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66U -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Google Patents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566U KR20200001566U KR2020190000055U KR20190000055U KR20200001566U KR 20200001566 U KR20200001566 U KR 20200001566U KR 2020190000055 U KR2020190000055 U KR 2020190000055U KR 20190000055 U KR20190000055 U KR 20190000055U KR 20200001566 U KR20200001566 U KR 202000015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decoration
- decorative
- fitting groove
- ligh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가 서로에 대해 연결된 상태로 조명등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로부터 제1미감부와 제2미감부, 제3미감부, 제4미감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등의 외측 둘레부를 한옥형으로 구비할 수 있어 한옥의 미려함과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어 조명등 전체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천정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하여 소비자의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조명등 장식구를 한옥형으로 구비하여 한옥의 미감에 의해 조명등 전체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단한 조립식으로 조명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주거공간 실내 또는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업무공간 및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의 내부 공간에는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충분한 조도가 확보되지 않는 주간이나 야간 시 점등되게 하여 그 실내를 충분히 밝게 비추어 주거 및 업무나 학습에 지장을 주기 않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천장의 하부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조명본체와 그 조명본체의 하측으로부터 탈부착되게 한 반사커버 또는 반사판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명본체의 하부 내측에는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이 구비되어 있고 조명본체와 반사판 간에는 이들을 서로 간편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한 착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명본체를 천장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반사커버를 결합시킴에 따라 조명등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내부의 램프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반사커버를 조명본체로부터 분리시켜 노출 상태의 램프를 교체한 후 분리된 반사커버를 그 조명본체에 재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근자들어서는, 조명본체와 반사커버의 단순 구조로 이루어진 조명등의 외관을 탈피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조명등 및 천정직착등이 제안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은 각기 고유의 형상과 디자인 및 다양한 조립방법이나 구조 등을 적용하여 조명등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실내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미려한 심미감을 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등은 조명등 본래의 목적에 충실하여야 하므로 변경 가능한 부분이 극히 제한적이며,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적용하여 미려한 심미감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많은 부품의 조합과 많은 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해 생산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조명본체를 분할 형성하여 측면 유도광 및 반사광이 연출되게 하는 조립식 조명등이 크게 각광받고 있으나, 이와 같은 측판과 고정판 및 이들을 체결할 수 있게 한 프레임체로 된 조명등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의 증가와 부품수의 증가 및 원자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는 물론 제조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불이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새롭게 제작된 조명등이라 할지라도 단순히 구조의 변경이나 재질의 변경에 국한되므로 단조롭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등과 마찬가지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17962호인 천정등 박스용 장식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HDF, MDF 등의 원자재를 'ㄱ'자 형상으로 재단 처리하여 얻고 그 표면이 전사무늬층을 갖으며 절곡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코너장식부재의 삽입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판넬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판넬부재 각각의 단부측을 연결하여 직사각형상의 천정등 박스형상을 형성하며 고정하기 위해 저면측에 상호 접하는 판넬부재간의 이격거리 조정에 따른 전체적 길이조정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4개로 이루어지는 판넬부재를 상호 대향되며 형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직사각형상의 천정등 박스용 장식재를 형성한 후, 그 각각의 당접부위를 연결프레임부재를 이용, 커버하여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구성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크게 올라가게 되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비용에 부담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높은 천정면에 설치된 조명등에 장식재를 설치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4개의 장식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조명등 외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함에 따라 실내 조명등에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목재로 이루어진 4개의 장식부재에 의해 한옥 고유의 멋과 아름다움이 그대로 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고급스럽고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는,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연결되어 