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168B1 - 복합데크 - Google Patents

복합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168B1
KR101111168B1 KR1020110040869A KR20110040869A KR101111168B1 KR 101111168 B1 KR101111168 B1 KR 101111168B1 KR 1020110040869 A KR1020110040869 A KR 1020110040869A KR 20110040869 A KR20110040869 A KR 20110040869A KR 101111168 B1 KR101111168 B1 KR 10111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mposite deck
convex
composite
extrud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이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태 filed Critical 이지태
Priority to KR102011004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surface of assembled elongated wooden stri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알루미늄 압출바에 목재를 결합시켜 목재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고, 친환경적 요소를 갖게 되는 복합데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는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와 끼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재와, 오목부에 결합되는 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볼록부의 상부면은 둥그런 곡면이며,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의 상부면상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데크{A composite deck}
본 발명은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와 목재를 결합시켜서 목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단위중량 및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복합데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도 바닥, 무대 바닥, 정류소의 바닥, 등산로의 계단 바닥, 펜션의 테라스 등에 목재나 합성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데크는 단순히 납작한 목재 재질의 패널을 나란히 횡 배치하고, 패널의 하부에 교차 배치된 봉 형상의 강재에 직결피스 등을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시켜 제작되었다.
그러나 목재의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 것은 사실이나, 방부처리를 해야 하고, 강도가 약하며, 특히,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직결피스 부분의 목재가 갈라져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목재 또는 방부목은 흡수 및 흡습성이 크고, 신축변형이 크며, 부식성이 크고 비내구적이다. 그리고 단열성은 뛰어나나 열전도율이 떨어지고, 쪼개짐, 뒤틀림, 찔림, 부식(옹이, 결분리현상 등) 이 잘된다. 또한, 사후관리 미흡시 부식, 부패 진행속도 빠르고, 불개미 및 바퀴벌레 발생의 진원지가 되며, 추후 개보수 기간이 2~3년마다 도래하여 관리비가 많이 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목재와 합성수지의 혼합 형태인 합성목재가 제안되었다. 이는 천연목재와 고분자로 구성된 것으로, 목재질감과 향기, 내수/내습/내충격성을 지지고 있으며, 다양한 컬러와 시공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어, 목재의 장점과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소재이다.
그러나 합성목재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가스), 포름알데히드(HCHO)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다량 포함한, 플라스틱 제품의 모든 단점을 갖고 있는 자재이기도 하여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
즉,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원은 주로 건축 재료, 세탁용제, 페인트, 살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여기서 방출된 유기용제는 피부로 흡수되기 쉽고, 체내에 흡수된 후에도 중주신경과 부신 등 주요기관을 침범하기 쉽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는 휘발성이 크므로 공기 중에 가스로서 포함되는 일이 많으므로 이런 물질들이 직접 닿지 않더라도 호흡기로 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중요한 유기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이며, 방향족 탄화수소로 순수한 공기중에 VOC농도가 높은 곳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피로감, 정신착란, 두통, 구역,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VOC물질에 대부분은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포르알데히드는 자극성이 매우 강한 무색의 기체로 물에 잘 녹고 40%수용액은 포르말린이라고 명명한다. 포름알데히드는 일반죽택과 공공건물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인 UFFI(Urea Formaldehyde Foam Insulation) 이외에 실내가구의 철, 가스난로 등에서의 연소과정, 접착제, 흡연 의약품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 보고 되어 있다.
