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99B1 -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 Google Patents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99B1
KR102538299B1 KR1020220070621A KR20220070621A KR102538299B1 KR 102538299 B1 KR102538299 B1 KR 102538299B1 KR 1020220070621 A KR1020220070621 A KR 1020220070621A KR 20220070621 A KR20220070621 A KR 20220070621A KR 102538299 B1 KR102538299 B1 KR 10253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russ
reinforcing bar
composite bridg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연
Original Assignee
이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연 filed Critical 이우연
Priority to KR102022007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2/00Bridge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structures not covered as a whole by a single one of groups E01D2/00 - E01D11/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4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with the possibility for the connection to absorb deformation, e.g. thermal or vibrati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으로서, 교대 또는 교각의 상측에 종방향(교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횡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들과 상기 데크재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는 양측에 설치된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상기 데크재를 탄성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더와 바닥판의 형식을 다양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어,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약할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이나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식의 바닥부재와 측면부재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바닥부재의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데크재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데크재 고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재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데크재의 수축팽창을 수용함으로써, 데크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로트러스 복합교량{TRUSS COMPOSITE LOWER ROUTE BRIDGE}
본 발명은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부 형하공간 확보가 부족하여 거더의 형고를 높일 수 없는 조건에서 바닥판을 거더의 하부에 설치하는 하로교로 함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조형미가 우수한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 관한 발명이다.
하로교는 바닥판(슬래브, 노면)의 위치를 주거더(종방향 거더)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교량 형식이다.
종래에는 바닥판이 주거더의 상부에 위치한 상로교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상로교는 장경간 교량에 유리하나 교량 바닥판이 거더 상부에 배치되므로 형하공간의 확보가 어렵다. 또한, 교량 부근 접속 구간에서 토공을 통한 교량의 인상이 불가피하여 공사비와 공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주거더 하부에 바닥판이 위치하는 하로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로교는 바닥판이 주거더 하부에 위치하므로, 주거더의 하부 돌출 높이가 낮아 형하공간의 확보에 유리하다. 아울러 교량 부근 접속 구간에서 토공량을 감소시켜 공사비와 공시기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하로교는 주거더와 바닥판의 형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뿐 아니라 조형미도 크게 달라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04262
본 발명의 목적은, 주거더와 바닥판의 형식을 다양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어,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약할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이나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식의 바닥부재와 측면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바닥부재의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데크재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데크재 고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재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데크재의 수축팽창을 수용함으로써, 데크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클립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포함함으로써, 클립이 데크재를 용이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바닥부재의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철근 배근을 위해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철근의 위치, 높이, 간격 등을 신속,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배근하고 동시에 다층으로 용이하게 배근할 수 있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와 가로보의 연결시 볼트 및 너트에 와셔 대신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와샤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차량, 보행자 등의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측에 종방향(교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횡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으로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는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이고,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사이인 중앙부는 트러스 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부재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사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 I형 강재, 사각 강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 I형 강재, 사각 강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는 상기 하부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들과 상기 데크재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는 양측에 설치된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상기 데크재를 탄성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데크재 사이에 설치되는 각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각관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클립의 탄성고정부가 상기 데크재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들과 상기 스페이스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의 철근 삽입홈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더와 바닥판의 형식을 다양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어,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을 절약할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이나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식의 바닥부재와 측면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재의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데크재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데크재 고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재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하고, 데크재의 수축팽창을 수용함으로써, 데크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더 포함함으로써, 클립이 데크재를 용이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재의 데크플레이트 상측의 철근 배근을 위해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철근의 위치, 높이, 간격 등을 신속,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배근하고 동시에 다층으로 용이하게 배근할 수 있다.
또한,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와 가로보의 연결시 볼트 및 너트에 와셔 대신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와샤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차량, 보행자 등의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인 I형 거더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인 박스 거더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I형 강재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사각 강재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6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원형 강관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데크재가 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과 클립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스페이스에 철근 또는 철근망이 결합되는 모습과 스페이스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은 박스 거더이고, 중앙부는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트러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인 I형 거더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전방 및 후방인 박스 거더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I형 강재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사각 강재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인 상부부재는 원형 강관이고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I형 강재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사각 강재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 6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측면부재의 중앙부의 하부부재가 원형 강관인 경우의 가로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데크재가 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과 클립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에서 스페이스에 철근 또는 철근망이 결합되는 모습과 스페이스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측에 종방향(교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부재(10); 및 상기 바닥부재(10)의 횡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면으로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다.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은 교각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거나,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되거나, 교대와 교각과 교대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은 단순교로 설치되거나, 또는 연속교로 설치될 수 있다.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의 횡방향 단면은 대략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의 횡방향 단면은 상측의 폭이 넓은 제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로트러스 복합교량은 바닥부재(10) 또는 측면부재(20)의 하부에 강선이 배치되고 긴장하여 정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0)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측에 종방향(교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20)는 바닥부재(10)의 횡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재(20)는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이고,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사이인 중앙부는 트러스 거더일 수 있다.