조명등의 외관을 장식하는 조명등 장식구에 있어서, 조명등의 제1측면에 밀착되는 제1장식부와; 조명등의 제2측면에 밀착되는 제2장식부와; 조명등의 제3측면에 밀착되는 제3장식부와; 조명등의 제4측면에 밀착되는 제4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는, 각각 목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등의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일면에 각각 상기 조명등과 피스체결하는 피스체결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의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에는 상기 피스체결구멍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체결피스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식부의 상단 일측에는 제1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장식부의 상단 타측에는 제2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의 상단 일측에는 제3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의 상단 타측에는 제4끼움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장식부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의 제1끼움홈에 끼워지는 제1연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3장식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의 제3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연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4장식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의 제2끼움홈에 끼워지는 제3연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4장식부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의 제4끼움홈에 끼워지는 제4연결홈이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끼움홈, 제2끼움홈, 제3끼움홈, 제4끼움홈 및 상기 제1연결홈, 제2연결홈, 제3연결홈, 제4연결홈이 서로 대응되게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가 서로 연결된 후 상기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의 끝단부를 각각 미려하게 연출하도록, 상기 제1장식부에는 상기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미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에는 상기 제3끼움홈과 제4끼움홈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미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장식부에는 상기 제1연결홈과 제2연결홈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3미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4장식부에는 상기 제3연결홈과 제4연결홈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4미감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가 서로에 대해 연결된 상태로 조명등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 제3장식부, 제4장식부로부터 제1미감부와 제2미감부, 제3미감부, 제4미감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등의 외측 둘레부를 한옥형으로 구비할 수 있어 한옥의 미려함과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어 조명등 전체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천정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하여 소비자의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가 연결된 조명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가 조명등에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와 조명등의 연결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가 조명등에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와 조명등의 연결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연결되어 조명등의 외관을 장식하는 조명등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에 밀착되는 제1장식부(10)와, 조명등(100)의 제2측면(102)에 밀착되는 제2장식부(20)와, 조명등(100)의 제3측면(103)에 밀착되는 제3장식부(30)와, 조명등(100)의 제4측면(104)에 밀착되는 제4장식부(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는, 각각 목재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어 조명등(100)이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를 각각 밀착한다.
이 때, 상기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 각각 밀착되는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 일면에는 각각 상기 조명등(101)과 피스체결하는 피스체결구멍(50)이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는 상기 피스체결구멍(50)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체결피스(6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피스(60)가 피스체결구멍(50)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 각각 밀착된 상기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밀착되어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체결피스(60)의 체결에 의해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 상기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각각 견고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조명등(100)에 대해 본 고안인 조명등 장식구를 쉽고 간단하게 연결하여 조명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식부(2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교차되는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볼 때 한옥형 조명등으로 식별할 수 있어 조명등에 대한 외적인 미감을 한옥형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미려하고 아름다운 조명등 연출에 의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상기 제1장식부(10)의 상단 일측에는 제1끼움홈(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장식부(10)의 상단 타측에는 