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994B1 -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994B1
KR102090994B1 KR1020190096677A KR20190096677A KR102090994B1 KR 102090994 B1 KR102090994 B1 KR 102090994B1 KR 1020190096677 A KR1020190096677 A KR 1020190096677A KR 20190096677 A KR20190096677 A KR 20190096677A KR 102090994 B1 KR102090994 B1 KR 10209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oof
panel
bon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길
Original Assignee
김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길 filed Critical 김성길
Priority to KR102019009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5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 E04D3/3606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the fastening means being screws or n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및 외벽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들을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고, 상기 시공면에 매립된 매립부 및 상기 시공면 상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포함하는 기초, 그리고 상기 시공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 그리고 하단이 상기 노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벽, 그리고 상기 외벽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처마 및 중앙에 구비된 용마루를 포함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 및 상기 외벽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Warehouse-type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창고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및 외벽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들을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는 물품, 원자재, 물자, 식량 등을 임시 또는 장기간 적재 및 보관하는 저장수단으로서, 유통업체, 선적업체, 제조업체, 무역업체, 군사시설 등, 그 분야를 가리지 않고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산업 발전에 따른 적재량 증가에 의해 설비의 규모 역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종래의 보관 및 적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창고 외에도, 해당 인원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전시 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하는 등, 일종의 가건물 용도로 활용하는 데에도 창고와 같은 구조의 건물을 활용할 수 있는데, 창고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건물과 가건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건물을 통틀어 '창고형 건축 구조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창고형 건축 구조물은 크게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는 기초(1), 시공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2), 기초(1)에 결합되어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 배치되는 외벽(3), 외벽(3)의 상부에 구비된 지붕(5), 그리고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단이 지붕(5)과 바닥(2)에 연결된 기둥(7)을 포함한다.
창고형 건축 구조물과 관련이 있는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54741호(2012년06월01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건물의 벽체에 지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 구조물의 승강 높이 조절을 통해 건물의 천정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효과적인 공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외벽, 지붕 등과 같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들에 있어서, 해당 구성을 일체로 시공해야 하거나, 해당 구성의 길이를 무한정으로 늘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시공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붕 및 외벽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들을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들을 시공할 때, 해당 단위패널 간의 견고한 접합, 창고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 우천에 대한 철저한 대비, 구조적 단순화를 통한 소재 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고형 건축 구조물은,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고, 상기 시공면에 매립된 매립부 및 상기 시공면 상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포함하는 기초, 그리고 상기 시공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 그리고 하단이 상기 노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벽, 그리고 상기 외벽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처마 및 중앙에 구비된 용마루를 포함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 및 상기 외벽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붕은 일 측 제1루프패널, 타 측 제2루프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을 접합하는 루프접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은 타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결합부 및 일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결합부에 상응하는 하면을 갖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접합수단은, 상기 돌출결합부와 대응결합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결합부 및 대응결합부를 관통하는 스크류, 하면이 상기 대응결합부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이 상기 스크류의 헤드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브래킷 및 상기 돌출결합부, 상기 대응결합부 및 상기 브래킷을 감싸도록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구비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내면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함몰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양단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은 상기 돌출결합부의 측단에 구비되는 접합부 및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접합대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대응부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패인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접합수단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측면부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직주입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부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평주입부 및 상기 수직주입부와 상기 수평주입부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창고형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기초를 