수분을 배수하는 제1배수홀(114c);
상기 하부지지기둥(124)의 상면에서 관통되어 수분을 배수하는 제2배수홀(124c); 및
상기 하부 커버(121)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배수홀(124c)을 통해 유입된 하부지지기둥(124) 내측의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는 제2통기공(122); 을 포함하는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의 스페이서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364A KR101909679B1 (ko) | 2016-11-24 | 2016-11-24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364A KR101909679B1 (ko) | 2016-11-24 | 2016-11-24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8030A Division KR101715746B1 (ko) | 2016-06-01 | 2016-06-01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6963A KR20170136963A (ko) | 2017-12-12 |
KR101909679B1 true KR101909679B1 (ko) | 2018-10-25 |
Family
ID=6094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364A KR101909679B1 (ko) | 2016-11-24 | 2016-11-24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96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95430U1 (ru) * | 2019-10-29 | 2020-01-28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ЖИТЕХ" | Элемент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я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07B1 (ko) * | 2009-10-22 | 2011-10-2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와 그 시공방법 |
KR101493403B1 (ko) * | 2013-12-12 | 2015-02-2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철근 연결장치 |
-
2016
- 2016-11-24 KR KR1020160157364A patent/KR1019096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07B1 (ko) * | 2009-10-22 | 2011-10-2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와 그 시공방법 |
KR101493403B1 (ko) * | 2013-12-12 | 2015-02-2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철근 연결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95430U1 (ru) * | 2019-10-29 | 2020-01-28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ЖИТЕХ" | Элемент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я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6963A (ko) | 2017-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9308B1 (ko) |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 |
KR100742577B1 (ko) |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 |
KR101203318B1 (ko) |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 |
KR200436231Y1 (ko) |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 |
KR101909679B1 (ko)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
CN115370036A (zh) | 一种节能型装配式建筑墙体预制构件 | |
KR101715746B1 (ko) | 복 수개의 스페이서가 일체화된 슬래브 구조물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 |
KR20150075437A (ko) |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 |
KR100573515B1 (ko) |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 |
KR101675045B1 (ko) |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2095488B1 (ko) | 보 시공용 거푸집 | |
KR101904987B1 (ko) | Cft 구조를 이용한 건물 보강방법 | |
JP2000104336A (ja) | 構造物における杭と上部構造躯体との接合構造および杭の上方に上部構造躯体を構築する工法 | |
KR101761705B1 (ko) | 라티스 타입의 스틸하우스 골조 시공용 유닛 세트 | |
KR101329483B1 (ko) | 일체화 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기둥의 결합구조 | |
JP2011214278A (ja) | 建物 | |
KR101736594B1 (ko) |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 |
JP4757590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JP4571068B2 (ja) | 壁ユニット、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101710571B1 (ko) | 유닛 결합형 장경간 피씨 합성보 시스템 | |
JP5870455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 | |
KR101719495B1 (ko) | 지지골조의 분리결합 가능한 갱폼 | |
KR100848081B1 (ko) |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 |
KR200409486Y1 (ko) | 조립식 철 구조물 | |
JP3113157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