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067A -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067A
KR20130113067A KR1020120035356A KR20120035356A KR20130113067A KR 20130113067 A KR20130113067 A KR 20130113067A KR 1020120035356 A KR1020120035356 A KR 1020120035356A KR 20120035356 A KR20120035356 A KR 20120035356A KR 20130113067 A KR20130113067 A KR 2013011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joint
concrete
ground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주)아루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루미존 filed Critical (주)아루미존
Priority to KR102012003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067A/ko
Publication of KR2013011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 기둥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되는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설된 콘트리트의 타설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지면에 매립된 앙카가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봉과, 하부에 상기 지지봉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은 개방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조인트와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다수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조인트의 개구된 상단에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지면을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지지봉이 일체로 용접된 연결조인트를 다수개의 금속판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재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공간에 배치하되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는 높이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에 덮개를 결합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연결조인트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를 분리하는 단계와, 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배치하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이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공에 고정볼트 및 와셔를 결합하여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asic-Level fixed anchor and it us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 기둥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되는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설된 콘트리트의 타설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지면에 매립된 앙카가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면위에 건설되는 각종 건축물은 지면에 매립 고정된 거푸집을 통하여 하부가 지지되며, 이때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이 배열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건축물 및 기둥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에 배열되는 철근에 앵커 볼트를 고정시켜 앵커 볼트의 나사부가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너트와 와셔를 통하여 이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을 형성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면 높이가 일정하게 타설되지 못하고 동시에 수평을 이루지 못하여 상기 앵커 볼트의 높이가 틀려져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앵커 볼트를 절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74885호(2007.11.02.,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상단부에 나사부(12)를 형성하며 하단부에 절곡부(13)를 갖는 앵커 볼트(10)를 형성하고, 상기 앵커 볼트(10) 상단 나사부(12)에 커플링(20)을 결합시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1)에 매립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앵커 볼트의 상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커플링을 결합시킨 후 스폰지 또는 스치로폼으로 커플링 상단부를 막아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앵커 볼트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지면에 매립되는 앵커 볼트의 수직성을 보장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시 앵커 볼트가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각의 앵커 볼트에 고정되는 연결봉(50)은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연결봉을 앵커 볼트에 고정하는 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지하기 때문에 수평이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연결봉의 기울어진 부위에 집중되어 내구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가 절곡된 앵커 볼트를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앵커 볼트의 하부 절곡부를 상호 대칭 되는 방향으로 배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기재된 도면번호는 이하의 본원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도면번호와는 별개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매립되는 앙카의 수직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수개 배치되는 앙카가 동일한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앙카가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봉과, 하부에 상기 지지봉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은 개방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조인트와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다수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조인트의 개구된 상단에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조인트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는 다수개의 금속판이 상호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연결조인트가 고정되는 부위는 적어도 2개의 금속판이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받침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지면을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지지봉이 일체로 용접된 연결조인트를 다수개의 금속판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재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공간에 배치하되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는 높이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에 덮개를 결합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연결조인트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를 분리하는 단계와, 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배치하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이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공에 고정볼트 및 와셔를 결합하여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본원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지면에 매립되는 구성이 용접을 통하여 모두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 후 지면위로 노출되는 부위가 연결조인트의 상단만이 노출되어 별도로 콘크리트 타설된 부위에 수평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부에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고정볼트 및 와셔를 통하여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지면위)로 노출되는 부분이 연결조인트만 노출되고, 노출된 연결조인트의 상단과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 및 와셔를 통하여 연결조인트와 플레이트를 일체로 고정되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콘크리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시공 단계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대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1)는, 지면에 매립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과 일체로 고정되며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는 연결조인트(20)와,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경화되도록 하는 수평부재(30)와,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지면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40)와,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볼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봉(10)은 