시공하는 기초 시공 단계, 그리고 상기 바닥을 시공하는 바닥 시공 단계, 그리고 상기 외벽을 시공하는 외벽 시공 단계, 그리고 상기 지붕을 시공하는 지붕 시공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지붕 및 외벽을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시공성과 설치 및 해제의 간편성 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유의 패널 접합 구조와 접합 수단을 통해, 해당 단위패널 간의 견고한 접합, 창고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 우천에 대한 철저한 대비, 구조적 단순화를 통한 소재 효율성 제고 등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외벽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내벽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지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환풍기에 관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고형 건축 구조물(이하 본 구조물(B)) 및 그 시공방법(이하 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붕 및 외벽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들을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B)은 크게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는 기초(1), 시공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2), 기초(1)에 결합되어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 배치되는 외벽(3) 및 외벽(3)의 상부에 구비된 지붕(5)을 포함한다. 자명하게도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단이 지붕(5)과 바닥(2)에 연결된 기둥(7)을 더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기초(1)는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면에 매립된 매립부(11) 및 시공면 상부로 노출된 노출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초(1)는 콘크리트 타설 방식 등과 같은 종래의 기초(1) 시공 방식을 따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초(1)의 매립부(11)는 시공면에 고정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노출부(12)는 후술하는 외벽(3)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외벽(3)은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노출부(12)에 결합되고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외벽(3)은 본 구조물(B)의 외형을 구성하며, 특히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위패널은 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난연 기능이 부가된 소재가 채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지붕(5)은 본 구조물(B)의 상부 구성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벽(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처마 및 중앙에 구비된 용마루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붕(5)은 본 구조물(B)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기한 외벽(3)과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초(1), 바닥(2), 외벽(3) 및 지붕(5)은 일반적인 창고형 건축 구조물의 구성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종래의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본 구조물(B)은 지붕(5) 및 외벽(3)이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된다는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지붕(5)과 외벽(3)의 시공 시에 단위패널을 접합하여 지붕(5)과 외벽(3)을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지붕(5)과 외벽(3)을 시공할 때, 운반, 보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향상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구조물(B)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구조물(B)의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구조물(B)은 외벽(3)을 단위패널을 접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각 단위패널 간의 접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합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B)은 외벽(3)이 일 측 제1아웃패널(30A), 타 측 제2아웃패널(30B) 및 제1 및 제2아웃패널(30A)(30B)을 접합하는 외벽접합수단(30C)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아웃패널(30A)(30B)은 외벽(3)을 구성하는 단위패널로 상호 접합되는 두 단위패널 중 한 쪽(도 4에서는 좌측)을 제1아웃패널(30A), 그리고 다른 한 쪽(도 4에서는 우측)을 제2아웃패널(30B)로 지칭한 것이다.
제1 및 제2아웃패널(30A)(30B)은 양단에 상호 접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구비된 접합단부(31) 및 일단에 구비된 대응단부(32)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일단은 좌측, 타단은 우측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단부(31)는 일 측으로 함몰 구비된 만곡부(311), 이 만곡부(311)에서 타 측으로 연결된 제1수평부(312), 제1수평부(312)에서 하측으로 연결된 제1수직부(313), 제1수직부(313)의 하부에 구비되고 일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제1내절곡부(314) 및 제1내절곡부(314)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소정의 경사를 갖는 제1외경사부(315)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단부(32)는 일 측으로 돌출된 외돌부(321), 이 외돌부(321)에서 타 측으로 연결된 제2수평부(322), 제2수평부(322)에서 하측으로 연결된 제2수직부(323), 제2수직부(323)의 하부에 구비되고 타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제2내절곡부(324) 및 제2내절곡부(324)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소정의 경사를 갖되 상기한 제1외경사부(315)와 반대의 경사를 갖는 제2외경사부(325)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접합수단(30C)은 제1수평부(312)로 삽입되어 제1아웃패널(30A)을 관통하는 스크류(s), 제1수평부(312)와 제2수평부(322)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이격부(g)에 주입되는 접착제(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아웃패널(30A)(30B)의 접합은 제1아웃패널(30A)의 타 단부와 제2아웃패널(30B)의 일 단부를 포갬과 동시에 이격부(g)에 접착제(a)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때 스크류(s)는 미리 제1아웃패널(30A)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과정에서, 제1아웃패널(30A)의 만곡부(311)에 제2아웃패널(30B)의 외돌부(321)가 삽입되는데, 이때 만곡부(311)와 외돌부(321) 사이에 접착제(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만곡부(311)의 함몰 정도가 외돌부(321)의 돌출 정도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외경사부(315)와 제2외경사부(325)는 서로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가져, 제1아웃패널(30A)과 제2아웃패널(30B)을 포개었을 때, 두 경사부가 맞물리게 접촉되고, 추가적으로 만곡부(311)와 외돌부(321)의 상부에도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들은 수직한 부분과 수평한 부분이 모두 맞닿도록 함으로써 제1아웃패널(30A)과 제2아웃패널(30B) 간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의 유지를 돕는다.
