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700B1 -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700B1
KR100912700B1 KR1020090043738A KR20090043738A KR100912700B1 KR 100912700 B1 KR100912700 B1 KR 100912700B1 KR 1020090043738 A KR1020090043738 A KR 1020090043738A KR 20090043738 A KR20090043738 A KR 20090043738A KR 100912700 B1 KR100912700 B1 KR 10091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older
horizontal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프레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P)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 구조에다 힌지점 C1 및 C2를 중심으로 명판 및 행거(H)와 대향된 정반대의 위치에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를 설치함으로써 고정볼트로 인한 힌지점 C1의 마모가 방지될 뿐 아니라 고정볼트의 접촉에 의한 힌지점 C2의 마모가 억제되고 마모로 인하여 경사진 행거(H)를 가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의 회전만으로 단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행거(H)가 수평상태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공중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조정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는 행거홀더(20)에 삽입되어 배면판(21)에 고정ㆍ설치되고, 고정구(72)와, 밸런스 조정볼트(74)와, 그리고 체결볼트(76)로 이루어지면서 고정구(72)에는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과 나선 수평체결공(72b)이 형성되어있고,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는 나선 결합된 밸런스 조정볼트(74)가 삽입되어 밸런스 조정볼트(74)의 회전에 의하여 경사진 행거(H)의 수평레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구성이다.
본 발명은 힌지점 C1 및 C2를 중심으로 명판 및 행거(H)와 대향된 정반대의 위치에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를 설치함으로써 행거(H)와 명판(B)의 중량과 균형 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므로 고정볼트로 인한 힌지점 C1의 마모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의 접촉에 의한 힌지점 C2의 마모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고, 마로로 인해 경사진 행거(H)의 수평조정이 행거(H)나 명판(B)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의 회전만으로 단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조정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중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 고정구,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 나선 수평체결공, 밸런스 조정볼트, 행거홀더, 힌지구멍, 조정구멍, 고정볼트

Description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Apparatus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horizontally the sign board and hanger}
본 발명은 지주(P)와 행거(H)가 포스트 클램프에 의하여 서로 직각되게 설치된 도로명판 조립체에 있어서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주(P)와 포스트 클램프와는 캔틸레버 구조형태이고 또 포스트 클램프와 행거(H)와의 결합은 행거홀더를 매개로 조립되면서 포스트 클램프와 행거홀더는 고정된 구조이고 행거홀더와 행거(H)는 2개의 힌지점을 갖는 힌지결합구조로 된 도로명판 조립체에 적용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으로 인하여 행거(H)가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행거홀더의 2개의 힌지점이 고정볼트에 의하여 마모되게 된다. 행거홀더의 2개의 힌지점의 마모는 수평상태의 행거(H)를 경사지게 할뿐만 아니라 행거(H)에 부착된 명판(B)도 함께 경사지게 한다.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 장치의 단한번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행거(H)와 명판(B)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행거(H)와 명판(B)을 동시에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도로명판 조립체는 지주와, 수평상의 행거와, 그리고 명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들의 설치관계를 보면 지주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행거는 지주와 직각되게 설치되면서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명판은 행거에 의하여 지지되는 관계이다.(도1a 참조)
명판은 도로나 건물 등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므로 식별이 용이해야한다.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명판의 상단부가 행거에 매달려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동시에 명판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이루는 면은 『수직면』을 이루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명판은 『수평상태』와 『수직면』을 동시에 만족해야 식별이 정확하고 빠르고 용이하다.
만약 명판이 『수평상태』와 『수직면』의 요건을 동시에 충족하지 못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평보다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내려가 있게 되 면 운전자나 보행자가 위치정보를 빠른 속도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게 된다.
『수평상태』와 『수직면』의 요건을 동시에 충족하고 있는 명판상에 글자나 기호가 기재되어있어야 거부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하고 신속하게 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우리의 오랜 기간동안 익숙해진 생활습관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명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도시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명판은 행거에 매달려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행거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면 명판도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행거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에 지지된다. 행거는 지주에 통상 직각으로 설치된다. 만약 지주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지 못하고 약간 연직방향에서 벗어나게 되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행거역시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된다.
