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502B1 -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502B1
KR101844502B1 KR1020170046151A KR20170046151A KR101844502B1 KR 101844502 B1 KR101844502 B1 KR 101844502B1 KR 1020170046151 A KR1020170046151 A KR 1020170046151A KR 20170046151 A KR20170046151 A KR 20170046151A KR 101844502 B1 KR101844502 B1 KR 10184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ary
longitudinal beams
pair
foundation blocks
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덕
Original Assignee
(주)코시노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시노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주)코시노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17004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이 필요 없어져 가설벤트의 철거 후 폐기 처리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단위 강재 기초블럭이 상호 일체로 확고히 조립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는, 일정 구간에 걸쳐 상호 접하여 지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과;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의 동일 위치에 지지되어 배치된 복수개 이상의 가이드 파이프와; 이웃한 단위 강재 기초 블록 간의 가이드 파이프의 마주하는 단부를 접속시켜 주는 로케이팅 소켓과;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의 전구간에 삽입되는 조인트 강봉과; 상기 조인트 강봉의 양쪽 단부에 체결되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을 일체화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Base beam assembly for temporary b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ent u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가설벤트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이 필요 없어져 가설벤트의 철거 후 폐기 처리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벤트는 교량이나 대형 건설공사에서 구조물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되어 완전하게 구조체로 작용하기 전까지 중하중을 임시적으로 지지해주는 부재로서, 예로, 교각의 코핑(coping)부 지지나 상판 슬래브 지지를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가설벤트 중 한 예로서 콘크리트로 타설된 버림기초에 스크류잭을 고정하고, 스크류잭에 받침틀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버림기초는 가설벤트의 사용 후 철거시 지면상에 그대로 남게 되어 폐기물 처리의 문제가 남게 된다. 또한 버림기초의 시공시 현장의 많은 노동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47371호로서, '강재블록기초을 이용한 가설교량 벤트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시공 방법에 제안된 기초부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며 외측에 설치되는 주보강재와, 주보강재와 수직을 이루면서 주보강재의 양 끝단에 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외측에 설치되는 수직보강재와, 주보강재와 수직을 이루면서 주보강재와 수직보강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틀 안에 설치되는 횡보강재와, 주보강재와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보강재와 수직을 루게 배치되고 수직보강재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부착되는 내부보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벤트가 설치될 지점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설치 및 철근의 배근 작업과 이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라는 공정을 거치지 않는 장점을 갖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기초부가 서로 분할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호간에 일체성을 가질 수 없어 설치시나 상부 중하중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기초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47371호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이 필요 없어져 가설벤트의 철거 후 폐기 처리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단위 강재 기초블럭이 상호 일체로 확고히 조립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 빔과, 한 쌍의 종방향 빔의 각기 양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삽통 지지되는 연결판과, 한 쌍의 종방향 빔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여 분할 접합된 크로스 빔과, 상기 크로스 빔의 하면에 한 쌍의 종방향 빔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크로스 빔과 한 쌍의 종방향 빔의 접합을 보강하는 접합보강판을 포함하여 일정 구간에 걸쳐 상호 접하여 지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과; 한 쌍의 종방향 빔에 각기 나란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에 고정되어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의 동일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가이드 파이프와; 이웃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간의 가이드 파이프의 마주하는 단부를 동일한 일직선상에 접속시켜 주기 위해, 가이드 파이프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로케이팅 소켓과;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의 전구간에 삽입되는 조인트 강봉과; 상기 조인트 강봉의 양쪽 단부에 체결되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을 일체화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한 쌍의 종방향 빔에는 각각 4개의 가이드 파이프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를 가설벤트가 시공될 현장으로 반입한 후,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에 각기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에 로케이팅 소켓을 매개로 접속시켜 가며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 지면상에 배치한 후, 조인트 강봉을 전구간의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하고, 체결너트를 조인트 강봉의 양단에 체결하여 다수개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을 일체화되게 조립 시공하는 단계와;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의 상면에 설정된 개소마다 스크류 잭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스크류 잭의 상단에 수직재, 수평재 및 브레이스로 구성된 가설동바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이 조인트 강봉을 통해 밀착되게 상호 체결되어 일체화를 이루게 조립됨으로써 가설벤트의 기초가 안정된다. 또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이 강재로 제작되어져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이 필요 없어져 가설벤트의 철거 후 폐기 처리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가설벨트의 시공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단위 강재 기초 블럭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의 조립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의 시공순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는 일정 구간에 걸쳐 상호 접하여 지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일정 구간이란 가설벤트가 교량에 시공되는 경우 '교량의 폭'이 될 수 있다.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의 각기 양단부에 접합되어 후술할 가이드 파이프(14)가 삽통 지지되는 연결판(124)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여 분할 접합된 크로스 빔(126)과, 크로스 빔(126)의 하면에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크로스 빔(126)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의 접합을 보강하는 접합보강판(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는 복수개 이상의 가이드 파이프(14)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 이상의 가이드 파이프(14)는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 각기 나란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124)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가이드 파이프(14)가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연결판(124와 124)에 고정되어 있다.
이웃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와 12)에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14와 14)는 로케이팅 소켓(16)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이웃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와 12)은 가이드 파이프(14와 14)를 연결하는 로케이팅 소켓(16)을 통해 위치가 결정되어져 일방향으로 정열 배치된다.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14)의 전구간에 삽입되는 조인트 강봉(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조인트 강봉(18)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 파이프(14)의 전길이보다 약간 길게 구성된다. 조인트 강봉(18)의 양쪽 단부에 체결너트(20)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어 있다. 체결너트(20)는 조인트 강봉(18)의 양쪽 단부에 체결되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을 일체화시킨다.
미설명 부호 '125'는 '연결판 보강리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는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 각기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14)에 로케이팅 소켓(16)을 매개로 접속시켜 가며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 지면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후, 조인트 강봉(18)을 전구간의 가이드 파이프(14)에 삽입한 후 체결너트(20)를 조인트 강봉(18)의 양단에 체결함으로써 다수개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상호 일체되게 조립된다.
이같이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은 가이드 파이프(14)에 로케이팅 소켓(16)을 매개로 접속되어 일렬로 배치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조인트 강봉(18)은 가이드 파이프(14)의 안내를 통해 삽입되어져 작업자의 설치가 편리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를 이용한 가설벤트(100)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의 (가),(나)와 같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 각기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14)에 로케이팅 소켓(16)을 매개로 접속시켜 가며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 지면상에 배치한다.
이후, 도 5b의 (가)와 같이 조인트 강봉(18)을 전구간의 가이드 파이프(14)에 삽입한 후 체결너트(20)를 조인트 강봉(18)의 양단에 체결하여 다수개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을 일체화되게 조립시켜서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가 시공된다.
그 다음, 도 5b의 (나)와 같이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의 상면에 설정된 개소마다 스크류 잭(30)을 고정 설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크류 잭(30)이 2열로 설치되나 이러한 배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도 5c의 (가),(나)와 같이 스크류 잭(30)의 상단에 수직재(41), 수평재(42) 및 브레이스(43)로 구성된 가설동바리(40)를 설치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설동바리(40)는 1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높이 방향으로 그 이상의 가설동바리(4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조인트 강봉(18)을 통해 밀착되게 상호 체결되어 일체화를 이루어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가 조립됨으로써 가설벤트(100)의 시공시 기초가 안정된다.
또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강재로 제작되어져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이 필요 없어져 가설벤트의 철거 후 폐기 처리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가설벨트의 시공을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단위 강재 기초 블럭
122: 종방향 빔
124: 연결판
126: 크로스 빔
128: 접합보강판
14; 가이드 파이프
16: 로케이팅 소켓
18: 조인트 강봉
20: 체결너트