또한 이격부(g) 내부에 주입된 접착제(a)는 제1아웃패널(30A)과 제2아웃패널(30B)을 접합함은 물론, 스크류(s)를 감싸는 형식을 통해 '제1아웃패널(30A)-스크류(s)-제2아웃패널(30B)'을 일체로 만들어 접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B)은 내부에 구비되어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내벽(4) 역시 단위패널의 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벽(4)을 단위패널 간의 접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4)은 일 측 제1이너패널(40A), 타 측 제2이너패널(40B) 및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을 접합하는 내벽접합수단(40C)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일 측 및 타 측은 도 5 내지 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이고,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은 상호 접합되는 두 단위패널의 양쪽(좌, 우)을 의미한다. 그 방향은 상기한 아웃패널과 동일하다.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 역시 양단에 상호 접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구비된 수용단부(41) 및 일단에 구비된 삽입단부(4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5 내지 도 6을 기준으로 일단은 좌측, 타단은 우측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단부(41)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상벽면(411)과 하벽면(412), 그리고 상단이 상벽면(411)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벽면(4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용면(4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용단부(41)는 상벽면(411), 하벽면(412) 및 수용면(413)에 의해 홈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부(42)는 상기한 수용단부(41)의 상벽면(411)과 하벽면(412)의 이격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돌출 부위의 일단에 구비되고 수직 배치되는 삽입면(423)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접합수단(40C)은 수용면(413)과 삽입면(423)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이격부(g)에 주입되는 접착제(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의 접합은 제1이너패널(40A)의 타 단부인 수용단부(41)에 제2이너패널(40B)의 일 단부인 삽입단부(42)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격부(g)에 접착제(a)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접착제(a)의 주입은 수용단부(41)와 삽입단부(42)의 결합 전, 결합과 동시에 또는 결합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이격부(g) 내부에 주입된 접착제(a)는 제1이너패널(40A)과 제2이너패널(40B)을 접합하며, 특히 내벽(4)의 경우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s)의 채용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조물(B)은 지붕(5) 역시 단위패널을 접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더하여 각 단위패널 간의 접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합 구조를 제시한다. 특히 지붕(5)의 경우, 내벽(4) 및 외벽(3)과는 다르게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야함은 물론 빗물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더 필요로 하기에, 이러한 보호 구성을 추가로 더 제안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B)은 지붕(5)이 일 측 제1루프패널(50A), 타 측 제2루프패널(50B) 및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을 접합하는 루프접합수단(50C)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은 지붕(5)을 구성하는 단위패널로, 상호 접합되는 두 단위패널 중 한 쪽(도 8 기준 좌측)을 제1루프패널(50A), 그리고 다른 한 쪽(도 8 기준 우측)을 제2루프패널(50B)로 한다.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 역시 양단에 상호 접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은 타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결합부(51) 및 일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결합부(51)에 상응하는 하면을 갖는 대응결합부(5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결합부(51)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응결합부(52)의 하면은 역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촉 면적을 넓히면서도 상호 간의 걸림을 통해 결합력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구조이기에 채택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의 접합을 위한 루프접합수단(50C)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결합부(51)와 대응결합부(52)가 포개진 상태에서 돌출결합부(51) 및 대응결합부(52)를 관통하는 스크류(s), 하면이 대응결합부(52)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이 스크류(s)의 헤드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브래킷(b) 및 돌출결합부(51)와 대응결합부(52)와 브래킷(b)을 감싸도록 스크류(s)의 상부에 구비되는 캡(c)을 포함한다.
이러한 루프패널의 접합은 돌출결합부(51)와 대응결합부(52)를 스크류(s)를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때 브래킷(b)은 스크류(s)의 결합 상태를 지지하여 결합력을 강화하고, 캡(c)은 우천이나 외부 충격 등에 대비하여 결합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c)은 내면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함몰된 걸림홈(c1)을 포함하고, 브래킷(b)은 양단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홈(c1)에 걸리는 걸림돌기(b1)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걸림홈(c1) 및 걸림돌기(b1)는 브래킷(b)과 캡(c) 간의 결합력을 보장하되, 그 결합 및 분리가 스냅 방식(일명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지붕(5)의 경우, 접합이 불량하여 제1루프패널(50A)과 제2루프패널(50B) 간의 분리가 발생하게 되면 큰 문제가 생기지만 외벽(3)이나 내벽(4)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루프패널 간의 접합을 스크류(s)와 접착제(a)를 통해 2중 결합 구조를 채택하였다.