지주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지 못하게 되는 주된 이유로는 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시공상의 오차와, 그리고 ⅱ) 지반의 부등침하로 인한 지주의 기울어 짐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가 연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직각으로 설치된 행거도 그만큼 수평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위치정보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지주와 행거와의 고정은 용접에 의한 영구고정방식과 조립에 의한 조립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지주와 행거가 영구고정방식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면 지주와 행거가 서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커서 운반이 어렵고 운반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역시 용이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지주와 행거의 규격을 부피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행거와 명판의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지주의 길이는 대략 8~10m정도이고, 행거의 수평 길이는 2.8m이며 이에 매달리는 명판의 수평 길이는 2.4m이고 명판의 중량은 약 15kg이다. 수직면으로 설치된 명판에는 바람에 의한 풍압까지 걸리게 된다.
또한 지주가 연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직각으로 설치된 행거도 그만큼 수평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위치정보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기울어진 행거를 수평상태로 보정할 수 없다는 점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영구고정방식의 문제점은 조립방식에 의하여 해결되고 있다.
도1a~d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10-0841003호가 바로 조립에 의한 조립방식이다
조립방식의 특징은 지주가 연직방향을 벗어나게 되면 이에 따라 직각으로 설치된 행거도 그만큼 수평상태를 벗어나게 되지만 지주와 행거가 조립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여 경사조정구멍에 의하여 행거를 수평상태로 재조립이 가능한 것이므로 지주가 연직방향으로 벗어난 상태에서 행거만을 수평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1a~d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10-0841003호의 조립방식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P)와, 포스트 클램프(10)와, 행거홀더(20)와, 행거(H)와, 그리고 명판(B)을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고자한 위치까지 운반한다. 이들을 각각 조립되기 이전의 상태로 운반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운반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지반에 지주(P)를 연직방향으로 견고하게 설치한다. 지주(P)에 포스트 클램프(10)를 고정한 다음 포스트 클램프(10)에 행거홀더(20)를 조립하고 행거홀더(20)에 행거(H)를 조립한다. 명판(B)은 행거(H)에 조립된다.
지주(P)는 수직부재이고 행거(H)는 수평부재이다.
수직부재인 지주(P)와 수평부재인 행거(H)는 행거홀더(2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있다. 지주(P)와 행거홀더(20)는 포스트 클램프(10)를 매개로 고정된 구성이긴 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매개구성인 포스트 클램프(10)에 대한 표현은 생략하기로 한다. 포스트 클램프(10)에 대한 표현이 생략되었다하더라도 포스트 클램프(10)는 도1a~d의 매개구성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고정구조형태를 구조 역학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구조형태라 한다.
캔틸레버(Cantilever)구조에서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고정부를 고정단이라 부르고 있다.
행거(H)는 행거홀더(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힌지결합구조이다.
즉 행거(H)는 행거홀더(20)의 힌지점C1과 C2에 삽입된 고정볼트-1과 고정볼트-2에 의하여 지지되는 힌지구조이다.
힌지점 C1과 C2는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측판(27)에 형성되어있다.
힌지점 C1의 원형조정구멍(25)은 다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졌다. 원형조정구멍(25)은 2열 지그재그형태이다. 이에 대하여 힌지점 C2의 힌지구멍(24)은 한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졌다.
경사진 행거(H)를 수평상태로 조정하기위해서는 먼저 『가조립』상태로 만들어야한다.
『가조립』상태란 행거(H)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 행거(H)가 2개의 힌지점 C1과 C2에 체결되어있는 한 행거(H)의 상하회전은 불가능하다.
2개의 힌지점 C1과 C2중에서 힌지점 C1의 원형조정구멍(25)에 체결된 고정볼트(40)를 분해해체하고, 한 개의 힌지구멍(24)으로 이루어진 힌지점 C2는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 상태를 여기서 말하는 『가조립』상태이다.
