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706B1 -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 Google Patents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706B1
KR102468706B1 KR1020220070109A KR20220070109A KR102468706B1 KR 102468706 B1 KR102468706 B1 KR 102468706B1 KR 1020220070109 A KR1020220070109 A KR 1020220070109A KR 20220070109 A KR20220070109 A KR 20220070109A KR 102468706 B1 KR102468706 B1 KR 10246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teel girder
upper side
reinforcing ba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연
Original Assignee
이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연 filed Critical 이우연
Priority to KR102022007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로서, 교대나 교각에 걸쳐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연속보식 또는 단순보식으로 설치되고, 횡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강재거더들;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강재거더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가로보들; 상기 강재거더들과 가로보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들;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강재거더의 상측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측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결합되는 측면 막음판; 상기 강재거더들의 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형 다이아프렘;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거더들 중 일부는 단부 또는 중앙부쪽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 강재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재거더를 변단면으로 함으로써, 강재량을 절감하고 구조 효율성이 증대되며, 측면 막음판을 포함함으로써, 강재거더와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 내의 용접불량과 도장불량 및 부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BRIDGE STRUCTURE WITH VARIABLE STEEL GIRDER}
본 발명은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강재거더의 단면을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변단면으로 함으로써, 강재를 절약하고 구조 효율성이 증대되며 시공성이 우수한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의 교량구조는 교대와 교각 사이에 교축 방향으로 강재거더들을 설치하고, 상기 강재거더들의 상측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판으로 데크재를 연속으로 설치하거나,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을 타설하고 있다.
이러한 강재거더의 단면은 I형, 박스형, 구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 중 단면이 원형인 강재거더는 그 유용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면이 원형인 강재거더인 경우 그 상측에 결합되는 데크플레이트와의 좁은 접촉부에서의 용접이나 도장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용접불량, 도장불량 등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좁은 접촉부에서의 부식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재거더들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보와의 결합은 통상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차량, 보행자 등의 진동에 의해 너트가 쉽게 풀어져 안정성이 훼손되고 유지관리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각관을 용접 결합하고, 각관의 상측에 데크재를 설치할 수 있는데, 통상의 경우 데크재는 나사 등으로 각관에 결합됨으로써, 나사에 의해 데크재가 갈라지거나, 사용 중 나사가 튀어 나오거나, 기온 변화에 따른 데크재의 신축을 제대로 수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데, 철근을 일정 간격, 일정한 높이로 배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스페이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스페이스의 경우 형상이 복잡하여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2947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770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324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16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강재거더를 변단면으로 함으로써, 강재량을 절감하고 구조 효율성이 증대되며 시공성이 우수한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원형 강재거더의 상측과 데크플레이트의 하측 사이의 좁은 공간을 막는 측면 막음판을 포함함으로써, 강재거더와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 내의 용접불량과 도장불량 및 부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데크재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데크재 고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재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데크재의 수축팽창을 수용함으로써, 데크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철근 또는 철근망의 배근을 위해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철근 또는 철근망의 위치, 높이, 간격 등을 신속,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배근할 수 있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강재거더와 가로보의 연결시 볼트 및 너트에 와셔 대신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와샤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차량, 보행자 등의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는, 교대나 교각에 걸쳐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연속보식 또는 단순보식으로 설치되고, 횡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강재거더들;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강재거더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가로보들; 상기 강재거더들과 가로보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들;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는 상기 강재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강재거더의 상측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측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결합되는 측면 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막음판은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의 용접불량과 도장불량 및 부식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들의 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형 다이아프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들 중 일부는 단부쪽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 강재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단면 강재거더는 상면의 높이는 동일하고 하면이 상측으로 수렴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들과 상기 데크재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는 양측에 설치된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상기 데크재를 탄성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데크재 사이에 설치되는 각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각관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클립의 탄성고정부가 상기 데크재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들과 상기 스페이스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은 일측 방향은 타측 방향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의 철근 삽입홈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재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강재거더를 변단면으로 함으로써, 강재량을 절감하고 구조 효율성이 증대되며 시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원형 강재거더의 상측과 데크플레이트의 하측 사이의 좁은 공간을 막는 측면 막음판을 포함함으로써, 강재거더와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 내의 용접불량과 도장불량 및 부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데크재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데크재 고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재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데크재의 수축팽창을 수용함으로써, 데크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철근 또는 철근망의 배근을 위해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철근 또는 철근망의 위치, 높이, 간격 등을 신속,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배근할 수 있다.
