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07B1 - 조립식 배관 트레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관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07B1
KR101087607B1 KR1020090106963A KR20090106963A KR101087607B1 KR 101087607 B1 KR101087607 B1 KR 101087607B1 KR 1020090106963 A KR1020090106963 A KR 1020090106963A KR 20090106963 A KR20090106963 A KR 20090106963A KR 101087607 B1 KR101087607 B1 KR 10108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pair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113A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09010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장소에 맞게 원하는 규모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부품을 활용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하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인접 위치하는 다른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몸체들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이루어져,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인접 위치하는 몸체들을 연결 형성시키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 배관, 연결, 조립, 지지. 정위치, 배열, 상부프레임, 다리부재

Description

조립식 배관 트레이{ASSEMBLY PIPE TRAY}
본 발명은 배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장소에 맞게 원하는 규모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부품을 활용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주택, 공장, 선박 등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유체 공급을 위한 파이프(이하 이들을 '배관'이라 칭한다)가 천정,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배관은 미관이나 통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배관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이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배관 트레이에 관하여는 이미 다양한 구조의 배관 트레이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수 개의 유닛이 결합되어 하나의 특정된 형상의 배관 트레이를 완성하게 되는 소위 조립식 배관 트레이에 있어, 각 유닛의 연결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2000-72567호(2000.12.05)『케이블 트레이』, 공개특허 제2006-0067197호(2006.06.19)『케이블 트레이』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의 경우,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측면프레임과 대응되는 부분의 연결 방식에 대해서 특정된 구조를 도입시켜 설명을 하고 있으나,
상기한 기술들 모두 단순히 바닥면에 안치를 시키거나 아니면 천정면에 밀착되어 부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도입한 다리부재의 구성 자체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며,
더욱이 한 가지 구조로 둘 이상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트레이 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가 되어 있지 않다.
결국 종래 기술들에 의한 트레이의 경우 바닥면에서 트레이를 이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체와는 별도로 트레이끼리를 이어주기 위한 연결부재 또한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조립 작업시 작업공수가 많아 불편하고 종국적으로는 전반적인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트레이의 연결 과정에서 각 트레이끼리를 이어주는 기능이 겸비된 다리부재를 도입하며 기본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바닥면에 위치시킴에 있어 바닥면에 미처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리부재의 저면 일부는 항상 바닥면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관 트레이 자체가 들뜨거나 수평 조절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종국적으로는 배관 트레이를 조립하여 특정된 장소에 설치함에 있어 작업자의 보다 용이한 조립 작업이 가능하게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바닥면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정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배관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배관 트레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하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인접 위치하는 다른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몸체들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이루어져,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인접 위치하는 몸체들을 연결 형성시키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에는 소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축이 체결되고, 상기 받침축에는 바닥면과의 접촉을 위한 받침판이 체결되되 상기 받침판은 받침축을 기준으로 움직임이 보장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받침판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트레이는, 부품수 자체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다리부재의 경우 측면프레임에 다리부재를 체결하는 작업 자체가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지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 프레임을 연결형성시키는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체결 및 조립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간편해졌으며,
미쳐 발견하지 못한 이물질로 인해 설치 완성된 배관 트레이가 일방으로 기 울어지거나 들뜨는 현상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바닥면으로부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배관 트레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트레이는 몸체(B)와 상기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F)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다리부재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를 이격 지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구비되는 것이나, 사용 방식에 따라서 상기 다리부재를 건물 바닥이 아닌 천정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몸체(B)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단 절곡부(11)와 하단 절곡부(12)(합쳐서 '상·하단 절곡부'라고 함)가 형성되고 이를 연결하는 측면부(13)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프레임(2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상부프레임(30) 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를 포함한 상부를 덮게 되는 커버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단 절곡부(12)에 안치되는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의 측면 양 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측면(22)과,
상기 바닥면의 전후 양 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전후면(23)으로 이루어져,
서로 면접촉되어 있는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 하부프레임의 측면(22)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이 측면프레임에 고정된다.