힌지점 C2의 힌지구멍(24)을 중심으로 행거(H)의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행거(H)의 수평상태를 다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힌지점 C1의 원형조정구멍(25)에서 선택이 용이하게 하기위해서다.
행거(H)가 경사지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 도1a~d의 종래기술의 명세서는 지반침하나 외부충돌 등에 의한 것이라고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또한 힌지점 C1과 C2는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어있다.
힌지점 C1과 C2의 간격이 클수록 행거(H)의 고정력은 커지겠지만 행거홀더(20) 사이즈는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간격을 크게 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행거(H)가 행거홀더(20)의 힌지점 C1과 C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구조에서는 행거(H)의 자중 W1과, 그리고 명판(B)의 중량 W2가 행거(H)에 재하된 상태이므로 [W1 + W2]의 재하에 의하여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회전되려는 회전모멘트(M)가 작용되는 구조이다.
실제 제작되고 있는 알루미늄 명판 조립체의 규격은 통상 다음과 같다.
행거(H)의 수평 길이는 대략 2.8m이고, 명판(B)의 수평거리는 2.4m이다. 명판(B)의 폭은 40cm이고 이때 명판(B)의 중량은 15kg 정도이다.
도1d와 같이 설치된 경우 회전모멘트(M)의 작용방향은 시계방향이다. 이때 회전모멘트(M)는 [W1 + W2]의 중량에 의해 작용된다. 그 회전중심점은 힌지점 C2이다. 힌지점 C2는 중량[W1 + W2]에 의한 회전모멘트(M)의 회전중심점이면서 중량[W1 + W2]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이다. 이에 따라 힌지점 C2의 지지점은 행거홀더(20)의 하단 d점이 된다.
이에 대하여 중량 [W1 + W2]에 의한 회전모멘트(M)가 힌지점 C2를 회전중심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힌지점 C1에서는 위로 들리게 되어 힌지점 C1의 지지점은 행거홀더(20)의 상단 u점이 된다.
힌지점 C1의 u점과 C2의 d점은 지지점의 위치가 서로 정반대이다.
힌지점 C1과 C2의 지지점의 위치가 정반대인 상태에서 바람이 명판(B)에 작용되면 명판(B)과 함께 행거(H)도 좌우로 유동되게 된다.
힌지점 C1의 u점에는 고정볼트(40)가, 그리고 C2의 d점에는 고정볼트(30)가 접촉되는 곳이다.
행거(H)가 좌우로 유동되게 되면 도1d에서와 같이 고정볼트(40)(30)의 접촉점인 행거홀더(20)의 u점과 d점에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난다. u점과 d점에서의 마모는 힌지점 C1과 C2의 구멍을 크게 만든다.
u점과 d점의 마모는 [W1 + W2]의 중량이 클수록, 행거(H)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바람의 세기가 클수록 크게 일어난다.
또한 행거(H)는 회전모멘트(M)에 의하여 힌지점 C2를 중심으로 회전되려고 한다.
설명의 편의상 행거(H)의 수평상태는 행거홀더(20)에 u점과 d점과 같은 마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행거(H)의 좌우유동으로 인하여 행거홀더(20)의 u점과 d점에 마모가 발생되게 되면 u점의 마모는 위로 향하고, d점의 마모는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행거(H)는 u점에서의 마모크기와 d점에서의 마모크기를 합한 크기만큼 하향으로 급격하게 경 사지게 된다. (도1d 참조)
이와 같이 마모로 인해 경사진 행거(H)를 도1a~d의 종래기술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조정할 경우 이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마모로 인해 경사진 행거(H)를 수평면으로 조정하기위하여,
⒜ 행거(H)로부터 명판(B)을 분해한다.
⒝ 힌지점 C1인 원형조정구멍(25)에 체결된 고정볼트-1(40)을 해체하고, 힌지점 C2인 힌지구멍(24)과 고정볼트-2(30)에 의하여 행거(H)가 행거홀더(20)에 가조립 상태가 되게 한다.
