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734B1 -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 Google Patents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734B1
KR101290734B1 KR1020120022162A KR20120022162A KR101290734B1 KR 101290734 B1 KR101290734 B1 KR 101290734B1 KR 1020120022162 A KR1020120022162 A KR 1020120022162A KR 20120022162 A KR20120022162 A KR 20120022162A KR 101290734 B1 KR101290734 B1 KR 10129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bar
pagora
raf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12002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고라 서까래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목재와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적용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공간에 내입되는 바(120)와,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커넥터(130)와, 상기 커넥터(130)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RAFTER FOR PERGOLA AND ROOF FOR PERGOL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고라용 서까래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목재와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적용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를 조성할 수 있는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최근 도심의 주거 환경이 중요시되면서 아파트 단지 내에 놀이터 시설이나 노인 회관 등이 형성되고, 아파트 단지 주변에도 크고 작은 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을 벗어난 공단이나 고층건물이 형성된 상업지역에도 잠시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소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심에 형성된 놀이 시설이나 노인회관, 공원 등에는 여름철에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쉼 공간을 제공하는 파고라가 조성되는데, 일반적인 파고라는 지면에 복수 개의 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에는 지붕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금속재나 목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파고라는 내구성이 강한 반면에 자연적이지 못하여 도심이나 주거 환경을 해치는 요인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피막이나 도색을 하는 경우 도색이 벗겨지거나 부식이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로 이루어진 파고라는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디자인이 단조롭고 눈이나 비와 햇빛에 노출되면 갈라지거나 뒤틀림, 또는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86977호 공개특허공보(2005.8.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파고라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고라용 서까래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목재와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적용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를 조성할 수 있는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고라용 서까래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공간에 내입되는 바와,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은, 평판 형태의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한 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결된 격판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판의 폭방향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거나 하판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 접하는 동시에 바의 내면이 상기 격판의 외면과 접하여 슬라이드 체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면에서 돌출된 제1연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커넥터의 외측 단부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연장부가 내입, 고정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까래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은,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빔과, 상기 크로스빔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서까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크로스빔의 상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까래는 하단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하고 측면이 상기 측판의 일측 면에 접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양측 공간에 바(bar)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한 뒤 프레임 끝 부분에 커넥터를 고정한 다음, 커넥터 단부에 소정 형상을 가진 마감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서까래를 형성하므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을 금속재로 구성하고 바(bar)를 목재로 구성하며 커넥터와 마감부재를 합성수지 사출물로 구성하면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미려한 이미지의 서까래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서까래를 지지하는 크로스 빔을 일자형이나 원형 등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 지붕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파고라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요부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타단부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빔과 고정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와 크로스빔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용 지붕을 형성한 파고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요부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고라용 서까래(100)는 프레임(110), 바(120), 커넥터(130) 및 제1마감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예컨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일정 길이를 절단한 것으로서, 양측 면에 상기 바(120)를 내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120)가 프레임(110)의 일측 면에만 내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 공간을 어느 하나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바(120)는 예컨대 목재를 직육면체 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은, 평판 형태의 상판(111)과 상기 상판(111)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하판(112) 및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에서 한 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결된 격판(1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120)가 프레임(110)의 측면에 슬라이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판(111)의 폭방향 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플랜지(114)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하판(112)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플랜지(1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바(120)를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끝 부분에서 측면의 공간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슬라이드 체결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10)과 바(120)를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상호 고정 가능하다.
더욱이 바(120)를 프레임(110)에 슬라이드 체결하면 바(12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판(111)의 하면과 하판(112)의 상면에 접하는 동시에 바(120)의 내면이 상기 격판(113)의 외면과 접하게 되어 프레임(110)과 바(120)가 상호 일체화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110)을 금속재로 제조하고 바(120)를 목재로 제조하면 프레임(110)이 바(120)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측면으로 목재 질감이 노출되므로 자연적인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는 예컨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10)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요소이다.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131)가 구비되고, 커넥터(130)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 즉 한 쌍의 격판(11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131)의 일측 면에는 한 쌍의 격판(113)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제1연장부(133)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31)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13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홀(132)을 통해 고정나사(135)가 상기 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바(120)의 단부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커넥터(13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140)를 상기 커넥터(130)의 외측 단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131)에서 상기 제1연장부(133)가 형성된 반대 면에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마감부재(140)는 내부에 공간(141)이 형성되고 이 공간(141)으로 상기 제2연장부(134)를 끼워서 상호 고정하기 위해 제1마감부재(140)의 일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마감부재(140)의 하단면이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진 호 형을 이룰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마감부재(140)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타단부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바(120)가 프레임(110)의 측면 공간에 슬라이드 체결되고, 프레임(110)의 단부에 상기 커넥터(130)를 체결한 상태에서 커넥터(130)의 외측에 형성된 제2연장부(134)에는 육면체 형태의 제2마감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부재(150) 역시 내부에 공간(151)이 형성되고 일측 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연장부(134)가 개방면을 통해 공간(151)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된 파고라의 서까래 조립 과정을 다시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바(1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한 다음, 커넥터(130)의 제1연장부(133)를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서 노출된 격벽(113) 사이 공간에 끼운 후 고정나사(135)로 커넥터(130)를 바(120)의 단부에 체결한다.
이후, 도 3과 같이 제1마감부재(140)를 커넥터(130)의 제2연장부(134)에 끼우면 도 4와 같이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커넥터(130)를 매개로 제1마감부재(1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도 같은 방식으로 커넥터(130)를 체결한 후, 제2마감부재(150)를 커넥터(130)의 제2연장부(134)에 끼우면 도 6과 같이 프레임의 반대측에도 제2마감부재(150)가 설치되며, 그 결과 도 7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진 서까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압출 성형하기 때문에 그 길이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지만, 바(120)를 목재로 제조하면 제조나 재료 특성에 의해 길이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바(120)가 지나치게 길 경우 습기 등에 의해 뒤틀림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바(120)를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짧게 제조하여 프레임(110)의 측면 공간에 복수 개를 연이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빔과 고정부재의 조립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와 크로스빔의 조립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빔(200)은 상기 서까래(1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막대 형태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크로스빔(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0)는, 상기 크로스빔(200)의 상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된 측판(213)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213)은 베이스(211)의 양측 단부에서 한 쌍이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측판(213)의 이격 거리는 상기 서까래(100)의 폭과 동일하게 하여 측판(213) 사이에 서까래(10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서까래(100)는 그 하단면이 상기 베이스(211)의 상면에 접하고 서까래(100) 측면이 상기 측판(213)의 내측 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211)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212)을 천공하면 고정나사(215)가 상기 홀(212)을 관통하여 상기 크로스빔(200)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210)를 크로스빔(2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213)에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214)을 천공하면 고정나사(216)가 상기 홀(214)을 관통하여 상기 서까래(100) 측면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서까래(100)가 고정부재(2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10과 같이 2개의 크로스빔(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한 다음, 각 크로스빔(200)에 고정부재(210)를 일직선 상에 설치한 뒤 각 고정부재(210)에 서까래(100)를 고정하면 서까래(100)와 크로스빔(200)이 상호 결합된 피고라용 지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용 지붕을 형성한 파고라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10의 피고라 지붕에서 크로스빔(200) 하부에 지지대(310)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대(310)의 하부에 기둥(300)을 설치하면, 도 11과 같은 형태의 파고라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크로스빔(200)을 원형으로 배치한 다음, 각 크로스빔(200) 위에 복수 개의 서까래(100)를 방사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서까래(100)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한편, 크로스빔(200)을 원하는 형태로 제조하면, 다양한 형태의 파고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서까래 110... 프레임 111... 상판
112... 하판 113... 격판 114... 플랜지
120... 바(bar) 130... 커넥터 131... 플레이트
132... 홀 133... 제1연장부 134... 제2연장부
135... 고정나사 140... 제1마감부재 141... 공간
150... 제2마감부재 151... 공간
200... 크로스빔 210... 고정부재 211... 베이스
212... 홀 213... 측판 214... 홀
215, 216... 고정나사 300... 기둥 310... 지지대

