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275B1 - 조립식 기둥 - Google Patents
조립식 기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6275B1 KR101236275B1 KR1020110050508A KR20110050508A KR101236275B1 KR 101236275 B1 KR101236275 B1 KR 101236275B1 KR 1020110050508 A KR1020110050508 A KR 1020110050508A KR 20110050508 A KR20110050508 A KR 20110050508A KR 101236275 B1 KR101236275 B1 KR 1012362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flange
- base tube
- pillar member
- prefabric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기둥에 관한 것으로, 그늘집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기둥에 있어서 별도의 도색과정이 필요 없고 내구성이 강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타인이 고의적으로 부품을 쉽게 분해할 수 없도록 할 목적으로 지면에 입설되는 기초관(10)과,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0)와,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기둥부재가 각각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차례로 교번 적층된 것이 특징인 조립식 기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늘집 등 각종 목조 건축물 건조시 지붕을 받칠 수 있도록 지면에 입설되는 기둥으로서, 특히 간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기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의 녹색 주거 환경이 중요시되면서 아파트 단지 내부 혹은 주변에 크고 작은 공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주거지역을 벗어난 공단이나 고층건물이 형성된 상업지역에도 잠시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녹색 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원에는 여름철에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쉼 공간을 제공하는 그늘집이 조성되고 있으며, 종래의 그늘집 기둥은 스틸재질의 기둥에 피막 및 도색 과정을 거치거나 목재로써 기둥을 설치하여 그늘집을 건조하였다.
그러나 스틸 재질의 기둥에 피막 및 도색을 한 것은 내구성이 강하기는 하지만 그늘집의 자연적인 이미지와는 상반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도색이 벗겨져 피막부가 노출되고 부식이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둥을 목재로 건조한 경우 환경친화적이기는 하나 비를 맞고 햇빛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기둥이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231137호와 같이 별도의 도색과정이 필요 없고 내구성이 강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설치시 조립식으로 완성할 수 있는 '그늘집 기둥 구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를 제안한 바 있다.
위 선행기술은 기초관의 외주면을 동일한 형상의 목재가 다수개로 분할된 외관지지대가 감싸도록 하고, 분할된 외관지지대의 사이에 스틸로 된 T형 고정대가 형합 안착되어 볼트로써 외관지지대를 기초관에 고정하도록 하며, T형 고정대의 외곽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대 커버가 안착되게 하여 스틸재인 기초관과 T형 고정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구조는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소요 부품이 많고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인 점, 그리고 T형 고정대와 고정대 커버가 탈부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여서 타인이 악의적으로 고정대 커버를 손쉽게 탈거하여 분리할 수 있는 구조여서 기둥의 훼손이나 도난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선행기술에 내포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도색과정이 필요 없고 내구성이 강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소요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타인이 고의적으로 부품을 쉽게 분해할 수 없도록 하는 조립식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입설되는 기초관(10)과,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0)와,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기둥부재가 각각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차례로 교번 적층되게 함으로써 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관 외면에 기둥부재와 연결부재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별도의 도색과정이 필요 없고 내구성이 강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기둥부재를 목재로 선택하고 연결부재를 금속재로 선택하면 목재의 친환경적인 이미지와 함께 금속재로 인한 현대적인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둥 건조에 필요한 소요 부품이 적어서 조립이 간편하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초관 자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는 기둥부재 또는 연결부재만 따로 분해할 수 없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타인에 의한 기둥의 훼손이나 부품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기둥은 크게 기초관(10)과, 연결부재(10)와 기둥부재(30)로 대별된다.
