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945A -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 Google Patents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945A
KR20150039945A KR20130118369A KR20130118369A KR20150039945A KR 20150039945 A KR20150039945 A KR 20150039945A KR 20130118369 A KR20130118369 A KR 20130118369A KR 20130118369 A KR20130118369 A KR 20130118369A KR 20150039945 A KR20150039945 A KR 2015003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
fastening
rafters
hub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680B1 (ko
Inventor
서강수
송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서강수
송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서강수, 송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Priority to KR102013011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6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자의 서까래(20), 장방(40), 및 기둥(50)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연결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서까래(20)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복수개의 서까래(20)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지붕허브(10)와, 서까래(20)를 밑에서 받치도록 서까래(20)에 체결되면서 기둥(50)과 장방(40)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사방연결구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붕허브(10)는, 허브몸체(11), 허브몸체(11)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기저면(14); 허브몸체(11)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기저면(14) 상에 형성되는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서까래(20)의 한쪽 끝단이 기저면(14) 상에 놓이면서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 사이에 끼여서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허브몸체(1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까래말단체결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자의 금속연결구체{Metal connector used for pavilion}
본 발명은 정자의 금속연결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자의 주된 골격인 서까래, 장방, 및 기둥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간단하게 견고하게 신속 조립할 수 있는 금속연결구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생활이 많아지면서 휴양지나 공원 등에 경관 감상이나 휴식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자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종자는 시공현장에서 많은 종류의 자재들을 취급하면서 일일이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229호(2103.03.13., 등록)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가조립 및 분해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재조립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조립식 한옥 정자의 경우, 창방이 기둥에 끼움 연결되기 때문에 창방과 기둥이 나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장시간 경과 후 나무들 사이의 끼움연결이 헐거워지거나 끼움연결 자체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서까래와 기둥이 직접적으로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서까래, 기둥, 및 창방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정자 구조물이 여전히 복잡하면서도 견고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자의 주된 골격인 서까래, 창방, 및 기둥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신속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연결구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자의 서까래, 장방, 및 기둥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연결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상기 서까래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지붕허브와, 상기 서까래를 밑에서 받치도록 상기 서까래에 체결되면서 상기 기둥과 장방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사방연결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붕허브는
허브몸체;
상기 허브몸체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기저면;
상기 허브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기저면 상에 형성되는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까래의 한쪽 끝단이 상기 기저면 상에 놓이면서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 사이에 끼여서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허브몸체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까래말단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까래는 상기 지붕허브에서 밑으로 쳐지면서 뻗어나가도록 설치되고,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은 상기 서까래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상기 허브몸체의 바깥쪽을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몸체의 윗입구로 지붕탑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몸체는 속이 빈 통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방연결구체는,
연결구몸체;
상기 서까래가 지나가면서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위로 돌출되는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까래가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 사이를 지나가면서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서까래중간체결부;
상기 기둥의 윗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밑면에 형성되는 기둥삽입홈; 및
상기 사방연결구체를 서로 잇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 양쪽에 형성되는 창방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까래중간체결부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은 상기 서까래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상기 서까래가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방체결부는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좌측체결면, 우측체결면, 및 밑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윗면이 개방된 꺽쇠 형태를 하며, 상기 창방은 상기 창방체결부의 밑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창방체결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자의 주된 골격인 서까래, 장방, 및 기둥이 금속재질의 지붕허브와 사방연결구체에 의해 하나의 연결구조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특히 서까래가 지붕허브 및 사방연결구체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서까래가 간단한 조립구조를 통하여도 옆으로 미끄러 떨어지지 않아 구조적 강도가 더욱 부여된다. 그리고 목재를 끼움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을 위한 목재의 가공이 특별히 필요없어 조립부품 준비가 간단하며, 목재끼리의 끼움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끼움연결부위의 약해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연결구체가 적용된 정자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지붕허브(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및 도 7은 사방연결구체(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연결구체가 적용된 정자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자는 지붕허브(10)에 복수개의 서까래(20)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되며, 테두리 근방에서 서까래(20)를 받치는 사방연결구체(30)에 기둥(50)과 장방(40)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둥(50)의 밑에는 주춧돌(55)이 놓이고, 마루바닥(70)은 지면에서 약간 들뜨도록 설치되며, 계단(77)을 통하여 마루바닥(70)에 올라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루바닥(70)의 둘레에는 난간(75)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붕허브(10)와 사방연결구체(30)가 본 발명의 특징부인 금속연결구체에 해당한다.