또한, 강재거더와 가로보의 연결시 볼트 및 너트에 와셔 대신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와샤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차량, 보행자 등의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데크플레이트들이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데크플레이트들이 설치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가로보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측면 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변단면 강재거더와 개폐형 다이아프렘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변단면 강재거더가 교대 및 교각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상판이 클립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과 클립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상판이 스페이스와 철근 또는 철근망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과 스페이스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데크플레이트들이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데크플레이트들이 설치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가로보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측면 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변단면 강재거더와 개폐형 다이아프렘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변단면 강재거더가 교대 및 교각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상판이 클립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과 클립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의 상판이 스페이스와 철근 또는 철근망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과 스페이스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는, 교대나 교각에 걸쳐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연속보식 또는 단순보식으로 설치되고, 횡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강재거더(10)들;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강재거더(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가로보(20)들; 상기 강재거더(10)들과 가로보(20)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30)들;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강재거더(10)는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되거나, 교각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거나, 교대와 교각과 교대에 걸쳐 설치되거나, 교대와 교각과 교각과 교대에 걸쳐 설치되는 등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강재거더(10)는 원형, 사각형, 제형, I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강재거더(10)는 교각에서 연속보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분리되어 단순보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보(20)들은 강재거더(10)들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강재거더(10)의 측면에 측면판이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가로보(20)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강재거더(10)들은 현장에서 가로보(20)에 의해 쉽게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측면판은 일측 즉, 강재거더(10)에 결합되는 면은 강재거더(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강재거더(10)가 원형인 경우 강재거더(10)에 결합되는 면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판은 타측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보(20)는 상기 강재거더(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와셔 대신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스프링이 와셔 역할과 풀림 방지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가로보(20)는 상하부플렌지와 상하부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I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보(20)는 필요한 경우 강재거더(10)에 직접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30)들은 강재거더(10)들과 가로보(20)들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강재거더(10) 상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필요한 경우 가로보(20)에도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들은 강재거더(10)의 좌우측에 별개로 구비되어 강재거더(10)의 상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강재거더(10)가 원형인 경우, 데크플레이트(30)의 상측에서는 용접이 용이하나, 데크플레이트(30)의 하측 즉, 강재거더(10)와의 사이에서는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인하여 용접 및 도장이 어렵고, 그에 따라 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상기 강재거더(1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가 접하는 좁은 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강재거더(10)의 상측과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측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결합되는 측면 막음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막음판(12)은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가 접하는 좁은 공간에서 용접이 어려워 발생하는 용접불량 문제와 도장을 하기 어려운 도장불량 문제, 부식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막음판(12)을 추가 설치하여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 결합부의 강도 부족을 해소하고, 좁은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도장불량, 부식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와 측면 막음판(12)이 형성하는 좁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가 접하는 좁은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하고, 구조적 약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10)와 데크플레이트(30)와 측면 막음판(12)이 형성하는 좁은 공간의 전면과 배면을 막는 막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은 상기 막음판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10)들의 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형 다이아프렘(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형 다이아프렘(14)은 강재거더(10)의 단부를 폐쇄함으로써,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이로인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개방하여 강재거더(10) 내부를 검사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강재거더(10)들 중 일부는 단부 또는 중앙부쪽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 강재거더(10)일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지간에서 중앙부보다 양 단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 또는 양 단부보다 중앙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지간에서 양 단부 지간의 강재거더(10)를 변단면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하중이 작게 걸리는 부분쪽의 직경이 작은 변단면으로 형성함으로, 강재량을 절감하고 구조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강재거더(10)의 중량을 줄여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변단면 강재거더(10)는 상면의 높이는 동일하고 하면이 상측으로 수렴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면의 높이가 동일한 변단면은 강재거더(10)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30)의 설치 등을 용이하게 하는 등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42)들과 상기 데크재(42)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30)에 고정하는 클립(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크플레이트(30)에 클립(44)들이 일정 간격으로 나사 등으로 결합되고, 상기 클립(44)들의 사이에 데크재(42)들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재(42)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여 데크재(4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44)으로 인하여 데크재(42)의 간격이 정확하게 자동으로 적용되어 미관이 수려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등이 노출되지 아니하여 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데크재(42)는 천연목재, 합성목재, 낙엽송탄화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립(44)은 상기 데크플레이트(30)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442), 상기 고정부(442)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립(44)은 나사 등에 의해 고정부(442)가 데크플레이트(30)에 고정되고, 데크재(42)는 양측 클립(4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30) 상측에 설치되는 각관(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44)은 각관(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444)는 양측에 설치된 데크재(42)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데크재(42)를 탄성 고정할 수 있다. 탄성고정부(444)는 호 형상이고,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질 수 있다. 탄성고정부(44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기온의 변화 등에 의한 데크재(42)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데크재(42)가 수축하는 경우에 탄성고정부(444)는 펼쳐저 데크재(42)에 밀착되고, 데크재(42)가 신장하는 경우 탄성고정부(444)는 좁혀저 데크재(42)의 신장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2)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4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446)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클립(44)의 탄성고정부(444)가 상기 데크재(42)를 압박하게 할 수 있다. 