⒞ 힌지점 C2인 힌지구멍(24)과 고정볼트-2(30)에 의하여 가조립된 상태에서 행거(H)를 상하로 적절히 회동시켜 수평위치를 맞춘 다음 고정볼트-1(40)과 너트(41)의 체결에 의하여 행거(H)를 행거홀더(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 명판(B)을 다시 행거(H)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도1a~d의 종래기술은 경사진 행거(H)를 수평상태로 조정하기위하여 가조립상태를 만들기 위한 분해와, 행거를 수평상태로의 조정 및 체결과, 그리고 명판의 조립의 과정이 필요하다. 조정 작업이 높은 공중에서 이루어지는데다 단 한번의 조정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분해』ㆍ『조정』ㆍ『조립』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특히 무거 운 명판(B)과, 그리고 길이가 2.8m나 되는 행거(H)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조정 작업이 어렵고 위험하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주(P)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 구조에다 힌지점 C1 및 C2를 중심으로 명판 및 행거(H)와 대향된 정반대의 위치에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를 설치함으로써 고정볼트로 인한 힌지점 C1의 마모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의 접촉에 의한 힌지점 C2의 마모가 억제되게 하고 설령 오랜 시간에 걸쳐 억제된 마모가 축적되어 수평면을 이루고 있던 행거(H)가 하향으로 경사진다하더라도 반대편에 설치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행거(H)를 수평상태로 신속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위치정보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행거(H)의 수평조정 작업이 공중에서 수행되더라도 행거(H)나 명판(B)을 분해하지 않고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의 회전만으로 단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행거(H)가 수평상태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a~d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역학적 구조형태가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행거홀더(2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고정 볼트-1과 고정 볼트-2에 의하여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 판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이므로 지주(P)와 행거홀더(20)와의 역학적 구조형태와, 그리고 행거(H)와 행거홀더(20)와의 힌지구조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그렇다고 본 발명이 도1a~d의 종래기술과 그 구성이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주(P)와 행거홀더(20)와의 역학적 구조형태가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행거홀더(20)와의 힌지구조가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구조역학적인 개념이 동일하다는 의미일 뿐이지, 세세한 구성까지 양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도1a~d의 종래기술의 구조역학적인 개념에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를 추가한 구성이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는 회전조작만으로 경사진 행거(H)를 수평상태로 손쉽게 조정이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행거(H)나 명판(B)을 분해하지 않고 원래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회전조작만으로 단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행거(H)를 수평상태로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에서의 조정 작업에 아주 적합하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는 행거홀더(20)의 지지측판(23)(23)사이에 삽입 되어 배면판(21)에 고정되기 때문에 행거홀더(20)의 구성은 도1a~d의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핵심구성은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이 구성에 있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역학적 구조형태가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행거홀더(2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고정 볼트-1(40)과 고정 볼트-2(30)에 의하여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에 있어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는 고정구(72)와, 밸런스 조정볼트(74)와, 그리고 체결볼트(76)로 구성되고, 그 설치위치는 행거홀더(20)의 지지측판(23)(23)사이에 설치되되 C1의 원형조정구멍(25)보다 위에 위치되면서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접면되어있는 상태이고 그 고정은 체결공(20a)과 나선 수평체결공(72b)에 삽입ㆍ체결된 체결볼트(76)에 의하여 고정되며, 또 고정구(72)에는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과 나선 수평체결공(72b)이 형성되어있고,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는 나선 결합된 밸런스 조정볼트(74)가 수평상의 행거(H)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이 가압력은 힌지점 C2를 중심으로 행거(H) 및 명판(B)의 중량과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고 또 밸런스 조정볼트(74)의 나선피치에 의하여 경사진 행거(H)의 수평레벨의 조정이 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 장치이다.
또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고정구(72)가 삽입되는 행거홀더(20)의 지지측판(23)(23)은 평면부(23a)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다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체결공(20a)을 2~3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구(72)에도 나선 수평체결공(72b)을 동일한 개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 장치이다.