도 4 및 도 5는 지붕허브(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허브(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허브몸체(11)의 측면에 서까래말단체결부(12)가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허브몸체(11)의 밑둘레를 따라서는 기저면(14)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저면(14)은 허브몸체(11)의 밑단에 허브몸체(11)보다 큰 평평한 판을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서까래말단체결부(12)는 허브몸체(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진다.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은 허브몸체(11)의 측면과 기저면(14)의 윗면에 일체로 접합되어 비틀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 구조적인 견고함을 갖는다.
서까래(20)는 한쪽 끝단이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사이에 끼여서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공(12c)을 통하여 볼트체결되어 밑으로 쳐지면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지붕허브(10)에 고정 설치된다. 서까래(20)가 더 이상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서까래(20)의 밑이 기저면(14)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까래(20)가 위아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볼트체결은 적어도 두 군데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두 군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서까래(20)가 밑으로 쳐지면서 뻗어나가기 때문에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체결면(12a)과 우측체결면(12b)은 서까래(20)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서까래(20)와 같이 허브몸체(11)의 바깥쪽을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몸체(11)는 속이 빈 통형상을 하며 허브몸체(11)의 윗 입구로 지붕탑(60)이 삽입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사방연결구체(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연결구체(30)는 연결구몸체(31)의 위에 서까래중간체결부(32)가 형성되고, 연결구몸체(31)의 밑에 기둥삽입홈(35)이 형성되며, 연결구몸체(31)의 측면 양쪽에 창방체결부(33)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서까래중간체결부(32)는 연결구몸체(31)의 위로 돌출되는 좌측체결면(32a)과 우측체결면(12b)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진다. 서까래(20)는 좌측체결면(32a)과 우측체결면(32b) 사이를 지나가는 도중에 연결구몸체(31)의 윗면에 밑이 닿은 상태에서 좌측체결면(32a)과 우측체결면(32b)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공(32c)을 통하여 볼트체결되어 사방연결구체(30)에 의해 받쳐지도록 고정 설치된다. 서까래(20)가 위아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볼트체결은 적어도 두 군데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두 군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서까래(20)가 밑으로 쳐지면서 뻗어나가기 때문에 서까래말단체결부(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까래중간체결부(32)의 경우에도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체결면(32a)과 우측체결면(32b)이 서까래(20)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서까래(20)가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까래(20)는 밑으로 쳐지면서 뻗어가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서까래말단체결부(12)와 서까래중간체결부(32)에서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서까래(20)가 자체의 상당한 하중에 의하여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떨어져 버려 위험하게 된다. 따라서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서까래(20)는 지붕허브(10)와 사방연결구체(3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까래(20)가 나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당한 기간 동안 외부의 극심한 환경에 노출되다 보면 나무가 삭으면서 볼트체결이 헐거워지거나 나무가 깨지면서 볼트체결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창방체결부(33)는 연결구몸체(3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좌측체결면(33a), 우측체결면(33b), 밑면(33d)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윗면이 개방된 꺽쇠형태를 한다. 창방(40)은 밑면(33d)에 걸쳐진 상태에서 좌측체결면(33a)과 우측체결면(33b)에 볼트체결되어 사방연결구체(30) 사이를 잇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기둥(50)은 윗단이 기둥삽입홈(35)에 삽입 설치되어 서까래(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창방(40)과 기둥(50)은 외관상 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의 결합을 위해서 종래와 같이 서로를 직접 끼움연결하면 오랜시간 경과후 나무가 삭거나 습기 등에 노출됨으로 인해 끼움연결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사방연결구체(30)를 매개로 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창방(40)은 서까래(20)와 달리 수평하게 놓이기 때문에 자체 무게에 의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밑면(33d)에 의해 받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렇게 금속재질의 사방연결구체(30)에 볼트체결하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서까래(20)의 양측면에는 걸침부(91)가 형성되며, 걸침부(91) 상에는 지붕판 받침대(90)가 걸쳐지면서 서까래(20) 사이를 잇도록 설치된다. 걸침부(91)는 창방체결부(33)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꺽쇠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붕판 받침대(90)는 걸침부(91)에 볼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판 받침대(90) 상에는 지붕판 받침대(90)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지붕판(95)이 올려 놓인다. 지붕판(95)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붕판(95)은 적어도 두 개의 지붕판 받침대(90)에 걸쳐지면서 올려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판(95)은 우측과 좌측에 각각 상측돌출부(95a)와 하측돌출부(95b)가 형성되어 상측돌출부(95a)가 하측돌출부(95b) 상에 얹혀지면서 인접하여 옆으로 틈이 없도록 설치된다. 그러면 비가 왔을 때에 지붕판(95) 사이의 틈으로 비가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붕판(95) 상에는 방수천이나 방수코팅의 형태로 방수부재(9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와(80)는 방수부재(97) 상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자의 주된 골격인 서까래(20), 장방(40), 및 기둥(50)이 금속연결구체인 지붕허브(10)와 사방연결구체(30)에 의해 하나의 연결구조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특히 서까래(20)가 지붕허브(10) 및 사방연결구체(3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서까래(20)가 간단한 조립구조를 통하여도 견고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옆으로 미끄러 떨어지지 않아 구조적 강도가 더욱 부여된다.
그리고 목재를 끼움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을 위한 목재의 가공이 특별히 필요없어 조립부품 준비가 간단하며, 목재끼리의 끼움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끼움연결부위의 약해짐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성이 뛰어나게 된다.
10: 지붕허브 11: 허브몸체
12: 서까래말단체결부 12a, 32a, 33a: 좌측체결면
12b, 32b, 33b: 우측체결면 12c, 32c, 33c: 볼트체결공
14: 기저면 20: 서까래
30: 사방연결구체 31: 연결구몸체
32: 서까래중간체결부 33: 장방체결부
33d: 밑면 35: 기둥삽입홈
40: 장방 50: 기둥
55: 주춧돌 60: 지붕탑
70: 마루바닥 75: 난간
77: 계단 80: 기와
90: 지붕판 받침대 91: 걸침부
95: 지붕판 95a: 상측돌출부
95b: 하측돌출부 97: 방수부재