제2끼움홈(1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의 상단 일측에는 제3끼움홈(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의 상단 타측에는 제4끼움홈(2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장식부(3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10)의 제1끼움홈(11)에 끼워지는 제1연결홈(31)이 구비되고 상기 제3장식부(3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20)의 제3끼움홈(21)에 끼워지는 제2연결홈(32)이 구비되고, 상기 제4장식부(4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10)의 제2끼움홈(12)에 끼워지는 제3연결홈(41)이 구비되고 상기 제4장식부(4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20)의 제4끼움홈(22)에 끼워지는 제4연결홈(4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끼움홈(11), 제2끼움홈(12), 제3끼움홈(21), 제4끼움홈(22) 및 상기 제1연결홈(31), 제2연결홈(32), 제3연결홈(41), 제4연결홈(42)이 서로 교차되도록 대응되게 끼워지면서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서로 연결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한옥형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된 후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의 끝단부를 각각 미려하게 연출하도록, 상기 제1장식부(10)에는 상기 제1끼움홈(11)과 제2끼움홈(1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미감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에는 상기 제3끼움홈(21)과 제4끼움홈(2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미감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제3장식부(30)에는 상기 제1연결홈(31)과 제2연결홈(3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3미감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제4장식부(40)에는 상기 제3연결홈(41)과 제4연결홈(4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4미감부(4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미감부(13), 제2미감부(23), 제3미감부(33), 제4미감부(43)가 각각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더욱 미려한 한옥형 조명등 장식구 연출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제1끼움홈(11), 제2끼움홈(12), 제3끼움홈(21), 제4끼움홈(22) 및 상기 제1연결홈(31), 제2연결홈(32), 제3연결홈(41), 제4연결홈(42)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끼워져 체결되는 쐐기형 체결돌부(71)와 상기 쐐기형 체결돌부(71)가 강제적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부(72)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형 체결돌부(71)는 상기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의 상기 제1끼움홈(11), 제2끼움홈(12), 제3끼움홈(21), 제4끼움홈(22) 및 상기 제1연결홈(31), 제2연결홈(32), 제3연결홈(41), 제4연결홈(42)이 서로에 대해 대응되게 교차 체결될 때 망치와 같은 타격도구를 타격하여 상기 체결홈부(72)에 강제적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제1장식부(10),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체결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2장식부(20)와 제3장식부(30), 제3장식부(30)와 제4장식부(40), 제4장식부(40)와 제1장식부(10)를 연결하여 조명등(100) 내측에 위치되는 미감장식부(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에는 상기 미감장식부(80)가 끼워지는 제1끼움단턱홈부(8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미감장식부(80)에는 상기 제1끼움단턱홈부(81)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제2끼움단턱부(8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미감장식부(80)에 구비되는 제2끼움단턱부(82)를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에 구비되는 제1끼움단턱홈부(81)에 끼워줌에 따라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의 내측에 미감장식부(80)가 구비되어 더욱 미려한 한옥형 조명등 장식구를 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장식부
11 : 제1끼움홈
12 : 제2끼움홈 13 : 제1미감부
20 : 제2장식부 21 : 제3끼움홈
22 : 제4끼움홈 23 : 제2미감부
30 : 제3장식부 31 : 제1연결홈
32 : 제2연결홈 33 : 제3미감부
40 : 제4장식부 41 : 제3연결홈
42 : 제4연결홈 43 : 제4미감부
50 : 피스체결구멍 60 : 체결피스
71 : 쐐기형 체결돌부 72 : 체결홈부
80 : 미감장식부 81 : 제1끼움단턱홈부
82 : 제2끼움단턱부 100 : 조명등
101 : 조명등 제1측면 102 : 조명등 제2측면
103 : 조명등 제3측면 104 : 조명등 제4측면
12 : 제2끼움홈 13 : 제1미감부
20 : 제2장식부 21 : 제3끼움홈
22 : 제4끼움홈 23 : 제2미감부
30 : 제3장식부 31 : 제1연결홈
32 : 제2연결홈 33 : 제3미감부
40 : 제4장식부 41 : 제3연결홈
42 : 제4연결홈 43 : 제4미감부
50 : 피스체결구멍 60 : 체결피스
71 : 쐐기형 체결돌부 72 : 체결홈부
80 : 미감장식부 81 : 제1끼움단턱홈부
82 : 제2끼움단턱부 100 : 조명등
101 : 조명등 제1측면 102 : 조명등 제2측면
103 : 조명등 제3측면 104 : 조명등 제4측면
Claims (3)
-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연결되어 조명등의 외관을 장식하는 조명등 장식구에 있어서,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에 밀착되는 제1장식부(10)와;
조명등(100)의 제2측면(102)에 밀착되는 제2장식부(20)와;
조명등(100)의 제3측면(103)에 밀착되는 제3장식부(30)와;
조명등(100)의 제4측면(104)에 밀착되는 제4장식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는, 각각 목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 각각 밀착되는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 일면에는 각각 상기 조명등(101)과 피스체결하는 피스체결구멍(50)이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100)의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에는 상기 피스체결구멍(50)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체결피스(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식부(10)의 상단 일측에는 제1끼움홈(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장식부(10)의 상단 타측에는 제2끼움홈(1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의 상단 일측에는 제3끼움홈(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의 상단 타측에는 제4끼움홈(22)이 구비되며,