다음으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구성에 대한 이들 상호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런스 조정볼트(74)는 힌지점 C2를 중심으로 행거(H) 및 명판(B)의 중량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고정구(72)는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행거(H) 및 명판(B)의 중량이 하향으로 작용되고 이에 대향되는 행거(H)는 힌지점 C2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밸런스 조정볼트(74)의 가압력은 수직하향이어야 구조 역학상 효율적이다.
밸런스 조정볼트(74)의 가압력은 나선 수평체결공(72b)에 의한 고정력에 의 하여 전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다. 수직방향의 가압력을 수평방향의 고정력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지력은 구조 역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다.
여기에다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체결공(20a)의 개수와 이에 대응되는 나선 수평체결공(72b)의 개수를 복수 개 형성한다면 수평방향의 체결볼트(76)도 그만큼 많이 체결되므로 수평방향의 고정력에 의한 지지력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나선 수평체결공(72b)에는 체결볼트(76)에 대응되는 나선이 형성되어있다.
밸런스 조정볼트(74)는 고정구(72)에 형성된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 삽입되어 밸런스 조정볼트(74)의 피치에 의하여 행거(H)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밸런스 조정볼트(74)의 형상은 머리부(74a)와 나선부(74b)로 이루어지고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을 관통하여 그 돌출부가 행거(H)의 상면부와 접면되어있다. 머리부(74a)에 회전공구의 삽입이 용이하다.
밸런스 조정볼트(74)는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을 관통하여 그 돌출부가 행거(H)의 상면부와 맞닿아 있는데다 고정구(72)위로도 피치조정에 의한 여유길이가 있어야하므로 밸런스 조정볼트(74)의 길이는 고정구(72)의 두께보다 훨씬 길다.
조정볼트(74)의 가압력이 행거(H)에 재하된 행거(H) 자중 및 명판(B)의 중량과 균형을 이루어야 행거(H)의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행거홀더(20)에 삽입되는 고정구(72)는 양 지지측판(23)(23)과 배면판(21)에 밀착되는 것이 고정력 발휘에 유리하다. 그렇지만 고정구(72)를 밀착되게 삽입하기가 어렵다. 고정구(72)의 고정력은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체결된 체결볼트(76)와의 관계에서 발휘되기 때문에 고정구(72)와 배면판(21)과는 반드시 밀착되어야한다. 그러나 고정구(72)가 양 지지측판(23)(23)에 밀착되지 않아도 고정력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그 간격이 주어져도 무방하다.
고정구(72)의 형상은 배면판(21)에 밀착되면서 양 지지측판(23)(23)에 삽입이 용이한 형상이면 족하다. 대체로 육면체 형상이다. 고정구(72)의 재질은 행거(H)에 재하된 행거(H) 자중 및 명판(B)의 중량과 균형을 이룰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이 정도의 가압력을 견딜 수 있는 나선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경도를 갖는 재질이면 무방하다. 경제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계통이면 된다. 예컨대 PP, PE이거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면 된다.
본 발명은 지주(P)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포스트 클램프(1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 구조에다 힌지점 C1 및 C2를 중심으로 명판 및 행거(H)와 대향된 정반대의 위치에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를 설치함으로써 행거(H)와 명판(B)의 중량과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므로 고정볼트로 인한 힌지점 C1의 마모 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의 접촉에 의한 힌지점 C2의 마모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마로로 인해 경사진 행거(H)의 수평조정이 행거(H)나 명판(B)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의 회전만으로 단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조정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중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1a~d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역학적 구조형태가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행거홀더(2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고정 볼트-1과 고정 볼트-2에 의하여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의 문제점을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에 의하여 해결한 발명이다. 도1a~d는 등록특허 제10-0841003호에 도시된 도면이다.
