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748A -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 Google Patents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748A
KR20090025748A KR1020070090836A KR20070090836A KR20090025748A KR 20090025748 A KR20090025748 A KR 20090025748A KR 1020070090836 A KR1020070090836 A KR 1020070090836A KR 20070090836 A KR20070090836 A KR 20070090836A KR 20090025748 A KR20090025748 A KR 2009002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ll
culvert
inner beam
mo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태
Original Assignee
권은태
(주)청송건설엔지니어링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태, (주)청송건설엔지니어링, (주)지엠지 filed Critical 권은태
Priority to KR102007009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748A/ko
Publication of KR2009002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거에 관한 것으로, 상하 슬래브와 벽체를 힌지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상하 슬래브는 내민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에 있어서 슬래브와 벽체의 연결지점에 대한 모멘트를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에 대한 모멘트 및 변위를 감소시켜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민보, 슬래브, 암거, 벽체, 모멘트

Description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Closed conduit using corbel slab}
본 발명은 암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슬래브와 벽체를 힌지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상하 슬래브는 내민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에 있어서 슬래브와 벽체의 연결지점에 대한 모멘트를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에 대한 모멘트 및 변위를 감소시켜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1연 및 2연~다련 암거의 취약부인 연결지점(상하 단절점부)의 인장과 압축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1단 힌지 1연 암거 및 1단 힌지 2연~다련 암거의 모멘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암거는 상하 슬래브(1)(2) 및 벽체(3)가 직각의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그 연결지점(4, 상하 단절점부) 및 상부 슬래브(1)의 중앙에 과다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인장/압축 응력 또한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 확보를 위한 슬래브(1)(2)와 벽체(3)의 단면크기가 증가하여 초기 공사비의 증가가 필연적이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향후 취약부위인 슬래브(1)(2)와 벽체(3)의 연결지점(4) 및 슬래브(1)의 중앙에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나, 이에 대한 대체방안은 미약한 상황이라 구조물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선 유지관리 및 개축에 관한 공사비가 추가로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암거는 현장에서 철근 가공조립, 거푸집, 동바리, 비계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타설에 따른 양생 시간 및 부대시설의 설치 시간이 과다하게 요구되어 공사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암거는 교량의 구조물로 설치시 중앙부의 모멘트가 높아 장경간으로 구성하기 곤란하므로 대부분 2연~다련 암거를 단경간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집중호우나 홍수가 발생하면 교각부에 부유물이 걸리게 되고, 이는 체수 및 월류를 발생시켜 주변지역을 침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암거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용하중에 의한 슬래브와 벽체간 연결지점의 모멘트를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에 대한 변위 및 모멘트를 최소화시킴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단면적을 줄이고, 기제작된 부품들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시공함으로써,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한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시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경간으로 구성 가능한 교량의 구조물로 설치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는, 상하 슬래브와, 상기 상하 슬래브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복수 개의 벽체로 구성하며; 상기 상하 슬래브는 벽체 연결지점의 모멘트를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의 변위 및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민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벽체는 하부 슬래브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 상단에 상부 슬래브가 힌지 결합되는 1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벽체는 상하 슬래브와 각각 분리 