상기 기초관(10)은 지면에서 수직 입설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평면 상의 앵커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11)는 앵커볼트(미도시) 등으로 지면에 고정되며, 기초관(10)을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상기 앵커플레이트(11)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2)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기둥 구조물이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일정 높이를 가지고 중심으로 상기 기초관(10)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10)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기둥부재(30) 역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중심으로 상기 기초관(10)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10) 외부에 설치되며, 기둥부재(30)가 상기 연결부재(20)에 나사나 핀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는 각각 상기 기초관(10) 외부에서 차례로 교번 적층되는데, 여기서 '교번 적층'이란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가 1개씩 차례로 번갈아가며 쌓아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연결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기초관(10)이 관통하도록 내부에 중심공(22)이 형성된 평면 상의 연결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플랜지(23)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하부플랜지(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와 같이 상부플랜지(23)와 하부플랜지(24)가 모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들 각 플랜지는 일정한 높이, 즉 도 1과 같이 기둥부재(30) 사이에서 적어도 외관적으로 관측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21)에는 상기 기둥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관통하도록 하는 나사홀(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의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내구성이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금속재로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식이 없는 스테인리스 강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기둥부재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30)는, 상기 기초관(10)이 관통하도록 내부에 중심공(32)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가진 본체(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된 상부돌기(33)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본체(31)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된 하부돌기(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와 같이 본체(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돌기(33)와 하부돌기(34)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돌기(33) 또는 하부돌기(34)는 본체(3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하여 상기 상부돌기(33)의 외측 또는 하부돌기(34)의 외측에 평활면(31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평활면(31a)은 본체(31)의 상단면 가장자리와 본체(31)의 하단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재(30)의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목재일 수 있고, 생산성이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집성목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기초관(10)과 연결부재(20) 및 기둥부재(30)가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지면에 기초관(10)이 입설된 상태에서, 먼저 연결부재(20) 1개를 취하여 기초관(10)의 하부에 용접(26)하여 고정한다. 물론 최 하위 연결부재(20)를 기초관(10)에 고정하는 수단은 용접(26) 외에 다른 공지의 수단, 예컨대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기둥부재(30)를 상기 최 하위 연결부재(20) 상에 얹어 놓으면 연결부재(20) 상에 기둥부재(30)가 적층되는데, 이때 기둥부재(30)의 하부돌기(34)가 연결부재(20)의 상부플랜지(23) 내부로 내입되게 하고 상부플랜지(23)의 상단면이 본체(31) 하단의 평활면(31a)(도 5 참조)에 접하도록 설계하면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를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각 부재의 틈새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또 다른 연결부재(20)를 상기 기둥부재(30) 상에 얹어 놓으면 기둥부재(30) 상에 연결부재(20)가 적층되는데, 이때 기둥부재(30)의 상부돌기(33)가 연결부재(20)의 하부플랜지(24) 내부로 내입되게 하고 하부플랜지(24)의 하단면이 본체(31) 상단의 평활면(31a)에 접하도록 설계하면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를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각 부재의 틈새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연결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나사홀(25)에 나사(40)를 관통시켜서 기둥부재(30)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형태로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를 복수 개 적층하면 도 1과 같이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가 상호 교번 적층된 기둥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상/하부플랜지(23)(24)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연결부재(20)의 상/하부플랜지(23)(24)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기둥부재(30) 역시 상기 선택된 상/하부플랜지(23)(24)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상부돌기(33) 또는 하부돌기(34)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20)에 상부플랜지(23)만 형성하고 기둥부재(30)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3)에 내입되는 하부돌기(34)만 형성하여도 도 1과 같은 형태의 기둥이 조립식으로 완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부플랜지(23)의 상단면은 그 위에 적층되는 기둥부재(30)의 평활면(31a)에 접하게 할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의 상부플랜지(23)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외향플랜지(23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외향플랜지(23a)의 상단면이 기둥부재(30)의 하단에 형성된 평활면(31a)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0)의 하부플랜지(24) 단부에도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외향플랜지(24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외향플랜지(24a)의 하단면이 기둥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평활면(31a)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연결부재(20)의 각 외향플랜지(23a)(24a)와 기둥부재(30)의 각 평활면(31a)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우천시 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둥부재(30)가 목재인 경우 기둥부재(30)의 뒤틀림이나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나사(40)를 배제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나사(40)를 이용하여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를 고정하는 경우, 도구를 이용하여 나사(40)를 박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1)에 돌출된 핀(210)을 일체형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고, 상기 기둥부재(30)의 상부돌기(33)에는 상기 핀(210)이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홈(310)을 형성한다.
이 경우 기둥부재(30) 상에 연결부재(20)를 적층하면 곧바로 핀(210)이 홈(310)에 내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나사(40)를 이용한 고정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의 요부 단면도로서, 핀(210)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핀(210)은 연결플레이트(21)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부재의 상부돌기(33)와 하부돌기(34)에 각각 핀(210)이 삽입되는 홈(310)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하면 복수 개가 적층된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가 모두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의 각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태의 기둥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기초관(10)을 원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부재(20)를 비롯하여 기둥부재(30) 역시 기초관(10)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20)와 기둥부재(30)의 평면상 형태는 도시한 예와 같기 사각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기초관 11... 앵커플레이트