Claims (7)

  1. 정자의 서까래, 장방, 및 기둥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연결구체로서,
    복수개의 상기 서까래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지붕허브와, 상기 서까래를 밑에서 받치도록 상기 서까래에 체결되면서 상기 기둥과 장방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사방연결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붕허브는
    허브몸체;
    상기 허브몸체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기저면;
    상기 허브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기저면 상에 형성되는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까래의 한쪽 끝단이 상기 기저면 상에 놓이면서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 사이에 끼여서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허브몸체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까래말단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가 상기 지붕허브에서 밑으로 쳐지면서 뻗어나가도록 설치되고, 상기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은 상기 서까래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상기 허브몸체의 바깥쪽을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몸체의 윗입구로 지붕탑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몸체가 속이 빈 통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연결구체는,
    연결구몸체;
    상기 서까래가 지나가면서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위로 돌출되는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까래가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 사이를 지나가면서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서까래중간체결부;
    상기 기둥의 윗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밑면에 형성되는 기둥삽입홈; 및
    상기 사방연결구체를 서로 잇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 양쪽에 형성되는 창방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중간체결부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은 상기 서까래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상기 서까래가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방체결부는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좌측체결면, 우측체결면, 및 밑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윗면이 개방된 꺽쇠 형태를 하며, 상기 창방은 상기 창방체결부의 밑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창방체결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7. 정자의 서까래, 장방, 및 기둥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연결구체로서,
    복수개의 상기 서까래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지붕허브와, 상기 서까래를 밑에서 받치도록 상기 서까래에 체결되면서 상기 기둥과 장방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사방연결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방연결구체는,
    연결구몸체;
    상기 서까래가 지나가면서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위로 돌출되는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까래가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 사이를 지나가면서 상기 연결구몸체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서까래중간체결부;
    상기 기둥의 윗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밑면에 형성되는 기둥삽입홈; 및
    상기 사방연결구체를 서로 잇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 양쪽에 형성되는 창방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까래중간체결부의 좌측체결면과 우측체결면은 상기 서까래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윗모서리가 상기 서까래가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밑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창방체결부는 상기 연결구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좌측체결면, 우측체결면, 및 밑면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윗면이 개방된 꺽쇠 형태를 하며, 상기 창방은 상기 창방체결부의 밑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창방체결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연결구체.
KR1020130118369A 2013-10-04 2013-10-04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KR10175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69A KR101756680B1 (ko) 2013-10-04 2013-10-04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69A KR101756680B1 (ko) 2013-10-04 2013-10-04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45A true KR20150039945A (ko) 2015-04-14
KR101756680B1 KR101756680B1 (ko) 2017-07-11

Family

ID=5303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369A KR101756680B1 (ko) 2013-10-04 2013-10-04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04A (ko) * 2020-03-19 2021-09-29 임대호 루프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04A (ko) * 2020-03-19 2021-09-29 임대호 루프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680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8484A1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00347593A1 (en) Modular Floor Platform
RU2720633C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устан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фиксации стойки
KR20150051323A (ko) 정자
US8820011B1 (en) Stage fl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08892B1 (ko) 조립식 정자
KR20090093012A (ko) 석재를 이용한 정자의 조립구조
KR101756680B1 (ko)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EP3369869B1 (en)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same
JP2018131841A (ja) 組立式ステージおよびジャッキ機構
JP6321599B2 (ja) 連結構造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8956A (ko) 팬스용 관절형 브라켓 구조
KR101833459B1 (ko) 돔형 온실 구조물
JP2011117246A (ja) 組立式構造物
KR102090994B1 (ko)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86977A (ko) 건축물 지붕의 체결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지붕서까래체결구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JP2007100323A (ja) 垂木固定金物及び小屋組構造
KR200308551Y1 (ko) 금속재 각편이 삽입된 가설물용 조립식 고정지주
JP4312223B2 (ja) 組立式家屋
JPH10169085A (ja) 屋根の架構構造
KR101829246B1 (ko) 케이블을 이용한 장스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6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06

Effective date: 201705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