접착제(a)를 통한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 간의 접합에 관한 구성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은 돌출결합부(51)의 측단에 구비되는 접합부(53) 및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접합대응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53)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531) 및 측벽부(531)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2)를 포함하고, 접합대응부(54)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541) 및 측면부(541)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패인 요부(542)를 포함한다.
또한 루프접합수단(50C)은 측벽부(531)와 측면부(541)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직주입부(v), 돌출부(532)와 요부(542)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평주입부(a) 및 수직주입부(v)와 수평주입부(a)에 주입되는 접착제(a)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접착제(a)를 이용한 루프접합수단(50C)은 상기한 내벽접합수단(40C) 및 외벽접합수단(30C)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상기한 내벽(4) 및 외벽(3)의 접합과의 차이점으로, 첫째 접착제(a)가 주입되는 부분이 수직주입부(v)와 수평주입부(a)로 구분된다는 점, 둘째 스크류(s)의 삽입 위치에서 수직주입부(v)와 수평주입부(a)가 제2루프패널(50B) 측으로 치우쳐 구비된다는 점이다.
첫 번째 차이로, 접착제(a)가 주입되는 부분이 수직주입부(v)와 수평주입부(a)로 구분된다는 점을 통해 접착제(a)에 의한 접착력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에 대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두 번째 차이로, 스크류(s)의 삽입 위치에서 수직주입부(v) 및 수평주입부(a)가 제2루프패널(50B) 측으로 치우쳐 구비된다는 점을 통해 스크류(s)에 의한 결합력과 접착제(a)에 의한 접착력의 작용점이 엇갈림 배치되고, 이는 결국 결합력의 분산을 통해 다양한 외력에 대해 보다 유연하고 견조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로, 상기에서, 스크류(s), 브래킷(b) 등은 방식성을 위해 아연 도금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캡(c)은 부식이 방지될 수 있는 비금속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c)을 금속 소재로 채용하는 경우 방수성을 부가할 수 있는 보호막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구조물(B)은 내부 환기를 위해 지붕(5)의 상부에 구비된 환풍기(6)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6)는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61), 회전축(61)에 결합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회전날개(62), 지붕(5)에 결합되는 베이스(64), 회전날개(62)와 베이스(64)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63) 및 베이스(64)와 지붕(5)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63)은 수평 배치되는 고정판과 이에 결합되는 고정링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부재(66)는 지붕(5)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구와 이 고정구와 베이스(64)를 결합시키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사항은 통상의 지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6)는 베이스(64)의 중간에 구비되는 방진고무(6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진고무(65)는 회전날개(6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베이스(64)를 보호한다.
추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6)는 베이스(64)와 지붕(5) 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고무패드(67)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무패드(67)는 베이스(64)와 지붕(5) 간의 결합 부위를밀폐하는 역할, 베이스(64)와 지붕(5)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 및 베이스(64)의 진동이 지붕(5)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본 구조물(B)의 시공 방법(본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방법은 기초(1)를 시공하는 기초(1) 시공 단계, 바닥(2)을 시공하는 바닥(2) 시공 단계, 외벽(3)을 시공하는 외벽(3) 시공 단계, 그리고 지붕(5)을 시공하는 지붕(5) 시공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와 특징은 상기한 본 구조물(B)의 설명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중복 설명의 회피를 위해 상기한 본 구조물(B)의 설명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상기에서, 각 구성들에 대한 세부적인 마감 처리, 예를 들면 실리콘 마감, 아연 도금, 스테인리스 처리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본 구조물(창고형 건축 구조물)
1: 기초
11: 매립부 12: 노출부
2: 바닥
3: 외벽
30A: 제1아웃패널 30B: 제2아웃패널
31: 접합단부 311: 만곡부
312: 제1수평부 313: 제1수직부
314: 제1내절곡부 315: 제1외경사부
32: 대응단부 321: 외돌부
322: 제2수평부 323: 제2수직부
324: 제2내절곡부 325: 제2외경사부
30C: 외벽접합수단 s: 스크류
g: 이격부 a: 접착제
4: 내벽
40A: 제1이너패널 40B: 제2이너패널
41: 수용단부 411: 상벽면
412: 하벽면 413: 수용면
42: 삽입단부 423: 삽입면
40C: 내벽접합수단
g: 이격부 a: 접착제
5: 지붕
50A: 제1루프패널 50B: 제2루프패널
51: 돌출결합부 52: 대응결합부
53: 접합부
531: 측벽부 532: 돌출부
54: 접합대응부
541: 측면부 542: 요부
50C: 루프접합수단 s: 스크류
b: 브래킷 b1: 걸림돌기
c: 캡 c1: 걸림홈
v: 수직주입부 h: 수평주입부
a: 접착제
6: 환풍기
61: 회전축 62: 회전날개
63: 고정수단 64: 베이스
65: 방진고무 66: 결합부재
67: 고무패드

Claims (4)

  1. 시공면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고, 상기 시공면에 매립된 매립부(11) 및 상기 시공면 상부로 노출된 노출부(12)를 포함하는 기초(1);
    상기 시공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2);
    하단이 상기 노출부(12)에 결합되고 상기 시공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벽(3); 및