상기 제3장식부(3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10)의 제1끼움홈(11)에 끼워지는 제1연결홈(31)이 구비되고 상기 제3장식부(3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20)의 제3끼움홈(21)에 끼워지는 제2연결홈(32)이 구비되며,
상기 제4장식부(4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1장식부(10)의 제2끼움홈(12)에 끼워지는 제3연결홈(41)이 구비되고 상기 제4장식부(40)의 하단 타측에는 상기 제2장식부(20)의 제4끼움홈(22)에 끼워지는 제4연결홈(42)이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끼움홈(11), 제2끼움홈(12), 제3끼움홈(21), 제4끼움홈(22) 및 상기 제1연결홈(31), 제2연결홈(32), 제3연결홈(41), 제4연결홈(42)이 서로 대응되게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가 서로 연결된 후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의 끝단부를 각각 미려하게 연출하도록,
상기 제1장식부(10)에는 상기 제1끼움홈(11)과 제2끼움홈(1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미감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장식부(20)에는 상기 제3끼움홈(21)과 제4끼움홈(2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미감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제3장식부(30)에는 상기 제1연결홈(31)과 제2연결홈(3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3미감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제4장식부(40)에는 상기 제3연결홈(41)과 제4연결홈(4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4미감부(43)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홈(11), 제2끼움홈(12), 제3끼움홈(21), 제4끼움홈(22) 및 상기 제1연결홈(31), 제2연결홈(32), 제3연결홈(41), 제4연결홈(42)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끼워져 체결되는 쐐기형 체결돌부(71)와 상기 쐐기형 체결돌부(71)가 강제적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부(72)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2장식부(20)와 제3장식부(30), 제3장식부(30)와 제4장식부(40), 제4장식부(40)와 제1장식부(10)를 연결하여 조명등(100) 내측에 위치되는 미감장식부(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장식부(10)와 제2장식부(20), 제3장식부(30), 제4장식부(40)에는 상기 미감장식부(80)가 끼워지는 제1끼움단턱홈부(8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미감장식부(80)에는 상기 제1끼움단턱홈부(81)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제2끼움단턱부(8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055U KR20200001566U (ko) | 2019-01-04 | 2019-01-04 |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055U KR20200001566U (ko) | 2019-01-04 | 2019-01-04 |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566U true KR20200001566U (ko) | 2020-07-14 |
Family
ID=7152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055U KR20200001566U (ko) | 2019-01-04 | 2019-01-04 |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1566U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962Y1 (ko) | 2003-03-24 | 2003-06-28 | 김갑중 | 천정등 박스용 장식재 |
KR200362105Y1 (ko) | 2004-06-26 | 2004-09-16 | 정범성 | 천정등의 투광장식재 조립구조 |
-
2019
- 2019-01-04 KR KR2020190000055U patent/KR2020000156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962Y1 (ko) | 2003-03-24 | 2003-06-28 | 김갑중 | 천정등 박스용 장식재 |
KR200362105Y1 (ko) | 2004-06-26 | 2004-09-16 | 정범성 | 천정등의 투광장식재 조립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9055B1 (ko) |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 |
KR101436368B1 (ko) | 확장형 천정매입등 | |
KR101260449B1 (ko) | 돌출형 엘이디 광 장식부를 갖는 천장매입등 | |
KR101777162B1 (ko) |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 |
KR20200001566U (ko) |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 |
KR100973917B1 (ko) |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 |
KR101562231B1 (ko) |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 |
KR102168314B1 (ko) | 설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유성조명등을 갖는 천장 직착등 | |
KR200396987Y1 (ko) | 조경용 조립식 등기구 | |
KR200448997Y1 (ko) | 후드 조립체의 용이한 장착이 가능한 천정 매립등 | |
KR101553523B1 (ko) |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 |
KR101778000B1 (ko) |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 |
KR20090012880U (ko) | 천장등용 장식프레임. | |
CN217875561U (zh) | 一种吸顶灯 | |
KR100878019B1 (ko) |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 |
CN221611176U (zh) | 一种带有聚光透镜的led点光源外壳 | |
KR200382121Y1 (ko) | 체결홀더에 의한 장식날개 결합구조를 갖는 조명등 | |
KR200264633Y1 (ko) | 조명등 기구의 전등커버 고정구 | |
KR100798770B1 (ko) |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 |
KR101704713B1 (ko) | 가변형 조립구조에 의해 장식성이 향상되게 한 조명커버 | |
KR101963729B1 (ko) | 캐릭터조명등 고정장치 및 캐릭터조명등 시공방법 | |
KR200251411Y1 (ko) | 천장 장식판 | |
KR200317962Y1 (ko) | 천정등 박스용 장식재 | |
KR101090992B1 (ko) | 조명커버에 대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천장 직착등 | |
KR20240103150A (ko) | 하프미러패널을 이용하여 고도의 장식효과를 구현한 엘이디 조명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