측면부재(20)의 전방 및 후방 즉, 교대 또는 교각 근처는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일 수 있다.
I형 거더는 상부플렌지와 하부플렌지 이들은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I형 거더는 필요한 경우 비틀림, 좌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가 웨브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부플렌지와 하부플렌지 및 웨브에 결합될 수 있다.
박스 거더는 상면과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양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 거더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등이 타설될 수 있다. 박스 거더는 측면부재(20)의 높이가 높을 때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부재(22)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부재(24)와 상기 상부부재(22)와 하부부재(24)를 연결하는 사재(2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상부부재(22) 및 하부부재(24)는 원형 강관, I형 강재, 사각 강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사재(26)들은 경사부재, 수직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재(26)들의 배치는 통상의 트러스 형상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24)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보(24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242)는 상기 하부부재(24)의 측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측면판(244)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와셔 대신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스프링이 와셔 역할과 풀림 방지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4a, 4b를 참조하면,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24)가 I형 강재인 경우 ㄱ자 형상의 측면판(244)이 I형 강재의 상부플렌지, 하부플렌지 및 웨브에 용접 결합되고, 가로보(242)는 ㄱ자 형상의 측면판(244)의 상부 돌출된 부분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가로보(242)는 상부플렌지, 하부플렌지 및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5b를 참조하면,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24)가 사각 강재인 경우 ㄱ자 형상의 측면판(244)이 사각 강재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용접 결합되고, 가로보(242)는 ㄱ자 형상의 측면판(244)의 상부 돌출된 부분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가로보(242)는 상부플렌지, 하부플렌지 및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24)가 원형 강관인 경우 일면이 호 형상의 측면판(244)이 원형 강관의 측면에 용접 결합되고, 가로보(242)는 측면판(244)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로보(242)는 상부플렌지, 하부플렌지 및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보(242)를 측면판(244)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 신속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
가로보(242)는 측면판(244) 없이 하부부재(24)에 직접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로보(242)는 측면부재(20)의 전방 및 후방의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의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양측의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의 하부 사이에 가로보(2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0)는 데크플레이트(1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2) 상측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14)들과 상기 데크재(14)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12)에 고정하는 클립(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2)는 가로보(242)들의 상측이면서 양 측면부재(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2)는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2)는 양 측면부재(20)와 가로보(242)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클립(16)은 상기 데크플레이트(12)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162), 상기 고정부(162)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16)들은 고정부(162)의 구멍을 이용하여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데크플레이트(12)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클립(16)의 한 쌍의 탄성고정부(164)는 양측에 설치된 데크재(14)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데크재(14)를 탄성 고정할 수 있다.
탄성고정부(164)는 호 형상이고,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질 수 있다. 탄성고정부(16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기온의 변화 등에 의한 데크재(14)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데크재(14)가 수축하는 경우에 탄성고정부(164)는 펼쳐저 데크재(14)에 밀착되고, 데크재(14)가 신장하는 경우 탄성고정부(164)는 좁혀저 데크재(14)의 신장을 수용할 수 있다.
클립(16)을 사용함으로써, 데크재(14)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여 데크재(1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16)으로 인하여 데크재(14)의 간격이 정확하게 자동으로 적용되어 미관이 수려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등이 노출되지 아니하여 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데크재(14)는 천연목재, 합성목재, 낙엽송탄화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2)와 데크재(14) 사이에 설치되는 각관(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데크플레이트(12) 상측에 각관(17)들을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각관(17)들의 상측에 클립(16)들을 나사, 볼트 등으로 결합하고, 데크재(14)들은 클립(16)들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클립(16)의 고정부(162)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1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62)의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166)쪽으로 클립(16)이 기울어지면서 클립(16)의 탄성고정부(164)가 데크재(14)를 압박할 수 있다.