    상기 외벽(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벽(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처마 및 중앙에 구비된 용마루를 포함하는 지붕(5);
    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5) 및 상기 외벽(3)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되고,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4)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벽(4)은 일 측 제1이너패널(40A), 타 측 제2이너패널(40B) 및 상기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을 접합하는 내벽접합수단(40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이너패널(40A)(40B)은 타단에 구비된 수용단부(41) 및 일단에 구비된 삽입단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단부(41)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상벽면(411), 하벽면(412) 및 상단이 상벽면(411)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벽면(4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수용면(413)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단부(42)는 상기 수용단부(41)의 상벽면(411)과 하벽면(412)의 이격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돌출 부위의 일단에 구비되고 수직 배치되는 삽입면(423)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접합수단(40C)은 상기 수용면(413)과 상기 삽입면(423)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이격부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5)은 일 측 제1루프패널(50A), 타 측 제2루프패널(50B) 및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을 접합하는 루프접합수단(50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은 타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결합부(51) 및 일단에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결합부(51)에 상응하는 하면을 갖는 대응결합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접합수단(50C)은, 상기 돌출결합부(51)와 대응결합부(52)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결합부(51) 및 대응결합부(52)를 관통하는 스크류, 하면이 상기 대응결합부(52)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이 상기 스크류의 헤드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브래킷(b) 및, 상기 돌출결합부(51), 상기 대응결합부(52) 및 상기 브래킷(b)을 감싸도록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구비되는 캡(c)을 포함하고,
    상기 캡(c)은 내면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함몰된 걸림홈(c1)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b)은 양단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c1)에 걸리는 걸림돌기(b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루프패널(50A)(50B)은 상기 돌출결합부(51)의 측단에 구비되는 접합부(53) 및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접합대응부(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53)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531) 및 상기 측벽부(531)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2)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대응부(54)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541) 및 상기 측면부(541)의 하단에서 타 측 방향으로 패인 요부(542)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접합수단(50C)은 상기 측벽부(531)와 상기 측면부(541)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직주입부(v), 상기 돌출부(532)와 상기 요부(542)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수평주입부(h) 및 상기 수직주입부(v)와 상기 수평주입부(h)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루프패널(50A) 및 상기 제2루프패널(50B) 간의 접합은 스크류(s)와 접착제(a)를 통해 2중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류(s)의 삽입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직주입부(v) 및 상기 수평주입부(h)는 상기 제2루프패널(50B) 측으로 치우쳐서 구비되고,
    상기 지붕(5)의 상부에 구비된 환풍기(6)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6)는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61), 회전축(61)에 결합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회전날개(62), 지붕(5)에 결합되는 베이스(64), 상기 회전날개(62)와 상기 베이스(64)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63) 및 상기 베이스(64)와 상기 지붕(5)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형 건축 구조물.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3)은 제1아웃패널(30A), 제2아웃패널(30B) 및 상기 제1아웃패널(30A)과 상기 제2아웃패널(30B)을 접합하는 외벽접합수단(30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아웃패널(30A)(30B)은 접합단부(31) 및 대응단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단부(31)는 일 측으로 함몰 구비된 만곡부(311), 상기 만곡부(311)에서 타 측으로 연결된 제1수평부(312), 제1수평부(312)에서 하측으로 연결된 제1수직부(313), 제1수직부(313)의 하부에 구비되고 일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제1내절곡부(314) 및 제1내절곡부(314)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소정의 경사를 갖는 제1외경사부(315)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단부(32)는 일 측으로 돌출된 외돌부(321), 상기 외돌부(321)에서 타 측으로 연결된 제2수평부(322), 제2수평부(322)에서 하측으로 연결된 제2수직부(323), 제2수직부(323)의 하부에 구비되고 타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제2내절곡부(324) 및 제2내절곡부(324)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소정의 경사를 갖되 상기 제1외경사부(315)와 반대의 경사를 갖는 제2외경사부(325)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접합수단(30C)은 상기 제1수평부(312)로 삽입되어 상기 제1아웃패널(30A)을 관통하는 스크류, 상기 제1수평부(312)와 상기 제2수평부(322)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이격부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311)의 함몰 정도가 상기 외돌부(321)의 돌출 정도보다 크게 구성되고,