도1a~d의 기본구성에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구성을 더하여 행거(H)의 수평조정을 용이하게 한 것이므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를 제외하면 도1a~d의 등록특허 제10-0841003호의 기본구성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먼저 도1a~d의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 명판 조립체의 조립 및 경사진 행거(H)의 수평조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행거홀더(20)와 클램핑밴드(11a)(11b)에 의하여 포스트클램프(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지주(P)의 상단부에 포스트클램프(10)를 견고하게 고정ㆍ장착시키는 단계;
⒝ 지지소켓(26)을 관통한 행거(H)의 한쪽 단부가 행거홀더(20)의 지지채널(27)에 삽입된 상태에서 행거(H)의 힌지구멍(A2)과 이에 대응되는 힌지점 C2의 힌지구멍(24)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볼트-2(30)와 너트(31)에 의하여 행거(H)를 행거홀더(20)에 느슨하게 가조립시키는 단계;
⒞ 고정볼트-2(30)에 의하여 행거(H)가 행거홀더(2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행거(H)를 상하로 적절히 회동시켜 수평상태가 되게 한 다음 고정볼트-1(40)과 너트(31)의 체결에 의하여 행거(H)를 행거홀더(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 행거(H)를 수평상태로 행거홀더(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명판(B)을 행거(H)에 조립하는 단계;를 거쳐 도로명판의 수평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다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고정구(72)가 삽입되는 행거홀더(20)의 지지측판(23)(23)은 평면부(23a)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7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1a~d의 종래기술은 행거(H)의 자중 및 명판(B)의 중량이 힌지점 C1인 원형조정구멍(25)과 힌지점 C2인 힌지구멍(24)이 고정볼트-1(40)과 고정볼트-2(3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힌지점 C1인 원형조정구멍(25) 및 힌지점 C2인 힌지구멍(24)에 삽입된 고정볼트-1(40) 및 고정볼트-2(30)사이에는 고정볼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적어도 0.5mm의 유격이 존재한다.
힌지점 C1과 C2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행거(H)의 자중 및 명판(B)의 중량이 걸려있는데다 고정볼트와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으로 행거(H)가 좌우로 유동되게 되면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와 밀착된 행거홀더(20)의 u점과 d점은 마모로 인하여 점점 커지게 된다.
행거홀더(20)의 u점과 d점의 마모로 인하여 행거(H)는 경사지게 된다. 경사진 행거(H)를 수평상태로 조정하여야한다.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정이 이루어진다. 행거(H)는 구조 및 형상때문에 통상 행거홀더(20)보다 두껍게 성형·사출된다.
이렇게 힌지점 C1과 C2에서 u점과 d점이 점점 커지게 되면 행거(H)가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아래로 경사지게 된다. 행거(H)의 하향경사를 조정하기위해서는 조립과정과 정반대로 명판 조립체를 분해해야한다. 분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즉 「행거(H)로부터 명판(B)을 분해」→「힌지점 C1인 원형조정구멍(25)에 체결된 고정볼트-1(40)을 해체하고, 힌지점 C2인 힌지구멍(24)과 고정볼트-2(30)에 의하여 상기 ⒝단계와 같이 행거(H)를 행거홀더(20)에 가조립 상태가 되게 함」→「가조립 상태의 행거(H)를 상하로 회동시켜 수평상태가 되게 한 다음 고정볼트-1(40)과 너트(31)의 체결에 의하여 행거(H)를 행거홀더(20)에 견고하게 고정」→「명판(B)을 다시 행거(H)에 조립」이 순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단 한번의 조정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분해』ㆍ『조정』ㆍ『조립』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조정되기 때문에 높은 공중에서의 조정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위험하다.
본 발명은 명판(B)과 행거(H)를 분해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밸런스 조정볼트(74)의 회전만으로 단 한번의 조정에 의하여 행거(H)와 명판(B)을 수평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밸런스 조정볼트(74)는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고정구(72)에 형성된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 나선 결합되어있다.
고정구(72)는 행거홀더(20)의 양 지지측판(23)(23)사이에 위치되고 배면판(21)에 체결볼트(76)로 고정되어있다.
