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62U -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 Google Patents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62U
KR20110009362U KR2020100003147U KR20100003147U KR20110009362U KR 20110009362 U KR20110009362 U KR 20110009362U KR 2020100003147 U KR2020100003147 U KR 2020100003147U KR 20100003147 U KR20100003147 U KR 20100003147U KR 20110009362 U KR20110009362 U KR 201100093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insert
spacer
insert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주
Original Assignee
이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주 filed Critical 이남주
Priority to KR2020100003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362U/ko
Publication of KR20110009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중 스라브의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 상부 철근과 하부철근을 구별하여 받쳐 주면서 콘크리트 피복두께와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스페이서의 철근 긴결홈에 철근 삽입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철근이 이탈되지 않고, 철근 받침대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고정핀을 구성한다.
철근받침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서트및 고정대를 스라브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할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바닥스라브에서 거푸집을 제거하게되면 못으로 고정 되어있는 인서트및 고정대가 스라브 하부로 돌출되게 된다.
돌출된 인서트를 활용하여 천정 설치를 위한 달대등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와 인서트가 복합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철판을 절단,절곡하여 제작된 철근받침대의 몸체에는 서로 직교한 상부철근 받침대부가 2개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서트 및고정대와 하부철근을 받쳐주는 하부받침대및 긴결유지부가 형성된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에 관한것이다.
철근 받침대, 인서트및 고정대, 인서트

Description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Spacer with the sunction of an insert }
본 고안은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철근크리트 구조물형성시 철근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후 스라브 바닥으로부터 철근의 피복 두께를 유지시키고, 철근의 유동을 억제시키며, 또 철근의 받침대로 사용되는 스레이서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설치를 위한 달대등으로 사용될수 있도록한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전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콘크리트 제품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제품은 철근의 지지 기능만을 가질뿐 철근의 고정과 흔들림 방지용으로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적정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거푸집과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되고 뒤틀림 현상이 발생된다.
플라스틱 제품은 사각,원통형이 있고 콘크리트 제품은 사각으로 형성된 제품이 있다.
이들 제품들은 철근 배근 작업 완료후 전기배선작업 설비배관작업 및 검측업무를 위한 후속작업을 위한 통행으로 철근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철근 받침대가 흐트러지고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 파손되기도 한다.
또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천정을 구성하는 경우 달대 볼트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달대 볼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이루어지며, 하중이 적은 목제틀 천정의 경우 압축장비에 의해 콘크리트 못등으로 목제틀을 고정하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하중에 약하고, 고정이 되지않아 철근 배근상태가 흐트러지는 기존의 스페이서의 단점을 보완할수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와 이질감이 없는 친화적인 철판을 소재로 하며,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수직하중을 감당할수 있는 인서트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천정을 구성하는 경우 달대볼트을 별도설치 하지않는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함께 지지시키고, 철근 받침대를 거푸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철근받침대에 철근을 쉽게 삽입되도록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항상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면 바람직하다고 본다.
또 철근받침대 하부 인서트 및 고정대에 의해 달대볼트의 설치 가 용이한 인 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장점이 매우크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지지 스페이서는 철근이 적정 간격으로 배근되도록 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돌출되어있는 인서트및 고정대에 의해 천정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철근 받침대의 상. 하부에 철근배근이 용이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스라브 거푸집에 스페이서 하부가 견고하게 설치됨에 따라 전기배선, 설비배관등의 후속공정에 의해서도 철근배근이 흐트러지지 않고, 또 콘크리트 스라브 하부의 천정설치를 위해 별도로 인서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건축비용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크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근 배근시 상. 하부의 철근이 서로 직교하여 지나가는 위치에 철근 받침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서로 직교되는 상부철근을 삽입하는 상부철근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하부철근을 받쳐 주도록 형성된 하부받침대와 철근 받침대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4개로 구성된 고정핀과. 철근 받침대 몸체를 거푸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천정달대의 인서트로 활용하기 위해 구성된 두개의 인서트및 고정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로 몸체(2)와 4개의 고정핀(40) 2개의 인서트 및 고정대(30)로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되게 하기 위하여 철판을 압축절단.절곡 하여 제작한다.
몸체(2)의 상부에는 서로 직교되어 교차되는 상부철근을 삽입할수 있는 두개의 상부제1받침대 (3)와 상부 제2받침대(10)로 형성된다.
상부 제1받침대(3)는 몸체(2)의 상부면으로부터 더 깊게 파여져 철근 배근될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 제1받침대(3)에 놓여진 하단철근위에 상단철근이 직교되어 놓여질수 있도록 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 하단부위의 삽입홈(50)을 관통하여 몸체(2)의 기둥과 기둥의 벌어짐을 잡아주는 역활을 하는 하부닫침대의 긴결 유지부(20)에 2개의 긴결홈(60)을 이용하여 몸체(2) 하단부위의 삽입홈(50)하부로 하향시키므로 몸체(2)의 기둥과 기둥이 긴결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하부 철근(110)은 하부받침대및 긴결유지부(20) 상부에 절곡되어 있는 홈위에 놓여지므로 하부 철근배근은 종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인서트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콘크리트에 매립 시공한후 목제 천정 달대와 경량 천정달대고정 수단을 가진 경우의 단면도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슬라브의 거푸집을 해체하면 거푸집에 긴결되어 있는 인서트및 고정대 (30)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인서트및 고정대 (30)를 활용하여 목제(120)달대받이 천정과 달대볼트(130)를 이용하여 경량 천정으로의 사용이 가능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 하부의 간격을 잡아주고 하부철근의 스페이서 기능을 하는 받침대
도 5는 본 고안의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를 콘크리트에 매립 시공한후 목제천정 달대와 경량천정 달대 고정수단을 가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철근 받침대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 2. 몸 체
3. 상부제1받침대 10. 상부 제2받침대
20. 하부받침대 및 긴결유지부 30. 인서트 및 고정대
40. 고정핀 50. 삽입홈
60. 긴결홈 70. 인서트홈
80. 못홈 90. 긴결유지부 고리홈
100. 상부철근 110. 하부철근
120. 목제달대 130. 달대볼트
140. 콘크리트스라브 150. 슬라브
160. 달 대 홈