지면에 매립되어 지면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단면이 원형이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하는 연결조인트(20)에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되, 필요에 따라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조인트(2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0)은, 상기 연결조인트(2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가 배치되되 각각의 지지봉(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지면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T)가 지지봉(10)에 접착되면서 경화되어 콘크리트(T)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10)은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봉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이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가 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대략 'L'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봉(10)의 하부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받침판(11)을 일체로 고정하여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데, 상기 받침판(11)은 지지봉(10)의 하단에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각각의 지지봉(10) 하단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봉(10)의 하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여 하나의 받침판(11)을 통해 다수개의 지지봉(10)을 일체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조인트(20)는, 지면에 매립된 지지봉(10)과 지면위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지면위에 노출되고 내주면에 후술하는 고정볼트(50)의 결합을 위한 대응나사산(21)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에 매립된 후 상기 지지봉(10)이 하단의 내측으로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조인트(20)의 하단 내주면에도 대응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봉(1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조인트(20)는 상기 지지봉(1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구비되되 후술하는 수평부재(30)가 외주면에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지면위로 노출되는 상단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면위로 노출되는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고 지면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부재(30)는 연결조인트(20)의 외주면에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연결조인트(20)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하면서 경화되는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금속판(31)이 상호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연결조인트(20)가 고정되는 부위는 적어도 2개의 금속판이 맞닿는 부위로서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외주면이 맞닿는 2개의 금속판(31)에 각각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조인트(20)의 개수 및 배치된 형태에 따라 수평부재(30)의 형태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연결조인트(20) 4개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수평부재(30)가 이에 대응하여 4개의 금속판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형성된 후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연결조인트(20)가 배치된 후 고정되는 것이며, 도면 중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조인트(20)가 3개가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될 때 수평부재(30)는 3개의 금속판이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되 각각의 모서리에 연결조인트(20)가 배치된 후 용접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연결조인트(20)를 이루는 금속판의 하부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타설된 콘크리트와 맞닿는 접촉면적을 넓혀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0)는, 지면위에 배치되어 차후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조물(B)이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고정볼트(50)가 관통 결합하는 관통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40)는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B)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사각형의 판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B)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0)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지면위에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종래기술에서 복수개의 앵커 볼트의 상부가 지면위에 노출되고 노출된 앵커 볼트와 연결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던 것에 비해 본원발명에서는 고정볼트(50)가 관통 결합된 플레이트(40)가 지면위에 노출되어 플레이트(40) 위에 바로 구조물(B)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종래기술에서 앵커 볼트의 상단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절단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정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B)이 설치된 후에 장시간 사용에도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40)의 두께를 두껍거나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50)는, 플레이트(40)의 관통공(41)에 관통 결합된 후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연결조인트(20)와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5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나사산(21)에 나사 결합되며, 플레이트(40)와 사이에 와셔(5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50)의 머리 부분을 육각으로 형성하여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통하여 회전시켜 연결조인트(20)와 고정볼트(5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4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B)을 설치할 지면의 하부를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 받침판(11)이 일체로 고정된 지지봉(10)을 연결조인트(20)의 하부에 고정한 뒤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외주면을 수평부재(3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일체로 고정된 지지봉(10), 연결조인트(20), 수평부재(30)를 지면을 타공하여 형성한 공간에 배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도록 타설한다.
또한,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덮개(60)를 결합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상기 덮개(60)를 분리한다.
상기 덮개(6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나,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을 막아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면 그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면위로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이 노출된 상태에서 판형상의 플레이트(40)를 배치하되 상기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관통공(41)이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일체되도록 배치한 후 고정볼트(50)와 와셔(52)를 통해 플레이트(40)와 연결조인트(20)를 일체로 고정한다.