즉, 도면 6을 참조하면 좌측의 데크재(42)가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클립(44)을 데크재(42)에 밀착시키고 나사를 ①번 방향으로 클립(44)의 구멍을 이용하여 각관(50) 또는 데크플레이트(30)에 고정하게된다. 이 경우 나사를 체결할 때 클립(44)이 밀착요홈(446)으로 인하여 좌측인 ②번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즉, 밀착요홈(446) 끝단이 펼쳐지면서 데크재(42)를 압박하게 되고, 따라서 클립(44)이 자연스레 데크재(42)를 밀착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는 작업자들이 클립(44)을 데크재(42)에 긴밀히 밀착시키지 못하여 데크재(42)가 유동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데크플레이트(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48)들과 스페이스(48)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데크플레이트(30)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48)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48)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홈(482)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의 스페이스(48)는 하부가 넓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482)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철근을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의 피복 두께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482)은 일측 방향은 타측 방향에 비해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깊은 정도는 철근의 직경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48)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482)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48)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484)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48)의 철근 삽입홈(482)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48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스(48)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철근 또는 철근망을 이중 배근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배근할 수 있다. 즉, 하부 스페이스(48)를 먼저 배치하고, 하부 스페이스(48)의 상측에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한 후 하부 스페이스(48)의 상측에 스페이스(48)를 끼워 설치하고, 그 상측에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 철근의 상호 간격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페이스(48)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하지 아니하고, 상측의 스페이스(48)에만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할 수 있다. 이는 철근의 배근 높이를 높은 곳에만 배근하고자 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강재거더
12: 측면 막음판
14: 개폐형 다이아프렘
20: 가로보
30: 데크플레이트
42: 데크재
44: 클립
442: 고정부
444: 탄성고정부
446: 밀착요홈
48: 스페이스
482: 철근 삽입홈
484: 머리 삽입홈
486: 하부 철근 삽입홈
50: 각관

Claims (10)

  1. 교대나 교각에 걸쳐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연속보식 또는 단순보식으로 설치되고, 횡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강재거더들;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강재거더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가로보들;
    상기 강재거더들과 가로보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들;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거더들의 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형 다이아프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는 상기 강재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강재거더의 상측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측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결합되는 측면 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막음판은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접하는 좁은 공간의 용접불량과 도장불량 및 부식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들 중 일부는 단부 또는 중앙부쪽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변단면 강재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6. 교대나 교각에 걸쳐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연속보식 또는 단순보식으로 설치되고, 횡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강재거더들;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강재거더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가로보들;
    상기 강재거더들과 가로보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들;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들과 상기 데크재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는 양측에 설치된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상기 데크재를 탄성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클립의 탄성고정부가 상기 데크재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들과 상기 스페이스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의 철근 삽입홈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KR1020220070109A 2022-06-09 2022-06-09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KR10246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09A KR102468706B1 (ko) 2022-06-09 2022-06-09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09A KR102468706B1 (ko) 2022-06-09 2022-06-09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706B1 true KR102468706B1 (ko) 2022-11-18

Family

ID=8423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109A KR102468706B1 (ko) 2022-06-09 2022-06-09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7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16B1 (ko) 2001-10-12 2004-01-31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받침대
KR20110009362U (ko) * 2010-03-26 2011-10-05 이남주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101229472B1 (ko) 2011-11-16 2013-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477022B1 (ko) 2014-07-29 2014-12-29 이경표 만곡된 강관을 이용하여 거더부재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부재
JP2021025228A (ja) * 2019-07-31 2021-02-22 日本製鉄株式会社 床版構造および床版取替え方法
KR102332409B1 (ko) 2021-05-07 2021-12-01 주식회사 태하 작용 하중에 대한 반력이 발생되게 한 지주식 인도교용 강관 거더
CN215366759U (zh) * 2021-07-13 2021-12-3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小半径钢箱梁顶推的导梁结构
KR102393747B1 (ko) * 2022-02-18 2022-05-04 박광식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16B1 (ko) 2001-10-12 2004-01-31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받침대
KR20110009362U (ko) * 2010-03-26 2011-10-05 이남주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101229472B1 (ko) 2011-11-16 2013-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477022B1 (ko) 2014-07-29 2014-12-29 이경표 만곡된 강관을 이용하여 거더부재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부재
JP2021025228A (ja) * 2019-07-31 2021-02-22 日本製鉄株式会社 床版構造および床版取替え方法
KR102332409B1 (ko) 2021-05-07 2021-12-01 주식회사 태하 작용 하중에 대한 반력이 발생되게 한 지주식 인도교용 강관 거더
CN215366759U (zh) * 2021-07-13 2021-12-3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小半径钢箱梁顶推的导梁结构
KR102393747B1 (ko) * 2022-02-18 2022-05-04 박광식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595B2 (en) Bridge decking panel with fastening systems
KR100891924B1 (ko)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2538299B1 (ko)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KR102468706B1 (ko)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39927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100102908A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374284B1 (ko)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및 그연속화 공법
KR100977855B1 (ko) Pss 거더
KR10094958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002423B1 (ko) 신축이음장치
KR10050657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68911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고정구조
KR100399278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358339Y1 (ko)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KR20090025748A (ko)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KR102551244B1 (ko) 개방형복부를 가진 강재박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333777Y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KR101140632B1 (ko)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20100023214A (ko) 다경간 단순교의 바닥판 연속부
KR20100037917A (ko) 신축이음장치
KR200241039Y1 (ko)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