구성되고, 상기 벽체 상하단에 상하 슬래브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양단 힌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부 슬래브는, 좌우 한 쌍의 벽체를 갖는 단경간 구조이거나, 좌우 벽체 사이에 중간벽체를 갖는 다경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는 단부에 단턱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는 상기 단턱에 거치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이와 대응하는 벽체의 단부에는 수직하중보강을 위해 보강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벽체의 지지부 일측에는 마주보게 지압판이 밀착 설치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벽체의 지지부에는 상기 지압판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긴장수단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는 상기 중간벽체 단부에 거치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이와 대응하는 중간벽체의 단부에는 수직하중보강을 위해 보강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중간벽체의 단부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 및 중간벽체를 연결하도록 마주보게 지압판이 밀착 설치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중간벽체의 단부에는 상기 지압판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긴장수단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중간벽체는 그 들뜸과 수평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는 수직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와 벽체 사이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용하중에 의한 슬래브와 벽체간 연결지점의 응력을 분산시켜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에 대한 변위 및 모멘트를 최소화시켜 구조물의 취약부를 줄임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슬래브 및 벽체가 독립된 형태로서 별도로 공장 및 현장에서 제작한 후 공사현장에서 힌지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타설에 따른 양생 시간 및 철근 가공조립 및 거푸집, 동바리 및 비계 등의 설치시간이 불필요하여 공사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슬래브와 벽체가 조립이 용이한 힌지 조립 구조로 구성되어 향후 파손된 부위만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민보 슬래브 구조는 이를 교량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 중앙부의 모멘트가 감소하여 장경간으로 구성하기가 용이하므로, 기존의 2연~다련 암거를 단경간으로 설치시 집중호우나 홍수로 인해 교각부에 부유물이 걸려 발생하던 체수 및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힌지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단 힌지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1단 힌지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양단 힌지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또는 양단 힌지의 슬래브와 벽체의 연결지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2연~다련 암거의 슬래브와 중간벽체의 연결지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민보 슬래브는, 1단 힌지의 1연 암거 구조로서, 분절된 내민보의 상부 슬래브(10)와, 하부 슬래브(11)로부터 일체형으로 수직 연장되는 좌우 1쌍의 벽체(12)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슬래브(10)와 벽체(12)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슬래브(10)는 상기 벽체(12) 상단에 밀착되도록 하측으로 좌우 1쌍의 돌출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12)는 상단에 상기 상부 슬래브(10)의 돌출부(13)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단턱(15)을 갖는 지지부(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래브(10)의 돌출부(13)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벽체(12)의 단턱(15) 하부에는 수직하중 보강을 위해 소정의 길이로 3열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며 조밀하게 보강철근(19a)(19b)이 폭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와 지지부(14)에는 서로 대응되게 수평으로 관통공(21)을 폭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벽체(12)와 슬래브(10)의 결합부에 긴장을 제공하도록 볼트(17) 및 너트(17a)와 같은 긴장수단이 내설되고, 상기 긴장수단(17)(17a)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부(14) 외측과 상부 슬래브(10)의 돌출부(13) 일측에 밀착되어 상부 슬래브(10) 및 벽체(12)의 파손을 방지하며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1쌍의 지압판(18)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이 같이 1단 힌지로 구성된 벽체(12)의 1연 암거는 상하 슬래브(10)(11)가 내민보 구조로서 종래의 직각의 일체로 이루어진 슬래브와 벽체의 우각부가 제거되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멘트 형상이 변화되므로 상하 슬래브(10)(11)가 연속화 구조로서 힌지 지점부에 의한 모멘트의 상승만큼 슬래브(10) 중앙의 모멘트 및 슬래브(10)와 벽체(12) 연결지점의 모멘트가 대폭 감소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내민보 슬래브 구조의 암거를 종래의 암거와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단면 및 현장 조건