특히,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의 긴밀한 접촉 및 체결을 위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22)을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일정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 측면은 별도의 타격장치로 바닥면의 측면 단을 타격시킴으로써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측면(22)의 수직형태를 맞추기 위해 별도의 금형판(M)을 전후면(23) 양 단에서 받치게 되고, 상기 금형판(M)을 향해서 타격장치로 바닥면의 측면 단을 타격시키면서 절곡된 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타격시 금형판의 정위치를 체크하기위한 금형투입부(24)를 상기 전후면 양 단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표시된 금형투입부(24)에 금형판(M)이 투입되고 상기 금형판이 받쳐주게 됨에 따라 하부프레임의 측면은 수직으로 곧게 형성이 되고, 이로 인해 이후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 접촉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체결 작업 또한 용이하게 되어 체결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B)는 다수 개로 연결 형성되어 특정된 공간에서 원하는 형상으로의 배관트레이가 완성되는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들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시키기 위하여 다리부재(F)가 상기 몸체(B)에 체결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리부재(F)는 상기 몸체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위치하는 몸체들(B, B')을 연결 형성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F)는,
상기 몸체(B)와 상기 몸체와 인접 위치하는 다른 몸체(B')를 연결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50)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몸체들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는 두 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충분한 면적을 가진 형상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0)에서는 인접 위치하는 몸체들을 연결 형성시켜주고, 상기 지지부(60)에서는 연결 형성된 몸체들은 바닥면으로부터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관 트레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조립 과정 또한 수월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60)를 살펴보면, 상부로는 연결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상기 지지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저면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으로 또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어깨부(6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받침어깨부(62)는 몸체, 보다 정확하게는 몸체 측면프레임의 하단 절곡부(12)를 안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어깨부(62)로 인해 몸체의 측면프레임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50)에서는 몸체의 측면프레임과 다리부재를 체결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의한 배관트레이의 조립이 수월해지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이 보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부재의 연결부(50)와 상기 몸체의 측면프레임(10)을 체결 하는 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기 체결수단은 연결부와 측면프레임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헤드(51a)와 축(51b)으로 이루어진 볼트(51)와 상기 관통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부(53)를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의 헤드 저면에는 상기 관통부의 다각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51c)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볼트(51)가 관통부(53)에 삽입·관통되는 경우 상기 다각형상의 관통부(53)와 돌출부(51c) 구조로 인해, 이후의 너트 조임시 볼트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여 체결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리부재(F)가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저면부(61)에는 소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축(63)이 체결되고, 상기 받침축에는 바닥면과의 접촉을 위한 받침판(64)이 체결되어, 배관 트레이의 수평 조절 내지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축(63)을 기준으로 받침축에 체결된 받침판(64)에 대한 소정의 움직임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판(64)은 상기 받침축에 체결되되,
받침축의 지름보다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결합공의 지름을 보다 크게 형성하여 받침축에 체결된 받침판이 일정 정도의 상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바닥면에 놓여진 이물질을 확인하지 못하고 배관 트레이를 바닥면에 안치시키는 경우(도 2의 (b) 부분을 참조),
이물질 때문에 받침판의 특정 부분(64a)이 바닥면으로부터 뜨게 되더라도 상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한 받침판의 다른 부분(64b)에서는 바닥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받침판의 구성에 의해 바닥면에 이물질이 있다 하더라도 바닥면에 대한 받침판의 접촉은 항상 이루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배관 트레이가 들떠서 수평이 맞춰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받침판(64)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받침판(64)은 단순히 평평한 평면의 형상보다는, 소정 높이를 가지면서 하면이 개방되고 그리고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즉,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가지게 되는 내부로 인해 바닥면에 놓여진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이물질 전체가 상기 내부로 수용되기도 하고, 또는 이물질의 일부가 내부로 수용되어
보다 용이하게 바닥면에 대한 받침판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여 종국적으로는 안정적인 배관트레이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배관트레이의 몸체(B) 구성을 다시 살펴본다.