12... 지지대
20... 연결부재 21... 연결플레이트 210... 핀
22... 중심공 23... 상부플랜지 23a... 상부외향플랜지
24... 하부플랜디 24a... 하부외향플랜지 25... 나사홀
30... 기둥부재 31... 본체 310... 홈
32... 중심공 33... 상부돌기 34... 하부돌기
40... 나사
12... 지지대
20... 연결부재 21... 연결플레이트 210... 핀
22... 중심공 23... 상부플랜지 23a... 상부외향플랜지
24... 하부플랜디 24a... 하부외향플랜지 25... 나사홀
30... 기둥부재 31... 본체 310... 홈
32... 중심공 33... 상부돌기 34... 하부돌기
40... 나사
Claims (9)
- 지면에 입설되는 기초관(10)과,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0)와,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초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기둥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기둥부재가 각각 상기 기초관 외부에서 차례로 교번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내부에 중심공(22)이 형성된 평면 상의 연결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플랜지(23), 하향 연장된 하부플랜지(2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30)는,
내부에 중심공(32)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가진 본체(3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3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된 상부돌기(33),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된 하부돌기(3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3) 또는 하부돌기(34)는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각 돌기와 마주보는 면의 상부플랜지(23) 또는 하부플랜지(24)의 내측으로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3) 또는 하부돌기(34)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돌기 또는 하부돌기의 외측에 평활면(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3) 또는 하부돌기(34)는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각 돌기(33)(34)와 마주보는 면의 상부플랜지(23) 또는 하부플랜지(24)의 내측으로 내입되고, 상기 각 플랜지(23)(24)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이 상기 기둥부재에서 상기 각 플랜지와 마주보는 평활면(31a)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플랜지(23)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외향플랜지(23a)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외향플랜지의 상단면이 기둥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평활면(31a)과 접하거나;
상기 각 하부플랜지(24)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외향플랜지(24a)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외향플랜지의 하단면이 기둥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평활면(31a)과 접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21)에는 상기 기둥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25)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21)에는 상기 기둥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핀(210)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30)에는 상기 핀이 내입되는 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핀(210)은 연결플레이트(2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되거나;
연결플레이트(21)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되거나;
연결플레이트(2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향 및 하향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508A KR101236275B1 (ko) | 2011-05-27 | 2011-05-27 | 조립식 기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508A KR101236275B1 (ko) | 2011-05-27 | 2011-05-27 | 조립식 기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1976A KR20120131976A (ko) | 2012-12-05 |
KR101236275B1 true KR101236275B1 (ko) | 2013-02-28 |
Family
ID=4751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0508A KR101236275B1 (ko) | 2011-05-27 | 2011-05-27 | 조립식 기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62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0555A (ko) * | 2020-10-16 | 2022-04-25 | 김학섭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10940A (en) * | 1977-08-29 | 1990-03-27 | Grady Ii Clyde C | Modular structural arrays |
US20090183465A1 (en) | 2008-01-18 | 2009-07-23 | Elite Furniture Co., Ltd. | Structure of connected wood posts for outdoor facilities |
KR20100008380U (ko) * | 2009-02-13 | 2010-08-23 | 박정미 | 이동식 원두막 구조 |
KR20100126912A (ko) * | 2009-05-25 | 2010-12-03 | 서유심 | 친환경 합성목재 구조물이 결합된 옥외 노출용 기둥 구조 |
-
2011
- 2011-05-27 KR KR1020110050508A patent/KR1012362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10940A (en) * | 1977-08-29 | 1990-03-27 | Grady Ii Clyde C | Modular structural arrays |
US20090183465A1 (en) | 2008-01-18 | 2009-07-23 | Elite Furniture Co., Ltd. | Structure of connected wood posts for outdoor facilities |
KR20100008380U (ko) * | 2009-02-13 | 2010-08-23 | 박정미 | 이동식 원두막 구조 |
KR20100126912A (ko) * | 2009-05-25 | 2010-12-03 | 서유심 | 친환경 합성목재 구조물이 결합된 옥외 노출용 기둥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0555A (ko) * | 2020-10-16 | 2022-04-25 | 김학섭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KR102513983B1 (ko) | 2020-10-16 | 2023-03-24 | 김학섭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1976A (ko) | 2012-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49248A (zh) | 泡罩塔板元件的钢筋结构及制造泡罩塔板元件的方法 | |
WO2016101414A1 (zh) | 一种可快速安装和拆卸的围栏装置 | |
KR101067629B1 (ko) | 파고라의 기둥구조 | |
KR101236275B1 (ko) | 조립식 기둥 | |
JP7250712B2 (ja) | バルコニー装置 | |
KR101323380B1 (ko) | 매립형 고정 브라켓 | |
KR200464661Y1 (ko) | 조립식 가로등주 | |
KR101097283B1 (ko) | 구조물의 기둥 구조 | |
JP2012117322A (ja) |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10009362U (ko) |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 |
KR102119014B1 (ko) |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 |
KR102235527B1 (ko) | 이동식 주택 | |
KR101498551B1 (ko) |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 |
KR101290734B1 (ko) | 파고라용 서까래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용 지붕 | |
KR101256570B1 (ko) |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90006141U (ko) |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 |
KR101049291B1 (ko) |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 |
KR200370179Y1 (ko) | 조경시설물용 다목적 기둥 | |
KR101097284B1 (ko) | 구조물의 기둥 구조 | |
KR101588370B1 (ko) | 방부가 가능한 조립용 목재 데크 | |
JP5687919B2 (ja) | 組立建物及び組立建物の施工方法 | |
KR200444776Y1 (ko) | 파고라의 기둥구조 | |
KR101140665B1 (ko) | 벽체용 마감패널 | |
CN220133272U (zh) | 一种预制装配式异型柱 | |
KR102396471B1 (ko) |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