이후, 상기 플레이트(40)의 상부에 구조물(B)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원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지면에 매립되는 구성이 용접을 통하여 모두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 후 지면위로 노출되는 부위가 연결조인트(20)의 상단만이 노출되어 별도로 콘크리트 타설된 부위에 수평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연결조인트의 상부에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조인트를 고정볼트 및 와셔를 통하여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는 본원발명에 따른 기초 레벨 고정 앙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상술한 기초 레벨 고정 앙카(1)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T)를 타설할 지면을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1), 지지봉(10)이 일체로 용접된 연결조인트(20)를 다수개의 금속판(31)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재(30)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재(30)를 상기 공간에 배치하되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는 높이로 배치하는 단계(S2),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덮개(60)를 결합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S3),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4),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60)를 분리하는 단계(S5), 판 형상의 플레이트(40)를 배치하되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관통공(41)이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는 단계(S6), 상기 관통공(41)에 고정볼트(50) 및 와셔(52)를 결합하여 플레이트(40)와 연결조인트(20)를 일체로 고정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지면을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1)에서는 천공기 또는 굴삭기 등과 같은 타공기계를 통하여 지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평부재(30)를 배치하는 단계(S2)에서는 하부에 지지봉(10)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조인트(20)를 다수개의 금속판(31)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3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재(30)를 상기 공간에 배치하되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을 덮개(60)를 결합하여 막는 단계(S3)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음으로, 수평부재(30)가 배치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4)를 통해 콘크리트를 공간에 타설한 후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지면위로 노출된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60)를 분리하는 단계(S5)를 통해 덮개(60)를 연결조인트(20)에서 분리시키고,
이후 판 형상의 플레이트(40)를 배치하는 단계(S6)에서는 상기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관통공(41)이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고정볼트(50) 및 와셔(52)를 결합하는 단계(S7)를 통해 플레이트(40)와 연결조인트(20)를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플레이트(40) 상부에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원발명의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지면위)로 노출되는 부분이 연결조인트(20)만 노출되고, 노출된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플레이트(40)의 관통공(41)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50) 및 와셔(52)를 통하여 연결조인트(20)와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되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플레이트(40)가 배치되어 콘크리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시공 단계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기초 레벨 고정 앙카 T : 콘크리트 B : 구조물
10 : 지지봉 11 : 받침판
20 : 연결조인트 21 : 대응나사산
30 : 수평부재 31 : 금속판
40 : 플레이트 41 : 관통공
50 : 고정볼트 51 : 나사산 52 : 와셔
60 : 덮개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봉(10)과;
    하부에 상기 지지봉(10)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은 개방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연결조인트(20)와;
    상기 연결조인트(20)와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다수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재(30)와;
    상기 연결조인트의 개구된 상단에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된 판 형상의 플레이트(40)와;
    상기 플레이트(40)의 관통공(41)에 결합되어 플레이트(40)와 연결조인트(20)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초 레벨 고정 앙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20)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레벨 고정 앙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30)는 다수개의 금속판(31)이 상호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연결조인트(20)가 고정되는 부위는 적어도 2개의 금속판(31)이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레벨 고정 앙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의 하단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받침판(11)이 일체로 고정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레벨 고정 앙카.
  5. 콘크리트(T)를 타설할 지면을 타공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1);,
    지지봉(10)이 일체로 용접된 연결조인트(20)를 다수개의 금속판(31)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재(30)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재(30)를 상기 공간에 배치하되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이 지면위로 노출되는 높이로 배치하는 단계(S2);,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덮개(60)를 결합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결조인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S3);,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4);,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연결조인트(20)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60)를 분리하는 단계(S5);,
    판 형상의 플레이트(40)를 배치하되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관통공(41)이 상기 연결조인트(2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는 단계(S6);,
    상기 관통공(41)에 고정볼트(50) 및 와셔(52)를 결합하여 플레이트(40)와 연결조인트(20)를 일체로 고정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20035356A 2012-04-05 2012-04-05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11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56A KR20130113067A (ko) 2012-04-05 2012-04-05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56A KR20130113067A (ko) 2012-04-05 2012-04-05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67A true KR20130113067A (ko) 2013-10-15

Family

ID=4963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356A KR20130113067A (ko) 2012-04-05 2012-04-05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0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74A (zh) * 2014-09-23 2015-01-07 国家电网公司 一种混凝土内部振捣棒防碰模板进行振捣的方法
KR101868422B1 (ko) * 2017-11-20 2018-07-17 김보경 풀림방지 너트를 이용한 풀림방지 유닛
KR102112575B1 (ko) * 2019-11-15 2020-05-19 주식회사 가야산업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74A (zh) * 2014-09-23 2015-01-07 国家电网公司 一种混凝土内部振捣棒防碰模板进行振捣的方法
CN104264674B (zh) * 2014-09-23 2016-05-04 国家电网公司 一种混凝土内部振捣棒防碰模板进行振捣的方法
KR101868422B1 (ko) * 2017-11-20 2018-07-17 김보경 풀림방지 너트를 이용한 풀림방지 유닛
KR102112575B1 (ko) * 2019-11-15 2020-05-19 주식회사 가야산업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11641A1 (en) Semi rigid precast wall system
CN104594193A (zh) 一种空心板梁桥上部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30113067A (ko) 기초 레벨 고정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JP4915653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出し治具
JP6543077B2 (ja) 構造物の施工方法
JP5484288B2 (ja)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JP6388840B2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6322154A (ja) 建築物の基礎構築工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5749620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6181000B2 (ja) 鉄骨土台を備えた建築物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JP2015055079A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体の構築方法
JP2013170420A (ja) 建築物の基礎形成方法、建築物の基礎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101259362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JP5181279B2 (ja) 免震部材の下部基礎構造
JP5056534B2 (ja)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5017401A (ja) 免震建物の構築方法、及び、その免震建物の構築方法に用いる短柱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