Claims (4)

  1. 일체로 된 철판을 압축절단, 절곡하여 제작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몸체(2)와 4개의 고정핀(40) 와 2개의 인서트및 고정대(30)로 구성된 인서트기능을 가진 스페이서
  2. 철근 받침대 몸체(2)의 상부 제1받침대 (3)와 상부 제2받침대(10)에 의해 상부철근이 서로 직교 하여 배근되며, 몸체(2) 하단부의 기둥에 2개의 삽입홈(50)속으로 하부받침대 및 긴결유지부(2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대 및 긴결유지부(20)의 2개의 긴결홈(40)에 의해 몸체(2)가 긴결되고 하부철근(110)이 하부받치대및 긴결유지부(20)절곡홈에 배근되도록 구성된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
  3. 철근 받침대의 스라브 고정을 위해 몸체(2)의 하단 2개의 인서트 및 고정대(30)는 천정의 목제달대(120)및 경량천정의 달대 볼트(130)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인서트기능을 가진 스페이서
  4. 도 6의 하부용 철근 받침대
KR2020100003147U 2010-03-26 2010-03-26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201100093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7U KR20110009362U (ko) 2010-03-26 2010-03-26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7U KR20110009362U (ko) 2010-03-26 2010-03-26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62U true KR20110009362U (ko) 2011-10-05

Family

ID=7288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47U KR20110009362U (ko) 2010-03-26 2010-03-26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36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54A (ko) * 2014-06-27 2016-01-06 김영호 탈형 데크용 산형 받침틀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20180022478A (ko) * 2016-08-24 2018-03-06 (주)코스틸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KR102468706B1 (ko) * 2022-06-09 2022-11-18 이우연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KR102538299B1 (ko) * 2022-06-10 2023-05-30 이우연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54A (ko) * 2014-06-27 2016-01-06 김영호 탈형 데크용 산형 받침틀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20180022478A (ko) * 2016-08-24 2018-03-06 (주)코스틸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KR102468706B1 (ko) * 2022-06-09 2022-11-18 이우연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KR102538299B1 (ko) * 2022-06-10 2023-05-30 이우연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082B1 (ko)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100987762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20110009362U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101087607B1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CA2602765A1 (en) Permanent standardised pre-fastening system for civil construction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200323015Y1 (ko)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JP5337322B1 (ja) コンクリート型枠施工方法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CN107740511B (zh) 一种模块墙系统
RU172744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JP2010229654A (ja) 組立用階段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KR200467343Y1 (ko)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JP5353130B2 (ja) 補強を施した柱の仕上げ方法、補強を施した柱の仕上げ材の取付構造
JP2014159681A (ja) 間仕切壁
KR101019218B1 (ko) 합성목재 데크 어셈블리
JP5697785B1 (ja) コンクリート補強壁構築方法
JP5123967B2 (ja) 免震化方法
JP3182930U (ja) プレキャスト遊牧式方法による建設ベースのキット構成部材
RU136459U1 (ru)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здания
JP3171173U (ja) 目隠しフェンス
JP2018112031A (ja) 床構造体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