포름알데히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독성 정도에 따라 흡입, 흡수, 피부를 통한 경로로 침투되고 이 중 흡입에 의한 독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르알데히드는 그 농도가 1ppm 또는 그 이하에서 눈, 코, 목의 자극증상을 보이고 동물 실험에서는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단열재로 우레아스지폼 단열재를 사용한 주택에 살고 있는 주민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장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정서적 불안정, 기억력상실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체에 해로운 합성목재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인체에 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환경을 고려하여 폐기처분하지 않는 친환경적이면 더욱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알루미늄 압출바에 목재를 결합시켜 목재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고, 친환경적 요소를 갖게 되는 복합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와 끼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재와, 오목부에 결합되는 목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를 제공한다.
이때,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의 상부면은 둥그런 곡면이고 오목부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데크의 상부에 물이 고이지 않으면서 곡면을 타고 내려온 물은 배수공으로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판이 형성되고, 끼움부는 삽입부속으로 들어가 걸림판에 걸쳐지도록 낚시 바늘 형상을 갖는 쐐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록부의 상부면상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야광재료, 축광재료, 고휘도반사지와 같은 발광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는 알루미늄과 목재가 조화를 이루어 친환경적이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압출바의 상면을 곡면처리하고 내부에 배수공을 뚫어줌으로써, 실외에서 바닥재로 사용할 경우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목재의 단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데크를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00)는 알루미늄 압출재(110)와, 이 압출재(110)에 결합되는 목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루미늄 압출재(110)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폭방향으로 볼록부(111)와 오목부(112)가 교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에서보면 볼록부(111)와 오목부(112)가 요철형태로 반복되게 형성되고, 하측에서 보면 판으로 막혀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재(110)의 양단부에는 알루미늄 압출재(110)들이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13)와 끼움부(1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부(113)는 볼록부(111)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면서 세로로된 판의 하단이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걸림판(113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판(113a)은 반대편 끼움부(114)가 들어와 그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압출재(110)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끼움부(114)는 오목부(112)의 하부판이 좀더 길게 연장된 후에 그 끝단에 낚시바늘과 같은 쐐기(114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끼움부(114)의 쐐기(114a)가 삽입부(113)의 걸림판(113a)위쪽에 걸쳐져 알루미늄 압출재(110)들을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재(110)의 오목부(112)에는 도 4의 확대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목재(1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목재(120)는 알루미늄 압출재(110)의 상부면 높이와 일치하는 두께로 제작되고, 목재(1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오목부(112)의 바닥면상에는 체결부(115)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115)에 의해 목재(120)의 하단이 오목부(112)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120)가 장시간동안 습기에 노출되지 않게 되는 좋은 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00)는 배수기능을 갖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볼록부(111)의 상부면을 볼록하게 곡면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오목부(112)의 바닥면상에는 볼록부의 상부면에서 유입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배수공(117)을 하측으로 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00)는 발을 딛는 상부면이 알루미늄 압출재(110)로 노출되기 때문에 보행자들이 미끄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111)의 상부면상에는 돌기(118)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데크(100)의 상부면상에는 발광부(130)가 형성되어 경관조명이나 가이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발광부(130)로는 야광재료나 축광재료가 도포될 수 있고, 고휘도반사지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복합데크
110 : 알루미늄 압출재 111 : 볼록부
112 : 오목부 113 : 삽입부
114 : 끼움부 113a : 걸림판
114a : 쐐기 115 : 체결부
117 : 배수공 118 : 돌기
120 : 목재 130 : 발광부