다음으로 행거홀더(20)에 고정구(72)를 설치ㆍ고정하는 과정과, 그리고 이에 의하여 행거(H)와 명판(B)을 수평상태로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 참조)
고정구(72)를 행거홀더(20)의 양 지지측판(23)(23)사이에 삽입하고 배면판(21)의 체결공(20a)과 고정구(72)의 나선 수평체결공(72b)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볼트(76)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체결한다.
고정구(72)의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 밸런스 조정볼트(74)를 나선 결합한다.
밸런스 조정볼트(74)는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을 관통하여 그 돌출부가 행거(H)의 상단면과 접면되게 한다.
행거(H)의 좌우유동으로 인한 행거홀더(20)의 마모에 의하여 u점을 중심으로 위로 원형조정구멍(25)이, 그리고 d점을 중심으로 아래로 힌지구멍(24)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행거(H)가 원형조정구멍(25)과 힌지구멍(24)에 삽입된 행거(H)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하향 경사진 행거(H)를 수평상태로 조정하기위하여 밸런스 조정볼트(74)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나선부의 피치에 의하여 행거(H)와 명판(B)의 수평상태를 조정하기가 용이하다. 회전에 의하여 밸런스 조정 볼트(74)는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길이만큼 행거(H)는 힌지구멍(24)을 중심으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서 행거(H)와 명판(B)이 수평상태에 이르게 된다. 밸런스 조정볼트(74)의 회전 시 회전명판(B)을 행거(H)에서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일단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에 의하여 행거(H)와 명판(B)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면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밸런스 조정볼트(74)가 행거(H)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힌지점 C1의 u점과 고정볼트(40)와의 접촉에 의한 지지력이 그만큼 감소 될 뿐 아니라 행거(H)의 좌우유동을 억제하게 되어 행거(H)와 명판(B)의 수평상태가 그만큼 장기간 유지되게 된다.
[도1a] 종래의 포스트 클램와 행거홀더에 의하여 지주에 도로명판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b] 도1a의 포스트 클램 및 행거홀더와 행거의 분해사시도
[도1c] 도1a의 종단면도
[도1d] 도1a에서 바람에 의하여 행거홀더의 C1, C2점이 u, d로 마모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2] 본 발명의 행거홀더에 의하여 지지된 행거 및 도로명판 사시도
[도3] 도2의 행거홀더와 행거의 분해사시도
[도4] 본 발명의 행거홀더의 분해사시도
[도5] 본 발명의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에 의하여 경사진 행거 및 도로 명판을 수평레벨로 조정하는 단면 사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70;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
72; 고정구, 72a;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 72b; 나선 수평체결공
74; 밸런스 조정볼트, 74a; 머리부, 74b; 나선부
76; 체결볼트
20; 행거홀더
21; 배면판
21a; 체결공
23; 지지측판
23a; 평면부
H; 행거
A1; 힌지구멍
A2; 조정구멍
30; 고정볼트-2
40; 고정볼트-1
24(C1); 힌지구멍
25(C2); 원형조정구멍

Claims (3)

  1. 지주(P)와 행거홀더(20)의 역학적 구조형태가 캔틸레버 구조형태이면서 행거(H)와 행거홀더(20)와는 힌지점 C1과 C2를 중심으로 고정 볼트-1과 고정 볼트-2에 의하여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로명판 조립체에 있어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는 고정구(72)와, 밸런스 조정볼트(74)와, 그리고 체결볼트(76)로 구성되고, 그 설치위치는 행거홀더(20)의 지지측판(23)(23)사이에 설치되되 C1의 원형조정구멍(25)보다 위에 위치되면서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접면되어있는 상태이고 그 고정은 체결공(20a)과 나선 수평체결공(72b)에 삽입ㆍ체결된 체결볼트(76)에 의하여 고정되며, 또 고정구(72)에는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과 나선 수평체결공(72b)이 형성되어있고, 밸런스 나선 수직관통공(72a)에는 나선 결합된 밸런스 조정볼트(74)가 수평상의 행거(H)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이 가압력은 힌지점 C2를 중심으로 행거(H) 및 명판(B)의 중량과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고 또 밸런스 조정볼트(74)의 나선피치에 의하여 경사진 행거(H)의 수평레벨의 조정이 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유동방지 밸런스 조정구(70)의 고정구(72)가 삽입되는 행거홀더(20)의 지지 측판(23)(23)의 양측을 평면부(23a)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행거홀더(20)의 배면판(21)에 체결공(20a)을 2~3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구(72)에도 나선 수평체결공(72b)을 동일한 개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KR1020090043738A 2009-05-19 2009-05-19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KR10091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38A KR100912700B1 (ko) 2009-05-19 2009-05-19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38A KR100912700B1 (ko) 2009-05-19 2009-05-19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700B1 true KR100912700B1 (ko) 2009-08-19