Figure 112007065087816-PAT00001
(표 2)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하중 재하
Figure 112007065087816-PAT00002
표 1에 표시된 표준규격을 이용하여 종래의 암거를 이용한 공법과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을 비교해 보면, 각각의 공법의 조건은 3X3 규격에 1연 구조로 이루어지며, 토피고는 2.0m로서 현장조건은 수로 암거나 RC 또는 PC 박스로 하고 있다. 그리고, 표 2를 참조하면 고정하중, 토피하중, 토압하중, 활하중 등 모든 하중 분포 면에서 있어서 본 발명의 수치가 종래의 사각의 일체형 암거에 비해 현저히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 3) 각 케이스별 단면력도(B.M.D)
Figure 112007065087816-PAT00003
(표 4) 하중조합에 의한 단면도력(B.M.D)
Figure 112007065087816-PAT00004
또한, 상기한 표 3 및 표 4의 수치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종래의 사각의 일체형 암거에 비해 고정하중, 토피하중, 토압하중, 활하중 등 모든 하중 분포에 대 하여 작은 수치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그 모멘트를 비교해 보면, 종래의 공법은 부정정 연속에 의한 구조로서 작용 하중의 분배기능이 없어 슬래브 우각부와, 상하 슬래브의 중앙부 및 벽체에 과도한 하중을 부담시키고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내민보 슬래브 구조는 하중 작용시 내민보 구조를 통해 그 하중이 분담되는 효과를 가지므로 슬래브 우각부에 발생하는 단면력이 제거되고, 슬래브 중앙부의 단면력은 최소화되며, 벽체는 상하벽체가 캔틸레버 구조의 단면 포락선을 나타내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민보 슬래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2a)를 상하 슬래브(10)(11a)로부터 분절된 독립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벽체(12a)의 양단을 상하 슬래브(10)(11a)에 각각 힌지 결합하여 양단 힌지의 1연 암거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분절된 슬래브와 벽체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슬래브와 벽체에 설치되는 보강철근, 긴장수단 및 지압판의 구조 중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같이 양단 힌지로 구성된 벽체(12a)의 1연 암거는 상하 슬래브(10)(11a)가 내민보 구조로서 종래의 직각의 일체로 이루어진 슬래브와 벽체의 우각부가 제거되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멘트 형상이 변화되고, 이에 상하 슬래브가 연속화 구조로서 양단의 힌지 지점부에 의한 모멘트의 상승만큼 슬래브(10) 중앙의 모멘트 및 슬래브(10)(11a)와 벽체(12a) 연결지점의 모멘트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2연~다련 암거 구조가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a)(11b) 중간부에 중간벽체(16)를 갖는 2연 암거 구조로서 1단 힌지일 경우, 돌출부(13)에 힌지부 수직하중보강을 위한 보강철근(19a)이 설치된 분절된 내민보의 상부 슬래브(10a)(10b)와, 하부 슬래브(11b)(11c)로부터 일체형으로 수직 연장되며 그 단부인 상부 슬래브 지지부(14)에는 힌지부 수직하중보강을 위한 보강철근(19b) 설치된 1단 힌지의 벽체(12)로 구성된다.
이 같이 1단 힌지로 구성된 벽체의 2연~다련 암거는 상하 슬래브(10a)(11b)가 내민보 구조로서 종래의 직각의 일체로 이루어진 슬래브와 벽체의 우각부가 제거되어 모멘트 형상이 변화되고, 이에 상하 슬래브(10a)(11b)가 연속화 구조로서 힌지 지점부에 의한 모멘트의 상승만큼 중앙부 모멘트 및 연결부위의 모멘트가 대폭 감소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간벽체(16)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들뜸과 수평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고정수단은, 중간벽체(16) 상측에 나사(30)가 고정 설치되도록 나사공을 천공하고, 상기 상부 슬래브(10b)의 돌출부(13a)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나사 관통공(33)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슬래브(10b)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돌출된 나사(30) 단부에 와셔 및 너트(30a)를 체결하되 체결부위가 상부 슬래브(10a) 상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설치홈(31)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상부 슬래브(10)와 중간벽체(16)에 설치되는 보강철근, 긴장수단, 지압판은 벽체의 지지부가 없는 바 1연 암거와는 일부 다른 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슬래브(10a)는 상기 중간벽체(19) 단부에 거치되도록 돌출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슬래브(10a)의 돌출부(13a) 및 이와 대응하는 중간벽체(16)의 단부에는 수직하중보강을 위해 보강철근(39a)(39b)이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13a) 및 중간벽체(16)의 단부 양측에는 폭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관통공(34)(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4)(35)에는 상기 돌출부(13a) 및 중간벽체(16)를 상하로 연결하도록 1쌍의 지압판(37)이 상하로 길게 밀착 설치되어 1연 암거에서의 벽체 지지부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상부 슬래브(10b)의 돌출부(13a) 및 중간벽체(16)의 단부에는 상기 지압판(37)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각각의 긴장수단(36, 나사)이 관통 결합된 후 그 일측이 너트(38)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내민보 슬래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2a)를 