Claims (6)

  1. 폭방향으로 볼록부(111)와 오목부(112)가 교대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13)와 끼움부(114)가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재(110)와, 상기 오목부(112)에 결합되는 목재(120)를 포함하는 복합데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12)의 바닥면상에는 상기 목재(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11)의 상부면은 둥그런 곡면이며, 상기 오목부(112)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1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3)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판(113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14)는 상기 삽입부(113)속으로 들어가 걸림판(113a)에 걸쳐지도록 낚시 바늘 형상을 갖는 쐐기(114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11)의 상부면상에는 돌기(1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데크(100)의 상부면상에는 야광재료 또는 축광재료가 도포되거나 고휘도반사지가 부착되는 발광부(1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데크.
KR1020110040869A 2011-04-29 2011-04-29 복합데크 KR101111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69A KR101111168B1 (ko) 2011-04-29 2011-04-29 복합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69A KR101111168B1 (ko) 2011-04-29 2011-04-29 복합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168B1 true KR101111168B1 (ko) 2012-02-15

Family

ID=4584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869A KR101111168B1 (ko) 2011-04-29 2011-04-29 복합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1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206B1 (ko) 2013-03-07 2015-08-13 이재현 산책로용 탄성데크 제작방법
KR20150114932A (ko) * 2015-09-23 2015-10-13 이재현 히팅 케이블을 가설할 수 있는 금속 틀 탄성포장 데크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007365B1 (ko) * 2019-02-18 2019-10-21 (주) 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GB2581179A (en) * 2019-02-06 2020-08-12 Sapphire Balconies Ltd Construction panel system with adaptable surface
KR20200106060A (ko) 2018-01-02 2020-09-10 팻코, 엘엘씨 금속 데크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KR102241676B1 (ko) * 2020-07-02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균일한 간격이 적용된 미끄럼 방지 데크 시스템
KR102344623B1 (ko) 2020-12-07 2021-12-29 주식회사 플러스 알루미늄 데크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884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매니폴드 거동 측정 장치
KR200318884Y1 (ko) 2003-04-17 2003-07-04 김태학 조립식 바닥재
KR20040045649A (ko) * 2002-11-25 2004-06-02 백동준 유성식 교반 및 탈포 장치
KR100862668B1 (ko) 2007-05-09 2008-10-10 오광석 조립형 바닥재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20100008256A (ko) * 2008-07-15 2010-01-25 손정오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884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매니폴드 거동 측정 장치
KR20040045649A (ko) * 2002-11-25 2004-06-02 백동준 유성식 교반 및 탈포 장치
KR200318884Y1 (ko) 2003-04-17 2003-07-04 김태학 조립식 바닥재
KR100862668B1 (ko) 2007-05-09 2008-10-10 오광석 조립형 바닥재
KR20100008256A (ko) * 2008-07-15 2010-01-25 손정오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206B1 (ko) 2013-03-07 2015-08-13 이재현 산책로용 탄성데크 제작방법
KR20150114932A (ko) * 2015-09-23 2015-10-13 이재현 히팅 케이블을 가설할 수 있는 금속 틀 탄성포장 데크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649601B1 (ko) 2015-09-23 2016-08-19 이재현 열선 케이블 가설이 용이한 금속 탄성바닥재
KR20200106060A (ko) 2018-01-02 2020-09-10 팻코, 엘엘씨 금속 데크
GB2581179A (en) * 2019-02-06 2020-08-12 Sapphire Balconies Ltd Construction panel system with adaptable surface
GB2581179B (en) * 2019-02-06 2022-08-03 Mydek Ltd Construction panel system with adaptable surface
KR102007365B1 (ko) * 2019-02-18 2019-10-21 (주) 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WO2020171383A1 (ko) * 2019-02-18 2020-08-27 (주)뉴티브 일체형 목재 데크틀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의 설치구조
KR102241676B1 (ko) * 2020-07-02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균일한 간격이 적용된 미끄럼 방지 데크 시스템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KR102344623B1 (ko) 2020-12-07 2021-12-29 주식회사 플러스 알루미늄 데크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68B1 (ko) 복합데크
US9181715B2 (en) Clip device for attaching structural member to a supporting structure
US6374555B1 (en) Long lasting deck product
US20080279654A1 (en) Hidden deck fastener and method of use
KR101137235B1 (ko) 역 t자형 체결구조를 갖는 합성목재 데크
US20090241459A1 (en) Composite Siding System
US20140215944A1 (en) Wood deck with boards and connectors
KR200433777Y1 (ko) 목재 데크
DE602005022021D1 (de) Wandbekleidung aus Verkleidungselemente
KR20120032096A (ko) 데크재
KR20090087322A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CN204781809U (zh) 一种防白蚁竹地板
KR101846366B1 (ko) 조립식 데크 구조체
CN201460146U (zh) 一种地板锁扣
KR102523690B1 (ko)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CN205558178U (zh) 一种卡扣式户外地板
US20190119911A1 (en) Bird exclusion device
CO5050330A1 (es) Arilpirroles para la proteccion de la madera, productos de madera y estructuras de madera contra el ataque de insectos dera aplicando arilpirroles
JP3458094B2 (ja) 羽目板パネル施工法
CN220225767U (zh) 一种装配式整体阳台保温系统
KR20190046258A (ko) 데크 조립용 클립을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CN208105727U (zh) 护墙板加固装置及护墙板安装系统
KR20120041871A (ko) 목재 도어의 하단 부식방지구
CN207794494U (zh) 一种通风墙面组合板
CN207739546U (zh) 护墙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