상기 상단 절곡부를 비롯하여 측면프레임을 덮게 되는 커버프레임(40)은, 배관 안치 후 먼지 등의 불순물이 배관 및 배관 주변부에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바닥면에 주로 설치되는 배관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그 상면으로 작업자들이 다른 작업을 위해 밟고 지나가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구조의 배관트레이가 요구되는데, 상기 커버프레임의 두께에 있어서도 지탱력을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1.5mm정도 두께를 가진 커버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측면프레임과 결합되어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만이 아니라 상부프레임(30)을 함께 도입함에 따라 상기 커버프레임의 두께를 기존 1.5mm에서 1.0mm 정도 즉, 30%이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재료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다리부재가 받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상기 상부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결합시킴에 있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증진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부프레임(20)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30)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11) 상면에 안치되는데,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면(31)과, 상기 상면의 전후 양 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전후면(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의 전후 양 단에서 전후면이 형성되지 않는 가장자리 부분으로는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한 쌍의 돌기(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형성된 한 쌍의 돌기의 가운데 위치에 해당되는 상면에는 이후 설명할 커버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한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이 안치되는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11)에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관통공(110) 유닛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작업자는 상부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안치시킴에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33)를 원하는 위치의 관통공(110)에 삽입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관통공에 돌기를 단순히 삽입만 시킴으로 인해 원하는 위치에 상부프레임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자체가 간편해졌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로의 상부프레임 정위치 배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11) 일부분에는 앞서 설명된 한 쌍의 관통공만이 아니라 상기한 관통공 사이에 피스공(120)이 더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피스공(120)은 측면프레임에 대한 커버프레임의 체결과정에서 피스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구멍이 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공이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통공(34)과 동일한 자리에 위치하게끔 피스공(120)와 통공(34)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한 쌍의 관통공(110)은 상부프레임 안치를 위해 필요한 구멍이고, 상기 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피스공(120)은 커버프레임 체결을 위해 필요한 구멍인 것으로,
상기 피스공(120)은 커버프레임 체결을 위해 피스작업이 필요한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에서만 형성되는 되는 것이어서 피스공이 모든 한 쌍의 관통공 사이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적으로 상단 절곡부 양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쳐진 부분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0) 각각에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피스공(120)까지의 거리(d1, d2)는 서로 동일하게 하고, 상단 절곡부 측면 끝단에서 상기 끝단과 인접 위치하는 최가장자리 관통공(110a)까지의 거리(d3) 또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게 되는 측면프레임과 다른 측면프레임 이음시 이와 같은 등간격 배열이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배관 트레이를 조립함에 있어 몸체와 몸체 즉, 측면프레임(10)과 측면프레임(10')을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의 돌기(33) 각각을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최가장자리 관통공(110a) 각각에 삽입시킴으로써 간단히 측면프레임끼리를 이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 측면 끝단에 최가장자리 관통공(110a)까지의 거리(d3)와, 상기 최가장자리 관통공에서 다음으로 인접 위치하는 피스공까지의 거리(d1)와, 그리고 상기 피스공에서 다음으로 인접 위치하는 내측자리 관통공까지의 거리(d2)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상부프레임을 위치시킬 수 있어, 배관 트레이의 조립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단 절곡부에 상부프레임을 안치시킨 후 커버프레임(40)을 안치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프레임 또한 상단 절곡부에 형성된 피스공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41)이 형성되어 체결 작업이 진행되기에 통상적으로는 결합공(41), 통공(34), 그리고 피스공(120)을 관통하면서 피스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측면프레임과 다른 측면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부프레임이 안치되고 이후 커버프레임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국 통공은 위치 이동이 되어 상기 피스작업은 결합공(41)과 피스공(120)만을 관통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 절곡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을 살펴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가장자리 관통공(110a)과, 피스공(120)과, 그리고 내측자리 관통공(110b)과 함께 상단 절곡부 끝단에 반원(110c)이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반원은 다른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반원과 결합되어 통상적인 원 형태가 되는 것으로써, 배관 트레이 조립 작성시 필요에 따라 상기 피스공을 대신하여 결합공과, 통공, 그리고 반원이 결합되어 완성된 구멍을 통해 커버프레임의 피스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 트레이 설치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측면프레임(10) 두 개를 소정 거리 이격 위치시킨 후 이를 하부에서 하부프레임(20)을 통해 연결을 시킨다.