상하 슬래브(10a)(11c)로부터 분절된 독립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벽체(12a)의 양단을 상하 슬래브(10a)(11c)에 각각 힌지 결합한 후, 하부 슬래브(11c) 중간에 중간벽체(16)가 구비되는 양단 힌지의 2연~다련 암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양단 힌지로 구성된 벽체의 2연~다련 암거는 상하 슬래브(10a)(11c)가 내민보 구조로서 종래의 직각의 일체로 이루어진 슬래브와 벽체의 우각부가 제거되어 모멘트 형상이 변화되고, 이에 상하 슬래브가 연속화 구조로서 양단의 힌지 지점부에 의한 모멘트의 상승만큼 중앙부 모멘트 및 연결부위의 모멘트가 대폭 감 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래브(10)의 돌출부(13)와 벽체(12) 및 중간벽체(16)의 힌지 결합부 사이에는 신축성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아스팔트 메스틱이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2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사 현장에서의 설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 힌지의 1연 또는 2연-다련 암거의 설치 공정은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현장에서 소형중장비(40)를 이용하여 터파기(45)와 동시에 내민보 구조의 상부슬래브(10) 및 1단 힌지의 하부슬래브(11)가 일체화된 벽체(12)를 돌출부(13) 및 지지부(14)에 보강철근(19a)(19b)를 설치하여 공장 및 현장 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형중장비(41)를 이용하여 기제작된 1단 힌지의 하부슬래브(11)와 벽체(12)를 터파기(45)한 위치에 거치한다.
이후, 상기 벽체(12)의 단턱(15)에 패드(20)를 설치하고, 대형중장비(41)를 이용하여 기제작된 내민보 구조의 상부 슬래브(10)를 돌출부(13)와 벽체(12)의 단턱(15)에 올려 거치한 다음, 거치된 슬래브(10)의 돌출부(13)와 벽체(12) 지지부(14)의 관통공(21)이 형성된 측면부에 지압판(18)을 밀착시키고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일측으로부터 나사(17)를 삽입하고 타측에서 너트(17a)를 결합하여 힌지 결합부를 긴장시키며 상부 슬래브(10)와 벽체(12)를 일체화시켜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양단 힌지의 1연 및 2연-다련 암거의 설치공정은 도 12a 내지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현장에서 소형중장비(40)를 이용하여 터파기(45)와 동시에 내민보 구조의 상부 슬래브(10) 및 양단 힌지의 벽체(12a)와, 내민보 구조의 하부 슬래브(11a)를 돌출부(13) 및 지지부(14)에 보강철근(19a)(19b)를 설치하여 공장 및 현장 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형중장비(41)를 이용하여 기제작된 내민보의 하부 슬래브(11a)를 터파기(45)한 위치에 거치한다.
이후, 상기 하부 슬래브(11a) 위에 양단 힌지 벽체 전도방지시설(50)을 설치한 다음, 이후 양단 힌지 벽체(12a)를 상기 전도방지시설(50)을 통해 하부 슬래브(11a)의 돌출부(13) 위에 각각 설치한 후 1단 힌지에서와 같이 지압판(18) 및 긴장수단(17)(17a)을 설치하며, 기제작된 내민보 구조의 상부 슬래브(10)의 돌출부(13)를 벽체(12a)의 지지부(14)의 단턱(15)에 거치한 후, 거치된 내민보 상하 슬래브(10)(11a) 및 양단 힌지 벽체(12a)의 연결 부위에 1단 힌지에서와 같이 벽체 힌지부 지압판(18) 및 벽체 힌지부 긴장수단(17)(17a)을 설치하여 긴장시킨 후 일체화시키고, 양단 힌지 벽체 전도방지시설(50)을 제거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민보 슬래브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교량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 중앙부의 모멘트가 감소하여 장경간으로 구성하기가 용이하므로, 기존의 2연~다련 암거를 단경간으로 설치시 집중호우나 홍수로 인해 교각부에 부유물이 걸려 발생하던 체수 및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암거의 상하 단절점부 응력분포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암거의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힌지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단 힌지의 1연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1단 힌지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양단 힌지의 2연~다련 암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또는 양단 힌지의 슬래브와 벽체의 연결지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2연~다련 암거의 슬래브와 중간벽체의 연결지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암거의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힌지 암거의 작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의한 양단 힌지 암거의 작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슬래브 11 ; 하부 슬래브
12 ; 벽체 13 ; 돌출부
14 ; 지지부 15 ; 단턱
16 ; 중간벽체 17 ; 긴장수단
18 ; 지압판 19a, 19b ; 보강철근
20 ; 패드 30 ; 나사
31 ; 설치홈 36 ; 긴장수단
37 ; 지압판 39a, 39b ; 보강철근
50 ; 전도방지시설

Claims (8)