Claims (4)

  1.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의 각기 양단부에 접합되어 가이드 파이프(14)가 삽통 지지되는 연결판(124)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여 분할 접합된 크로스 빔(126)과, 상기 크로스 빔(126)의 하면에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크로스 빔(126)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의 접합을 보강하는 접합보강판(128)을 포함하여 일정 구간에 걸쳐 상호 접하여 지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과;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 각기 나란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124)에 고정되어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의 동일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가이드 파이프(14)와;
    이웃한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와 12)간의 가이드 파이프(14와 14)의 마주하는 단부를 동일한 일직선상에 접속시켜 주기 위해, 가이드 파이프(14와 14)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로케이팅 소켓(16)과;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14)의 전구간에 삽입되는 조인트 강봉(18)과;
    상기 조인트 강봉(18)의 양쪽 단부에 체결되어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을 일체화시키는 체결너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종방향 빔(122,122)에는 각각 4개의 가이드 파이프(14)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4. 청구항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10)를 가설벤트가 시공될 현장으로 반입한 후,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에 각기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14)에 로케이팅 소켓(16)을 매개로 접속시켜 가며 다수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 지면상에 배치한 후, 조인트 강봉(18)을 전구간의 가이드 파이프(14)에 삽입하고, 체결너트(20)를 조인트 강봉(18)의 양단에 체결하여 다수개의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을 일체화되게 조립 시공하는 단계와;
    각 단위 강재 기초 블럭(12)의 상면에 설정된 개소마다 스크류 잭(3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스크류 잭(30)의 상단에 수직재(41), 수평재(42) 및 브레이스(43)로 구성된 가설동바리(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KR1020170046151A 2017-04-10 2017-04-10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Active KR10184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51A KR101844502B1 (ko) 2017-04-10 2017-04-10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51A KR101844502B1 (ko) 2017-04-10 2017-04-10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502B1 true KR101844502B1 (ko) 2018-05-18

Family

ID=6245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51A Active KR101844502B1 (ko) 2017-04-10 2017-04-10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5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542A (ja) 1999-05-19 2000-11-28 Toa Harbor Works Co Ltd 植生型法面保護組立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542A (ja) 1999-05-19 2000-11-28 Toa Harbor Works Co Ltd 植生型法面保護組立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판 연결 공법
JP5367297B2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20200104108A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20160073795A (ko) 수직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686045B1 (ko) 선조립형 철근 기둥 구조물과 철근 보 구조물의 결합구조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1658929B1 (ko) 공장제작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155738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조립 유닛
KR101256774B1 (ko) Psc 거더의 전도 방지 및 지점부 연속화를 위한 단부 가로보의 일체 시공 방법
KR101844502B1 (ko) 가설벤트용 기초 빔 조립체 및 이를 활용한 가설벤트의 시공 방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345672B1 (ko) 무지보 분리형 브라켓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07796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JP2861219B2 (ja)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KR101910231B1 (ko) 흉벽 부분 pc 블럭과 이를 이용한 교대 단부 일체화 시공방법
KR101872298B1 (ko) 이동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