즉, 측면프레임에 대한 하부프레임의 체결은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 하부프레임의 측면(22)에 피스를 박아 이루어지고, 이와 함께 하부프레임 바닥면(21)의 양 측이 측면프레임의 하단 절곡부(12)에 걸쳐지게끔 되어 있어 하부프레임은 보다 안정적으로 측면프레임을 연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프레임(30)을 측면프레임 상단 절곡부(11)에 안치시키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돌기(33)를 이미 형성되어 있는 상단 절곡부의 관통공(110)에 삽입시키기만 하면되기에 작업량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간편해졌다.
특히, 상부프레임(30)은 이후 결합되는 커버프레임(40)의 지탱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프레임과 동일한 갯수만큼 상부프레임을 설치시킬 필요는 없으나,
이후 커버프레임과의 체결작업과 체결 이후의 커버프레임이 들뜨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고려한다면 상단 절곡부의 양 가장자리쪽으로는 필수적으로 상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 이상의 몸체 연결이 필요한 경우, 측면프레임의 최가장자리 관통공과 다른 측면프레임의 최가장자리 관통공에 상부프레임의 돌기 각각을 삽입시킴으로써 측면프레임을 연결시키게 되고,
이후 커버프레임을 체결하여 몸체를 완성한다.
예를 들어, 측면프레임 2개가 연결되어 몸체를 완성시킬 경우 커버프레임 또한 2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커버프레임 체결을 위한 피스작업은 배관 트레이가 마감되는 몸체 쪽으로는 결합공(41), 통공(34), 그리고 피스공(120)을 관통하면서 이루어지고,
결합 보강을 위해 결합공(41), 그리고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외측 커버체결공(35)을 관통하면서 추가적인 피스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마감이 된다.
반면, 측면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에서의 커버프레임 체결을 위한 피스작업은 결합공(41)과 피스공(120)을 관통하면서 이루어지고,
그리고 결합보강을 위해 결합공(41), 그리고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내측 커버체결공(36)을 관통하면서 추가적인 피스작업이 이행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몸체가 완성이 되면, 상기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다리부재를 체결시키게 되는데,
상기한 다리부재 역시 몸체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겸하고 있고 몸체끼리의 연결이 보다 보강된다.
즉, 체결작업이 완성된 몸체 또는 커버프레임 체결이 되지 않은 몸체를 다리부재의 받침어깨부(62)에 안치시키면서, 측면프레임의 측면부(13)와 접하게 되는 연결부(50)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작업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어지는 몸체의 두 부분이 연결부의 일정 부분씩에서 각각 지지·체결됨에 따라 배관 트레이 조립 작업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수월해지게 된다.