즉, 좌측의 데크재(14)가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클립(16)을 데크재(14)에 밀착시키고 나사를 ①번 방향으로 클립(16)의 구멍을 이용하여 각관(17) 또는 데크플레이트(12)에 고정하게된다. 이 경우 나사를 체결할 때 클립(16)이 밀착요홈(166)으로 인하여 좌측인 ②번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즉, 밀착요홈(166) 끝단이 펼쳐지면서 데크재(14)를 압박하게 되고, 따라서 클립(16)이 자연스레 데크재(14)를 밀착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는 작업자들이 클립(16)을 데크재(14)에 긴밀히 밀착시키지 못하여 데크재(14)가 유동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0)는 데크플레이트(1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2)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18)들과 상기 스페이스(18)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상기 데크플레이트(12)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18)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2)는 가로보(242)들의 상측이면서 양 측면부재(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스(18)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182)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의 스페이스(18)는 하부가 넓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182)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철근을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의 피복 두께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182)은 일측 방향은 타측 방향에 비해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깊은 정도는 철근의 직경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18)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182)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18)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184)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18)의 철근 삽입홈(182)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18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스(18)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철근 또는 철근망을 이중 배근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배근할 수 있다. 즉, 하부 스페이스(18)를 먼저 배치하고, 하부 스페이스(18)의 상측에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한 후 하부 스페이스(18)의 상측에 스페이스(18)를 끼워 설치하고, 그 상측에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 철근의 상호 간격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페이스(18)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하지 아니하고, 상측의 스페이스(18)에만 철근 또는 철근망을 배근할 수 있다. 이는 철근의 배근 높이를 높은 곳에만 배근하고자 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닥부재
12: 데크플레이트
14: 데크재
16: 클립
162: 고정부
164: 탄성고정부
166: 밀착요홈
17: 각관
18: 스페이스
182: 철근 삽입홈
184: 머리 삽입홈
186: 하부 철근 삽입홈
20: 측면부재
22: 상부부재
24: 하부부재
242: 가로보
244: 측면판
26: 사재

Claims (10)

  1. 교대 또는 교각의 상측에 종방향(교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횡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으로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재는 전방 및 후방은 I형 거더 또는 박스 거더이고,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사이인 중앙부는 트러스 거더이고,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부재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사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는 상기 하부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및 너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트러스 거더의 하부부재는 원형 강관, I형 강재, 사각 강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데크재들과 상기 데크재들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양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호 형상의 탄성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부는 양측에 설치된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에 긴밀히 삽입되어 상기 데크재를 탄성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요홈 형상으로 절취 제거된 밀착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에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때 밀착요홈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클립의 탄성고정부가 상기 데크재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들과 상기 스페이스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 또는 철근망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상기 스페이스들 및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설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의 하부에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머리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이고 상측에는 십자 형상의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스페이스의 상부가 긴밀히 삽입되는 머리 삽입홈과, 상기 하부 스페이스의 철근 삽입홈에 설치된 철근 또는 철근망이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하부 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KR1020220070621A 2022-06-10 2022-06-10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KR10253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21A KR102538299B1 (ko) 2022-06-10 2022-06-10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21A KR102538299B1 (ko) 2022-06-10 2022-06-10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99B1 true KR102538299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621A KR102538299B1 (ko) 2022-06-10 2022-06-10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50B1 (ko) * 2023-04-28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장선결합형 편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362U (ko) * 2010-03-26 2011-10-05 이남주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101304262B1 (ko) 2013-05-23 2013-09-05 이우연 변단면 ⅰ형 거더를 이용한 아치형 하로교의 트러스 복합교량 구조
KR101476775B1 (ko) * 2014-05-29 2014-12-30 주식회사 씨엔케이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362U (ko) * 2010-03-26 2011-10-05 이남주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101304262B1 (ko) 2013-05-23 2013-09-05 이우연 변단면 ⅰ형 거더를 이용한 아치형 하로교의 트러스 복합교량 구조
KR101476775B1 (ko) * 2014-05-29 2014-12-30 주식회사 씨엔케이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50B1 (ko) * 2023-04-28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장선결합형 편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299B1 (ko) 하로트러스 복합교량
Daly et al. Strengthening of bridges using external post-tensioning
KR102035492B1 (ko) 세미 사장교 구조
CN219824886U (zh) 桥梁无缝伸缩缝结构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JPH0782709A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2151576B1 (ko) 강합성 교량
KR102468706B1 (ko)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EP1065316A1 (fr) Structure de pont ou de passerelle mixte béton-acier, en particulier de pont à tablier bipoutre mixte sous chaussée
KR102156689B1 (ko) 트러스 인도교
KR102208167B1 (ko) 곡선 장지간 시공과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교량 및 인도교의 브라켓 설치 구조물
KR20010088998A (ko)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20090054511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168911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고정구조
KR101259140B1 (ko) 수평력분산수단이 구비된 콘크리트 보를 이용한 교량
KR100555251B1 (ko) 다목적 인장이 가능한 측면돌출 정착블록이 정착된 주형과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7266808B1 (ja) 主桁連続化剛結合工法
KR200358339Y1 (ko)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KR102151567B1 (ko) 강합성 교량
CN211420909U (zh) 一种桥梁箱梁内体外预应力加固结构
KR200369707Y1 (ko)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CN216765561U (zh) 一种预制超高性能混凝土镂空t梁桥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