Claims (11)

  1.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공간에 내입되는 바(120)와,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커넥터(130)와, 상기 커넥터(130)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평판 형태의 상판(111)과, 상기 상판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하판(112)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한 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결된 격판(1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판의 폭방향 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플랜지(114) 및 하판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플랜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120)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 접하는 동시에 바의 내면이 상기 격판의 외면과 접하여 슬라이드 체결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131)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면에서 돌출된 제1연장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31)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132)이 천공되어 고정나사가 상기 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바에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0)의 외측 단부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연장부가 내입, 고정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서까래.
  7.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까래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으로서,
    크로스빔(200)과,
    상기 크로스빔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고정되는 상기 서까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지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크로스빔(200)의 상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된 측판(213)을 포함하고, 상기 서까래는 하단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하고 측면이 상기 측판의 일측 면에 접하여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지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판(213)은 베이스의 양측 단부에서 한 쌍이 서까래의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지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1)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212)이 천공되어 고정나사가 상기 홀(212)을 관통하여 상기 크로스빔에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지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판(213)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214)이 천공되어 고정나사가 상기 홀(214)을 관통하여 상기 서까래에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지붕.
KR1020120022162A 2012-03-05 2012-03-05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KR10129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62A KR101290734B1 (ko) 2012-03-05 2012-03-05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62A KR101290734B1 (ko) 2012-03-05 2012-03-05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734B1 true KR101290734B1 (ko) 2013-07-29

Family

ID=4899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62A KR101290734B1 (ko) 2012-03-05 2012-03-05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9392A1 (en) 2022-09-14 2024-03-20 Toscana Global S.A.S. Translucent monolithic structural profile for the configuration of variable-position blinds in retractable pergol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18U (ja) * 1992-09-18 1994-04-15 タキロン株式会社 屋根材の取付構造
JP2536252Y2 (ja) * 1990-05-31 1997-05-21 タキロン株式会社 パーゴラ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252Y2 (ja) * 1990-05-31 1997-05-21 タキロン株式会社 パーゴラ
JPH0628018U (ja) * 1992-09-18 1994-04-15 タキロン株式会社 屋根材の取付構造
KR200441343Y1 (ko)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9392A1 (en) 2022-09-14 2024-03-20 Toscana Global S.A.S. Translucent monolithic structural profile for the configuration of variable-position blinds in retractable pergol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WO2016101414A1 (zh) 一种可快速安装和拆卸的围栏装置
US20050050808A1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KR101067629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20160108937A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EP2740858B1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KR101290734B1 (ko)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US20110225911A1 (en) Self-bailing interior frame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200425116Y1 (ko) 조립식 컨테이너 교실
KR101458158B1 (ko) 전통가옥의 시스템 단열 기와지붕
KR100690041B1 (ko) 전통 초가집 조립 모형
KR102198692B1 (ko) 정자형 파고라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2277884B1 (ko) 목재블록벽체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KR20120007371U (ko) 버스 승강장의 기둥 마감부재
CN201687081U (zh) 一种木屋
KR101236275B1 (ko) 조립식 기둥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CN101839023A (zh) 一种木屋
CN211646859U (zh) 一种装配式卫浴墙板的阴角拼接结构
KR200444776Y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CN202577752U (zh) 轻钢筑巢集成房新型墙体板
KR200445698Y1 (ko) 조립식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