상기 설치과정에 있어 몸체를 우선 완성 후 다리부재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조립 순서는 작업자의 선호 방식에 따라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및 일정 부분을 분해시킨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리부재에 대한 상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프레임에 대한 상세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에 대한 상세도면 및 측면 형성과정을 대략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몸체 F: 다리부재 M: 금형판
10: 측면프레임 11: 상단절곡부 12: 하단절곡부 13: 측면부
20: 하부프레임 21: 바닥면 22; 측면 23: 전후면 24: 금형투입부
30: 상부프레임 31: 상면 32: 전후면 33: 돌기 34: 통공
35: 외측커버체결공 36: 내측커버체결공
40: 커버프레임 41: 결합공
50: 연결부 51c: 돌출부 53: 관통부
60: 지지부 61: 저면부 62: 받침어깨부 63; 받침축 64: 받침판
110: 관통공 120: 피스공 110c:반원

Claims (4)

  1.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하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하부에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상부에서 연결하되 상기 측면프레임 상단 절곡부 상면에 안치되는 복수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인접 위치하는 다른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몸체들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이루어져, 몸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인접 위치하는 몸체들을 연결 형성시키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에는 소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축이 체결되고, 상기 받침축에는 바닥면과의 접촉을 위한 받침판이 체결되되, 상기 받침판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이면서 받침축을 기준으로 움직임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위치하는 상단 절곡부에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관통공 유닛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면과, 상기 상면의 전후 양 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전후면과, 그리고 상기 상면의 전후 양 단에서 전후면이 형성되지 않은 양 단의 가장자리에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돌기가 관통공에 삽입됨으로써 측면프레임에 대한 상부프레임의 안치가 이루어져 조립 작업시 정위치 배열이 용이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공 사이에는 상기 상단 절곡부에의 커버프레임 체결을 위한 피스가 체결되기 위한 피스공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관통공 각각에서 상기 피스공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 절곡부 양 측 끝단에서 상기 끝단과 인접하는 최가장자리 관통공까지의 거리를 상기 최가장자리 관통공과 인접하는 피스공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른 측면프레임과의 결합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돌기 각각이 상기 두 측면프레임의 최가장자리 관통공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와 몸체를 관통하는 것으로 헤드와 축으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관통된 볼트를 조이는 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다각형상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헤드 저면에는 상기 관통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 어,
    체결 작업시 삽입된 볼트의 공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관 트레이.
  3. 삭제
  4. 삭제
KR1020090106963A 2009-11-06 2009-11-06 조립식 배관 트레이 KR10108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63A KR101087607B1 (ko) 2009-11-06 2009-11-06 조립식 배관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63A KR101087607B1 (ko) 2009-11-06 2009-11-06 조립식 배관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13A KR20110050113A (ko) 2011-05-13
KR101087607B1 true KR101087607B1 (ko) 2011-11-29

Family

ID=4436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63A KR101087607B1 (ko) 2009-11-06 2009-11-06 조립식 배관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36Y1 (ko) 2012-07-13 2013-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다운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86B1 (ko) * 2016-02-24 2018-06-21 주식회사 케이에스이엔지 케이블트레이
KR200483193Y1 (ko) * 2016-04-22 2017-04-18 크리노버 주식회사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102085576B1 (ko) 2019-08-29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지지장치
KR102232480B1 (ko) * 2020-08-12 2021-03-26 (주)준형 케이블 트레이
KR102626358B1 (ko) * 2021-05-12 2024-01-18 조동문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284B1 (ko) 2006-02-10 2006-08-08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경사진 콘크리트면에 설치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및 설치방법.
KR100698470B1 (ko)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929041B1 (ko) 2007-04-06 2009-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조립식 배관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284B1 (ko) 2006-02-10 2006-08-08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경사진 콘크리트면에 설치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및 설치방법.
KR100698470B1 (ko)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929041B1 (ko) 2007-04-06 2009-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조립식 배관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36Y1 (ko) 2012-07-13 2013-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다운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13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607B1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KR102309937B1 (ko) 전면 착탈식 유지보수형 방음벽
KR100912700B1 (ko)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KR101087606B1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JP4941024B2 (ja) 設置物を載せる組立型基台
KR20110009362U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JP3156999U (ja) 支柱固定具
JP2017066804A (ja) 型枠支持材、型枠保持具及び型枠ユニット並びに該型枠ユニットの構築方法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JP2010248844A (ja) 柱の固定構造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JP7294034B2 (ja) 仮設手摺構造及び仮設手摺の施工方法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20130113067A (ko)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45266A (ko) 모듈러주택의 지붕 형성용 구조물
KR200455039Y1 (ko) 슬라브 매립용 앵커장치
KR100812250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KR20160035243A (ko) 철판 콘크리트 기초
JP3967948B2 (ja) 大引きの支持構造
KR200460050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JP4686224B2 (ja) 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