  1. 상하 슬래브와, 상기 상하 슬래브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복수 개의 벽체로 구성하며; 상기 상하 슬래브는 벽체 연결지점의 모멘트를 제거하고 슬래브 중앙의 변위 및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민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하부 슬래브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 상단에 상부 슬래브가 힌지 결합되는 1단 힌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하 슬래브와 각각 분리 구성되고, 상기 벽체 상하단에 상하 슬래브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양단 힌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래브는 좌우 한 쌍의 벽체를 갖는 단경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래브는 좌우 벽체 사이에 중간벽체를 갖는 다경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 한 암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단부에 단턱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는 상기 단턱에 거치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이와 대응하는 벽체의 단턱에는 수직하중보강을 위해 보강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벽체의 지지부 일측에는 마주보게 지압판이 밀착 설치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벽체의 지지부에는 상기 지압판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긴장수단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상기 중간벽체 단부에 거치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이와 대응하는 중간벽체의 단부에는 수직하중보강을 위해 보강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중간벽체의 단부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 및 중간벽체를 연결하도록 마주보게 지압판이 밀착 설치되며; 상기 슬래브의 돌출부 및 중간벽체의 단부에는 상기 지압판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긴장수단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중간벽체는 그 들뜸과 수평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래브에 설치되는 수직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와 벽체 사이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KR1020070090836A 2007-09-07 2007-09-07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KR20090025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36A KR20090025748A (ko) 2007-09-07 2007-09-07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36A KR20090025748A (ko) 2007-09-07 2007-09-07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48A true KR20090025748A (ko) 2009-03-11

Family

ID=4069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836A KR20090025748A (ko) 2007-09-07 2007-09-07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7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768A (zh) * 2019-03-08 2019-06-07 北京建筑大学 一种预留减震缝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597601B1 (ko) * 2022-12-29 2023-11-02 뉴콘텍이앤씨(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박스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4600B1 (ko) * 2022-12-23 2023-12-15 (주)디엠엔지니어링 축력과 상향모멘트가 자동 도입되는 스마트 지하박스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768A (zh) * 2019-03-08 2019-06-07 北京建筑大学 一种预留减震缝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614600B1 (ko) * 2022-12-23 2023-12-15 (주)디엠엔지니어링 축력과 상향모멘트가 자동 도입되는 스마트 지하박스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597601B1 (ko) * 2022-12-29 2023-11-02 뉴콘텍이앤씨(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박스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6195B (zh) 栅格型托板结构及其建造方法
KR100946739B1 (ko)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4805B1 (ko) 다공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분절형 다공성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090025748A (ko)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CN108316469A (zh) 一种预制装配式建筑系统及其施工工艺
KR100544318B1 (ko) 골판형 데크플레이트
KR102433658B1 (ko) 힌지형 지점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시공방법
KR102269140B1 (ko)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111646137A (zh) 一种桁架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CN210049373U (zh) 装配式工字钢叠合楼板安装结构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KR100892365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KR200419013Y1 (ko)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시스템
KR102387045B1 (ko)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2609879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형 투명방음벽
KR20130007967A (ko) 가교 및 교량 가설용 트러스 구조물
KR101844502B1 (ko)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