Family

ID=4120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738A KR100912700B1 (ko) 2009-05-19 2009-05-19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7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45B1 (ko) * 2011-09-26 2012-01-16 주식회사 선진정밀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KR101235212B1 (ko) 2012-05-31 2013-02-20 주식회사포앤텍 다양한 각도로 설치 가능한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
KR20170140793A (ko) * 2017-08-31 2017-12-21 서재석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KR101842530B1 (ko) * 2016-06-13 2018-03-27 서재석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KR102125650B1 (ko) * 2019-10-07 2020-06-23 권상구 도로명판 고정장치
KR102448709B1 (ko) * 2022-05-24 2022-09-29 주식회사 엔케이피 도로표지판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92B1 (ko) * 1980-10-18 1985-07-27 린괸스 메카니스카 벡스타드 아크티엔보타게 비계용 단위부재 결합장치
KR200173784Y1 (ko) 1999-10-02 2000-03-15 이원중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결합하는 결합구조
KR100566953B1 (ko)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100841003B1 (ko) 2007-12-24 2008-06-2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92B1 (ko) * 1980-10-18 1985-07-27 린괸스 메카니스카 벡스타드 아크티엔보타게 비계용 단위부재 결합장치
KR200173784Y1 (ko) 1999-10-02 2000-03-15 이원중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결합하는 결합구조
KR100566953B1 (ko)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100841003B1 (ko) 2007-12-24 2008-06-2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45B1 (ko) * 2011-09-26 2012-01-16 주식회사 선진정밀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KR101235212B1 (ko) 2012-05-31 2013-02-20 주식회사포앤텍 다양한 각도로 설치 가능한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
KR101842530B1 (ko) * 2016-06-13 2018-03-27 서재석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KR20170140793A (ko) * 2017-08-31 2017-12-21 서재석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KR101887911B1 (ko) * 2017-08-31 2018-08-14 서재석 사슬형 밴드
KR102125650B1 (ko) * 2019-10-07 2020-06-23 권상구 도로명판 고정장치
KR102448709B1 (ko) * 2022-05-24 2022-09-29 주식회사 엔케이피 도로표지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700B1 (ko)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GB2460271A (en) Adjustable post support
KR200412730Y1 (ko)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KR101087607B1 (ko) 조립식 배관 트레이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CN210002272U (zh) 夹具支座及钢结构桥梁安全防护结构
KR20110009836A (ko)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JP3201471U (ja) 作業用ブラケット足場
JP2017066804A (ja) 型枠支持材、型枠保持具及び型枠ユニット並びに該型枠ユニットの構築方法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US20070069104A1 (en) Concrete forming structure frame locking device
KR20041411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설치구조
KR100964290B1 (ko) 도로 안내판 지지구조
JP200829143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JP6415770B1 (ja) 支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1153494A (ja) 天井パ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パネル固定装置
KR101107268B1 (ko) 슬래브 거푸집용 드롭헤드 어셈블리
KR101665056B1 (ko) 고각도용 안테나 체결 장치
KR101984772B1 (ko) 기둥구조물 조립체
CN220377903U (zh) 一种屋面临时防护装置
KR102355022B1 (ko) 생산, 운반, 설치가 용이한 다단 가로등주
CN218862192U (zh) 一种大转角可调底座
JP3174606U (ja) 太陽光発電設備用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