    상기 제1외경사부(315)와 상기 제2외경사부(325)는 서로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가져 상기 제1아웃패널(30A) 및 상기 제2아웃패널(30B)을 포개었을 때 두 경사부(315)(325)가 맞물리게 접촉되고,
    상기 만곡부(311)와 상기 외돌부(321)의 상부에도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격부 내부에 주입된 접착제는 스크류를 감싸는 형식을 통해 제1아웃패널(30A), 스크류 및 제2아웃패널(30B)을 일체로 만들어 접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형 건축 구조물.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은 수평 배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고정링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66)는 지붕(5)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시키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6)는, 상기 베이스(64)의 중간에 구비되는 방진고무(65) 및 상기 베이스(64)와 상기 지붕(5) 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고무패드(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형 건축 구조물.
  4. 청구항 1에 기재된 창고형 건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초(1)를 시공하는 기초 시공 단계;
    상기 바닥(2)을 시공하는 바닥 시공 단계;
    상기 외벽(3)을 시공하는 외벽 시공 단계;
    상기 내벽(4)을 시공하는 내벽 시공 단계; 및
    상기 지붕(5)을 시공하는 지붕 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창고형 건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90096677A 2019-08-08 2019-08-08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9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77A KR102090994B1 (ko) 2019-08-08 2019-08-08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77A KR102090994B1 (ko) 2019-08-08 2019-08-08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994B1 true KR102090994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77A KR102090994B1 (ko) 2019-08-08 2019-08-08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29B1 (ko) 2023-01-31 2024-03-05 이상호 샌드위치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234B2 (ja) * 1999-06-29 2006-10-0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7853B1 (ko) * 2009-07-31 2010-05-14 최해순 지붕판넬 고정장치
KR20150003481U (ko) *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지붕 패널 구조체
KR20190068866A (ko)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234B2 (ja) * 1999-06-29 2006-10-0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7853B1 (ko) * 2009-07-31 2010-05-14 최해순 지붕판넬 고정장치
KR20150003481U (ko) *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지붕 패널 구조체
KR20190068866A (ko)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29B1 (ko) 2023-01-31 2024-03-05 이상호 샌드위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7065B2 (ja) 建築構造基礎部材、及び建築構造のための基礎
US3236014A (en) Panel assembly joint
US20130247499A1 (en) Compression Blocking Brace Bracket and Method of Use
US20070151192A1 (en) Multi-Purpose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CN101605945A (zh) 穹顶式结构
CA1083770A (en) Dome structure
US20190100917A1 (en) Panelized Building System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JPH07509290A (ja) 建物建築用のパネル・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77830B1 (ko) 소규모 조립식 창고
JP2007224626A (ja) 陸屋根建物の屋根改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090994B1 (ko)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3205632A (en) Wall-panel structure
JP6625988B2 (ja) メタログ構造物用の補強材
KR20080096085A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US20040154235A1 (en) Emergency housing
WO2017016183A1 (zh) 用围护桩连接的地下室结构
KR20160030029A (ko) 이동식 가옥
US11203865B2 (en) Beam and bolting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23628B1 (ko) 에어돔 시공 구조
US20060096217A1 (en) Cladding
TWI784477B (zh) 壁面構造體及建物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WO2011137478A1 (en) Elongate building panel improvement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US20200131761A1 (en) Wa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